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특화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문제 영역에 특화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의미한다. DSL은 자체 문법과 파서를 가진 독립적인 외부 DSL,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내부에 포함된 내부 DSL, 시각적 다이어그램 언어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외부 DSL은 SQL, HTML, 정규 표현식 등이 있으며, 내부 DSL은 Ruby on Rails, LINQ 등이 예시이다. DSL은 특정 도메인에 최적화되어 문제 해결을 간결하게 하며, 생산성 향상,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기여하지만, 새로운 언어를 학습해야 하고 적용 분야가 좁다는 단점도 있다. DSL은 금융, 게임 개발, 시스템 관리,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한국 금융 시장, 게임 산업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메인 특화 프로그래밍 언어 - G-code
G-코드는 1950년대 MIT에서 처음 구현된 수치 제어 공작 기계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다양한 표준과 구현을 거쳐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매크로 기능과 CAD/CAM 응용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지원한다. - 도메인 특화 프로그래밍 언어 - S (프로그래밍 언어)
S는 벨 연구소에서 개발된 통계 컴퓨팅 언어로서, 탐색적 데이터 분석, 다양한 통계 분포 계산, 행렬 연산,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며, S-PLUS를 거쳐 R로 발전하고 객체 지향 기능을 강화한 S4 표준을 포함하여 꾸준히 발전해 왔다. -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 - 하드웨어 기술 언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HDL)는 전자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텍스트 기반으로 표현하는 언어로, 디지털 회로 설계의 핵심 도구로 사용되며, 시뮬레이션 및 디버깅을 통해 설계 검증을 수행한다. -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 -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계어보다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며, 변수, 객체, 함수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머가 기계의 세부 사항에서 분리되어 편리하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이다.
도메인 특화 언어 |
---|
2. 역사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영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주목받아 왔다. DSL은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을 위한 도구의 토대가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부 시스템 개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23]
DSL은 구현 방식과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크게 독립적인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를 통해 구현된 외부 DSL과 호스트 언어 내에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현된 내부 DSL로 나눌 수 있다.[1] TeX나 AWK는 외부 DSL의 예시이다.
소프트웨어 비용 절감(SCR) 툴킷은 DSL을 활용한 도구의 한 예이다.[23] 이 툴킷에는 요구 사항을 작성하기 위한 에디터, 변수의 의존 관계를 표시하는 브라우저, 사양 내의 논리식에서의 결함을 검사하는 기구, 사양과 애플리케이션을 비교 검증하는 모델 검사나 자동 정리 증명 기구, 사양으로부터 자동으로 불변식(invariants)을 구축하는 기구 등이 포함된다.
비교적 새로운 분야로 언어 지향 프로그래밍(Language-oriented programming영어)이 있다. 이것은 DSL의 작성, 최적화, 이용을 중심으로 한 방법론이다.
기능이 계속 확장된 결과 튜링 완전이 되어버리는 DSL도 드물지 않게 존재한다.[17] 그러나 그러한 DSL에서도 대부분 설계 목적 외의 용도를 위한 코드는 가독성이 떨어지고,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실용적이지 않다.
3. 종류
모델 주도 엔지니어링에서는 OCL과 같은 도메인 특화 언어의 많은 예시를 찾을 수 있다. OCL은 모델에 어설션을 추가하기 위한 언어이거나, QVT는 도메인 특화 변환 언어이다.
또한, GEMS에서 생성된 것과 같은 시각적 다이어그램 언어도 DSL의 한 종류이다.[18]
SQL과 같은 데이터 정의 언어는 특정 도메인(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관리)에 특화되어 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메인 특화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도메인 특화 프로그래밍 언어의 예시로는 펜슬 드로잉을 위한 HTML, 로고, Verilog 및 VHDL 하드웨어 기술 언어, 행렬 프로그래밍을 위한 MATLAB 및 GNU 옥타브, 기호 수학을 위한 Mathematica, 메이플 및 맥시마, 반응형 및 분산 시스템을 위한 명세 및 설명 언어, 스프레드시트 수식 및 매크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위한 SQL, YACC 문법을 사용한 파서 생성, 렉서 지정을 위한 정규 표현식, 다이어그램 언어 생성을 위한 GEMS, 사운드 및 음악 합성을 위한 Csound, 그래프 레이아웃 및 그래프 재작성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GraphViz 및 GrGen의 입력 언어, Terraform 및 기타 해시코프 도구에 사용되는 Hashicorp 구성 언어, Puppet 또한 자체적인 구성 언어를 가지고 있다.
