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야마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야마번은 모리 나리타카가 1617년 구다마쓰 번으로 시작하여 1650년 도쿠야마로 이름을 바꾸면서 시작된 번이다. 1716년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 시대에 막부와의 갈등으로 개역되었으나, 1719년 부활했다. 1836년에는 번주의 지위가 성주 다이묘로 상승했고, 1869년 판적봉환으로 번지사가 되었으나, 1871년 폐번치현에 앞서 소령을 야마구치 번에 반환했다. 도쿠야마 번은 1945년 도쿠야마 공습으로 도쿠야마성이 파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난시 - 도쿠야마시
    도쿠야마시는 세토 내해에 접한 야마구치현의 도시로, 석유 정제업과 중화학 공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2003년 슈난시에 통합되었다.
  • 스오국의 번 - 조슈번
    조슈 번은 모리 모토나리의 후손이 다스린 번으로, 에도 시대 후기 개혁을 통해 재정을 안정시키고 근대적인 군사 제도를 도입하며 존왕양이 사상을 바탕으로 메이지 유신에 기여, 야마구치현이 되었다.
  • 스오국의 번 - 이와쿠니번
    이와쿠니번은 깃카와 히로이에가 세운 조슈 번의 지번으로, 3만 석에서 6만 석 규모로 성장했으며, 긴타이쿄 건설 등 문화 사업과 간척 사업을 통해 번을 발전시키고, 막부 시대에는 도자마 다이묘로 취급받다가 폐번치현으로 이와쿠니 현이 되었다.
  • 조슈번의 지번 - 조후번
    조후번은 에도 시대 모리 히데모토가 초대 번주로 시작한 나가토국의 번으로,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조슈번의 지번이었다가 바쿠마쓰 시대 독립을 시도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야마구치현에 통합되었다.
  • 조슈번의 지번 - 기요스에번
    기요스에번은 모리 가문이 다스리던 1만 석 규모의 번으로, 조후 번에서 분번되었으나 번주 문제로 두 차례 단절과 재흥을 반복했으며, 번정 개혁 시도와 조슈 정벌 참여 등의 역사를 지녔다.
도쿠야마번
개요
공식 명칭도쿠야마 번 (1650–1871)
이전 명칭구다마츠 번 (1617–1650)
로마자 표기Tokuyama-han
일본어 표기徳山藩 (도쿠야마 번)
로마자 표기Kudamatsu-han
일본어 표기下松藩 (구다마츠 번)
구분
지리
위치야마구치현
수도구다마츠 진야 (1617–1650)
수도도쿠야마 진야 (1650–1871)
역사
성립1617년
해체폐번치현
해체 시점1871년
시대에도 시대
정치
통치자 직함다이묘
가문모리 가문
통계
상징
모리 가문의 문장
모리 가문의 문장
현재
오늘날야마구치현

2. 번의 역사

모리 데루모토의 아들이자 모리 히데나리의 동생인 모리 나리타카1617년(겐나 3년)에 3만 석을 분여받아 구다마쓰 번을 세웠다. 1625년(간에이 2년) 번 내 검지 결과 실제 고쿠다카는 4만 석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34년(간에이 11년) 3월, 에도 막부로부터 정식으로 번으로 인정받았다. 번정은 하기 번과 유사했으나, 가신단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주군을 잃은 로닌(浪人)이나 본가 번사의 삼남 등으로 구성되었다. 모리 나리카타는 대부분의 시간을 에도에서 보냈으며, 1638년(간에이 15년)에 영지를 방문했다.

=== 도쿠야마 번 시대 (1650년 ~ 1871년) ===

1650년 6월, 모리 나리카타는 거처를 노가미에서 무역과 상업에 더 편리한 곳으로 옮기고 지명을 "도쿠야마"로 개칭하여 도쿠야마번(도쿠야마 번)이 되었다. 1650년(게이안 3년) 9월 28일, 시모마츠는 교통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나오타카는 번청을 같은 국가의 도쿠야마로 옮겼다. 도쿠야마는 처음에는 노가미라고 불렸지만, 나오타카가 "도쿠야마"로 개칭하고, 도쿠야마 3개 별 "도쿠야마 천하 제일품"을 내걸었다.

1716년(교호 원년),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 시대에 영민의 입목 벌채를 둘러싸고 종가와 대립(만야쿠산 사건)하여, 막부로부터 본 번에 대한 무례함으로 개역되었다. 그러나 1719년(교호 4년) 모토쓰구의 아들 모리 모토타카와 중신들의 노력으로 번이 부활했지만, 영지 수입을 나타내는 ''고쿠다카''는 30,000 ''코쿠''로 감소했다.

