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지하철 06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지하철 06계 전동차는 1993년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되어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에서 운행된 전동차이다. 10량 1개 편성으로 도입되어 2015년에 폐차되었다. 둥근 디자인과 일본 정원을 연상시키는 실내 디자인이 특징이며, LED 행선 표시기, 휠체어 공간, TIS 차량 제어 정보 관리 장치 등을 갖추었다. 2010년에는 PMSM 주회로 시스템의 실차 시험이 진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도쿄 지하철 08계 전동차
도쿄 지하철 08계 전동차는 한조몬선의 수송력 증강 및 도부 철도 직통 운행을 위해 2003년에 도입된 10량 편성의 전동차로, 알루미늄 무도장 차체에 보라색 띠와 측면 디자인이 특징이며 "0x계" 계열명을 사용한 마지막 차량이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는 한조몬 선에서 운행된 통근형 전동차로, 1981년부터 도입되어 2025년까지 18000계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변경 및 디자인 개선 등의 리모델링을 거쳤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도쿄 지하철 06계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운행 기간 | 1993년 – 2015년 |
제조사 | 가와사키 중공업 |
후계 | 도쿄 메트로 16000계 전동차 |
제작 연도 | 1992년 |
운행 시작 | 1993년 3월 18일 |
폐차 연도 | 2015년 9월 |
편성량수 | 10량/편성 |
차량 번호 | 71 |
소속 | 도쿄 메트로, 이전에는 TRTA |
소속 기지 | 아야세 |
노선 |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조반선 오다큐 오다와라선 오다큐 다마선 |
차체 | 알루미늄 |
최대 속도 | 100 km/h |
가속도 | 3.3 km/h/s |
감속도 | 3.7 km/h/s (영업) 4.7 km/h/s (비상) |
견인 장치 | 3레벨 IGBT–VVVF 타입 SVF009-AO (도시바) |
견인 전동기 | 4 × 205 kW 3상 AC 유도 전동기 (도시바) |
출력 | 3.28 MW |
변속기 | Westinghouse-Natal Drive; 기어비: 7.79:1 |
전기 시스템 | 1,500 V DC 가선 |
집전 방식 | 마름모꼴 팬터그래프 |
대차 | SS135, SS035 |
제동 장치 | 전자 제어 공기 브레이크와 회생 제동 |
안전 장치 | CS-ATC, JR ATS, 오다큐 ATS |
연결기 | 시바타 연결기 |
궤간 | 1,067 mm |
차량 크기 | |
차량 길이 | 20 m |
차량 폭 | 2,865 mm |
차량 높이 | 4.14 m |
차량 무게 | |
무게 | 271.1 t |
수송 능력 | |
정원 | 138명 (좌석 46석) (선두차), 152명 (좌석 54석) (중간차) |
2. 역사
1993년(헤이세이 5년) 3월 시간표 개정을 통해 실시된 지요다선의 수송력 증강 요구에 따라 도입되었다. 당시 영단이 담당하는 차량 운용이 1개 편성 증가하게 되었는데[8], 기존 주력 차량인 6000계는 양산차가 등장한 지 약 20년이 경과하여 노후화되었기 때문에, 동일 계열 차량을 추가로 제작하는 대신 새로운 설계의 차량을 만들기로 결정했다[9].
설계는 '''「Gentle & Mild」'''를 핵심 주제로 하여, 열차와 관련된 모든 사람(승객, 승무원, 검수원, 제조 작업원)과 환경(차내 거주 환경, 사회 환경)에 친화적인 것을 목표로 했다[7]. 이는 21세기를 지향하는 차량으로서 사람과 환경을 배려하고, 온화하며 품격 있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외관, 내장, 기기 등이 일관성 있게 설계되었다[9].
동 시기에 완성된 도자이선의 07계와 기본 설계를 공유한다. 당시 영단 지하철의 여러 노선에서는 구형 차량 교체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06계와 유사한 사양을 갖춘 0x계 시리즈 신형 전동차가 다른 노선에도 대량으로 투입되었다. 06계 1개 편성의 제조 비용은 14.1억엔이었다[10].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되어[4], 10량 1개 편성이 1992년 12월에 아야세 검차구로 반입되었고, 1993년 3월 18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7]. 운행 초기에는 전동차와 부수차의 비율 문제로 오다큐선으로는 운행하지 않았으나, 이후에는 6000계, 16000계와 구분 없이 공통으로 운용되었다. 지요다선은 그 후에도 영단(이후 도쿄 메트로) 담당 차량 운용 수에 변화가 없어, 06계는 추가 도입 없이 단 1개 편성만 운용되었다.
