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스티니 건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스티니 건담은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 등장하는 자프트의 모빌 슈트(MS)이다. 당초 임펄스 건담의 강화 장비로 개발될 예정이었으나, 기체 구조의 문제로 인해 새로운 기체로 설계되었다. 최고 기술을 집약하여 핵 동력, 미라주 콜로이드 등의 기술을 사용했으며, 파일럿 신 아스카의 조작 습관을 반영하여 성능을 극대화했다.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과 동등한 성능을 가지며, 단기전에서는 우위를 보이기도 한다. 작품 내에서는 신 아스카의 탑승기로 활약하며, 주요 전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지만, 최종적으로는 파괴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이터널 (건담 시리즈)
    이터널은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에 등장하는 자프트의 모빌 슈트 고속 프리깃으로, 프리덤 건담과 저스티스 건담의 전용 모함이자 핵 엔진 탑재기 정비 설비와 나스카급을 능가하는 속력을 갖춘 삼척 동맹의 핵심 전력이며, 라크스 클라인과 함께 시리즈에서 활약한다.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가이아 건담
    가이아 건담은 Z.A.F.T.의 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 기체로, MS와 MA의 특성을 융합한 변형 기구를 통해 높은 운동성과 험지 주파성을 발휘하며, 스텔라 루셰, 앤드류 발트펠트 등이 조종했고 와일드 대거의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작업용 자쿠 II
    작업용 자쿠 II는 지온 공국군의 주력 모빌 슈트인 자쿠 II를 기반으로 지상전 능력을 강화한 다양한 파생형 모델들을 통칭하며, 특히 자쿠 탱크는 120mm 저격포 등의 무기를 장비하고 험한 지형에서 뛰어난 기동성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1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야크트 도가
    야크트 도가는 우주세기 0090년대 네오 지온에서 개발된 뉴타입 전용 시작형 모빌 슈트로, 기라 도가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이코 프레임, 고출력 제네레이터, 건다리움 합금 장갑 등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규네이 거스, 퀘스 파라야 등이 탑승했고 빔 어설트 라이플, 메가 개틀링 건, 판넬 등 다양한 무장을 사용하며 여러 파생 기체가 존재한다.
데스티니 건담
기체 정보
데스티니 건담
데스티니 건담
형식 번호ZGMF-X42S
기체명데스티니 건담
제작자프트
소속자프트
파일럿신 아스카
전체 높이18.64m
무게무게: 79.44톤
총 중량: 80.08톤
동력원하이퍼 듀트리온 엔진
무장MMI-GAU26 17.5mm CIWS
M2000GX 하이퍼 임펄스 건
MA-BAR73/S 고에너지 빔 라이플
RQM60F 플래시 엣지 빔 부메랑
MX2351 솔리더스 풀고르 빔 실드
MA-M08 빔 사벨
MMI-714 아론다이트 빔 소드
고에너지 장사정 빔 포
기술 정보
OS제네레이티브 언리미티드 뉴트럴 네트워크 드라이브 어설트 모듈 (Generative Unrestricted Network Node Drive Assault Module, GUNN)
특징VPS 장갑
광휘 추진기
미라쥬 콜로이드 스텔스

2. 개발 배경 및 디자인

데스티니 건담은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 등장하는 기체로, 임펄스 건담의 후속기로 개발되었다.

메카닉 디자인은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담당했으며, 전통적인 건담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주 날개 디자인에 어려움을 겪어 한 개의 축으로 작은 날개를 여닫는 독특한 형태를 채택했다.[8] 선라이즈 설정 제작부에 따르면, 감독 후쿠다 미츠오는 "어쨌든 최강"이라는 컨셉을 제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신 아스카의 캐릭터성을 반영하여 악의적인 얼굴, 날카로운 디자인, 회색 중심의 색상을 채택했다.[9] 고기동 시 잔상은 데스티니 건담의 뛰어난 속도를 표현하기 위한 연출이며,[9] 후쿠다 미츠오 감독은 데스티니 건담의 악의적인 얼굴이 어린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호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바닥의 팔마 피오키나는 캐릭터 디자이너 히라이 히사시의 아이디어로, 원래는 에네르기파와 같은 공격 무기를 상정했었다.[10]