1836년(덴포 7년), 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 시대에 하기 번의 알선으로 도쿠야마 번주의 지위가 "성주 다이묘"로 상승했고, 그전까지 "오야카타"(도쿠야마 진야)라고 불리던 번청이 "오시로""오텐"(도쿠야마성)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번의 ''고쿠다카''는 40,000 ''코쿠''로 복원되었다.

1869년(메이지 2년), 9대 번주 모리 모토시게는 판적봉환으로 도쿠야마 번지사가 되었지만, 1871년(메이지 4년) 5월에는 폐번치현에 앞서 번지사를 사임하고, 그 소령을 본가의 야마구치 번에 반환했다. 폐번 시점의 실질적인 세입은 6만 9000석 정도였다고 한다. 그의 후계자 모리 모토미쓰는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다.

제1차 조슈 정벌 때 할복한 후쿠하라 모토쓰기와 모리 다카치카의 양자가 된 모리 모토노리는 제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의 아들이다. 역대 번주의 묘는 슈난시의 다이세이지에 있다. 도쿠야마 번주가의 자손은 도쿄도 메구로구에 거주하며, 같은 지역에서 촬영 스튜디오 모우리 아트 워크스 스튜디오와 구 영지 도쿠야마에서는 골프장 경영 등을 하고 있다.

1945년 7월 26일, 도쿠야마성은 도쿠야마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도쿠야마 번청인 도쿠야마성 터(현재는 슈난시 문화회관과 슈난시 도쿠야마 동물원이 되었다)

2. 1. 구다마쓰 번 시대 (1617년 ~ 1650년)

모리 데루모토의 아들이자 모리 히데나리의 동생인 모리 나리타카1617년(겐나 3년)에 3만 석을 분여받아 구다마쓰 번을 세웠다. 1625년(간에이 2년) 번 내 검지 결과 실제 고쿠다카는 4만 석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34년(간에이 11년) 3월, 에도 막부로부터 정식으로 번으로 인정받았다. 번정은 하기 번과 유사했으나, 가신단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주군을 잃은 로닌(浪人)이나 본가 번사의 삼남 등으로 구성되었다. 모리 나리카타는 대부분의 시간을 에도에서 보냈으며, 1638년(간에이 15년)에 영지를 방문했다.

2. 2. 도쿠야마 번 시대 (1650년 ~ 1871년)

1650년 6월, 모리 나리카타는 거처를 노가미에서 무역과 상업에 더 편리한 곳으로 옮기고 지명을 "도쿠야마"로 개칭하여 도쿠야마번(도쿠야마 번)이 되었다.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이후 "천간지지"가 한 바퀴 돌아 1650년(게이안 3년) 9월 28일, 시모마츠는 교통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나오타카는 번청을 같은 국가의 도쿠야마로 옮겼다. 도쿠야마는 처음에는 노가미라고 불렸지만, 나오타카가 "도쿠야마"로 개칭하고, 도쿠야마 3개 별 "도쿠야마 천하 제일품"을 내걸었다.

1716년(교호 원년),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 시대에 영민의 입목 벌채를 둘러싸고 종가와 대립(만야쿠산 사건)하여, 막부로부터 본 번에 대한 무례함으로 개역되었다. 그러나 1719년(교호 4년) 모토쓰구의 아들 모리 모토타카와 중신들의 노력으로 번이 부활했지만, 영지 수입을 나타내는 ''고쿠다카''는 30,000 ''코쿠''로 감소했다.

1836년(덴포 7년), 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 시대에 하기번의 알선으로 도쿠야마 번주의 지위가 "성주 다이묘"로 상승했고, 그전까지 "오야카타"(도쿠야마 진야)라고 불리던 번청이 "오시로""오텐"(도쿠야마성)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번의 ''고쿠다카''는 40,000 ''코쿠''로 복원되었다.

1869년(메이지 2년), 9대 번주 모리 모토시게는 판적봉환으로 도쿠야마 번지사가 되었지만, 1871년(메이지 4년) 5월에는 폐번치현에 앞서 번지사를 사임하고, 그 소령을 본가의 야마구치 번에 반환했다. 폐번 시점의 실질적인 세입은 6만 9000석 정도였다고 한다. 그의 후계자 모리 모토미쓰는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다.

제1차 조슈 정벌 때 할복한 후쿠하라 모토쓰기와 모리 다카치카의 양자가 된 모리 모토노리는 제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의 아들이다. 역대 번주의 묘는 슈난시의 다이세이지에 있다. 도쿠야마 번주가의 자손은 도쿄도 메구로구에 거주하며, 같은 지역에서 촬영 스튜디오 모우리 아트 워크스 스튜디오와 구 영지 도쿠야마에서는 골프장 경영 등을 하고 있다.

