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후코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후코조는 에도 시대에 만들어진 요괴로, 두부 가게나 판매상이 흔해지면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원과 소멸 과정은 불분명하다. 쿠사조시에서는 하인으로 묘사되었으며, 히토츠메코조, 아메후리코조, 바케다누키, 갓파 등 다른 요괴들과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하나눈 동자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외눈이 아닌 도후코조가 많아 별개의 존재로 보기도 한다. 현대에는 그림책이나 소설 등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며, 창작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부 - 두부껍질
    두부껍질은 두유 가열 시 표면에 생기는 얇은 막으로, 단백질과 지질이 응고되어 만들어지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존재하고, 딤섬 재료나 채식 요리의 고기 대용으로 사용되며,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두부 - 유부
    유부는 콩으로 만든 두부를 얇게 썰어 기름에 튀긴 음식으로, 다양한 질감과 맛을 내어 한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요리에 활용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여우의 주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일본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일본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도후코조
개요
두부 동자
두부 동자
종류요괴
등장 장소일본
관련유령
상세 정보
모습두부를 든 어린아이의 모습
역할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림
특징비가 오는 날 밤에 주로 나타남
소지품두부, 우산
기타
관련 설화두부를 떨어뜨리는 모습이 목격됨
출현 시기에도 시대
대중 문화영화, 만화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

2. 역사

도후코조는 안에이 시대(1772–1781) 문헌에 처음 등장한 요괴이다. 쿠사조시, 키뵤시 등 당시 대중문화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메이지 시대까지 그 인기가 이어졌다.[1][13] 기타오 마사요시의 바케모노 차쿠토초에서는 머리가 큰 모습으로, 가쓰카와 슌테이의 오지다이 카라노 바케모노에서는 외눈박이로 묘사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민속 자료나 백물어괴담회 같은 괴담 모음집에는 등장하지 않아 에도 시대에 창작된 요괴로 여겨진다.[2][8]

2. 1. 기원

기타오 마사요시의 바케모노 차쿠토초에 등장하는 머리가 큰 ''도후코조''의 예시.


가쓰카와 슌테이의 오지다이 카라노 바케모노에 등장하는 외눈 ''도후코조''의 예시.


''도후코조''는 안에이 시대(1772–1781) 문헌에 갑자기 등장한 요괴로, 당시 쿠사조시, 키뵤시, 괴담 책, 장난감 캐릭터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 인기는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1][13] "바케모노 시우치 효반키"가 이들의 첫 등장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이전에 도후코조가 등장한 문헌은 확인된 바 없다.[2] 텐메이 2년(1782)에 출판된 ''두부'' 요리책 ''두부 백진''에 따르면, 쿠사조시나 키뵤시와 같은 유머 문학과 ''만화 에혼''에 등장하는 유명한 ''요괴''로 만들어졌다.[8]

''도후코조''는 현대 도시 간행물에서 유래했을 수 있지만, 그 인기는 에도 시대 자체의 음식 문화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14] 에도 시대에 영양가 높은 ''두부''는 대중에게 인기 있는 음식이었다.[7] 가부키에서 오타니 토쿠지 같은 가부키 배우가 ''도후코조'' 역할을 연기한 예와, 우키요에에 묘사된 예가 있다.[3][6]

에도 시대 초기 문헌에는 머리가 큰 ''코조''(소년 승려)가 많이 등장하며, "바케모노 시우치 효반키"에서는 "도후코조라는 괴물은 머리가 크다"라고 언급했고, ''키뵤시'' "바케모노 차쿠토초"에서는 "머리가 큰 ''코조''"라고 언급하여 머리가 큰 것을 강조했다.[2] 에도 시대 말기에는 종종 눈이 하나로 묘사되었다.[1][6] 교카 ''에혼''인 교카 백물어에서는 인간과 특별히 다른 점이 없는 모습으로도 묘사된다.[8]

민속학 자료, ''괴담'' 모음집 ''백물어괴담회'' 또는 전설에 등장했다는 확증이 없으므로,[2] 에도 시대에 만들어진 ''요괴''로 여겨진다.[8]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 중기 또는 이후 두부 가게나 판매상이 흔해지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만들어진 경위와 갑작스럽게 사라진 상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3]