임시 열차로는 도쿄만 대화화 축제와 같은 행사가 열릴 때 유라쿠초선으로 직통 운행하는 열차에 투입되기도 했다.
이후 2010년(헤이세이 22년)부터 6000계 교체를 위해 16000계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고, 지요다선 운용 차량을 16000계로 통일함과 동시에[24] 스크린도어 설치가 결정되었다. 06계는 스크린도어 규격에 대응할 수 없어 다른 노선으로 이전되지 못하고 폐차가 결정되었다. 2015년 1월부터 정기 운행에서 제외되었으며[5], 같은 해 8월 8일[25](자료에 따라서는 9월 22일[26]) 부로 폐차되었다. 폐차를 위해 2015년 8월 신키바 차량기지로 이송되었고[5], 같은 해 9월부터 해체가 시작되었다[6].
도쿄 지하철 06계 전동차는 1993년에 단 1편성만 제작된 지요다선용 전동차로, 여러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특징
디자인 측면에서는 'Gentle & Mild'를 핵심 주제로 삼아 승객, 승무원, 환경 모두에 친화적인 설계를 추구했다[7]. 외관은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지요다선 라인 컬러인 녹색을 바탕으로 흰색과 보라색 선을 더해 부드러운 인상을 주며, 둥근 형태의 선두부 디자인이 특징이다[9]. 내장은 일본 정원을 모티브로 한 일본풍 디자인을 채택하여 차분하고 격조 높은 분위기를 연출했다[9]. 또한, 휠체어 공간 설치, 출입문 상부 LED 안내 표시기 등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설비도 갖추었다[14].
기술적으로는 동 시기에 제작된 07계와 기본 성능을 공유한다. 일본 철도 차량 최초로 IGBT 소자를 사용한 VVVF 인버터 제어 장치를 채택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였으며[15], 4개의 전동차(M)와 6개의 부수차(T)로 구성된 4M6T 편성임에도 불구하고 6000계(6M4T)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다. 대차는 모노링크식 볼스터리스 대차를[7], 제동 장치는 회생 제동을 병용한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를 사용한다[13]. 차량 제어 정보 관리 장치(TIS)를 탑재하여 운행 정보 관리 및 검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7].
3. 1. 디자인
설계에 있어서는 'Gentle & Mild'를 메인 테마로 하여 열차와 관련된 모든 사람(승객, 승무원, 검수원, 제조 작업원)과 환경(차내 거주 환경, 사회 환경)에 친화적으로 설계했다[7]。 이는 21세기를 지향하는 차량은 "사람과 환경에 마음을 쓰고, 온화하고 품격있어야 한다"는 요구에 따른 것으로, 이 테마를 바탕으로 외관·내장·기기 등을 일관성 있게 설계했다[9]。
'''외관 디자인'''은 "온화하고, 품위 있는 속에 다정함을 담아 오랫동안 고객에게 사랑받는 것"을 컨셉으로 했다[9]。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01계 이후 처음으로 대형 압출 형재를 조합한 공법으로 제작되었다[7]。 외관에는 지요다선의 라인 컬러인 "그린"에 흰색과 보라색의 얇은 라인을 조합하여 "온화하고 차분한 느낌"을 표현했다[9]。
전면은 약 14도의 후퇴각을 주고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전면 유리는 측면까지 감싸는 곡면 유리를 사용했다[9]。 지하철 구간 운행을 고려하여 전면에는 플러그 도어 방식의 비상구와 비상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선두차 전면 하부에는 배장기(스커트)를 장착했다[9]。 차량 측면은 지붕을 높인 높은 지붕 구조(張り上げ屋根)를 채택했다[9]。 후년에 차량 간 추락 방지 덮개가 설치되었다. 전면과 측면의 행선 표시기는 LED식이다. 오다큐선 내 우등 열차 운행을 위해 통과 표지등을 설치했으나, 1998년 (헤이세이 10년) 4월에 해당 노선에서의 사용이 중지되었다.
