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국가 주요 행사 주재, 법률 공포 및 집행, 외교, 군 통수권 등을 행사하며, 4년 임기로 최대 2번 연임할 수 있다. 1844년 도미니카 공화국 독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공화국 수립과 독재, 미국의 군정 통치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역대 대통령 목록은 위키백과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 - 도미니카 제1공화국
도미니카 제1공화국은 1844년 도미니카인들이 아이티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선언하며 수립되었으나, 아이티의 재점령 시도와 정치적 갈등, 국경 분쟁으로 불안정했으며 설탕, 커피, 담배 중심의 농업 경제를 이루었다. -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 호아킨 발라게르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고,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 레오넬 페르난데스
레오넬 페르난데스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도미니카 해방당 소속으로 세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국제 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국가 | 도미니카 공화국 |
직책 | 대통령 |
![]() | |
위치 | 산토도밍고, Distrito Nacional |
거주지 | 국민 궁전 (정부 청사), 카사 프레시덴시알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 소재 공식 관저) |
스타일 | 각하, 공화국 헌법 대통령 (공식), 대통령님 (비공식), 국가 행정부 (공식), 각하 (외교) |
급여 | 최대 RD$450,000/미화 8,213 달러 (월별) |
웹사이트 | presidencia.gob.do |
정치 | |
임명 방식 | 보통 선거 |
임기 | 4년, 1회 연임 가능 (연속적으로) |
직위 유형 | 국가 원수, 정부 수반, 최고 사령관 |
부통령 | 도미니카 공화국의 부통령 |
현재 대통령 | 루이스 아비나데르 |
취임일 | 2020년 8월 16일 |
정부 부처 |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의 행정부 |
역사 | |
형성 | 1844년 11월 14일 |
초대 대통령 | 페드로 산타나 |
2. 도미니카 공화국의 역사와 대통령제
도미니카 독립 전쟁으로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직이 시작되었다. 중앙 정부 후타(JCG)는 독립 공화국의 첫 정부 형태였다.
초기에는 아이티 침략에 맞서 싸우는 것이 주요 과제였기에, 신생 국가 생존을 위한 비상 조치가 필요했다. J.C.G.는 8개월간 통치하며 법원, 세금 징수, 지방 자치 단체 등 사회 제도 운영을 위해 아이티 법을 시행했다.
1844년 7월, 페드로 산타나 장군은 산토 도밍고에서 군대를 이끌고 중앙 정부 후타의 대통령으로 선포된 후, 건국 공로자들을 추방했다. 그해 11월 14일, 산타나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초대 헌법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
2. 1. 제1공화국 (1844년 ~ 1861년)
페드로 산타나는 1844년 11월 13일에 도미니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848년 8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1] 이후 펠릭스 메르세나리오, 도밍고 데 라 로차, 호세 마리아 카미네로, 마누엘 히메네스 등이 참여한 국무위원회가 1848년 8월 4일부터 1848년 9월 8일까지 통치하였다.[1]마누엘 히메네스는 1848년 9월 18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849년 5월 29일까지 재임하였다.[1] 부에나벤투라 바에즈는 1849년 5월 29일에 대통령에 취임하여 1853년 2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1]
