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C40)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도시 간의 협력을 목적으로 2005년 10월 런던 시장 켄 리빙스턴의 제안으로 결성되었다. C40은 도시 간의 기후 변화 관련 정책 및 기술 공유, 저탄소 배출 전략 추진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96개의 회원 도시를 두고 있으며,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이 의장직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 변화 단체 - 피스보트
    피스보트는 1983년 일본 역사 교과서 논쟁에 대응하여 설립된 비영리 국제 민간단체로, 크루즈 운항과 평화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평화 증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며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기후 변화 단체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정부간 기구로서, 독자적인 연구 없이 기존 과학 논문들을 평가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보고서와 특별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의 위험, 영향, 완화 및 적응 방안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등 국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쳐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도시 - 쓰레기
    쓰레기는 생분해성, 재활용 가능, 불활성, 전자, 복합, 위험, 유독성, 의료 폐기물 등으로 분류되며, 재활용, 퇴비화, 매립,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 도시 - 우크메르게
    우크메르게는 리투아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빌크메르게 강에서 유래한 여러 설이 있는 원래 이름 빌크메르게에서 시작하여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13세기부터 기록되었고, 잦은 공격과 봉기, 전쟁, 문화적 억압과 강제 추방을 겪은 후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안타나스 스메토나 전 대통령 등 저명 인사를 배출했으며, 2021년 기준 약 21,258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역사적 건축물과 조형물이 있는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이다.
  • 2005년 설립된 단체 - 뉴스통신진흥회
    뉴스통신진흥회는 뉴스통신 발전과 연합뉴스사의 독립성 및 공적 책임 보장을 목적으로 뉴스통신진흥자금 운용, 연합뉴스사 경영 감독, 임원 추천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2005년 설립된 단체 - 대한민국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대한민국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등 과거사 진실 규명을 위해 2005년 출범하여 피해자 신청 또는 직권으로 조사를 개시하고 진실 규명 활동을 수행하는 위원회이다.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
개요
이름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
로마자 표기C40 Dosi Gihu Rideosip Geurup
유형국제기구
설립일2005년 10월
설립 장소영국 런던
서비스 지역글로벌 회원 도시
집중 분야기후 변화
방법직접 지원, 동료 간 교류, 연구 및 커뮤니케이션
홈페이지C40.org
지도부
공동 의장시장 사디크 칸
공동 의장시장 이본 아키-소여
이사회 의장마이클 블룸버그
창립 파트너빌 클린턴 대통령
사무총장마크 와츠
운영 위원회바르셀로나, 보고타, 부에노스아이레스, 다카, 두바이, 프리타운, 홍콩, 자카르타, 요하네스버그, 런던, 밀라노, 몬트리올, 피닉스, 스톡홀름, 도쿄

2. 역사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은 2005년 10월, 켄 리빙스턴 당시 런던 시장의 주도로 '기후에 대응하는 대도시 그룹'(Large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세계 18개 대도시가 참여하여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을 시작했다.[10] 2006년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클린턴 재단 산하 클린턴 기후 이니셔티브(CCI)와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회원 도시가 40개로 확대되었고, 명칭도 C40으로 변경되었다.[11]

이후 C40은 데이비드 밀러, 마이클 블룸버그, 에두아르도 파이스, 안 이달고, 에릭 가세티 등이 의장직을 역임하며 조직을 발전시켰다. 특히 2015년 파리 협정 채택 과정에서 회원 도시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12]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 차원의 국제 협력을 주도하는 핵심 기구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C40은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이 의장을 맡고 있으며, 운영 위원회와 전문 스태프를 통해 회원 도시 간의 교류 협력, 연구, 지식 공유 등을 지원하고 있다.[24] C40의 활동은 블룸버그 자선재단 등 주요 재단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루어진다.[24]

2. 1. 결성 초기 (2005년 ~ 2009년)

2005년 10월, 당시 런던 시장이었던 켄 리빙스턴의 제안으로 '기후에 대응하는 대도시 그룹'(Large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결성되었다. 세계 18개 대도시 대표들이 런던에 모여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제1차 총회를 개최했다.[10] 이는 도시 차원에서 기후 오염을 공동으로 줄이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었다.