2. 1. 개발 과정

임펄스의 포스(고기동형), 소드(근거리형), 블라스트(원거리형) 3가지 실루엣(추가 장비) 기능을 통합한 "컴플리트 MS"로 개발되었다.[1] 초기에는 이 기능들을 하나의 실루엣에 통합한 "데스티니 실루엣"으로 개발되었으나, 코어 스플렌더를 탑재한 임펄스의 복잡한 구조와 과도한 전력 소비 문제로 실전 운용이 어려워 새로운 기체를 설계하게 되었다.[1] 플랜트 최고 평의회 의장 길버트 듀란달의 지시에 따라 유니우스 조약에서 금지된 핵 동력(원자로) 기관인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1]과 미라주 콜로이드 등 다양한 기술과 "MS 전투 운용의 새로운 창조"라 불리는 독자적인 시스템도 채택되었다.[1]

신 아스카의 탑승을 고려하여 임펄스의 최신 전투 데이터와 조작 습관을 반영해 조정되었으며, 신 아스카가 탑승했을 때 진가를 발휘한다.[1] 이미 임펄스로는 신의 반사 신경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기체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그의 조종 능력에 맞춰 기체 성능이 향상되었다.

원래 데스티니 건담과 형제기인 레전드의 형식 번호 끝에는 프리덤, 저스티스 계열처럼 핵 동력기를 나타내는 "A"가 사용되지만, 유니우스 조약 위반 사실을 숨기기 위해 세컨드 스테이지 기체와 같은 "S"를 부여받았다.[1] 숫자 "4"는 결번 처리된 컨셉 넘버이다.[1]

2. 2. 디자인 컨셉

메카닉 디자인을 담당한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잡지 기사에서 전통적인 건담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주 날개 디자인에 난항을 겪었다고 밝혔다. 최종적으로는 한 개의 축으로 작은 날개를 개폐하는 형태가 되었다.[8]

선라이즈의 설정 제작부는 잡지 기사에서 감독인 후쿠다 미츠오가 "어쨌든 최강"이라는 컨셉을 제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파일럿인 신 아스카의 캐릭터성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악의에 찬 얼굴, 날카로운 디자인, 회색을 기본으로 하는 색상을 채택했다. 고기동 시의 잔상은 데스티니 건담의 뛰어난 속도를 표현하기 위한 연출로 도입되었다.[9] 후쿠다 미츠오는 인터뷰에서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는 어느 진영이 선이고 악이라는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 데스티니 건담의 악의에 찬 얼굴은 어린이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기호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바닥의 '팔마 피오키나'는 캐릭터 디자이너 히라이 히사시의 아이디어로, 원래는 《드래곤볼》의 에네르기파와 같은 공격 무기를 상정했다고 한다.[10]

3. 기체 구조 및 특징

데스티니 건담은 자프트가 개발한 모빌 슈트(MS)로, 모든 상황에 대응 가능한 "올라운드형 모빌 슈트(MS)"를 목표로 개발되었다.[7][15] 초기에는 임펄스 건담의 강화 장비인 "데스티니 실루엣"이 개발되었으나, 에너지 소비량과 기체 부하 문제로 인해 데스티니 건담 자체가 개발되었다.[16]

길버트 듀랜달 플랜트 최고평의회 의장의 지시에 따라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유니우스 조약에서 금지된 핵엔진, 미라쥬 콜로이드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다.[17]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을 탑재하여 방대한 출력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성능 무장을 활용하여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14][19] 임펄스 건담의 무장들을 통합, 고성능화하여 모든 전투 거리에서 적을 압도하는 공격력과 기동력을 가진다.[20]

이전의 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와는 달리 변형 및 합체 기구는 없으며, 본체의 구조와 장비는 비교적 일반적이다.[22][19] 신 아스카 전용으로 조정되어 그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3]

여러 건담 타입 모빌 슈트(MS)의 특징을 더한 데스티니 건담은 자프트 궁극의 모빌 슈트로 여겨진다.[25] 그 성능은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등 동시대 다른 세력의 MS와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는다.[27][28]