페드로 산타나는 1853년 2월 15일에 다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856년 5월 26일까지 재임하였다.[1] 마누엘 데 레글라 모타는 1856년 5월 26일부터 1856년 10월 8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1]
부에나벤투라 바에즈는 1856년 10월 8일에 다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858년 6월 13일까지 재임하였다.[1] 호세 데시데리오 발베르데는 1858년 6월 13일부터 1858년 7월 28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1]
페드로 산타나는 1858년 7월 28일에 다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861년 3월 18일까지 재임하였다. 1861년부터 1865년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은 스페인에 병합되었다.[1]
대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직위 |
---|---|---|---|---|---|
1 | ![]() | 페드로 산타나 | 1844년 11월 13일 | 1848년 8월 4일 | 대통령 |
국무위원회 | 1848년 8월 4일 | 1848년 9월 8일 | 국무위원회 위원: 펠릭스 메르세나리오 도밍고 데 라 로차 호세 마리아 카미네로 마누엘 히메네스 | ||
2 | ![]() | 마누엘 히메네스 | 1848년 9월 18일 | 1849년 5월 29일 | 대통령 |
3 | ![]() | 부에나벤투라 바에즈 | 1849년 5월 29일 | 1853년 2월 15일 | 대통령 |
4 | 페드로 산타나 | 1853년 2월 15일 | 1856년 5월 26일 | 대통령 | |
5 | ![]() | 마누엘 데 레글라 모타 | 1856년 5월 26일 | 1856년 10월 8일 | 대통령 |
6 | -- | 부에나벤투라 바에즈 | 1856년 10월 8일 | 1858년 6월 13일 | 대통령 |
7 | ![]() | 호세 데시데리오 발베르데 | 1858년 6월 13일 | 1858년 7월 28일 | 대통령 |
8 | 페드로 산타나 | 1858년 7월 28일 | 1861년 3월 18일 | 대통령 |
2. 2. 스페인 식민 통치와 제2공화국 (1861년 ~ 1916년)
도미니카 공화국은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스페인에 병합되었다. 이 시기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스페인 국왕이 임명한 총독으로 대체되었다.[1]스페인 통치 시기 도미니카 공화국의 총독은 다음과 같다.
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1 | 페드로 산타나 | 1861년 3월 18일 ~ 1862년 7월 20일 | |
2 | 펠리페 리베로 이 레모이네 | 1862년 7월 20일 ~ 1863년 10월 22일 | |
3 | 카를로스 데 바르가스 이 세르베토 | 1863년 10월 23일 ~ 1864년 3월 30일 | 카를로스 데 바르가스 이 세르베토es |
4 | 호세 데 라 간다라 이 나바로 | 1864년 3월 31일 ~ 1865년 7월 11일 |
1865년 도미니카 공화국이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제2공화국 시기(1865년 ~ 1916년)의 대통령은 다음과 같다.[1]
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9 | 페드로 안토니오 피멘텔 | 1865년 3월 25일 ~ 1865년 8월 4일 | 대통령 |
호세 마리아 카브랄 | 1865년 8월 4일 ~ 1865년 11월 15일 | 최고 책임자 | |
페드로 기예르모 | 1865년 11월 15일 ~ 1865년 12월 8일 | 임시 정부 대통령 | |
10 | 부에나벤투라 바에즈 | 1865년 12월 8일 ~ 1866년 5월 29일 | 대통령 |
페드로 안토니오 피멘텔, 그레고리오 루페론, 페데리코 데 헤수스 가르시아 | 1866년 5월 29일 ~ 1866년 8월 22일 | 삼두 정치 | |
11 | 호세 마리아 카브랄 | 1866년 8월 22일 ~ 1868년 1월 3일 | 대통령 |
12 | 마누엘 알타그라시아 카세레스 | 1868년 1월 3일 ~ 1868년 2월 13일 | 대통령 |
호세 안토니오 흥리아,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고메스 바에즈, 호세 라몬 루치아노 이 프랑코 | 1868년 2월 13일 ~ 1868년 5월 2일 | 군사정부 | |