''쿠사조시''에서 종종 하인으로 취급되었지만, 가장 먼저 등장한 ''요괴''도 하인이었는데, ''히토츠메코조'', ''아메후리코조'', ''너구리 요괴'', ''캇파'' 등이 있으며, ''히토츠메코조''와 ''캇파''는 ''두부''를 소유한 것으로 묘사되었으므로, 이 ''요괴''들이 ''두부코조''와 관련이 있다는 설[15]과 ''두부코조''가 이 ''요괴''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3][6] 덴포 4년(1833년) 출판된 책에는 옷에 ''두부''가 묘사된 ''갓''을 쓴 ''너구리 요괴''가 등장하여, ''두부코조''의 존재를 암시한다.[2][16]

''백물어괴담회''가 인기를 얻을 무렵, 아직 사회에 알려지지 않은 ''괴담'' 이야기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개인이 만들었다는 설과 하세가와 셋탄의 에도 명소도회 그림에서 ''두부'' 판매상들이 ''갓''을 쓰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두부코조''는 평상복을 입은 ''두부'' 판매상들을 화려한 옷을 입은 아이로 변화시킨 결과라는 시각도 있다.[3] 도후코조는 에도 시대 ''두부'' 가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두부'' 가게와 관련된 어떤 사건에서 태어났다는 설[2]이나, 판매 촉진을 위해 ''두부'' 사업에서 만든 캐릭터라는 설도 있다.[8]

''히토츠메코조''가 ''두부''를 좋아한다는 민간 신앙에 근거하여, ''요괴 카루타''에는 ""라는 카드가 있었고, ""와 "" 같은 ''센류'' 시가 있었기 때문에, ''두부코조''가 ''히토츠메코조''의 또 다른 이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있었다.[18] 그러나 외눈이 아닌 ''두부코조''가 많기 때문에, ''히토츠메코조''와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으며,[2] ''두부코조''와 ''히토츠메코조''가 별도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어쨌든, 아직 불분명한 부분이 많으며, ''두부코조''가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2]

두부 소승은 안에이 연간부터 낭만 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황표지 『요괴 시중 평판기』(1779년)가 초기의 것으로 확인되어, 도시 문화 속에서 태어난 요괴라고 할 수 있다.[27] 하지만, 어떠한 경위로 창출되었는지는 명확하게 판명되지 않았다. 당시, 영양에 풍부한 식품으로 두부가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던 것을 반영하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두부 소승이 두부 등을 옮기는 모습(하인과 같은 동작)과 유사하게 묘사되는 요괴로는, 하나눈 소승, 비내리는 소승, 너구리, 갓파 등이 있으며, 하나눈 소승이나 갓파가 두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하므로, 이러한 요괴가 두부 소승과 관련[28] 또는 원형이라고 생각하는 설도 있다. 짓펜샤 잇쿠에 의한 합권 『화피 북 전』(1833년)에서는, 삿갓을 쓴 너구리 요괴가 두부와 같은 무늬의 옷을 입고 있으며, 두부 소승의 존재를 암시하는 듯이 그려진 예도 있다.[29]

3. 특징

도후코조는 에도 시대에 창작된 요괴로, 안에이 연간(1772년~1781년)부터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21]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서는 , 스고로쿠, 가루타 등 "장난감 그림" 속에 등장하는 요괴로 친숙해졌으며, 센류, 광가, 가부키 등에서도 볼 수 있다.[22]

원래 쿠사조시에서는 특별한 힘이 없는 하인으로, 마을에 두부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했다.[3] 豆腐小僧ハ化ものゝ小間使ひ|도후코조는 심부름꾼 요괴일본어와 같은 센류 시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다.[2] 인간에게는 친절하고 소심하며, 유머러스한 등장인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고,[3][6] 심지어 다른 요괴들에게 약하다고 놀림을 받기도 했다.[7]

고이카와 하루마치의 안에이 시대 키뵤시 妖怪仕内評判記|요괴 시우치 효반키일본어에서는 족제비가 도후코조로 변신하며,[2] 이후 책에서는 아버지가 미코시뉴도, 어머니가 로쿠로쿠비로 설정되기도 했다.[6][8]

쇼와 및 헤이세이 시대 이후 문헌에는 비 오는 밤에 나타나 사람들에게 두부를 권하지만, 먹으면 곰팡이가 핀다는 이야기가 있지만,[9][10] 이는 쇼와 시대 이후 어린이용 책에서 만들어진 것이다.[11]

