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실내체육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원실내체육관은 1975년 5월에 완공된 인천광역시의 실내 체육관이다. 전국체육대회 실내 종목 경기와 다양한 실내 이벤트가 개최되었으며, 프로 농구와 프로 배구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97년 프로 농구 출범과 함께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부천실내체육관으로 이전했다가 삼산월드체육관 개관 이후 다시 인천으로 복귀했다. 2005년 프로 배구 V-리그 출범과 함께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GS칼텍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사용했으나, 2013년 계양체육관 개관 이후 배구 경기는 열리지 않는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유도와 레슬링 경기가 열렸으며, 좌석 3,000석, 입석 500석을 포함해 총 3,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인천실내체육관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숭의야구장
1934년 개장하여 재건립된 숭의야구장은 KBO 리그 출범 후 여러 프로 야구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2008년 철거되어 현재는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이 건립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송도 LNG 야구장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송도 LNG 야구장은 사회인 야구팀이 이용하는 공용 야구장이지만, 시내와 멀리 떨어진 해안가에 있고 야구장 인근의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인천 중구의 건축물 - 영종하늘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은 2015년 7월 10일 개관한 인천광역시 소재 도서관으로, 미추홀도서관 분관에서 시작하여 한국주택공사로부터 시설물 인수인계 후 정식 개관하였으며, 이후 운영을 확대해왔다. - 인천 중구의 건축물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경기장 -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목동야구장은 1989년 개장하여 아마추어 야구 전용 구장으로 사용되다 2008년부터 2015년까지 넥센 히어로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아마추어 야구 중심 구장으로, 외야 펜스 옆에 자동차 전용 도로가 있는 독특한 구조를 갖는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경기장 - 고양체육관
도원실내체육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경기장 정보 | |
![]() | |
경기장 이름 | 도원실내체육관 |
이전 이름 | 해당사항 없음 |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 12-155 |
좌표 | 좌표: 37.466511 N 126.640814 E |
기공 | 1969년 10월 |
건설 기간 | 1969년 - 1975년 |
개장 | 1975년 9월 |
보수 | 1983년, 1999년 |
확장 | 해당사항 없음 |
폐장 | 해당사항 없음 |
철거 | 해당사항 없음 |
소유주 | 인천광역시 |
운영 | 인천광역시 체육회 |
표면 | 해당사항 없음 |
건설 비용 | 해당사항 없음 |
건축가 | 해당사항 없음 |
구조 엔지니어링 | 해당사항 없음 |
서비스 엔지니어링 | 해당사항 없음 |
도급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주 도급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프로젝트 매니저 | 해당사항 없음 |
수용 인원 | 2,667명 |
규모 | 해당사항 없음 |
사용 | |
사용처 | 인천 대우증권 제우스 (KBL) (1997년) 인천 금호생명 펠컨스 (WKBL) (2000년~2005년)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V-리그) (2005년~2013년) 인천 GS칼텍스 (V-리그) (2005년~2009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V-리그) (2009년~2013년)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WKBL) (2014년~현재) |
2. 역사
1969년 10월에 착공해 1975년 5월에 완공됐다. 이 체육관은 선인체육관 이후 인천광역시에 건립된 두 번째 실내 체육관이었다. 3번의 전국체육대회(1978년, 1983년, 1999년) 실내 종목 경기가 개최됐으며, 체육행사 외에도 각종 실내 이벤트가 진행됐다.
1997년 프로농구가 출범하면서, 인천광역시 연고 구단인 대우증권 제우스의 원년 시즌 홈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시설이 비좁고 낙후한 탓에 대우증권 제우스가 홈 경기 지속 개최에 난색을 표했고, 결국 1998년 새로 개관한 경기도 부천시 중4동의 부천실내체육관으로 홈 경기장을 옮겼다. 전자랜드로 구단이 바뀐 이후 2006년 말 부평구 삼산동에 삼산월드체육관이 새로 완공되자 인천광역시로 돌아오게 된다. 이후 여자 프로 농구 인천 금호생명 펠컨스가 홈으로 삼았으나 관심을 끌지 못해 2005년 경기도 구리시로 연고지를 옮겼다. 2014년, 신한은행이 연고지를 안산에서 인천으로 연고지를 이동하면서 다시 프로농구 경기가 열리게 되었다.
1999년 제80회 전국체육대회 개최를 위해 지붕과 좌석 보수 공사를 실시했다. 2005년 프로배구 V-리그가 출범하면서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GS칼텍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GS칼텍스가 2009년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옮기자,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충남 천안에서 인천으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새로운 홈 경기장으로 채택됐다. 인천 아시안 게임 개최를 위해 2013년 10월 7일 계양구 서운동에 계양체육관이 개관하자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계양체육관으로 홈 코트를 이전하여 도원체육관에서는 배구 경기가 열리지 않게 되었다.
2010년 본부석 건너편에 224석 규모의 가변식 관중석을 추가해 관중들의 경기 관람 편의를 증대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유도와 레슬링 경기가 열렸다.
2. 1. 건설 및 개관
1969년 10월에 착공해 1975년 5월에 완공되었다. 이 체육관은 선인체육관 이후 인천광역시에 건립된 두 번째 실내 체육관이었다. 3번의 전국체육대회(1978년, 1983년, 1999년) 실내 종목 경기가 개최됐으며, 체육행사 외에도 각종 실내 이벤트가 진행됐다. 1999년 제80회 전국체육대회 개최를 위해 지붕과 좌석 보수 공사를 실시했다. 2010년 본부석 건너편에 224석 규모의 가변식 관중석을 추가해 관중들의 경기 관람 편의를 증대했다.2. 2. 프로 스포츠 경기 유치
1997년 프로농구 출범과 함께 인천광역시 연고 구단인 대우증권 제우스(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설이 낙후되어 1998년 부천실내체육관으로 홈 경기장을 이전했다. 이후 2006년 삼산월드체육관 개관으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는 다시 인천으로 복귀했다.여자 프로 농구 인천 금호생명 펠컨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나, 2005년 구리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2014년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가 안산시에서 인천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다시 프로농구 경기가 열리게 되었다.
2. 3. 프로배구 V-리그 경기 유치
2005년 프로배구 V-리그가 출범하면서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GS칼텍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GS칼텍스가 2009년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옮기자,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충남 천안에서 인천으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새로운 홈 경기장으로 채택됐다. 2013년 10월 7일 계양구 서운동에 계양체육관이 개관하자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계양체육관으로 홈 코트를 이전하여 도원체육관에서는 배구 경기가 열리지 않게 되었다.2. 4. 주요 행사 및 보수 공사
도원실내체육관에서는 3번의 전국체육대회(1978년, 1983년, 1999년) 실내 종목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체육행사 외에도 각종 실내 이벤트가 진행됐다. 1999년 제80회 전국체육대회 개최를 위해 지붕과 좌석 보수 공사를 실시했다. 2010년에는 본부석 건너편에 224석 규모의 가변식 관중석을 추가 설치하여 관중들의 경기 관람 편의를 높였다.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유도와 레슬링 경기가 열렸다.3. 시설 현황
도원실내체육관은 좌석 3,000석, 입석 500석을 포함하여 총 3,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가변식 관중석 224석도 마련되어 있다.
3. 1. 수용 인원
도원실내체육관은 좌석 3,000석, 입석 500석을 포함하여 총 3,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가변식 관중석 224석도 마련되어 있다.4. 별칭
삼산월드체육관이 2006년 개장하기 이전까지는 인천광역시의 유일한 종합 실내체육관으로 운영되어 '''인천실내체육관'''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