13 | 부에나벤투라 바에즈 | 1868년 5월 2일 ~ 1874년 1월 2일 | 대통령 |
이그나시오 마리아 곤살레스 | 1874년 1월 2일 ~ 1874년 1월 22일 | 최고 책임자 | |
1874년 1월 22일 ~ 1874년 4월 6일 | 군사정부 | ||
14 | 이그나시오 마리아 곤살레스 | 1874년 4월 6일 ~ 1876년 2월 23일 | 대통령 |
1876년 2월 23일 ~ 1876년 4월 29일 | 국무 장관 회의 | ||
15 | 울리스 프란시스코 에스파야트 | 1876년 4월 29일 ~ 1876년 10월 5일 | 대통령 |
1876년 10월 5일 ~ 1876년 11월 11일 | 군사정부 | ||
이그나시오 마리아 곤살레스 | 1876년 11월 11일 ~ 1876년 12월 9일 | 최고 책임자 | |
마르코스 안토니오 카브랄 | 1876년 12월 9일 ~ 1876년 12월 26일 | 임시 정부 대통령 | |
16 | 부에나벤투라 바에즈 | 1876년 12월 26일 ~ 1878년 3월 2일 | 대통령 |
1878년 3월 2일 ~ 1878년 3월 5일 | 국무 장관 회의 | ||
17 | 체사레오 기예르모 | 1878년 3월 5일 ~ 1878년 7월 6일 | 대통령 |
18 | 이그나시오 마리아 곤살레스 | 1878년 7월 6일 ~ 1878년 9월 2일 | 대통령 |
1878년 9월 2일 ~ 1878년 9월 6일 | 군사정부 | ||
자킨토 델 로사리오 데 카스트로 | 1878년 9월 7일 ~ 1878년 9월 29일 | 대통령 권한 대행 | |
1878년 9월 30일 ~ 1879년 2월 27일 | 국무 장관 회의 | ||
19 | 체사레오 기예르모 | 1879년 2월 27일 ~ 1879년 12월 6일 | 대통령 |
20 | 그레고리오 루페론 | 1879년 12월 6일 ~ 1880년 9월 1일 | 대통령 |
21 | 페르난도 아르투로 데 메리뇨 | 1880년 9월 1일 ~ 1882년 9월 1일 | 대통령 |
22 | 울리스 후레오 | 1882년 9월 1일 ~ 1884년 9월 1일 | 대통령 |
23 | 프란시스코 그레고리오 빌리니 | 1884년 9월 1일 ~ 1885년 5월 16일 | 대통령 |
24 | 알레한드로 우스 이 길 | 1885년 5월 16일 ~ 1887년 1월 6일 | 대통령 |
25 | 울리스 후레오 | 1887년 1월 6일 ~ 1889년 2월 27일 | 대통령 |
마누엘 마리아 가우티어 | 1889년 2월 27일 ~ 1889년 4월 30일 | 대통령 권한 대행 | |
26 | 울리스 후레오 | 1889년 4월 30일 ~ 1899년 7월 26일 | 대통령 |
27 | 후안 완슬라우 피게레오 | 1899년 7월 26일 ~ 1899년 8월 30일 | 대통령 |
1899년 8월 30일 ~ 1899년 8월 31일 | 국무 장관 회의 | ||
1899년 8월 31일 ~ 1899년 9월 4일 | 군사혁명위원회 | ||
호라시오 바스케스 | 1899년 9월 4일 ~ 1899년 11월 15일 | 대통령 | |
28 | 후안 이시드로 히메네스 페레이라 | 1899년 11월 15일 ~ 1902년 5월 2일 | 대통령 |
호라시오 바스케스 | 1902년 5월 2일 ~ 1903년 4월 23일 | 대통령 | |
29 | 알레한드로 우스 이 길 | 1903년 4월 23일 ~ 1903년 11월 24일 | 대통령 |
30 | 카를로스 펠리페 모랄레스 | 1903년 11월 24일 ~ 1906년 1월 12일 | 대통령 |
1905년 12월 25일 ~ 1905년 12월 29일 | 군사혁명위원회 | ||
31 | 라몬 카세라스 | 1906년 1월 12일 ~ 1911년 11월 19일 | 대통령 |
1911년 11월 19일 ~ 1911년 12월 5일 | 군사혁명위원회 | ||
32 | 에라디오 빅토리아 | 1911년 12월 5일 ~ 1912년 11월 30일 | 대통령 |
아돌포 알레한드로 누엘 | 1912년 11월 30일 ~ 1913년 4월 13일 | 임시 대통령 | |
호세 보르다스 발데스 | 1913년 4월 14일 ~ 1914년 8월 27일 | 임시 대통령 | |
라몬 바에즈 | 1914년 8월 28일 ~ 1914년 12월 5일 | 임시 대통령 | |
33 | 후안 이시드로 히메네스 페레이라 | 1914년 12월 5일 ~ 1916년 5월 7일 | 대통령 |
1916년 5월 7일 ~ 1916년 7월 31일 | 군사혁명위원회 | ||
34 | 프란시스코 헤니케스 이 카르바할 | 1916년 7월 31일 ~ 1916년 11월 29일 | 대통령 |
2. 3. 미국의 군정 통치 (1916년 ~ 1924년)