형식번호에는 원자로를 사용하지만, 이를 은폐하기 위해 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를 나타내는 "S"가 부여되었다.[7][15]

3. 1.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은 핵엔진과 듀트리온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동력으로, 두 제너레이터 간의 상호보완을 통해 이론상 파워 다운이 일어나지 않는다.[32] 기존 동력 기관보다 몇 배의 출력을 발휘한다.[33]

3. 2. 콕피트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을 탑재한 데스티니 건담에는 신형 콕피트가 채택되었다. 외부를 표시하는 모니터는 전면 및 측면 패널이 매끄럽게 일체화되어 시인성이 높은 광역 시야를 제공한다. OS는 신형의 "Mobile Suit Neo Operation System (Gunnery United Nuclear-Deuterion Advanced Maneuver System영어 핵·듀트리온 통합 선진 기동 시스템한국어) Ver.1.62 Rev.29)"이 탑재되어 고도화된 다채로운 장비들을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9]

인터페이스를 비롯한 기기들은 고도화되었으나, 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의 콕피트와 거의 동일한 배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 아스카는 첫 탑승시에도 당황하지 않고 조종할 수 있었다.[19]

고출력 가동 시에는 중앙의 서브 디스플레이가 팝업된다.[19] 한편 데스티니 건담과 레전드 건담의 콕피트에는 일반 모드 외에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에 대응한 최대 출력 모드인 "하이퍼 모드"가 있어서 파일럿의 판단으로 기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자료도 있다.[35]

3. 3. 관절 기구

데스티니 건담은 전신에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어, 전투 중 각 무장의 특성을 살려 매끄럽게 운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간에 가까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가 기체 각 부분의 가동부에 채택되었다.[36]

데스티니 건담의 전신 장갑은 가동부 주변을 세밀하게 분할하여 팔, 다리의 운동과 연동해 유연하게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 범위와 운동성을 높였다. 하지만 이 기구는 장갑에 틈새를 만들어 방어력이 저하될 수 있다.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은 키라 야마토의 낮은 피탄율을 바탕으로 방어력 저하를 무시하고 운동성을 극한으로 높여 피탄을 전제하지 않는 기구를 채택했다. 반면 데스티니 건담은 전속 파일럿 신 아스카의 전투 데이터를 분석, 운용 실적에 맞춰 가동 범위와 장갑 분할을 설정하여 무방비 상태를 최소화하면서 최대 기동성을 발휘하는 현실적인 기구를 채택했다. 이러한 장갑 조정은 신 아스카에게 인도된 후에도 여러 차례 미세 조정되었다.[36]

관절 내부 골격은 배리어블 페이즈 시프트 장갑 기술을 전용한 특수 소재로 구성되어 팔, 다리 운동에 따라 소재 성질이 변화하는 유연한 관절을 구현했다.[36] 이 특수 소재는 경화 및 유연화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여분의 전력은 광자로 방출되어 둔한 금속 빛을 띤다. 이러한 관절 기구 채택에는 데스티니 건담의 방대한 출력이 필수적이다.[37]

이러한 기구를 가진 데스티니 건담의 기체 구조는 일반적인 모빌 슈트(MS)보다 몇 배는 더 복잡하여 생산성과 정비성 측면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다.[22]

3. 4. 빛의 날개

등 부분의 윙 유닛은 프리덤 건담의 능동성 공력 탄성 날개를 발전시킨 것으로 대기권 안팎을 불문하고 절대적인 기동성을 발휘하게 한다.[38]