1945년 7월 26일, 도쿠야마성은 도쿠야마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3. 역대 번주

도자마 4만 5천석 → 3만석 → 4만석

나리타카는 1634년부터 1679년까지 도쿠야마번을 다스렸다. 모리 나리타카모리 데루모토의 차남으로, 그의 형인 히데나오나가토국 하기(후에 스오국 야마구치)에 입번했다.

모리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로, 4만 5천 석으로 시작하여 3만 석, பின்னர் 4만 석으로 영지가 변경되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위고쿠다카
25px
모리 씨(毛利氏), 1617-1871 (도자마(外様)
1모리 나리타카1617년 ~ 1679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고쿠
2모리 모토카타1679년 ~ 1690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고쿠
3모리 모토쓰구1690년 ~ 1715년히다노카미(飛騨守)종5위하45,000 고쿠
4모리 모토타카1715년 ~ 1721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 30,000 고쿠
5모리 히로토요1721년 ~ 1758년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종5위하30,000 고쿠
6모리 히로노리1758년 ~ 1764년시마노카미(志摩守)종5위하30,000 고쿠
7모리 나리요시1764년 ~ 1796년이와미노카미(石見守)종5위하30,000 고쿠
8모리 히로시게1796년 ~ 1837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30,000 → 40,000 고쿠
9모리 모토미쓰1837년 ~ 1871년아와지노카미(淡路守)종5위하40,000 고쿠



모리 모토카타는 초대 번주 모리 나리타카의 다섯째 아들이고, 모리 모토쓰구는 초대 번주의 넷째 아들(서자)이다. 모리 모토타카는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의 차남이며, 모리 히로토요는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의 셋째 아들이다. 히로노리는 5대 번주 모리 히로토요의 차남이고, 나리요시는 5대 번주 모리 히로토요의 열한째 아들이다. 모리 히로시게는 7대 번주 모리 나리요시의 차남이며, 모토미쓰는 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의 일곱째 아들이다.

3. 1. 모리 가문 (도자마 다이묘, 4만 5천 석 → 3만 석 → 4만 석)

모리 나리타카는 1634년부터 1679년까지 도쿠야마번을 다스렸다. 모리 나리타카모리 데루모토의 차남으로, 그의 형인 히데나오나가토국 하기(후에 스오국 야마구치)에 입번했다.

모리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로, 4만 5천 석으로 시작하여 3만 석, பின்னர் 4만 석으로 영지가 변경되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위고쿠다카
모리 씨(毛利氏), 1617-1871 (도자마(外様)
1모리 나리타카1617년 ~ 1679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고쿠
2모리 모토카타1679년 ~ 1690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고쿠
3모리 모토쓰구1690년 ~ 1715년히다노카미(飛騨守)종5위하45,000 고쿠
4모리 모토타카1715년 ~ 1721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45,000 → 30,000 고쿠
5모리 히로토요1721년 ~ 1758년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종5위하30,000 고쿠
6모리 히로노리1758년 ~ 1764년시마노카미(志摩守)종5위하30,000 고쿠
7모리 나리요시1764년 ~ 1796년이와미노카미(石見守)종5위하30,000 고쿠
8모리 히로시게1796년 ~ 1837년휴가노카미(日向守)종5위하30,000 → 40,000 고쿠
9모리 모토미쓰1837년 ~ 1871년아와지노카미(淡路守)종5위하40,000 고쿠



모리 모토카타는 초대 번주 모리 나리타카의 다섯째 아들이고, 모리 모토쓰구는 초대 번주의 넷째 아들(서자)이다. 모리 모토타카는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의 차남이며, 모리 히로토요는 3대 번주 모리 모토쓰구의 셋째 아들이다. 모리 히로히로는 5대 번주 모리 히로토요의 차남이고, 모리 나리요리는 5대 번주 모리 히로토요의 열한째 아들이다. 모리 히로시게는 7대 번주 모리 나리요리의 차남이며, 모리 모토시게는 8대 번주 모리 히로시게의 일곱째 아들이다. 모리 모토노리는 조후 모리가에서 양자로 들어왔다.

