맨위로가기

더 배스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배스텁은 세계 무역 센터 부지에서 허드슨강의 물을 막기 위해 건설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지하 7층 규모로 PATH 지하철 터널과 뉴욕 지하철 노선을 포함하며, 1967년부터 1968년까지 건설되었다. 9·11 테러 이후 구조물의 붕괴 위험이 제기되어 보강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2006년과 2008년 사이에는 발굴 작업으로 지하 26m 깊이까지 확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11 테러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이 탈레반 정권을 응징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시작되어, 탈레반 축출과 미군 철수,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종결되었으며,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 9·11 테러 - 세계 무역 센터 부지
    세계무역센터 부지는 9.11 테러로 파괴된 세계무역센터의 자리로, 철거 및 복구 작업, 역사적 유물 발굴, 소유권 문제 해결을 거쳐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를 비롯한 새로운 건물과 9/11 추모 공원으로 재건되었으나, '그라운드 제로'라는 폐허의 기억으로 남아있다.
  • 세계 무역 센터 (뉴욕) - 미노루 야마사키
    미노루 야마사키는 모더니즘과 일본 건축 양식을 융합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20세기 중반 미국을 대표하는 건축가였으며, 세계 무역 센터 등 상징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며 활발히 활동했고, 그의 작품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세계 무역 센터 (뉴욕) - 세계 무역 센터 부지
    세계무역센터 부지는 9.11 테러로 파괴된 세계무역센터의 자리로, 철거 및 복구 작업, 역사적 유물 발굴, 소유권 문제 해결을 거쳐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를 비롯한 새로운 건물과 9/11 추모 공원으로 재건되었으나, '그라운드 제로'라는 폐허의 기억으로 남아있다.
더 배스텁
개요
세계 무역 센터 배스텁의 모습
배스텁은 원래 세계 무역 센터 부지를 둘러싸고 있던 지하 벽을 말한다.
종류구조물
위치미국 뉴욕 뉴욕 시
좌표40° 42′ 42″ N, 74° 00′ 45″ W
건설 시작1966년
완공1968년
상세 정보
목적세계 무역 센터 부지 보호
깊이지하 70 피트 (21 미터)
구성슬러리 벽
유지 관리9.11 테러 이후에도 유지됨
중요성
역할세계 무역 센터 건설 및 이후 복구에 필수적인 구조물
추가 정보슬러리 벽 공법의 중요한 사례
9.11 테러 이후에도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어 복구 작업에 기여

2. 설명

더 배스텁은 원래 세계 무역 센터 부지의 지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된 거대한 방수 벽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은 기반암까지 보강 콘크리트 벽을 설치하여, 인근 허드슨강(노스강)의 이 부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지하 과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5][1]

세계 무역 센터 부지가 원래 맨해튼 해안선을 확장한 매립지 위에 위치하여 지하 수위 조절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이 방식이 채택되었다.[6][2] 단순히 물을 퍼내는 방식은 주변 건물의 기초를 위태롭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6] 더 배스텁은 세계 무역 센터의 넓은 지하 공간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

2. 1. 구조 및 특징

국립 9·11 테러 메모리얼 & 박물관에 전시된 더 배스텁의 잔해.


더 배스텁은 기반암까지 굴착하여 보강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싼 구조물로, 인근 허드슨강(노스강)에서 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1] 원래 세계 무역 센터 부지는 수 세기 동안 맨해튼 해안선에서 허드슨강 방면으로 확장된 인공 매립지였으며, 기반암은 약 약 19.81m 아래에 있었다.[5][2] 이 지역에서 단순히 물을 퍼낼 경우, 주변 지역의 수위가 크게 변동하여 인근 건물의 기초를 위태롭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배스텁 방식이 채택되었다.[6][2] 배스텁은 1967년부터 1968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1969년, 북서쪽에서 바라본 초기 세계 무역 센터 배스터브 공사 현장. 앞쪽에는 임시 가교 위에 지지된 PATH 동쪽 터널 F가 보인다. 왼쪽에는 타이백이 있는 슬러리 벽이 보이며, 배경에는 북쪽 타워의 골조가 보인다. 현재의 웨스트 스트리트 위에 있던 철거된 서쪽 고가도로도 확인할 수 있다.


배스텁은 16acre (약 65000m2)에 달하는 부지를 포함하며, 지하 7층 규모이다.[2] 이 구조물 안에는 PATH 노선의 시내 터미널과 뉴욕 지하철 IRT 브로드웨이-세븐 애비뉴 선(1호선) 터널이 포함되어 있다.[7][2] 방수벽은 두께가 약 0.91m이고 높이는 약 21.34m에 달한다.[2]

세계 무역 센터의 남쪽 타워는 기초 구역을 통과하는 PATH 터널 주변에 건설되었는데, 이 덕분에 공사 기간 동안에도 PATH 노선 운행이 중단되지 않았다.[2]

배스텁 벽을 관통하는 구조물로는 배수-폐기물-환기 시스템, 각종 유틸리티 시스템, 그리고 PATH 열차 선로가 있다. 현재는 브루클필드 플레이스와 세계 무역 센터 교통 허브를 연결하는 통로도 배스텁 벽을 통과한다.