냉방 장치는 집중식으로,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한 외기 도입형 인버터 제어 방식(FTUR300-206형)을 채택하여 능력은 48.84kW (42,000 kcal/h)이다[9]。 인버터 제어 방식을 통해 세밀한 온도 제어 및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였다[7]。 공조 운전 모드는 "냉방", "난방", "제습", "자동", "송풍"이 있으며, 자동 모드에서는 내장된 달력 기능과 차내외 기온에 따라 최적의 모드가 자동 선택된다[7]。 냉방 장치 외관은 단부에 FRP 커버를 부착하여 둥근 모양으로 마감했다. 차내 냉방 풍도는 라인 플로우 팬 방식을 채용하고, 보조 송풍기(라인데리아)는 선두차에 9대, 중간차에 10대를 설치하고 있다.
'''내장'''은 닛포리, 지요다, 아카사카, 진구마에 등 지요다선 연선의 역사적이고 격조 높은 거리 이미지를 살려 '''일본 정원'''을 연상시키는 일본풍 디자인을 채택했으며[9], "'''온화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목표로 했다[9]。 화장판은 일본 종이를 이미지한 향색[12]("향유"[12] 무늬)으로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바닥 깔개는 일본 정원의 "산들바람에 흔들리는 소나무 잎 소리"를 형상화한 "송뢰(しょうらい)"[12] 무늬로, 외부는 연보라색 모래 눈 무늬, 중앙부는 "솔잎"을 연보라색과 리큐네즈미색으로 표현했다[9][12]。
차량 지붕 곡선 개량 및 공조 덕트 평탄화 등을 통해 천장 높이를 2230mm로 확보하여 기존 차량보다 88mm 높였다[7][13]。 소매 칸막이의 손잡이는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압박감을 줄였다[7]。
좌석 표면은 산남색(에메랄드색 계열)[12]을 기조로 미세한 모래 눈 무늬가 들어간 "풍류수(かぜりゅうじゅ)"[12] 무늬를 사용했다. 1인당 착석 폭을 기존 430mm에서 450mm로 확대하고, 버킷 시트를 채용하여 착좌감을 개선했다[14]。 소매 칸막이 부분의 칸막이 파이프(사이드 바)에는 좌석과 동일한 모켓을 부착했다[14]。 2012년에는 좌석 사이에 스탠션 폴이 추가 설치되었다. 우선석 부분은 파란색 좌석이며, 이 부근의 손잡이는 주황색으로 교체되었으나, 일반석 부분의 손잡이는 흰색 그대로이다. 선반은 스테인리스 선을 격자형으로 용접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14]。
운전실 공간 확보를 위해 좌석 정원 배치를 6000계의 "3・7・7・7・3"에서 "4・6・7・6・4"로 변경했다[9]。 이 때문에 출입문 간격과 측창 크기가 모두 다르며[14], 6인용 좌석 부분의 창만 개폐 가능하고 나머지는 고정창이다[14]。 창 유리는 기둥 없이 시야가 좋은 1장 창으로 되어 있으며, 커튼은 폭이 넓고 프리 스톱 방식을 채용하여 조작 편의성을 높였다[14]。 객실 출입문의 창 유리는 복층 유리를 채용하였고[13], 차량 단부의 연결 관통문은 유리가 아래쪽으로 확대되었으며, 처면 창은 폐지되었다[13]。
본 계열에서는 지요다선 운행 차량 최초로 휠체어 공간을 설치했다. 휠체어 승하차 편의를 위해 차량 바닥면 높이를 6000계의 1200mm보다 50mm 낮은 1150mm로 하였으며, 연결면 통로 폭은 900mm로 확대했다[13][14]。 휠체어 공간은 편성 중 2호차와 9호차에 설치되었으며, 안전 손잡이와 승무원과 통화 가능한 차내 비상 통보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14]。 2007년경에는 호차札, 비상용 코크, 비상 통보 장치, 소화기札 등의 표기류를 축광성 시트로 변경했다.
LED식 차내 안내 표시 장치를 각 객실 출입문 상부에 설치하여 다음 역 및 환승 안내 등을 표시한다[14]。 표시기 단부는 둥근 모양이며, 도어 차임도 울린다。 이 외에 자동 방송 장치를 탑재하여 6000계와 마찬가지로 지요다선과 오다큐선 내에서 사용된다. 차외 안내용으로는 차외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으며, 차장에 의한 차외 방송 및 버튼 조작에 의한 승하차 촉진 방송("문이 닫힙니다. 짐을 안으로 넣어주세요")을 2회 송출할 수 있다.
