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별똥별이나 혜성의 꼬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존재로 묘사된다. 중국에서는 흉성을 의미하며, 일본에서는 산악 신앙과 결합하여 산의 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텐구는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특히 코가 높고 날개가 달린 모습이 특징이다. 텐구는 일본 민담, 문학, 대중문화에서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며, '텐구가 되다'와 같은 관용어를 통해 자만심이 강한 사람을 비유하기도 한다. 또한, 코가 특징적인 생물의 이름에 사용되기도 한다.
본래 텐구는 중국에서 흉조를 알리는 유성을 가리키는 말이었다.[49][50] 일본에서 텐구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일본서기 스메이 천황 9년 2월(637년)의 기록으로,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과 굉음을 내는 천체 현상을 텐구라고 기록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이것이 무엇인지 몰라 당황하였는데,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승려 민이 "이것은 별똥별이 아니라 텐구 아마기츠네이다"라고 설명하였다.[12]
텐구는 성립 배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텐구는 수행자의 복장을 하고 붉은 얼굴에 코가 높거나 뾰족하며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코가 높은 텐구는 오오텐구, 코가 뾰족한 텐구는 카라스텐구라고 불린다.[67]
일부 텐구는 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신앙의 대상이 되는 텐구는 대개 이름이 붙어 있다. 아타고 산의 "타로보", 구라마 산의 "소죠보"(구라마 텐구), 히라 산의 "지로보" 외에도, 히에이 산의 "호쇼보", 히코 산의 "부젠보", 쓰쿠바 산의 "호인보", 오야마의 "호키보", 가쓰라기 산의 "다카마보", 다카오 산의 "나이구보", 후지 산의 "타로보", 시라미네 산의 "사누키보" 등이 알려져 있다.[67]
2. 유래
이후 텐구는 구카이나 엔친 등이 일본에 전파한 밀교와 태장계 만다라의 별 신앙, 그리고 엔노 오즈누가 행하던 산악 신앙과 결합하면서 가마쿠라 시대에 이르러 수험도의 수도승(야마부치)을 텐구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는 그들의 독특한 모습과 수행 방식 때문에 기존 종파에서 경멸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한편, 민간에서는 산악 지역을 이계(異界)로 여기고 두려워하며, 그곳에서 일어나는 기괴한 현상을 텐구와 결부시켰다. 이러한 인식은 텐구를 산의 신으로 여기는 경향으로 이어졌고, 오늘날에도 여러 지역에서 텐구를 구힌, 산인, 산의 신 등으로 부르고 있다.
명나라 시대부터는 텐구가 일식이나 월식을 일으킨다는 "텐구 식일식월 신앙"이 등장한다. 텐구가 태양신과 달신의 약을 훔친 개를 쫓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이 신앙은 현재 중국 전역에 퍼져 있다.
3. 텐구의 종류
그 외에도 지역, 전승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텐구가 존재한다.4. 신으로서의 텐구
텐구는 산신과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영험한 산에는 반드시 텐구가 있다고 믿었다.[67] 실제로 산신을 텐구(다이바)라 하는 지방도 많다.[67] 텐구와 관련된 다양한 전설이 전해진다.
5. 텐구와 사루타히코
고사기·일본서기 등에 등장하며, 천손강림 때 안내 역할을 맡았던 쿠니츠카미의 사루타히코는 키가 크고 긴 코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어, 일반적인 텐구의 이미지와 혼동되어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67]
제례에서 사루타히코 역을 맡을 때는 텐구 가면을 쓴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통례이다.[67]
멘카케교레츠(고료 신사)
6. 예술과 대중문화 속 텐구
텐구는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초기에는 사람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연과 같은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새의 날개, 머리, 부리 등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3] 14세기경부터는 텐구의 긴 코가 특징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는 새의 부리를 인간화한 것으로 보인다.[3]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사루타히코 오카미의 긴 코와도 연관된다.[4] 마을 축제에서는 텐구와 사루타히코 오카미가 동일한 붉은 남근 모양의 코 가면 디자인으로 묘사되기도 한다.[5]
13세기부터 텐구는 야마부시와 연관되어 슈겐도를 수행하는 산악 수행자의 모습으로 묘사되기 시작했다.[7] 텐구는 야마부시의 독특한 의상인 ''토킨'' 머리 장식과 유이에사를 착용하고, 불교 승려가 사용하는 지팡이인 카크라를 휘두르는 모습으로 자주 나타난다.[8]
텐구는 마법의 하우치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민간 설화에서 이 부채는 사람의 코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거대한 바람을 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전해진다.[9] 이외에도 ''텐구-게타''라고 불리는 키가 크고 이가 하나 달린 ''게타'' 샌들과 같은 독특한 액세서리와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10]
thumbnail
일본 민담에서 텐구는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텐구가 등장하는 민간 설화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 天狗の隠れみの|텐구노 카쿠레미노일본어: 소년이 텐구를 속여 투명하게 만드는 마법 짚 망토를 얻는 이야기.[34]
- 瘤取り爺さん|코부토리 지이상일본어: 텐구들이 노인의 혹을 떼어주고, 이웃 노인은 혹을 얻게 되는 이야기.[35]
- 天狗の羽団扇|텐구노 하우치와일본어: 악당이 텐구의 부채를 얻어 코를 늘리고 줄이는 이야기.[36]
- 天狗の瓢箪|텐구노 효탄일본어: 도박꾼이 텐구를 속여 마법 박을 얻는 이야기.[37]
텐구는 무술과도 관련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텐구는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에게 검술을 가르쳤다고 한다.[9] 노 극 ''구라마 텐구''에서는 요시츠네(우시와카)가 소조보라는 텐구에게 검술을 배우는 이야기가 묘사된다.[40]
텐구는 현대 소설, 일본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롤플레잉 게임,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서 등장하는 인기 있는 소재이다.[42]
7. 텐구에 관한 관용어 및 은유
텐구는 자만심이 센 요괴로서, 코가 높은 것이 그 상징이다. 이 때문에 '''‘텐구가 되다’'''라는 관용어도 생겨났는데, 이것은 자만심이 센 사람에 대한 비유로 쓰인다.[67] 중세 일본 불교에는 불교의 육도(여섯가지 세계) 외에 텐구도(天狗道)라는 것이 있었는데, 불법을 배웠기 때문에 지옥에는 떨어지지 않으나, 사악한 술수를 쓰기 때문에 극락에도 가지 못하는 무간지옥을 텐구도라고 불렀다.