1916년 11월 29일부터 1922년 10월 21일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은 미국의 군정 통치하에 놓여 대통령직이 공석이었다. 미국의 군정 통치는 1916년부터 1924년까지 지속되었다.1922년 10월 21일, 후안 바우티스타 비시니 부르고스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924년 7월 12일까지 재임했다. 비시니 부르고스는 미국의 점령 하에서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2. 4. 제3공화국과 트루히요 독재 (1924년 ~ 1965년)
1922년 후안 바우티스타 비시니 부르고스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916년부터 1924년까지 이어진 미국의 점령기가 끝나게 되었다.[5] 1924년 오라시오 바스케스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제3공화국이 시작되었다. 바스케스는 1930년 3월 3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라파엘 에스트레야 우레냐가 대통령 대행을 맡았다.1930년 라파엘 트루히요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도미니카 공화국은 1961년까지 이어진 트루히요 독재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트루히요는 1930년부터 1938년까지, 그리고 1942년부터 1952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그 사이에는 야친토 베네토 (1938년 ~ 1940년), 마누엘 트론코소 데 라 외이 (1940년 ~ 1942년)가 대통령직을 맡았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트루히요에게 있었다.[5] 트루히요는 자신의 형제인 엑토르 트루히요를 1952년부터 1960년까지 대통령 자리에 앉히는 등 막후에서 권력을 행사했다.
트루히요 통치 기간 동안 입법부는 그의 거수기 역할만 했으며, 법원은 독립성을 잃었고, 국민의 기본권은 거의 무시되었다.[5] 그는 헌법적 제약 없이 폭정을 펼쳤다.[5]
1960년 호아킨 발라게르가 대통령이 되었으나, 1962년 군사위원회가 잠시 정권을 잡았다. 이후 라파엘 필리베르토 보니넬리가 대통령이 되었고, 1963년에는 후안 보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같은 해 9월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후 삼두 정치와 혁명위원회를 거쳐 1965년까지 혼란스러운 정국이 이어졌다.
2. 5. 도미니카 내전과 미국의 군사 개입 (1965년)
1965년 4월 25일, 혁명위원회가 구성되었으나 당일 해산되고, 호세 라파엘 몰리나 우레냐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그는 이틀만인 4월 27일에 사임했다. 이후 5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 페드로 바르톨로메 베누이트가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이 시기 도미니카 공화국은 미국의 군사 점령 하에 있었다.1965년 5월 7일, 안토니오 임베르트 바레라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8월 30일까지 재임했다. 이 기간 역시 미국의 군사 점령이 지속되었다. 이후 1965년 9월 3일, 엑토르 가르시아 고도이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966년 7월 1일까지 미국의 점령하에서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2. 6. 제4공화국 (1966년 ~ 현재)
1965년 내전은 미국의 군사 개입으로 1966년에 잠잠해졌다. 호아킨 발라게르와 그의 정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도미니카인들은 또 다른 헌법을 작성했다. 이 헌법은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전통 모두의 특징을 결합하여 과거의 갈등과 양극화를 피하고자 했다. 1966년 헌법은 긴 기본권 목록을 포함했고, 강화된 입법부를 규정했지만, 비상 권한을 포함한 광범위한 권한을 행정부에 부여했다. 이처럼 이 나라는 민주주의적 헌법과 권위주의적 헌법의 차이를 타협함으로써 둘 사이의 격차를 좁히고자 했다.[5]이후 헌법은 1994년과 2002년에 제정되었다.