3. 1. 외부 DSL (External DSL)
도메인 공학의 핵심 부분인 외부 도메인 특화 언어(External DSL)는 자체적인 문법과 파서를 가진 독립적인 언어이다. 이러한 언어는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를 통해 실행되며, SQL, HTML, 정규 표현식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
외부 DSL은 독립 실행형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명령줄이나 Makefile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어, grep은 정규 표현식 일치에, sed, lex, yacc, GraphViz 도구 세트 등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된다.[2][3]
다른 사용 패턴으로는, 범용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여 추가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형식 문자열, 정규 표현식 엔진 등이 이에 해당한다.[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외부 DSL은 완전한 기능을 갖춘 프로그래밍 도구를 포함하도록 확장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함수형 언어인 XSLT는 원래 XML 그래프 변환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파일 시스템 상호 작용, 문자열 및 날짜 조작, 데이터 형식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3. 2. 내부 DSL (Internal DSL 또는 Embedded DSL)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호스트 언어) 내부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되는 도메인 특화 언어(DSL)를 내부 DSL 또는 임베디드 DSL(eDSL)이라고 한다.[1] 이러한 내부 DSL은 호스트 언어의 문법과 기능을 활용하며, 주로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된다.[4]
내부 DSL은 호스트 언어의 기능을 활용하여 기존 eDSL을 확장하거나, 여러 eDSL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입 안정성을 높이고 통합 개발 환경(IDE)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내부 DSL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호스트 언어 | 내부 DSL | 설명 |
---|---|---|
파이썬 | SQLAlchemy | SQL eDSL |
자바 | jOOQ | SQL eDSL |
C# | LINQ | SQL eDSL (메서드 구문) |
코틀린 | [https://github.com/Kotlin/kotlinx.html kotlinx.html] | HTML eDSL |
3. 3. 시각적 DSL (Visual DSL)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GEMS와 같이 다이어그램, 그래프 등 시각적인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시각적 DSL(도메인 특화 다이어그램)이라고 한다.[18] 이러한 시각적 DSL은 모델링 도구 등을 통해 코드를 생성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UML 다이어그램이나 Simulink 등이 시각적 DSL의 예시이다.4. 활용 분야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도메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언어이다. DSL은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특정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해당 도메인 밖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DSL은 스크립팅 언어와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하며, 그 경계는 모호하다. SQL과 같은 데이터 정의 언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관리라는 특정 도메인에 특화되어 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호출되는 경우가 많아 DSL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SQL은 키워드와 함수가 많고, 널리 사용되며, 전문성이 요구되어 자체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한다.
모델 주도 엔지니어링에서는 OCL과 같은 DSL을 찾아볼 수 있다. OCL은 모델에 어설션을 추가하는 언어이고, QVT는 도메인 특화 변환 언어이다. 반면, UML과 같은 언어는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
DSL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2][3]
- 독립 실행형 도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호출되는 도구로, Makefile이나 명령줄에서 실행된다. (예: grep, sed, GraphViz)
- 프로그래밍 언어 매크로 시스템: 컴파일 시간 또는 런타임에 호스트 범용 언어로 변환되거나 확장된다.
- 임베디드 DSL (eDSL): '내부 도메인 특화 언어'라고도 하며,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의 라이브러리로 구현된다. 구문, 의미, 런타임 환경을 활용하고, 도메인 특화 기본 요소를 추가하여 "대상"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예: 파이썬의 SQLAlchemy, 자바의 jOOQ, C#의 LINQ)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내장 DSL: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동적으로 생성된 코드를 실행한다. (예: 스프레드시트 매크로 언어)
DSL의 예시로는 펜슬 드로잉을 위한 HTML, 로고, 하드웨어 기술 언어 Verilog 및 VHDL, 기호 수학을 위한 Mathematica 등이 있다.
4. 1. 웹 개발
웹 개발 분야에서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웹 개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웹 프론트엔드:
-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한다.
- CSS는 웹 페이지의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지정한다.
- JavaScript는 웹 페이지의 동적인 상호작용과 기능을 구현한다.
- 웹 백엔드 프레임워크:
- Ruby on Rails는 Ruby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로, 빠른 개발과 생산성을 강조한다.
- Django는 파이썬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로, 보안과 확장성에 중점을 둔다.