에도 시대 말기까지 비범한 신체 능력, 권력 등 인간을 초월한 힘을 가진 자를 "텐구"라고 칭하는 은유가 사용되었다.
- 고시라카와 법황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일본 제일의 대텐구"라고 불리며 경계받았다.
- 초기 기리시탄은 기독교의 악마를 자보(Diabo)라고 부르고 텐구로 번역했다.
- 지바 에이지로 - 젊은 나이에 천재 검객으로 명성이 높아 "지바의 소텐구"라고 칭송받았다.
- 텐구소병 - 텐구의 둥지처럼 가지가 뻗어나가는 데서 유래된 나무의 병.
8. 텐구 관련 생물 이름
참조
[1]
서적
Myths and Legends
https://www.worldcat[...]
Wellfleet Press
[2]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http://www.credorefe[...]
ABC-CLIO
201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hinto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11
[2]
서적
Japanese mythology A to Z
https://www.worldcat[...]
Chelsea House Publishers
2010
[2]
서적
Ritual and identity: performative practices as effective transformations of social reality?
https://www.worldcat[...]
Lit; Global [distributor]
2006
[2]
서적
Japan's sexual gods: shrines, roles and rituals of procreation and protection
https://www.worldcat[...]
Brill
2015
[2]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http://www.credorefe[...]
ABC-CLIO
2011
[3]
문서
de Visser, pp. 61. The kite referred to here is ''tobi'' or ''tonbi'' (鳶), the Japanese black kite (''Milvus migrans lineatus'').
[4]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Shinto:Sarutahiko
http://eos.kokugakui[...]
[5]
문서
Moriarty p. 109.
[6]
문서
Fister p. 105. See images from this scroll
http://www.nezu-muse[...]
[6]
문서
Fister p. 105. See images from this scroll
http://www.nezu-muse[...]
[7]
문서
de Visser, pp. 55–57.
[8]
문서
"Fister, p. 103. For images of the ''yamabushi''"
[9]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Samurai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Age of Musashi to Contemporary Pop Culture
Tuttle Publishing
[10]
문서
Mizuki 2001, p. 122.
[11]
문서
de Visser, pp. 27–30.
[12]
문서
de Visser, pp. 34–35.
[13]
문서
de Visser, pp. 87–90.
[14]
문서
de Visser, pp. 43–44; Mizuki, Mujara 4, p.7.
[15]
문서
de Visser, pp. 38–43.
[16]
문서
de Visser, pp. 45–47. This ''tengu''-ghost eventually appeared and admitted to riding on the emperor's back with his wings clasped over the man's eyes.
[17]
문서
de Visser, pp. 48–49.
[18]
문서
Mizuki 2001.
[19]
문서
de Visser, pp. 51–53.
[20]
문서
de Visser, pp. 71.
[21]
문서
de Visser, p. 82; most kanji and some name corrections retrieved from
http://www1.bbweb-ar[...]
[22]
문서
Mizuki 2001
[23]
문서
de Visser, p. 84; Mizuki 2003, p. 70. The term konoha-tengu is often mentioned in English texts as a synonym for ''daitengu'', but this appears to be a widely repeated mistake which is not corroborated by Japanese-language sources.
[24]
문서
Mizuki, Mujara 4, p. 94
[25]
문서
Mizuki, Mujara 1, p. 38
http://www.nichibun.[...]
[26]
간행물
遠州の天狗囃子
民間伝承の会
[27]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28]
서적
全国妖怪事典
[[小学館]]
[29]
문서
de Visser, pp. 58–60.