2006년 8월, 이 그룹은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이끄는 클린턴 재단(Clinton Foundation영어) 산하의 클린턴 기후 이니셔티브(CCI)와 파트너십을 맺고 조직을 강화했다.[11] 이 협력을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도시 수를 40개로 늘리고, 명칭을 C40으로 변경했다. 또한 참여 도시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젝트 및 관리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초대 의장을 맡은 켄 리빙스턴은 런던에 C40 사무국을 설립하고 운영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회원 도시 간의 성공 사례 공유를 위한 워크숍을 시작하는 등 조직의 기틀을 다졌다.[10]

2008년에는 토론토의 전 시장인 데이비드 밀러가 제2대 C40 의장직을 이어받았다. 밀러 의장은 재임 기간 동안 C40의 활동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특히 2009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기후 정상 회담과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C4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기후 긍정적 개발 프로그램 및 탄소 금융 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같이 도시들이 실질적인 기후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계획들을 시작했다.[10]

C40의 초기 주요 총회 개최 현황은 다음과 같다.

개최 연도 ! 개최 도시 ! 주요 내용 및 참가 도시
2005년 10월 | 런던 | 제1차 총회, 18개 도시 참가
2007년 5월 | 뉴욕 | 제2차 총회, 51개 도시 참가
2009년 5월 18일~21일 | 서울 | 제3차 총회


2. 2. 확대 및 발전 (2010년 ~ 현재)

세 번의 임기를 역임한 뉴욕 시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의장직을 수행했다. 블룸버그 시장의 3년 임기 동안 C40은 전문적인 조직으로 발전했으며,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도시들과 유사한 우선순위를 가진 파트너 조직 간의 지식 공유를 확대했다. 그의 임기 중 주요 성과로는 CCI 도시 프로그램의 C40 통합, 그리고 상파울루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C40 시장 정상 회담 개최가 있다. 블룸버그의 리더십 아래 C40은 회원 도시가 63개로 늘어났다.

2013년 12월, 리우데자네이루의 전 시장 에두아르도 파이스가 C40 의장으로 취임했다. 파이스 시장은 재임 기간 동안 특히 글로벌 사우스 지역 도시들을 중심으로 20개 이상의 새로운 회원 도시를 영입했으며, 여러 획기적인 연구 보고서 발간과 성공적인 국제 행사를 이끌었다. 그는 도시들이 전 세계 온실 가스 배출량 및 기후 위험 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또한 시장 협약(현재 기후 및 에너지에 관한 세계 시장 협약)을 출범시키고, C40 도시 금융 시설을 설치했으며, 리우데자네이루 '미래의 박물관'에 C40 영구 사무소를 개설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5년 C40 창립 10주년을 맞이했을 때,[12] 회원 도시들은 강력한 파리 협정을 형성하고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앞으로 도시 지도자들이 기후 변화 대응 목표를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주었다.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는 파리 시장 안 이달고와 유엔 사무총장 기후 변화 특별 대사 마이클 R. 블룸버그가 주최한 지역 지도자 기후 정상 회담에 전 세계 1,000명 이상의 시장, 지역 대표, 지역 사회 지도자들이 참여했다.[13]

2016년 8월, 파리 시장 안 이달고는 운영 위원회의 만장일치 지지를 받아 C40 최초의 여성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4] 이달고 시장은 녹색 금융 확보, 기후 및 에너지에 관한 세계 시장 협약 준수 지원, 도시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촉진, 기후 변화 대응에서 여성 리더십 인정 등 조직의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다. 2016년 12월에는 멕시코 시티에서 제6차 C40 시장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으며,[15] 멕시코 시티 시장 미겔 앙헬 만세라가 주최한 이 회의에는 90개 이상 도시 대표를 포함하여 1,400명이 참석했다.

