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키다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키다역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다키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1963년 4월 1일에 개업했으며,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JR 도카이의 역이 되었다. 2019년에는 하루 평균 109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역 주변에는 미후네 신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키정 - 산구선
산구선은 도카이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다키역과 도바역을 잇는 노선으로, 이세 신궁 참배 노선으로서의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고 쾌속 '미에'를 통해 나고야역과 이세시마 지역을 연결하며 JR 도카이의 기동차가 주로 운행된다. - 다키정 - 오카역 (미에현)
미에현 다키정에 위치한 오카역은 1923년 개업한 JR 도카이 기세이 본선의 역으로, 한때 열차 교환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는 다키역 관리의 무인역이다. - 1963년 개업한 철도역 - 히가시긴자역
히가시긴자역은 도에이 아사쿠사선과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이 교차하는 역으로, 승강장은 각각 쇼와도리, 하루미도리 아래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가부키좌, 닛산자동차 본사 등 주요 시설이 있다. - 1963년 개업한 철도역 - 가좌역
가좌역은 서울 서대문구와 마포구에 위치한 경의선, 용산선 전철역으로, 1930년 신호장으로 시작해 보통역을 거쳐 2009년 전철역으로 개통, 2012년 용산선 재개통과 함께 지하역으로 이전하며 경의·중앙선 K315 역으로 운영 중이다. - 미에현의 철도역 - 쓰신마치역
쓰신마치역은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역으로, 1931년 개업하여 2023년 무인화되었으며 섬식 및 측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쓰시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미에현의 철도역 - 시오하마역
시오하마역은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과 JR 화물 간사이 본선 화물 지선의 역으로, 긴테쓰 나고야 선에서는 모든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고가 역사이며, JR 화물 시오하마역은 석유 수송을 담당하는 조차장과 측선군으로 구성되어 욧카이치시의 주요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도키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도키다 역 (外城田駅) |
로마자 표기 | Tokida-eki |
소재지 |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 도바 2235 |
소속 사업자 |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
노선 | 산구 선 |
역 번호 | (없음) |
전보 약호 | 토키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1선 |
개업일 | 1963년 4월 1일 |
폐지일 | (없음) |
이용객 통계 | 109명 (2019년 기준) |
비고 | 무인역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다키 기점 3.3km |
이전 역 | 다키 (3.3km) |
다음 역 | 다마루 (3.7km) |
버스 터미널 | |
연결 | 버스 터미널 |
2. 역 구조
이 역은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갖춘 지상역이다. 다키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역사 없이 바로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형태이다.
2. 1. 승강장
이 역은 양방향 통행을 위한 단선 승강장 1면 1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상역이다.[1] 역사는 없으며, 역무원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1] 다키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승강장으로 바로 들어가는 형태이다.[1]3. 이용 현황
4. 역사
5. 역 주변
도키역 - 다마루역 사이에는 옛 거리인 이세 본가이도가 평행하게 뻗어 있다.
와타라이군 다마키정과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다마키 정 가노 지구, 아사쿠다 지구 등이 역 이용권에 포함된다.
6. 인접역
快速|쾌속일본어 "미에" 2호 나고야행
快速|쾌속일본어 "미에" 19, 21, 23, 25호 이세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