윙 유닛 내부에는 행성간 항행 시스템인 부아튀르 뤼미에르를 전용한 고추력 스러스터가 탑재되어 있다. 고기동 시에 형성되는 "빛의 날개"는 윙 스러스터 유닛을 최대로 가속시키거나 추력을 증대시켰을 때 발생한다.[35] 원래 스타게이저에 탑재된 부아튀르 뤼미에르는 태양풍뿐만 아니라 각종 레이저와 입자 빔을 수신, 변환하여 광압 추진에 이용할 수 있는 레이저 추진의 측면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스타게이저 외에 이 기술을 도입한 군용 모빌 슈트(MS)는 기체 내의 레이저 발신기를 이용함으로써 능동적인 순발력으로 가속력이 뛰어난 기체라고 하는 자료도 있다.[39] 데스티니 건담은 특수한 에너지 변환을 통해 얻어지는 강력한 광압을 추진력으로 하고 있으며,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무한한 전력을 이용해 거대한 빛의 날개를 형성하고 유례없는 초가속을 발휘할 수 있다.[40] 또한, 데스티니 건담은 고기동 시에 미라쥬 콜로이드를 광역 살포하여 초고기동과 동시에 주위 공간에 광학 잔상을 형성할 수 있다.[7][15]

4. 무장

데스티니 건담은 근접전, 중거리전, 원거리전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무장들은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으로부터 풍부한 에너지를 공급받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무장 종류설명
MMI-GAU26 17.5mm CIWS머리 양쪽에 내장된 근접 방어 기관포
MA-BAR73/S 고 에너지 빔 라이플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의 빔 라이플을 개량한 것
안티 빔 실드확장 메커니즘을 가진 특수 합금제의 대 빔 코팅 방패
MX2351 솔리두스 풀고르 빔 실드 발생장치하이페리온 건담에 사용된 모노 페이즈 광파 실드를 개량한 장갑형 빔 실드 발생장치
MMI-X340 팔마 피오키나 장부 빔 포양손바닥에 장착된 빔 포로, 근접전에서 높은 위력을 발휘하는 숨겨진 무기
RQM60F 플래시 엣지 2 빔 부메랑소드 임펄스 건담에 장착된 플래시 엣지 빔 부메랑의 발전형
MMI-714 아론다이트 빔 소드엑스칼리버 레이저 대함도를 개량한 대형 빔 소드
M2000GX 고 에너지 장사정 빔 포블래스트 임펄스 건담의 케르베로스를 능가하는 위력을 가진 대형 빔 런처


4. 1. MMI-GAU26 17.5mm CIWS

머리 양쪽에 내장된 근접 방어 기관포이다. 실체탄을 사용하는 무기로, 사람을 제압하거나 적기를 견제하고, 미사일을 요격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14]

4. 2. MA-BAR73/S 고 에너지 빔 라이플

세컨드 스테이지 시리즈의 빔 라이플을 개량한 것으로,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으로부터 풍부한 전력을 공급받아 출력과 연사력이 대폭 향상되었다.[7][15] 임펄스 건담의 MA-BAR72 고 에너지 빔 라이플을 개량하여 속사성과 발사각이 우수하다는 자료도 있다.[19] 중거리 전투용이며,[14] 균형 잡힌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자료도 존재한다.[42]

4. 3. 안티 빔 실드

방어 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확장 메커니즘을 통해 처리와 편의성의 장점을 양립시킨 경량 및 초경도를 자랑하는 특수 합금제의 대 빔 코팅 방패이다.[14] 빔 실드와 병용도 가능하다.[14]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제37화에서 구프 이그나이티드의 슬레이어 윕에 의해 파괴된 빔 라이플의 폭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4. 4. MX2351 솔리두스 풀고르 빔 실드 발생장치

하이페리온 건담에 사용된 모노 페이즈 광파 실드를 개량한 장갑형 빔 실드 발생장치이다.[43] 빔 병기, 실체탄 모두 막을 수 있으며, 실드가 전개된 상태에서도 안쪽에서 공격할 수 있다.[19] 또한, 전개 형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하다.[7][15] 양팔의 빔 실드를 연결하여 방어 면적을 넓힐 수도 있다.[44]

4. 5. MMI-X340 팔마 피오키나 장부 빔 포

MMI-X340 팔마 피오키나 장부 빔 포는 양손바닥에 장착된 빔 포로, 근접전에서 높은 위력을 발휘하는 숨겨진 무기이다.[45] 밀착된 상태에서 상대를 확실하게 파괴하는 장비로, 일반적이지 않은 영거리 격투전을 상정하고 개발되었다.[7][15] 빔 포를 겨누는 동작 없이도 공격할 수 있어 근접전에서 활용도가 높다.[42]