요괴 화가이자 만화가인 미즈키 시게루의 고향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시에는 미즈키 시게루 로드가 조성되어 있으며, 그곳에는 미즈키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도후코조의 동상이 있다.[12]

하나눈 동자와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두부 소승"이라고 명확하게 불리는 예 중에는 하나눈이 아닌 경우도 많아, 별개의 존재로 보는 시각도 있다.[33]

3. 1. 외형

도후코조는 일반적으로 머리에 대나무와 가사를 쓰고, 둥근 쟁반에 모미지-도후(단풍잎 모양으로 눌린 도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5] 도후코조가 입는 옷의 무늬는 천연두를 막기 위한 하루코마(春駒), 다루마 인형, 얼룩부엉이, 흔들리는 북, 빨간 물고기와 같은 행운의 부적을 포함하며, 때로는 아이의 신분을 보여주는 격자 무늬도 볼 수 있다.[3]

에도 시대 초기 문헌에는 머리가 큰 코조(소년 승려)가 많이 등장하는데, "바케모노 시우치 효반키"에서는 "도후코조라는 괴물은 머리가 크다"라고 언급했고, 키뵤시 "바케모노 차쿠토초"에서는 "머리가 큰 코조"라고 언급하여 머리가 큰 것을 강조했다.[2] 에도 시대 말기에는 종종 눈이 하나로 묘사되기도 했다.[1][6] 교카 에혼인 교카 백물어에서는 인간과 특별히 다른 점이 없는 모습으로도 묘사된다.[8]

도후코조는 머리에 삿갓을 쓰고, 쟁반에 올린 두부를 얹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얼굴은 인간 아이와 같거나, 하나메(외눈박이)인 모습 등으로 묘사된다. 그림에 보이는 두부는 단풍잎 모양이 떠오르는 단풍 두부인 경우가 많다.[20]

3. 2. 역할 및 성격

일반적으로 도후코조는 머리에 대나무와 가사를 쓰고, 둥근 쟁반에 모미지(단풍잎) 모양으로 눌린 '모미지-도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5] 그들이 입는 옷의 무늬는 천연두를 막기 위해 하루코마, 다루마 인형, 얼룩부엉이, 흔들리는 북, 빨간 물고기와 같은 행운의 부적을 포함하며, 때로는 아이의 신분을 보여주는 격자 무늬도 볼 수 있다.[3]

원래의 쿠사조시에서 도후코조는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종종 마을 곳곳에 도후을 가져다주는 하인으로 등장하며,[3] "豆腐小僧ハ化ものゝ小間使ひ일본어"와 같은 센류 시에서도 변경되었다.[2] 인간과 관련하여, 그들은 때로는 비 오는 밤에 인간을 따라다니지만, 특별히 나쁜 짓을 하지 않으며, 보통 인간을 적으로 삼지 않고, 친절하고 소심하며 유머러스한 등장인물로 자주 묘사된다.[3][6] 나쁜 짓을 하는 것은 고사하고, 약한 요괴라고 다른 요괴에게 놀림을 받는 경우도 있다.[7]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위로가 되는 등장인물로 적합하다는 해석도 있다.[7] 고이카와 하루마치의 안에이 시대 키뵤시 "바케모노 시우치 효반키|妖怪仕内評判記일본어"에서 족제비가 도후코조로 변하며,[2] 이후 책에서는 그들의 아버지는 미코시뉴도로, 어머니는 로쿠로쿠비로 특정되었다.[6][8]

쇼와 및 헤이세이 시대 이후의 문헌에서는 비 오는 밤에 나타나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도후의 렐리시를 추천하지만, 절반쯤 먹으면 곰팡이가 핀다는 내용이 자주 쓰여 있다.[9][10] 그러나, 요괴 연구자 쿄고쿠 나츠히코와 야마구치 빈타로에 따르면, 이 이론은 쇼와 시대 이후 어린이용 책에서 만들어졌다.[11]

요괴 화가이자 만화가인 미즈키 시게루의 고향인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시미즈키 시게루 로드에는 미즈키의 일러스트레이션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한 도후코조의 동상이 레스토랑 "도후야 (東府屋)" 옆에 있다.[12]

도후코조는 안에이 시대(1772–1781)의 문헌에 갑자기 등장한 요괴로, 당시의 쿠사조시, 키뵤시, 괴담 책, 장난감 캐릭터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 인기는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1] 민속학 자료, 괴담 모음집인 백물어괴담회, 전설에 등장했다는 확증이 없으므로,[2] 에도 시대에 만들어진 요괴로 여겨진다.

