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온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온공주는 조선 순조와 순원왕후의 넷째 딸로, 조선 왕실에서 왕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마지막 공주이다. 1829년 8세의 나이로 덕온공주로 봉해졌으며, 1837년 윤의선과 결혼하여 남녕위에 봉해졌다. 결혼 7년 만인 1844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딸을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덕온공주의 유품으로는 원삼, 당의, 장옷 등 의복과 노리개, 화장 도구 등이 남아 있으며, 자적당의는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생애

순조와 순원왕후 사이의 막내딸로, 1829년(순조 29년) 8세의 나이에 '''덕온공주'''(德溫公主)로 봉해졌다. 1834년(순조 34년) 12세 때 아버지 순조가 세상을 떠났다.

3년 뒤인 1837년(헌종 3년) 헌종 재위 기간에 윤치승(尹致承)의 아들 윤의선(尹宜善)과 결혼하였다. 남편 윤의선은 이후 남녕위(南寧尉)에 봉해졌다.[3][4]

결혼 7년 만인 1844년(헌종 10년), 21세 또는 2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딸을 출산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으며, 그 딸 역시 일찍 세상을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 남편 윤의선은 고종 재위 기간인 1887년에 사망하였다.

2. 1. 가계 및 출생

1822년(순조 22년) 음력 6월 10일 조선의 제23대 순조순원왕후의 넷째 딸로 태어났다.[7] 은 이, 본관전주이다. 조선 문조(효명세자), 명온공주, 복온공주의 친동생이다. 덕온공주는 조선 왕조에서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마지막 공주이기도 하다.[8][9]

덕온공주의 어머니인 순원왕후는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김조순의 딸이다. 순원왕후는 자신의 가문이 풍양 조씨 가문과 함께 조선 말기 세도 정치 시대를 이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10]

1829년 3월 6일, 8세의 나이로 '''덕온공주'''에 봉해졌다. 1834년 12월 13일, 덕온공주가 12세가 되던 해에 아버지 순조가 세상을 떠났다.

3년 후인 1837년 8월 13일, 15세 때(조카인 조선 헌종 재위 기간) 윤치승(尹致承, 1790~?)의 아들인 윤의선(尹宜善)과 결혼했다. 남편 윤의선은 후에 ''남녕위''(南寧尉)로 봉해졌다.[3][4]

결혼 7년 후인 1844년, 덕온공주는 딸을 낳고 몇 시간 만에 21세(또는 2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안타깝게도 갓 태어난 딸 역시 곧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남편 윤의선은 고종 재위 24년인 1887년에 64세(또는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2. 공주 시절

1822년(순조와 순원왕후 김씨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8살이 되던 해인 1829년(순조 29년) 음력 3월 6일 정식으로 '''덕온공주'''(德溫公主)의 작위를 받았다[11]. 이후 13살 때인 1834년(순조 34년) 음력 11월 13일 아버지 순조가 세상을 떠났는데, 이때 순조의 자녀 중 유일하게 생존해 있었다[12].

조카인 헌종이 즉위한 후인 1837년(헌종 3년) 음력 8월 13일, 판관을 지낸 윤치승의 아들 윤의선과 결혼하였다. 이때 남편 윤의선은 남녕위에 봉해졌다[7][13][3][4].

덕온공주는 결혼 7년 만인 1844년(헌종 10년)에 세상을 떠났는데, 당시 나이는 22세였다. 딸을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으며, 그 딸 역시 일찍 세상을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 남편 윤의선은 이후 고종 때인 1887년에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3. 사망

덕온공주는 결혼한 지 7년 후인 1844년(헌종 10년) 음력 5월 24일, 2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이날은 헌종의 계비를 간택하는 날이었는데, 당시 둘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덕온공주가 경사를 치르기 위해 창경궁 통명전에 들어갔다가 점심으로 먹은 비빔밥에 급체한 것이 원인이었다. 사망하기 직전 아이를 낳았으나 이 아이는 곧바로 사망하였고, 공주 역시 아이를 매장한 지 약 두 시간 정도 후에 사망하였다[6].

한편 덕온공주의 남편 윤의선은 1887년(고종 24년) 음력 12월 29일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3년간 녹봉이 지급되었다[14].