자료에 따라 단거리 빔 소드로 기술되기도 하고,[35] 빔 포라기보다는 개방형 빔 제너레이터에 가까운 장비라고도 한다.[46] 위력은 전함 클래스도 일격에 파괴할 수 있다고 설정되어 있다.[31] 하지만, 보통의 모빌 슈트(MS)를 일격에 파괴할 수 있는 정도라고 설명하는 자료도 있다.[42]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제45화에서는 디스트로이 건담의 콕피트를 분쇄하고 그 뒷면까지 빔이 관통하는 강력한 위력을 선보였다.

4. 6. RQM60F 플래시 엣지 2 빔 부메랑

소드 임펄스 건담에 장착된 플래시 엣지 빔 부메랑의 발전형이다. 빔 칼날을 연장시켜 빔 사벨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실체 칼날 부메랑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도류 연결 기능은 없다.[7][15] 투척 시 출력은 안티 빔 실드를 쉽게 절단하며, 일반적인 모빌 슈트(MS)는 일격에 파괴할 수 있다.[42] 간이 드라군식의 부메랑이다.[19]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양쪽 어깨 부분에 장착된다.

4. 7. MMI-714 아론다이트 빔 소드

MMI-714 아론다이트 빔 소드는 엑스칼리버 레이저 대함도를 개량한 대형 빔 소드이다.[47] 참마도처럼 함정을 일도양단하는 엑스칼리버의 예리함을 계승하면서도 격투전에서도 맹위를 떨친다. 이렇게 장대한 검신을 가진 칼을 자유자재로 다루기 위해서는 파일럿에게 상당한 기량이 요구된다.[7][15]

구프 이그나이티드가 가지고 있는 빔 소드의 사용 편의성을 겸비하고 있으며,[42] 대 빔 코팅 실드를 양단할 수 있다는 자료도 있다.[46] 사용할 때는 데스티니 건담 동체의 유연성도 고려되었으며, 만약 다른 기체가 장비했을 경우 제대로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48]

아론다이트 빔 소드는 소드 임펄스 건담이 장비하는 엑스칼리버 레이저 대함도의 특성을 가지는데, 빔 칼날 부분으로 적기의 장갑을 태우면서 실체날 부분으로 밀어붙여 베는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빔과 실체칼날의 특성상 모빌 아머(MA)와 같은 큰 기체를 파괴하는데 적합한 장비라는 자료도 있다.[49] 사용하지 않을 때는 오른쪽 뒤의 웨폰 락에 검신을 접어서 장착한다.

4. 8. M2000GX 고 에너지 장사정 빔 포

하이퍼 듀트리온 엔진으로부터 풍부하게 에너지를 공급받아 블래스트 임펄스 건담에 탑재된 케르베로스를 능가하는 위력과[7][15] 연사 성능을 발휘하는 대형 빔 런처이다.[35] 대함전, 대요새전 뿐만 아니라 대 모빌 슈트(MS)전에서도 높은 운용성을 자랑한다.[50]

발포시의 포신은 22m로 데스티니 건담의 키보다 길지만, 데스티니 건담 본체에도 채택된 기본 구조의 세부 분할과 연동 슬라이드 기구가 활용되고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왼쪽 뒤의 웨폰 락에 총신을 접어서 장착한다.[48]

5. 작품 내 활약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서 신 아스카의 탑승기로 등장하여 다양한 전투에서 활약했다.

작품 내 첫 등장은 제35화 지브롤터 기지에서 레전드 건담과 함께였다.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데스티니 건담의 디자인에 대해 "주익(날개)의 디자인이 난항을 겪어, 최종적으로는 한개의 축으로 작은 날개를 개폐하는 형태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선라이즈의 설정 제작부는 "감독인 후쿠다 미츠오는 '어쨌든 최강'이라는 컨셉을 제시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의 캐릭터성을 고려하여 악한 인상의 얼굴과 샤프한 디자인, 회색빛이 도는 컬러링을 채용했다"고 밝혔다. 또한, 고기동 시의 잔상은 데스티니 건담의 민첩함을 표현하기 위한 연출로 도입되었다고 한다. 후쿠다 감독은 "SEED DESTINY는 어느 진영이 선악이라는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 "데스티니 건담의 악한 인상은 어린 아이들이 알기 쉽도록 기호화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손바닥에 내장된 빔포 "팔마 피오키나"는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히라이 히사시의 아이디어로, 드래곤볼의 에네르기파와 같은 공격을 상정하고 있었다고 한다.