대 | 대통령 | 재임 기간 | 비고 | ||
---|---|---|---|---|---|
45 | 호아킨 발라게르 | ||||
1966년 7월 1일 | 1978년 8월 16일 | 대통령 | |||
46 | 안토니오 구스만 페르난데스 | -- | 1978년 8월 16일 | 1982년 7월 4일 | 대통령 |
47 | 하코보 마흘루타 | 1982년 7월 4일 | 1982년 8월 16일 | 대통령 | |
48 | 살바도르 호르헤 블랑코 | -- | 1982년 8월 16일 | 1986년 8월 16일 | 대통령 |
49 | 호아킨 발라게르 | ||||
1986년 8월 16일 | 1996년 8월 16일 | 대통령 | |||
50 | 레오넬 페르난데스 | ![]() | 1996년 8월 16일 | 2000년 8월 16일 | 대통령 |
51 | 이폴리토 메히아 | ![]() | 2000년 8월 16일 | 2004년 8월 16일 | 대통령 |
52 | 레오넬 페르난데스 | ||||
2004년 8월 16일 | 2012년 8월 16일 | 대통령 | |||
53 | 다닐로 메디나 | ![]() | 2012년 8월 16일 | 2020년 8월 16일 | 대통령 |
54 | 루이스 아비나데르 | ![]() | 2020년 8월 16일 | (현직) | 대통령 |
도미니카 공화국 헌법은 2015년에 가장 최근 개정되었으며, 공화국 대통령의 자격 요건, 권리 및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3.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은 도미니카 공화국 헌법 제4편 제1장 제2절에 명시되어 있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가 주요 행사 주재, 국회 통과 법률 공포, 사법·군·경찰 구성원 임명 및 해임, 조약 체결, 군 최고 사령관 유지, 국가 방위 조치 등의 권한을 가진다. 정부 수반으로서는 장관 및 기타 공무원 임명, 국가 수입 징수 및 투자 보장, 국회 예산 법안 제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통령의 권한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대통령의 권한
도미니카 공화국 헌법 제4편 제1장 제2절에 명시된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국가 원수로서의 권한:
정부 수반으로서의 권한:
미국형 대통령제를 모델로 하여 국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3. 2. 대통령 선출 방식 및 임기
도미니카 공화국 헌법은 공화국 대통령의 자격 요건, 권리 및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15년에 개정되었다.
대통령직은 최대 2번의 연속적인 4년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4] 대통령 임기를 마친 사람은 다시 대통령에 출마할 수 없다.[4] 정권 교체는 4년마다 국가 공휴일인 공화국 복원 기념일인 8월 16일에 이루어진다.
2015년 이전에는 대통령은 한 번의 연임만 가능했고, 최소 한 번의 임기를 거친 후에 다시 대통령에 출마할 수 있었다.
요건 | 내용 |
---|---|
출생 | 출생 또는 출신이 도미니카 공화국인 자 |
나이 | 30세 이상 |
경력 | 선거 전 3년간 군, 각료 등 요직에 종사하지 않은 자 |
임기 | 4년이며, 1회에 한하여 연임 가능 |
4. 역대 대통령 목록 (1844년~현재)
펠릭스 메르세나리오
도밍고 데 라 로차
호세 마리아 카미네로
마누엘 히메네스



페드로 안토니오 피멘텔
그레고리오 루페론
페데리코 데 헤수스 가르시아

호세 안토니오 흥리아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고메스 바에즈
호세 라몬 루치아노 이 프랑코












미국 점령하 시절(1916–1924)


에밀리오 데 로스 산토스 이 살시에(1963년 12월 22일까지) (의장)
도날드 리드 카브랄(1963년 12월 29일부터) (의장)
마누엘 엔리케 타바레스 에스파일라트
라몬 타피아 에스피날
비니시오 페르난데스 페레스
조반니 구티에레스 라미레스
프란시스코 알베르토 카마뇨 데뇨
엘라디오 라미레스 산체스
페드로 바르톨로메 베누이트
미국 점령하 시절(1965–1966)
미국 점령하 시절(1965–1966)
미국 점령하 시절(1965–19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