;차내 사진
차내
일반석(6인용)
우선석(4인용)
휠체어 공간 및 우선석(2인용)
LED식 차내 안내 표시기
스테인리스 선을 조합한 선반(07계와 동일품)
'''운전대'''는 승무원의 조작성 및 거주성 향상, 전방 시야 확대, 객실에서의 조망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기기 배치 관계로 깊이가 선로 방향으로 약 1,900mm 확보되어 있다. 실내는 아이보리색, 운전대 계기반은 다크 그레이 배색이다. 운전대는 6000계와 같이 마스콘 핸들과 브레이크 핸들이 분리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핸들은 고정식이다. 속도계는 120 km/h 표시의 흰색 바탕 2침식이며 신CS-ATC에 대응한다. 운전대 오른쪽에는 철도 차량 모니터 장치(TIS)의 모니터 화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종 기기를 유닛화하여 요철을 줄였다. 운전실과 객실 칸막이에는 운전대 뒤쪽에 큰 창문 1개, 객실에서 볼 때 오른쪽에 창문이 있는 칸막이 문이 있다. 차광막은 큰 창문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처음부터 스모크 유리가 사용되었다. 칸막이 문 창문은 처음에는 투명했지만, 전면 유리 반사 문제로 후에 스모크 유리로 변경되었다.
3. 2. 기술 사양
06계 전동차는 동 시기에 설계 및 제작된 07계와 기본 성능을 공유하며,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 기동 가속도는 3.3km/h/s이다. 다만 감속도는 07계와 달리 상용 3.7km/h/s, 비상 4.7km/h/s로 설정되었다.
주 회로 시스템으로는 도시바가 제작한 VVVF 인버터 제어 장치를 채택했다. 특히 제어 소자로는 일본 철도 차량 중 처음으로 IGBT(소자 내압 1,500V - 600A)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15]. 제어 방식은 1개의 제어 장치가 1개의 주 전동기를 구동하는 1C1M 방식이며, 3레벨 방식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만약 주 전동기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량 편성 중 전동차(M) 4량, 부수차(T) 6량으로 구성된 MT비 4M6T 편성임에도 불구하고, 6M4T 편성인 6000계와 동등한 성능을 확보했다. 이는 205kW급 주 전동기를 탑재하고 기어비를 7.79로 높게 설정한 덕분이다. 이 VVVF 인버터 장치는 1992년 도자이선용 05계에서 실차 주행 시험을 거친 후 06계에 채용되었다[16].
대차는 스미토모 금속 공업이 제작한 모노링크식 축상 지지 방식의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동력대차 SS135형, 부수대차 SS035형)[7]. 이는 곡선 통과 성능 향상, 유지 보수 간소화, 경량화 및 고점착화를 목표로 새롭게 설계된 것이다[7]. 기초 제동 방식으로는 유닛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제동 장치는 회생 제동을 병용한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를 채택했으며, 보안 브레이크와 강설 시 사용하는 내설 브레이크 기능도 갖추고 있다[13]. 제동 제어에는 '1M1.5T 신지연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1량의 전동차가 자신을 포함한 총 2.5량분의 회생 제동력을 부담하도록 설계했다[13]. 이를 통해 회생 제동 성능을 높이고 제륜자 마모를 줄였다.
집전 장치로는 6000계와 동일한 마름모꼴 팬터그래프를 사용하지만, 차체 지붕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접은 높이를 400mm에서 330mm로 줄인 PT4322S형을 채용했다. 공기 압축기(CP)는 03계에서 사용된 바 있는 유도 전동기 구동 왕복식 C-2500LB형을 탑재했다. 보조 전원 장치는 IGBT 소자를 사용한 미쓰비시 전기제 DC-DC 컨버터(출력 170kW)를 채용하여[17], 가선에서 공급되는 직류 1,500V를 직류 600V로 변환하여 공기 압축기와 냉방 장치 등에 공급한다. 그 외 교류 회로에는 정지형 인버터(SIV)나 변압기를 통해 단상 교류 200V·100V로, 직류 회로에는 정류기를 통해 직류 100V·24V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03계 이후의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차량 제어 정보 관리 장치(TIS: '''T'''rain Contr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를 탑재하여 운전 정보의 집중 관리, 승무원 지원, 검수 효율성 향상을 도모했다[7]. 특히 06계에서는 차량 간 전송선에 광 케이블을 채용하여 마스콘 지령이나 상용 브레이크 지령 등의 제어 신호 전송 기능을 통합했다. 운전대에는 컬러 액정 표시기를 설치하여 조작성을 높였다[7]. 다만, 장치 명칭은 미쓰비시 전기의 'TIS'를 사용하지만 실제 탑재된 기기는 히타치의 ATI('''A'''utonomous '''T'''rain '''I'''ntegration)이다[19].