5. 1. 주요 전투

지브롤터 기지에서 신 아스카의 새로운 탑승기로 레전드 건담과 함께 첫 등장했다.[14] 제37화에서 레이 자 바렐이 탑승한 레전드 건담과 함께 아스란 자라와 메이린 호크가 탈주에 사용한 구프 이그나이티드를 추격하여 격추했다.

제38화 헤븐즈 베이스 공방전에서는 수비대의 윈덤 여러 대와 디스트로이 건담을 단독으로 2대, 레전드 건담 및 임펄스 건담과 연계해 1대, 총 3대를 격파하는 등의 전과를 올려 반로고스 동맹군의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

제40화부터 제42화까지의 오퍼레이션 퓨리에서는 무라사메 수 기를 순식간에 격파하고, 카가리 유라 아스하가 탑승한 아카츠키를 압도했지만, 키라 야마토의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에 의해 저지당했다. 그대로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과의 일대일 승부에 돌입했지만, 상황이 불리하다고 보고 일시적으로 후퇴한다. 다시 출격해서 레전드 건담과 연계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을 몰아붙였지만, 아스란 자라의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의 참전으로 한쪽 팔을 파괴당해 다시 후퇴했다.

제45화에서는 플랜트 본국으로 표적이 정해진 레퀴엠의 발사를 저지하기 위해 출격했다. 레퀴엠 공략전에서 디스트로이 건담, 잠자자, 겔즈 게, 윈덤 등을 차례로 격파하고 다이달로스 기지 사령부를 제압하여 플랜트 본국을 구하는 활약을 펼쳤다.

제49화부터 제50화의 메사이어 공방전에서는 다시 아스란 자라의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과 대결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기를 파괴당하고 기체는 대파되어 달에 추락했다. 파일럿인 신 아스카는 무사했지만, 데스티니 건담은 가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파괴되어 쓰러져 있는 데스티니 건담과 임펄스 건담의 모습이 크레디트 타이틀로 사용되며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5. 2. 하이네 전용 데스티니 건담

건프라 3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된 T.M.Revolution과의 콜라보레이션 앨범 《X42S-REVOLUTION》 초회 생산 한정 음반 Type A의 부속 건프라 〈1/144 HG 하이네 전용 데스티니 건담〉으로 등장했다.[53]

이 건담 프라모델 키트는 T.M.Revolution의 니시카와 타카노리가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작품 내에서 성우로 연기한 하이네 베스텐플루스의 퍼스널 컬러인 오렌지색을 기조로 하여 데스티니 건담의 컬러링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설정 해설

:지구연합군과의 전쟁 말기에 자프트가 투입한 최강의 모빌 슈트(MS)인 데스티니 건담은 오랫동안 신 아스카가 탑승한 1기 뿐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신 아스카 탑승기 외에도 동형기가 존재한다는 것이 최근에 공개된 자료에 의해서 밝혀졌다. 최강의 모빌 슈트와 파일럿을 조합한 부대로 지구연합군의 전력을 일축하고 전의를 상실시키는 것을 기획하고 있던 자프트는 각 전선에서 전적이 우수한 에이스 파일럿들을 모아 데스티니 건담을 주력 모빌 슈트로 해서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특수부대인 "콩크루더즈"를 창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54]

하이네 베스텐플루스도 콩크루더즈의 일원으로 선정되었고, 하이네 전용으로 조정된 데스티니 건담도 제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기체의 완성 직전에 하이네가 전사했고, 콩크루더즈의 실제 창설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하이네 전용 데스티니 건담은 자프트의 무기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라고 한다.[54]