[30]
문서
de Visser, pp. 72–76.
[31]
문서
de Visser, pp. 76–79. The okoze fish is known to science as Anema inerme, the mottled [[Stargazer (fish)|stargazer]].
[32]
문서
Folklore texts cited in the Kaii*Yōkai Denshō Database
[32]
문서
Ueda Eikichi, 1937
http://www.nichibun.[...]
[32]
문서
Ueda Eikichi, 1937
http://www.nichibun.[...]
[32]
문서
Ogura Manabu, 1972
http://www.nichibun.[...]
[32]
문서
Ogura Manabu, 1972
http://www.nichibun.[...]
[32]
문서
Chūō Daigaku Minzoku Kenkyūkai (Chuo University Folklore Research Society), 1986
http://www.nichibun.[...]
[33]
문서
de Visser (Fox and Badger) p. 107–109
[3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Shinto: Izuna Gongen
http://eos.kokugakui[...]
[3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Shinto: Akiha Shinkō
http://eos.kokugakui[...]
[33]
웹사이트
Saijoji, a.k.a. Doryo-son
http://www.asahi-net[...]
[34]
문서
Seki p. 170
http://web-japan.org[...]
[35]
문서
Seki p. 128–129
https://archive.toda[...]
[36]
서적
Seki p. 171. A version of this story has been popularized in English as "The Badger and the Magic Fan".
[37]
웹사이트
Seki p. 172. Online version
http://www.geocities[...]
[38]
문서
de Visser, pp. 67.
[39]
문서
de Visser, pp. 47–48.
[40]
웹사이트
Outlined in Japanese
http://www.noh-kyoge[...]
[41]
문서
de Visser, p. 79.
[42]
웹사이트
Fandom Facts you may not know - Tengu - Wattpad
https://www.wattpad.[...]
2023-04-12
[43]
웹사이트
👺 Japanese Goblin Emoji
https://emojipedia.o[...]
Emojipedia
2023-04-12
[44]
웹사이트
Tengu
https://en.touhouwik[...]
2024-10-07
[45]
트윗
Shiftry's Inspiration: Shiftry is based on Tengu, creatures from Japanese mythology who protect forests and have long noses & white hair. Tengu are known to wield magical leaf fans and read people's minds -- attributes that help explain Shiftry's moveset and Pokedex entries.
2019-12-02
[46]
웹사이트
Pokemon Fan Rediscovers One Monster's Spiritual Origins
https://comicbook.co[...]
2023-04-12
[47]
웹사이트
47 Ronin (2013)
http://www.imdb.com/[...]
IMDb
2023-04-12
[48]
웹사이트
Tactics
https://www.anime-pl[...]
Anime-Planet
2004-10-06
[49]
웹사이트
正法念処経巻第十九
http://www.kosaiji.o[...]
広済寺
2010-08-12
[50]
문서
大正大蔵経 T0721_.17.0111a02:一、T0721_.17.0111a03: 切身分 光焔騰赫 見是相者 皆言憂流迦、T0721_.17.0111a04下 魏言天狗下
[51]
서적
日本怪異妖怪大事典
東京堂出版
[52]
서적
『妖怪の本』
학연
[53]
웹사이트
「江戸のお化け・妖怪」(キャーッツ!)
banbanzai777.blog76.[...]
2011-08-15
[54]
간행물
天狗のイメージ生成について―十二世紀後半までを中心に―
https://www.lang.nag[...]
名古屋大学大学院国際言語文化研究科
2007-11-15
[55]
웹사이트
天狗草紙絵巻
https://emuseum.nich[...]
[56]
문서
『吾妻鏡』内の脚注より。
[57]
웹사이트
<お宝発見!> (9)古代ザメの歯:中日新聞Web
https://www.chunichi[...]
2022-02-09
[58]
간행물
遠州の天狗囃子
民間伝承の会
[59]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60]
서적
全国妖怪事典
小学館
[61]
서적
妖怪と絵馬と七福神
青春出版社
[62]
간행물
青根村の霊怪
民間伝承の会
[63]
문서
『南佐久口碑伝説集南佐久編限定復刻版』発行者長野県佐久市教育委員会 全232P中 99P 昭和53年11月15日発行
[64]
웹사이트
researchmap 勝俣 隆
https://researchmap.[...]
[65]
웹사이트
天狗の古典文学における図像上の変化に関する一考察 : 烏天狗から鼻高天狗ヘ
https://hdl.handle.n[...]
2005
[66]
서적
天狗はどこから来たか
大修館書店
[67]
웹사이트
텐구의 이미지 생성 과정에 대하여
http://www.lang.nago[...]
[68]
문서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지어진 단편 그림이야기책
[69]
간행물
엔슈의 텐구하야시
민간전승 모임
[70]
서적
종합 일본 민속어휘
헤이본샤
[71]
서적
전국요괴사전
쇼가쿠칸
[72]
서적
요괴와 에마(絵馬)와 칠복신
세이슌 출판사
2004
[73]
간행물
세이콘 마을의 영괴(霊怪)
민간전승 모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