2019년 C40 도시, Arup, 리즈 대학교는 공동 보고서를 통해 C40 도시들이 지구 온난화 영향을 막기 위해 시행해야 할 여러 가지 조치를 제시했다.[16] 2019년 당시 C40 의장은 로스앤젤레스 시장 에릭 가세티였으며, 전 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가 이사회 의장을, 마크 와츠가 사무총장을 맡았다. 이들은 13명의 운영 위원회, 이사회, 전문 스태프와 긴밀히 협력했다. 순환제로 운영되는 C40 시장 운영 위원회는 전략적 방향 설정과 거버넌스를 담당하며, 당시 운영 위원회에는 암만, 보스턴, 코펜하겐, 더반, 홍콩, 자카르타, 런던, 로스앤젤레스, 멕시코 시티, 밀라노, 파리, 서울, 도쿄도가 포함되었다.[24] 현재 C40 도시 의장은 영국 런던사디크 칸 시장이다.

C40은 다양한 분야와 사업 영역에 걸쳐 도시 네트워크[24]를 운영하며, 회원 도시들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 학습 교류 촉진, 연구, 지식 관리,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C40은 도시들이 전 세계 기후 변화 대응을 주도하는 핵심 주체임을 강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각국 정부에 더 많은 지원과 자율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24]

C40의 활동은 블룸버그 자선재단, 칠드런스 인베스트먼트 펀드 재단(Children's Investment Fund Foundation), 리얼다니아(Realdania) 등 3개의 주요 기관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24]

3. 회의별 주요 의제

C40 정상회의는 각 회의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의제를 설정하고 논의를 진행했다. 제1차 런던 회의(2005년)에서는 도시 간 협력 체제 구축과 저탄소 배출 실행 전략 추진을 결정했으며, 제2차 뉴욕 회의(2007년)에서는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과 정책 교류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3차 서울 회의(2009년)에서는 '저탄소도시' 달성 방안을 핵심 의제로 다루고 '서울선언문'을 채택했다.

3. 1. 제1차 정상회의 (2005년, 런던)

2005년 런던에서 열린 제1차 정상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시 간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이를 상업화하는 전략, 즉 저탄소 배출 실행 전략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3. 2. 제2차 정상회의 (2007년, 뉴욕)

2007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2차 정상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활동과 결정이 이루어졌다.

  •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Building Retrofit Initiative) 추진
  • 세계 주요 대도시기후변화 관련 정책 및 경험 상호 교환
  • 기후변화 대응 공동선언문 및 사업 계획 채택

3. 3. 제3차 정상회의 (2009년, 서울)

2009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정상회의에서는 '저탄소도시 -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를 주요 의제로 다루었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와 경제 문제, 기후변화 적응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회의 결과, 온실가스 감축 방향과 공동 대응 방안을 담은 '서울선언문'이 발표되었다.

4. 회원 도시

C40의 회원 도시는 기후 변화 대응 능력과 의지를 기준으로 선정되며, 도시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도시의 인구 규모, 경제 생산량, 환경 분야에서의 리더십 및 회원 활동 기간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17] 현재 C40에는 7개의 세계 지역에 걸쳐 총 96개의 회원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각 회원 도시의 구체적인 분류 기준과 지역별 상세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회원 도시 분류

C40은 본래 기후 변화 대응 역량이 큰 메가시티를 주요 대상으로 삼았으나, 현재는 기후 변화 대응에 참여하는 도시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세 가지 유형의 회원 자격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도시의 인구 규모, 경제 생산량, 환경 분야에서의 리더십, 그리고 C40 회원으로서의 활동 기간과 같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17]

=== 메가시티 ===

  • '''인구 기준''': 현재 또는 2025년까지 도시 인구가 300만 명 이상이거나, 해당 도시가 속한 대도시권의 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경우.
  • '''GDP 기준''': 현재 또는 2025년까지 구매력 평가(PPP)를 기준으로 한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전 세계 상위 25개 도시에 포함되는 경우.