4. 2. 게임 개발
언리얼 엔진의 언리얼스크립트, GameMaker Studio에서 사용되는 GML, 다양한 게임 엔진에서 스크립팅 언어로 활용되는 Lua 등이 게임 개발 분야의 도메인 특화 언어에 해당한다.GameMaker Studio의 GML은 초보 프로그래머가 쉽게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된 도메인 특화 언어이다.[2] GML은 델파이, C++, BASIC 등 여러 언어를 혼합한 형태를 띠고 있다.[3] 컴파일 후에는 대부분의 함수가 대상 플랫폼에 맞는 언어로 작성된 런타임 함수를 호출하므로, 실제 구현은 사용자에게 드러나지 않는다.[3] GML은 누구나 쉽게 언어를 배우고 게임을 개발하도록 돕기 위해 사용되며, GM 런타임이 주요 게임 루프를 처리하고 호출된 함수의 구현을 유지하므로 간단한 게임은 몇 줄의 코드로도 개발 가능하다.[3]
언리얼과 언리얼 토너먼트는 언리얼스크립트라는 자체 언어를 공개했다.[3] 이는 경쟁작인 퀘이크(Id Tech 2 엔진 사용)보다 빠르게 수정 사항을 개발할 수 있게 했다.[3] Id Tech 엔진은 C 코드를 사용했기에 C 언어 학습이 필요했지만, 언리얼스크립트는 사용 편의성과 효율성을 위해 최적화되었다.[3] 최근 게임 개발에서는 자체 언어 대신 Lua와 같은 스크립팅 언어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3]
하지만, 도메인 특화 언어(DSL)의 단점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파 크라이나 작은 왕님과 약속의 나라 파이널 판타지 크리스탈 크로니클 등에서는 범용 스크립트 언어인 Lua나 Squirrel를 채용하기도 한다.[3] 유니티 (게임 엔진)에서는 스크립트 작성에 C# 또는 자바스크립트의 서브셋을 사용할 수 있다.[3] 게임 스크립트 기술에는 성능 요건 때문에 경량이면서 비교적 빠르게 동작하는 범용 스크립트 언어(동적 언어)가 선택되는 경향이 있다.[3]
4. 3. 금융
도메인 공학에서 적절한 DSL 설계와 사용은 중요하며, 이를 통해 특정 도메인에 최적화된 언어를 활용할 수 있다. 금융 분야에서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금융 도메인의 문제 해결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된다.- 생명 보험 정책 (대규모 보험 회사에서 내부적으로 개발)
- 급여 계산
- 청구
콜드퓨전의 스크립팅 언어는 데이터 기반 웹사이트를 위한 도메인 특화 언어의 예시이다. 이 언어는 웹사이트에서 자바, .NET, C++, SMS, 이메일, 이메일 서버, http, ftp, 익스체인지, 디렉터리 서비스 및 파일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언어와 서비스를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다양한 비즈니스 규칙 엔진은 정부 및 민간 산업에서 사용되는 정책 및 비즈니스 규칙을 자동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LOG, 오라클 정책 자동화, DTRules, Drools 등을 비롯한 여러 엔진은 다양한 문제 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DSL을 지원한다. 비즈니스 규칙 엔진의 목적은 최대한 사람이 읽기 쉬운 방식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표현하는 것이다.
4. 4. 시스템 관리
유닉스 계열 시스템의 유닉스 셸 명령어와 셸 스크립트는 명령어에 제공하는 파일과 입출력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조작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스의 표준 스트림에 대해, 리다이렉션과 파이프를 통해 순서대로 연결하거나, 파일을 입출력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작은 태스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집합의 실행과 제어를 위한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태스크는 테이블, 그래프, 차트 등 필요한 형태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관용구를 나타낸다. 각 태스크는 단순한 제어 흐름과 문자열 조작 기구로 이루어져, 파일 내 문자열의 검색 및 치환, 문자열의 출현 횟수 카운트와 같은 다수의 일반적인 작업을 처리한다. (이는 유닉스에 표준적으로 존재하는 유틸리티 집합이며, 셸 스크립트 자체의 기능은 아니다.)
4. 5. 데이터베이스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관리하는 데 특화된 도메인 특화 언어(DSL)이다.[2][3] 관계 모델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호출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SQL은 많은 스크립팅 언어보다 더 많은 키워드와 함수를 가지고 있고,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베이스 조작이 널리 사용되며, SQL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숙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체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한다.
파이썬의 SQL eDSL로는 SQLAlchemy "Core"가, 자바의 SQL eDSL로는 jOOQ가, C#의 SQL eDSL로는 LINQ의 "메서드 구문"이 있다.