보안 장치는 도입 초기부터 CS-ATC 장치(ATC-4형)와 오다큐선용 OM-ATS를 탑재했다. 1999년 9월 30일에는 지요다선의 신 CS-ATC(ATC-10형) 시스템 도입에 맞춰 관련 대응 공사를 완료했다[20]. 이 공사에는 ATC 차량상 장치 갱신과 속도계를 쌍침식(검은 침: 속도 표시, 붉은 침: ATC 과주 방호 신호(ORP: '''O'''ver '''R'''un '''P'''rotector[21]) 제한 속도 표시)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이후 2012년에는 오다큐선용 신형 보안 장치인 D-ATS-P 장치를 추가로 설치했다[22].
3. 2. 1. 편성표
06계 전동차의 유일한 1개 편성인 71편성은 아야세 검차구에 배치되었으며, 아래 표와 같이 4량의 전동차("M")와 6량의 부수차("T")로 구성되었다. 1호차는 요요기우에하라(남쪽) 방면을 향한다.[3] 2, 4, 7, 9호차에는 각각 1개의 마름모꼴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으며,[3] 4호차는 약냉방차로 지정되었다.[3]
호차 | ← 오다큐 선 가라키다 / 요요기우에하라 방면 …… 아야세 / JR 조반선 도리데 방면 → | |||||||||
호차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형식 | 06-100형 (CT1) | 06-200형 (M1) | 06-300형 (T) | 06-400형 (M2) | 06-500형 (Tc1) | 06-600형 (Tc2) | 06-700형 (M3) | 06-800형 (T') | 06-900형 (M1) | 06-000형 (CT2) |
탑재 기기 | VVVF, CP, BT | VVVF, BT | DDC | DDC | VVVF, CP | VVVF, CP, BT | ||||
차량 번호 | 06-101 | 06-201 | 06-301 | 06-401 | 06-501 | 06-601 | 06-701 | 06-801 | 06-901 | 06-001 |
'''범례'''
- VVVF: 제어 장치 (1C1M 4군 제어)
- DDC: 보조 전원 장치 (DC-DC 컨버터)
- CP: 공기 압축기
- BT: 축전지
4. 운행
06계 전동차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운행에 투입되었으며, 1993년 3월 시간표 개정으로 인한 지요다선 수송력 증강 필요성에 따라 도입되었다. 당시 영단 담당 차량 운용이 1개 편성 증가하게 되었는데[8], 기존 6000계가 양산된 지 약 20년이 경과하여 증비 대신 신설계 차량을 제조하기로 한 것이다[9].
영업 운전은 1993년 3월 18일부터 시작되었으며[7], 초기에는 동일본 여객철도 조반선의 토리데까지 직통 운행하였다. 전동차 비율 문제로 운행 초기에는 오다큐선에는 입선하지 않았으나, 이후에는 6000계 및 16000계와 구별 없이 공통으로 운용되었다. 지요다선은 이후 영단(후의 도쿄 메트로) 담당 차량 운용 수에 변화가 없어, 06계는 추가 투입 없이 1개 편성만 운용되었다.
임시 열차로는 도쿄만 대화화 축제 등의 이벤트 개최 시 유라쿠초선에 직통하는 열차로 운행되기도 했다.
이후 2010년부터 6000계 교체를 위해 16000계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고, 지요다선 운용 차량을 16000계로 통일하는 방침과 함께[24] 스크린도어 설치가 결정되었다. 스크린도어에 대응할 수 없는 06계는 다른 노선으로 이전되지 못하고 2015년 8월 8일[25] (자료에 따라서는 9월 22일[26]) 부로 폐차되었다.