=== 혁신 도시 ===

  • 메가시티의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환경 및 기후 변화 대응 분야에서 '''뚜렷한 리더십'''을 보여준 도시가 해당된다.
  • 혁신 도시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혁신적인 노력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아야 하며, 환경 지속 가능성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해당 대도시권 내에서 지역적으로 중요한 "앵커 도시"로서의 위상을 가져야 한다.


=== 옵저버 도시 ===

  • '''단기 분류''': C40에 새로 가입하고자 하는 도시를 위한 초기 단계의 분류이다. 메가시티 또는 혁신 도시 회원 자격을 신청한 도시는 C40의 첫해 참여 요건을 충족할 때까지 최대 1년 동안 옵저버 도시로 활동하게 된다.
  • '''장기 분류''': 메가시티 또는 혁신 도시의 기준과 참여 요건을 모두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규제나 절차적인 문제로 인해 메가시티 또는 혁신 도시로서의 정식 참여 승인을 신속하게 받기 어려운 도시들을 위한 분류이다.

4. 2. 지역별 회원 도시

C40은 7개의 지리적 지역에 걸쳐 96개의 회원 도시를 두고 있다.[2]

  • '''동아시아:'''
  • * 베이징
  • * 청두
  • * 다롄
  • * 푸저우
  • * 광저우
  • * 항저우
  • * 홍콩
  • * 난징
  • * 칭다오
  • * 상하이
  • * 선전
  • * 우한
  • * 전장
  • * 도쿄[25]
  • * 요코하마[26]
  • * 서울

5. 조직 및 운영

C40은 의장, 이사회 의장,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주요 도시 시장들로 구성된 운영 위원회가 전략적 방향 설정과 거버넌스를 담당한다.[24] 조직은 도시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정보 교환, 공동 연구, 소통 활동 등을 지원한다. 또한, 도시들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각국 정부에 더 많은 지원과 자율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24] C40의 주요 활동 자금은 블룸버그 자선 재단, 어린이 투자 기금 재단(Children's Investment Fund Foundation), 레알다니아(Realdania) 등 전략적 파트너들의 지원을 통해 마련된다.[24]

5. 1. 운영 위원회

2019년 현재 C40의 의장은 로스앤젤레스 시장인 에릭 가세티이며, 전 뉴욕 시장 마이클 R. 블룸버그는 이사회 의장, 마크 와츠는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이 세 사람은 13명의 운영 위원회, 이사회, 그리고 전문 스태프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C40 시장으로 구성된 순환 운영 위원회는 그룹의 전략적 방향 설정과 거버넌스를 담당한다. 운영 위원회 멤버에는 다음 도시들이 포함된다.[24]

5. 2. 협력 파트너

C40은 피플스 백신 연합(People's Vaccine Alliance)의 회원이다.[18] 주요 협력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21][19]

  • 클린턴 재단
  • 교통 개발 정책 연구소 (ITDP)
  • 지방 환경 이니셔티브 국제 협의회 (ICLEI)
  • 청정 교통 국제 협의회 (ICCT)
  • 세계 지방 정부 연합 (UCLG)
  • 세계 은행
  • 세계 자원 연구소 (WRI)


C40은 여러 분야와 이니셔티브 영역에 걸쳐 도시 네트워크[24]를 소집하고,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료 간(peer-to-peer) 교류 촉진, 연구, 지식 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또한 C40은 도시들이 전 세계 기후 변화 대응의 주도적인 세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더 큰 지원과 자율성을 요구하는 각국 정부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이를 확산시키고 있다.[24]

C40의 활동은 세 곳의 주요 전략적 자금 제공자인 블룸버그 자선재단(Bloomberg Philanthropies), 칠드런스 인베스트먼트 펀드 재단(Children's Investment Fund Foundation), 리얼다니아(Realdania)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진다.[24]