4. 6. 모델링
모델 주도 엔지니어링에서 OCL과 같은 도메인 특화 언어의 많은 예시를 찾을 수 있다. OCL은 모델에 어설션을 추가하기 위한 언어이며, QVT는 도메인 특화 변환 언어이다. 그러나 UML과 같은 언어는 일반적으로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4. 7. 기타
FilterMeister영어[22]는 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환경으로, 포토샵용 이미지 처리 필터 및 플러그인 제작에 특화되어 있다. FilterMeister 자체는 포토샵 플러그인으로 작동하여 스크립트를 로드하고 실행할 수도 있으며, 컴파일하여 독립적인 플러그인을 생성할 수도 있다. FilterMeister 언어는 C 언어와 그 라이브러리의 대부분을 재현하지만, 이는 포토샵 플러그인에 필요한 부분에 한정되어 있으며, 해당 영역에서만 유용한 기능도 추가하고 있다.미디어위키의 템플릿 기능은 내장형 도메인 특화 언어(DSL)의 일종으로, 페이지 템플릿 제작 지원과 미디어위키 페이지 간의 트랜스클루전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Help:템플릿을 참고한다.
통계적 모델링, 특히 베이즈 추론을 사용한 기법에서는 벅스나 재그스와 같은 DSL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DSL은 베이즈 확률 모델을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당 모델을 풀 수 있는 수단을 생성한다.
5. 장점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도메인에 최적화되어 해당 도메인의 문제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더 뛰어난 표현력을 제공하며, 코드의 중복성을 최소화한다.[20]
DSL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20]
- 문제 해결 용이성: DSL은 문제 도메인의 관용구와 추상화 수준으로 솔루션을 표현한다. 도메인 전문가가 직접 DSL 프로그램을 이해, 검증, 수정 및 개발할 수 있다.
- 도메인 수준 검증: DSL은 도메인 수준에서 코드 검증을 허용한다. 언어 구문이 안전하면 해당 구문으로 작성된 모든 문장은 안전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 개발 효율성 증대: DSL은 비즈니스 정보 시스템 개발을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중심에서 도메인 전문가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메인 전문가들은 기술 전문성은 부족하지만, 도메인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DSL을 통해 개발 과정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 쉬운 학습: DSL은 제한된 범위를 가지므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배우기 쉽다.
- 코드의 문서화: 코드 자체가 문서의 역할을 한다.[26]
- 품질, 생산성, 신뢰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재사용성 향상: DSL은 이러한 요소들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실제로 도메인 전문가가 직접 DSL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경우는 드물다.[26]
6. 단점
- 새로운 DSL을 배우는 데 초기 비용이 발생하며, DSL의 적용 범위는 제한적이다.[20]
- DSL 자체의 설계, 구현, 유지보수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DSL 개발을 위한 IDE 등의 도구 지원이 부족할 수 있다.[20]
- 특정 DSL에 숙련된 전문가가 부족하여 인건비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20]
- DSL 코드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에 비해 프로세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20]
- 비슷한 비표준 DSL이 확산될 수 있다. (예: 보험 회사마다 서로 다른 DSL을 사용하는 경우)[27]
- 비기술적인 도메인 전문가는 DSL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6]
- DSL을 IT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와 통합하는 것이 (범용 언어와의 통합과 비교하여) 더 어렵다.[20]
- 코드 예제를 찾기 더 어렵다.[20]
7. 도구
도메인 특화 언어(DSL) 개발에는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DSL의 설계, 구현, 파싱, 코드 생성 등을 지원하며, 언어의 특성에 맞는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모델 주도 엔지니어링에서는 OCL과 같은 DSL이 모델에 어설션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거나, QVT와 같은 도메인 특화 변환 언어로 활용된다. 반면, UML과 같은 언어는 일반적으로 범용 모델링 언어로 간주된다.
메타컴파일러는 DSL 개발을 보완하는 도구이다. DSL의 파서 및 코드 생성기를 생성하는 데 유용하며, 메타프로그래밍 도메인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도메인 특화 메타언어를 컴파일한다. 대표적인 메타컴파일러로는 메타-II[6]와 그 후손인 트리메타[7]가 있다.