4. 가신단

도쿠야마 번의 가신단은 가로, 출두, 중좌, 말회, 말회격, 도격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가로 가문:


  • 아와야 몬도 (435석)

  • 나고야 우타 (500석)

  • 후쿠마 고로베에 (600석)

  • 토바 누이도노 (400석)

  • 아와야 유키오이 (485석)


출두 가문:

  • 스기야마 사부로자에몬 (300석)

  • 모리 손지로 (250석)

  • 토미야마 타스케 (250석)

  • 오바타 테이 (300석)

4. 1. 주요 가로 가문

도쿠야마 번의 가신단은 가로, 출두, 중좌, 말회, 말회격, 도격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가로 가문:

  • 아와야 몬도 (435석)

  • 나고야 우타 (500석)

  • 후쿠마 고로베에 (600석)

  • 토바 누이도노 (400석)

  • 아와야 유키오이 (485석)


출두 가문:

  • 스기야마 사부로자에몬 (300석)

  • 모리 손지로 (250석)

  • 토미야마 타스케 (250석)

  • 오바타 테이 (300석)

4. 2. 주요 출두 가문

도쿠야마 번의 가신단은 가로, 출두, 중좌, 말회, 말회격, 도격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가로 가문:

  • 아와야 몬도 (435석)
  • 나고야 우타 (500석)
  • 후쿠마 고로베에 (600석)
  • 토바 누이도노 (400석)
  • 아와야 유키오이 (485석)


출두 가문:

  • 스기야마 사부로자에몬 (300석)
  • 모리 손지로 (250석)
  • 토미야마 타스케 (250석)
  • 오바타 테이 (300석)

5. 도쿠야마 번 출신 인물

5. 1. 에도 시대 초기 ~ 후기

도쿠야마 번의 번정은 1650년부터 1686년까지 나카무라씨가 맡았다. 그러나 나카무라 씨는 막부의 허가 없이 성을 쌓는 등의 전횡을 일삼아 영지를 몰수당했다. 이후 1692년부터 1695년까지는 미나모토노 아츠미치가 번주 대리로 정무를 보았다.

도쿠야마 번에서는 가쓰라 모토쓰나, 가무라 모토타네, 나고야 모토타다 등 여러 인물들이 활동했다. 이 외에도 구니토미 호잔, 야쿠 아이센, 아오키 키엔, 혼조 시간, 혼조 다이카 등 다양한 인물들이 번에서 활동했다.

5. 2. 막부 말기 이후

도쿠야마 번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후쿠하라 겐칸, 후쿠마 세이카이, 이다 추오, 사쿠라이 카이엔(사쿠라이 타케오), 아사미 세쓰이쓰, 구로가미 나오타미, 이노우에 카이세쓰, 이노우에 탓지, 이다 고조(이다 하지), 도야마 겐지로, 혼다 와타리, 우메치 오, 구마가이 시토미, 아사미 쿄하쿠, 이와사키 타마키, 에무라 준이치로(에무라 카요), 아사미 에이자부로(아사미 마사노리), 아사미 야스노조(아사미 마사타카), 이노우에 유이치(이노우에 카초), 혼조 키요시(혼조 아야), 에무라 히코노신(에무라 아쓰시), 카와다 요시조(카와다 마사요시), 노다 사쿠타유(노다 토시타네), 고다마 한구로(고다마 타다히로), 고다마 지로히코(고다마 타다아키),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히사코, 시다마 반콘, 요구마 소안, 하야시 호운(하야시 마사카네), 하야시 요(하야시 테루유키), 무네스에 카게야스, 오다 칸에몬, 미요시 야스하루, 토다 닌자에몬 등이 있다.

또한, 엔도 슌다이, 엔도 테이치로, 오가와 잇도, 사사키 토시오, 카네자키 마사시, 이케다 요시아스, 야마시타 준안, 나가누마 칸고, 하야시 료에키, 미우라 사노이치, 구마가이 요하쿠, 마스노 스이하쿠, 마츠오카 쿄에이, 사에키 테이조, 와타나베 젠쇼, 야마다 료히쓰, 아사다 분코, 나가누마 타이쥰, 구로카와 겐모, 스에카네 겐세키, 하야시 류하쿠, 시미즈 에이사쿠, 미즈키 료테쓰, 후쿠시마 단야, 아사다 에이지, 야지마 사쿠로, 아사다 요시이치로, 노무라 겐조, 누쿠시나 마고시로, 오자와 마츠사부로, 토요시마 카헤이, 미츠나가 마타노조, 미야자키 신사쿠, 사카 타츠노신 등도 도쿠야마 번 출신이다.

6. 막부 말기의 영지

도쿠야마 번은 대부분의 한 시스템 영지와 마찬가지로 주기적인 토지 대장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단절된 영토로 구성되었다.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출판사 정보 없음. 구글 북스 링크 참조)
[5]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출판사 정보 없음. 구글 북스 링크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