참조

[1] 웹사이트 デスティニーガンダム https://www.gundam-s[...] サンライズ 2024-06-06
[2] 웹사이트 GUNDAM SEED DESTINY PHASE_42『自由と正義と』 https://web.archive.[...] サンライズ公式サイト
[3] 웹사이트 デスティニーガンダムSpec II https://www.gundam-s[...] バンダイナムコフィルムワークス 2024-02-08
[4]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SEED FREEDOM』豪華版パンフレット バンダイナムコフィルムワークス 2024
[5] 웹사이트 【新商品紹介】HG 1/144 ゲルググメナース(ルナマリア・ホーク専用機)・HG 1/144 ブラックナイトスコードルドラ(グリフィン・アルバレスト専用機)レビュー! https://www.gundam-b[...] バンダイナムコホールディングス 2024-03-23
[6] 뉴스 T.M.Revolution新アルバム「X42S - REVOLUTION」通常盤と初回生産限定盤A・Bの3種仕様で3月24日発売! https://www.gundam.i[...] gundam.info 2010-03-08
[7] 문서 1/144 H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5
[8] 간행물 《건담 에이스 2005년 5월호》 2005-05
[9] 간행물 《더 텔레비전》 2005
[10]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맹세의 우주》 2005
[11] 서적 《올 건담 대전집 21세기편》 2011
[12] 문서 EX 모델 미네르바 반다이 2005
[13] 서적 《PERFECT ARCHIVE SERIES 5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6
[14] 간행물 《퍼펙트 파일》 2012
[15] 문서 1/100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5
[16]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모델 Vol.2 DESTINY MSV편》 2006
[17] 문서 1/100 M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7
[18] 문서 1/144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5
[19]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MS 백과사전》 2008
[20]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모델 Vol.1》 2006
[21]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모델 Vol.2 DESTINY MSV편》 2006
[22] 문서 1/100 M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7
[23] 서적 《로망 앨범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데스티니편"》 2006
[24]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모델 Vol.1》 2006
[25] 서적 《SEED&SEED DESTINY MOBILE SUIT FILE》 2005
[26] 웹사이트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PHASE_42 "자유와 정의와" http://www.gundam-se[...] 선라이즈 공식 사이트
[27] 문서 1/100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반다이 2006
[28] 문서 1/144 HG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반다이 2005
[29] 간행물 《그레이트 메카닉 7》 2005
[30]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ASTRAY 하권 인연을 찾는 자》 2006
[31] 문서 MIA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5
[32] 서적 《PERFECT ARCHIVE SERIES 5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6
[33] 문서 1/144 HG 레전드 건담 반다이 2005
[34]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MS 백과사전》 2008
[35] 간행물 팩트 파일 2007
[36] 간행물 1/100 M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7
[37] 간행물 1/100 MG 데스티니 건담 익스트림 블래스트 모드 반다이 2007
[38] 서적 데이터 컬렉션 SEED DESTINY 하권 2007
[39] 간행물 퍼펙트 파일 제64호 2012
[40] 간행물 1/100 MG 데스티니 건담 익스트림 블래스트 모드 반다이 2007
[41] 서적 기동전사 건담 DESTINY ASTRAY B 하권 2014
[42] 서적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오피셜 파일 메카 03 2005
[43] 문서 솔리두스 풀고르
[44] 간행물 퍼펙트 파일 제25호 2012
[45] 문서 팔마 피오키나(palma fiocina)
[46] 간행물 팩트 파일 제127호 2007
[47] 문서 란슬롯
[48] 간행물 1/100 M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07
[49] 서적 소설판 SEED DESTINY 4권 2005
[50] 간행물 1/144 RG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13
[51] 서적 소설판 SEED DESTINY 5권 2006
[52] 문서 주간 건담 팩트 파일 주식회사 데아고스티니 재팬
[53] 웹사이트 T.M.Revolution의 새앨범 《X42S - REVOLUTION》 통상 음반 및 초회 생산 한정 음반 A, B의 3종 사양으로 3월 24일에 발매! http://www.gundam.in[...] 2010-03-08
[54] 간행물 1/144 HG 하이네 전용 데스티니 건담 반다이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