4. 현대의 도후코조

도후코조는 원래 쿠사조시에서 특별한 힘이 없는 하인으로 등장하며, 마을에 도후를 가져다주는 역할을 했다.[3] 豆腐小僧ハ化ものゝ小間使ひ일본어와 같은 센류 시에도 등장한다.[2] 인간에게 친절하고 소심하며 유머러스한 등장인물로 묘사되기도 하고,[3][6] 다른 요괴에게 놀림받는 약한 요괴로 그려지기도 했다.[7]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위로가 되는 캐릭터로 해석되기도 한다.[7] 고이카와 하루마치의 안에이 시대 기뵤시 妖怪仕内評判記일본어에서는 족제비가 도후코조로 변신하며,[2] 이후 책에서는 미코시뉴도가 아버지, 로쿠로쿠비가 어머니로 설정되기도 했다.[6][8]

쇼와 및 헤이세이 시대 이후 문헌에는 비 오는 밤에 나타나 사람들에게 두부 렐리시를 권하지만, 절반쯤 먹으면 곰팡이가 핀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요괴 연구자 야마구치 빈타로에 따르면, 이 내용은 쇼와 시대 이후 어린이용 책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11]

4. 1. 도후코조를 모티브로 한 작품

일반적으로 도후코조는 머리에 대나무와 가사를 쓰고, 둥근 쟁반에 모미지(단풍잎) 모양으로 눌린 도후(두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5] 그들이 입는 옷 무늬에는 천연두를 막기 위한 하루코마(春駒), 다루마 인형, 얼룩부엉이, 흔들리는 북, 빨간 물고기와 같은 행운의 부적이 포함되며, 때로는 아이의 신분을 보여주는 격자 무늬도 볼 수 있다.[3]

쇼와 및 헤이세이 시대 이후 문헌에는 비 오는 밤에 나타나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도후의 렐리시를 추천하지만, 절반쯤 먹으면 곰팡이가 핀다는 내용이 자주 쓰여 있다.[9][10]

요괴 화가이자 만화가인 미즈키 시게루의 고향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의 미즈키 시게루 로드에는 미즈키의 일러스트레이션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한 도후코조 동상이 레스토랑 "도후야 (東府屋)" 옆에 있다.[12] 1926년 이후, 요괴 도감 등에도 그려지던 요괴였지만, 헤이세이 시대에는 아담 카바트가 편저한 『에도 괴물 풀이』(1999년)나 『대에도 괴물 세밀도』(2000년) 등에서 도후코조가 등장하는 그림책 작품이 널리 소개, 번역되어 요괴를 이용한 창작에도 폭넓게 사용되었다.

  • 교고쿠 나츠히코 『도후코조 스고로쿠 도중 후리다시 본조 요괴 성쇠록』(2003년)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5]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図説 日本妖怪大全 講談社
[10]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1] 웹사이트 食にまつわる怪 http://www.top.ne.jp[...] 2008-06-23
[12] 웹사이트 水木しげるロードの妖怪たち http://www.sakaimina[...] 境港市観光協会 2008-06-23
[13] 웹사이트 第15回 お化け大好き〜謎の豆腐小僧を追え! http://www.top.ne.jp[...] ホラーアリス妖怪王 2008-06-23
[14] 서적 妖怪草紙 くずし字入門 柏書房
[15]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16] 서적 江戸化物草紙 小学館
[17] 서적 江戸文学俗信辞典 東京堂出版
[18] 서적 江戸妖怪かるた 国書刊行会
[19] 서적
[20]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21] 서적
[22] 서적 怪 角川書店
[23] 서적 大江戸化物細見 小学館
[24] 서적 江戸の文事 ぺりかん社
[25] 서적 図説 日本妖怪大全 講談社
[26]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27] 서적 妖怪草紙 くずし字入門 柏書房
[28]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29] 서적 江戸化物草紙 小学館
[30] 서적 江戸文学俗信辞典 東京堂出版
[31] 서적 妖怪画本 狂歌百物語 国書刊行会
[32] 서적 江戸妖怪かるた 国書刊行会
[33] 서적 妖怪馬鹿 新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