5. 3. 재정 지원

C40의 활동은 주요 전략적 재정 지원 기관인 블룸버그 자선 재단, 어린이 투자 기금 재단(CIFF), 레알다니아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진다.[20][21]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관 및 기업들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20][21][22]

기관/기업명
아럽 그룹
악사
영국 기업·에너지·산업 전략부 (BEIS)
도시 연합
씨티그룹
단기 기후 오염물질 감축을 위한 기후 및 청정 대기 연합
기후 작업 재단
유럽 기후 재단
유럽 혁신 기술 연구소 (EIT)
연방 환경·자연 보전·원자력 안전부 (독일)
외교·연방·개발 사무소 (FCDO, 영국)
페덱스
조지 워싱턴 대학교
독일 국제 협력 공사 (GIZ)
글로벌 환경 기금
구글
그룬포스
잉카 홀딩
존슨앤드존슨
런던 위생 및 열대 의학 대학원
로레알
맥코넬 재단
미쉐린
덴마크 외무부
노보 노디스크
오크 재단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
클릭 (Qlik)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
록펠러 형제 기금
세인즈버리 가족 자선 신탁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재단
TED 재단
벨룩스
웰컴 트러스트
윌리엄 앤 플로라 휴렛 재단


참조

[1] 웹사이트 Our Cities - C40 Cities https://www.c40.org/[...] 2022-08-14
[2] 웹사이트 The Power of C40 Cities http://www.c40.org/c[...] 2019-07-17
[3] 웹사이트 The C40 Co-Chairs - Leadership https://www.c40.org/[...] 2024-04-25
[4]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Archives https://www.c40.org/[...] 2022-10-07
[5] 웹사이트 Our Team https://www.c40.org/[...] 2022-10-07
[6] 웹사이트 What We Do For Cities http://www.c40.org/w[...] 2015-08-24
[7] 웹사이트 Steering Committee https://www.c40.org/[...] 2024-04-25
[8] 웹사이트 Networks https://www.c40.org/[...] 2022-10-07
[9] 뉴스 As Trump Signals Climate Action Pullback, Local Leaders Push Forward https://www.nytimes.[...] 2016-12-16
[10] 웹사이트 About C40 https://www.c40.org/[...] 2022-10-07
[11] 웹사이트 President Clinton launches a climate initiative https://www.clintonf[...] 2006-08-01
[12] 웹사이트 10th anniversary http://c40-productio[...]
[13] Citation The Climate Summit for Local Leaders, 2015 1 https://www.flickr.c[...] 2022-10-07
[14] 웹사이트 Press Release: Paris Mayor Anne Hidalgo Elected as New Chair of the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https://www.c40.org/[...] 2022-10-07
[15] 웹사이트 Mayors Agree To Bold And Concrete Actions To Meet Paris Agreement https://www.c40.org/[...] 2022-10-07
[16] 웹사이트 The-Future-of-Urban-Consumption-in-a-1-5C-World https://expose-news.[...]
[17] 웹사이트 C40 Announces New Guidelines for Membership Categories http://www.c40.org/p[...] 2012-10-03
[18]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peoplesvacci[...] 2023-09-02
[19]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21 https://files.wri.or[...] 2023-09-01
[20] 웹사이트 C40 Annual Report 2020 https://c40-producti[...] 2023-09-02
[21] 웹사이트 Partners https://www.c40.org/[...] 2021-05-23
[22] 웹사이트 Funders & Partners https://www.c40.org/[...] 2023-09-02
[23] 문서 What We Do For Cities http://c40.org/why_c[...] 2015-08-24
[24] 문서 C40 Networks http://www.c40.org/n[...]
[25] 웹사이트 C40(世界大都市気候先導グループ)について|東京都環境局 https://www.kankyo.m[...] 2020-03-06
[26] 웹사이트 C40について https://www.city.yok[...] 2020-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