5. 시험
2010년 2월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한 마루노우치선 02계 대규모 개수 공사 차량(직류 600V용 PMSM 주회로 시스템을 실용화한 차량)에 이어[23], 직류 1,500V용 PMSM 주회로 시스템의 실차 시험이 06계 전동차를 통해 진행되었다[23]。시험은 제7 차량(06-701호차)에 도시바에서 제작한 PMSM 주회로 시스템(VVVF 인버터 장치, 출력 205kW의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 단류기 등)을 장착하여 이루어졌다[23]。이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전동차는 기존의 IM(유도 전동기)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했다[23]。실차 시험은 2010년 6월 30일부터 7월 23일까지 영업 운행이 끝난 심야 시간에 진행되었다[23]。06계 시험을 통해 얻은 PMSM 주회로 시스템 데이터는 일부 개량을 거쳐 후계 차종인 16000계에 채용되었다[23]。
6. 보존
도쿄 지하철 06계 전동차는 2015년 1월부터 정기 운행에서 제외되었다.[5] 16000계 도입과 스크린도어 설치 계획에 따라, 스크린도어에 대응하기 어려운 06계는 다른 노선으로 이전되지 않고 폐차가 결정되었다.[24] 같은 해 8월 신키바 차량기지로 이송되었으며,[5][25] 9월부터 해체 작업이 시작되었다.[6] 따라서 현재 보존되어 있는 06계 전동차는 없다.
참조
[1]
간행물
Kotsu Shimbun
2016-04
[2]
서적
Sansuisha
2004-09-29
[3]
서적
Kotsu Shimbunsha
2015-07-23
[4]
서적
Futabasha
2014-07-23
[5]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5-08-13
[6]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09-25
[7]
간행물
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1993年10月臨時増刊号新車年鑑1993年版「帝都高速度交通営団06系・07系」
[8]
간행물
[[交友社]]「[[鉄道ファン (雑誌)|鉄道ファン]]」2004年9月号「東京メトロ特集」42頁「営団地下鉄の60年」
[9]
간행물
交友社「鉄道ファン」1993年3月号新車ガイド1「営団千代田線用06系・有楽町線用07系」54-57頁
[10]
문서
[[#namboku|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142の「平成4年度新線建設費支出 千代田線」。
[11]
문서
営団地下鉄「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
[12]
문서
[[ネコ・パブリッシング]]『公式パンフレットで見る東京地下鉄車両のあゆみ - 1000形から1000系まで」p.171。
[13]
간행물
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1995年8月臨時増刊号「帝都高速度交通営団特集224・225頁」
[14]
간행물
交友社「鉄道ファン」1993年3月号新車ガイド1「営団千代田線用06系・有楽町線用07系」58-61頁
[15]
간행물
東芝「東芝レビュー」1993年3月号「帝都高速度交通営団IGBT VVVFインバータシステム」p.241。
[16]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1995年7月臨時増刊号参照。
[17]
간행물
三菱電機『三菱電機技報』1994年1月号「[https://www.giho.mitsubishielectric.co.jp/giho/pdf/backnumber/1994(vol68)/Vol68_01.pdf IGBT高周波リンク式DC/DCコンバータ」]」p.72。
[18]
문서
営団地下鉄 - 東京地下鉄では耐雪ブレーキではなく'''対'''雪ブレーキの名称を使用する。
[19]
간행물
"[http://www.hitachihyoron.com/jp/pdf/1994/05/1994_05_06.pdf 最近の車両情報制御システム] - 日立評論1994年5月号"
[20]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新車年鑑2000年版
[21]
문서
終端駅や留置線など「車止め」のある線に入線する際、ATCで速度を監視し、超過した場合に非常ブレーキを動作させる機能。
[22]
뉴스
東京メトロ06系が小田急線内で試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2-12-10
[23]
간행물
日本鉄道サイバネティスク協議会『鉄道サイバネ・シンポジウム論文集』第47回(2010年)「直流1500V用PMSM主回路システム試験報告」論文番号510。
[24]
웹사이트
千代田線に16000系4次車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9-15
[25]
간행물
交友社「鉄道ファン」2016年8月号付録「大手私鉄車両ファイル2016」ならびに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2016年12月臨時増刊号302頁
[26]
간행물
鉄道ダイヤ情報2016年4月号(No.384)p.128
[27]
문서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の略
[28]
문서
交通新聞社「営団地下鉄車両写真集」 P.68-69
[29]
Youtube
폐차 영상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