공주의 묘는 정확한 위치가 실전되었으나, 현재의 장위동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승정원일기』에는 묘의 사방 경계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3. 유품

덕온공주가 입었던 의복 중 원삼, 당의, 장옷, 삼회장저고리, 누비저고리 등이 남아있다.[5] 이 유물들은 남편 윤의선의 일가 친척인 윤용구가 윤의선과 덕온공주의 양자가 되어 물려받았고, 이후 윤용구의 딸인 윤백영이 보관해왔다. 이 유물들은 전통 의복 연구자인 석주선이 윤백영을 통해 수집하여 모두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였다.[6][15]

이 유물들은 다음과 같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덕온공주당의: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8] (일명 덕온공주 자적당의)
  • 덕온공주의복: 원삼, 장옷, 삼회장저고리, 누비저고리 등은 1987년 2월 12일 서울특별시의 중요민속자료 제211호로 지정되었다.
  • 덕온공주유물: 덕온공주가 어린 시절 사용했던 노리개와 화장 도구, 보자기, 필기구 등은 서울특별시의 중요민속자료 제212호로 지정되었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은 2012년 5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가(家)의 유물전'이라는 이름으로 덕온공주와 그 후손들의 유물 228점을 전시하기도 했다.[8]

한편, 덕온공주가 올린 가례의 자세한 내용을 기록한 《덕온공주가례등록》이라는 책도 남아있다. 그러나 이 책에는 덕온공주를 왕의 서녀를 일컫는 "옹주(翁主)"로 칭하고, 전반적인 용어의 격을 낮춰 기록한 점이 특이하다.[16]

4. 가족 관계


  • 조부 : 정조(正祖, 1752 ~ 1800)
  • 조모 : 수빈 박씨 (綏嬪 朴氏, 1770 ~ 1822)
  • * '''아버지''' : 순조(純祖, 1790 ~ 1834)
  • 외조부 :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
  • 외조모 : 청양부부인 청송 심씨(靑陽府夫人 靑松 沈氏, 1766 ~ 1828)
  • * '''어머니''' :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金氏, 1789 ~ 1857)
  • ** 오빠 : 문조(文祖, 1809 ~ 1830) - 효명세자

올케 :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 1809 ~ 1890)
* 조카 : 헌종(憲宗, 1827 ~ 1849)
** 조카며느리 : 효현왕후 김씨(孝顯王后 金氏, 1828 ~ 1843)
** 조카며느리 : 효정왕후 홍씨(孝定王后 洪氏, 1831 ~ 1904)

  • ** 언니 :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 ~ 1832)
  • ** 이복언니 : 영온옹주(永溫翁主, 1817 ~ 1829)
  • ** 언니 :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 ~ 1832)
  • 시아버지 : 윤치승(尹致承, 생몰년 미상)[3][4]
  • * 남편 : 남녕위 (南寧尉) 윤의선(尹宜善, 1822 ~ 1887)[3][4]
  • ** 딸 : 윤씨(尹氏, 1844) - 요절
  • ** 양자 : 윤용구(尹用求, 1853 ~ 1939)

5. 관련 영상

참조

[1] 문서 In lunar calendar, the Princess was born on 10 June 1822 and died on 24 May 1844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5] 웹사이트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덕온공주 당의 (德溫公主 唐衣)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 2021-05-07
[6] 웹사이트 서울문화재 〈덕온공주의복〉 http://sca.seoul.go.[...]
[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덕온공주〉 http://people.aks.ac[...] 2012-07-21
[8] 뉴스 단국대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공주 유물展’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2-05-08
[9] 문서 덕온공주 이후 1873년(고종 10년) 음력 2월 13일 [[조선 고종|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에서 공주가 출생하였으나, 이 공주는 같은 해 음력 9월 28일 요절하여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지 못하였다. 《조선왕조실록》고종 10권, 10년(1873 계유 / 청 동치 12년) 2월 13일(임술) 1번째기사 및 고종 10권, 10년(1873 계유 / 청 동치 12년) 9월 28일(계유) 1번째기사 참고
[10]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순원왕후〉 http://people.aks.ac[...] 2012-07-21
[11] 문서 《조선왕조실록》순조 30권, 29년(1829 기축 / 청 도광 9년) 3월 6일(경자) 4번째기사
[12] 문서 《조선왕조실록》순조 대왕 묘지문, 순조의 적자녀인 효명세자는 1830년에, 명온공주와 복온공주는 1832년에 각각 요절하였다. 또 유일한 서녀인 [[영온옹주]]도 1829년에 사망하였다. 이밖에도 덕온공주에게는 한 명의 친오빠가 더 있었으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요절하였다.
[13] 문서 《조선왕조실록》헌종 4권, 3년(1837 정유 / 청 도광 17년) 8월 13일(무오) 1번째기사
[14] 문서 《조선왕조실록》고종 24권, 24년(1887 정해 / 청 광서 13년) 12월 29일(신해) 2번째기사
[15] 웹사이트 서울문화재 〈덕온공주유물〉 http://sca.seoul.go.[...]
[16] 웹사이트 네이트 한국학 〈덕온공주가례등록〉 http://koreandb.n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