배스텁 건설 과정에서 파낸 흙과 암석 등 굴착 자재는 인근 배터리 파크 시티 건설을 위한 매립재로 재활용되었다. 유사한 공법이 시카고윌리스 타워 기초 공사에도 사용되었다.

2. 2. 건설 배경



원래 세계 무역 센터가 위치했던 부지는 맨해튼 해안선에서 허드슨강 방면으로 확장된 간척지였다. 이 지역은 한 세기 이상 인공 매립지로 사용되어 왔으며, 단단한 기반암은 약 약 19.81m 아래에 있었다.[5][2]

이러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지하 구조물 건설 시 인근 허드슨강(노스강)에서 스며드는 을 막는 것이 중요했다. 단순히 물을 퍼내는 방식은 주변 지역의 수위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인근 건물의 기초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6][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배스텁' 구조가 고안되었다. 이는 기반암까지 보강 콘크리트 벽체를 둘러쳐서 허드슨강 물의 유입을 막는 일종의 거대한 지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1]

더 배스텁은 1967년부터 1968년까지 건설되었다.[1]

3. 문제점

9·11 테러세계 무역 센터 쌍둥이 빌딩이 붕괴하면서 '배스텁' 구조물도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2] 이로 인해 구조물 전체가 붕괴할 위험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잔해를 제거하는 작업자들과 주변 건물, 그리고 뉴욕 지하철 시스템에 큰 위협이 되었다.[8][2]

3. 1. 9.11 테러 이후 상황

9·11 테러 발생 이후, 세계 무역 센터 부지의 잔해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배스텁' 구조물의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잔해를 치우는 작업자들과 주변 건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였다.[8] 또한, 구조물이 붕괴될 경우 뉴욕 지하철 시스템의 상당 부분이 침수될 위험도 존재했다.[8]

배스텁 구조는 원래 세계 무역 센터 지하실 바닥으로부터 측면 지지력을 얻고 있었으나, 9·11 테러로 쌍둥이 빌딩이 붕괴하면서 이 지지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2] 이로 인해 잔해 더미를 제거하면 벽체가 약해져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2]

오스틴 J. 토빈 플라자와 두 개의 타워 아래에 깊고 얕은 기초로 구성된 깊은 지하 구조


복구 및 정리 작업 중 실제로 배스텁 벽에서 위험한 수준의 손상이 발견되었다.[2] 이에 따라 구조물의 붕괴를 막기 위해 기반암에 타이백(tieback) 보강재를 설치하는 긴급 작업이 진행되었다.[8][2]

이후 새로운 배스텁을 위한 발굴 작업이 2006년부터 2008년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새로운 배스텁은 지하 약 25.91m 깊이까지 도달했다.[3]

3. 2. 보강 작업



배스텁은 건설 이후 9.11 테러 당시 쌍둥이 빌딩 붕괴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을 때, 월드 트레이드 센터(WTC) 지하실 바닥에 의존하여 측면 지지력을 얻고 있었다. 테러로 인해 발생한 잔해 더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벽이 약해져 붕괴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주변 건물에 위험을 초래하며, 뉴욕 지하철 시스템의 상당 부분을 침수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복구 및 정리 작업 중 벽에서 위험한 손상이 발견되었고, 배스텁 벽을 지지하기 위해 암반에 타이백(tieback)을 설치하는 긴급 보강 작업이 진행되었다.[2] 이후 새로운 배스텁 발굴 작업이 2006년부터 2008년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새로운 배스텁은 지하 약 25.91m 깊이까지 확장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New York at risk of flooding http://news.bbc.co.u[...] 2001-09-19
[2] 웹사이트 A NATION CHALLENGED; Engineers Tackle Havoc Underground https://www.nytimes.[...] 2001-09-18
[3] 웹사이트 Rebuilding the WTC from the Bottom Up - https://www.wtc.com/[...] 2008-01-01
[4] 웹인용 How the World Trade Center Worked http://science.howst[...] how stuff works 2015-11-13
[5] 저널 World Trade Center "Bathtub": From Genesis to Armageddon http://www.nae.edu/n[...] 2011-06-21
[6] 뉴스 The Bathtub. Lower Manhattan's Wall Against Water. http://www.forbes.co[...] forbes 2015-11-13
[7] 뉴스 A Section of the Hudson Tubes is Turned into Elevated Tunnel The New York Times 1968-12-30
[8] 웹인용 What is the Bathtub problem that the newspapers are talking about? http://www.columbia.[...] columbia 2015-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