이 외에도 JetBrains MPS, Xtext, MontiCore, Racket영어 등의 DSL 개발 도구들이 있다. (각 도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7. 1. JetBrains MPS
JetBrains MPS는 도메인 특화 언어 설계를 위한 도구이다. 투영 편집을 사용하여 언어 파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표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DSL 편집기를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언어 지향 프로그래밍을 구현한다. MPS는 언어 정의 환경, 언어 워크벤치, 그리고 이러한 언어를 위한 통합 개발 환경(IDE)을 결합한다.[11]7. 2. Xtext
Xtext는 Eclipse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 도메인 특화 언어(DSL) 개발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13] 표준 파서 생성기와 달리 Xtext는 파서뿐만 아니라 추상 구문 트리에 대한 클래스 모델도 생성한다. 또한, 완벽하게 갖춰진 사용자 정의 가능한 이클립스 기반 IDE를 제공한다.[13] 이 프로젝트는 2023년 4월에 보관되었다.7. 3. MontiCore
MontiCore는 도메인 특화 언어(DSL)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언어 워크벤치이다.[12] MontiCore는 DSL을 정의하는 확장된 문법 형식을 처리하고, DSL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Java 컴포넌트를 생성한다.7. 4. Racket
Racket영어은 네이티브 코드, JIT 및 자바스크립트 컴파일러를 갖춘 크로스 플랫폼 언어 도구 모음이다. IDE(Emacs, Vim, VSCode 등 지원)와 더불어 도메인 특화 언어와 범용 언어 모두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명령줄 도구를 포함한다.[14][15]8. 한국적 관점 및 사례
금융 시장의 특수한 규제 및 상품 구조를 반영한 DSL이 한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파생 상품 가격 결정 모델, 리스크 관리 시스템, 보험 상품 개발 등에서 DSL이 활용되어 복잡한 금융 로직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게임 산업이 발달한 한국은 게임 개발에 특화된 DSL 활용도 활발하다. 특히, MMORPG 개발에 필요한 대규모 콘텐츠 관리, 퀘스트 스크립팅, NPC 인공지능 개발 등에 DSL이 사용되고 있다. 넥슨, 엔씨소프트 등 주요 게임 회사들은 자체 개발한 DSL을 활용하여 게임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IT 산업 육성을 강조하며, DSL과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정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복잡한 데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DSL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기술 분야에서 DSL의 활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 DSL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9. 결론
도메인 특화 언어(DSL)는 특정 도메인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이지만, 도입에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DSL의 장점과 단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도입 목적과 효과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DSL의 유지보수 및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omain Specific Languages
https://martinfowler[...]
2019-07-06
[2]
논문
When and how to develop domain-specific languages
[3]
논문
Notable design patterns for domain specific languages
http://www.spinellis[...]
2001-02
[4]
간행물
A Programmable Programming Language
https://cacm.acm.org[...]
2019-05-15
[5]
서적
Proceedings. 2nd IEEE Workshop on Industrial Strength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s
IEEE
[6]
서적
Proceedings of the 1964 19th ACM national conference
[7]
간행물
The TREE-META Compiler-Compiler System: A Meta Compiler System for the Univac 1108 and General Electric 645
https://apps.dtic.mi[...]
1969
[8]
간행물
Domain Specific Languages in a Customs Information System
2009-01-01
[9]
간행물
Multilayered analysis of co-development of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http://www.jisajourn[...]
2015-07-01
[10]
웹사이트
On the integration of domain-specific and scientific bodies of knowledge in Model Driven Engineering
http://adams-project[...]
2010-11-22
[11]
웹사이트
JetBrains MPS: Domain-Specific Language Creator
https://www.jetbrain[...]
[12]
웹사이트
MontiCore
https://monticore.gi[...]
[13]
웹사이트
Xtext
https://eclipse.org/[...]
[14]
conference
Languages as Libraries
http://www.ccs.neu.e[...]
[15]
뉴스
Creating Languages in Racket
http://cacm.acm.org/[...]
2012-04-08
[16]
문서
「コンピュータ言語」という語は、プログラミング言語以外の言語も含む総称である。
[17]
문서
「Wolfram's 2-state 3-symbol Turing machine」が[[チューリング完全]]であることが証明されているように、チューリング完全に「なってしまう」のは、実は意外に簡単である。
[18]
문서
PostScript自体も、チューリング完全性を備えた[[ページ記述言語]]という、一種のDSLである。
[19]
서적
プログラミング PHP
オライリー・ジャパン
[20]
논문
When and how to develop domain-specific languages
[21]
논문
Notable design patterns for domain specific languages
http://www.spinellis[...]
2001-02
[22]
웹사이트
FilterMeister
http://www.filtermei[...]
2013-04-25
[23]
url
http://www.nrl.navy.[...]
[24]
문서
META II a syntax-oriented compiler writing language
[25]
문서
'The TREE-META Compiler-Compiler System: A Meta Compiler System for the Univac 1108 and General Electric 645'
[26]
간행물
Domain Specific Languages in a Customs Information System
2009-01-01
[27]
Citation
On the integration of domain-specific and scientific bodies of knowledge in Model Driven Engineer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