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보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보리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잡초로 취급받았으며, 롤린 알칼로이드와 맥각 알칼로이드를 생성하여 독성을 띈다. 고대 문헌과 성경,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에서 언급되며, 특히 마태복음의 가라지 비유에 등장하는 유독한 잡초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보리아족 - 김의털
김의털은 한국 중부 이남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 다년생 목초로, 가뭄에 강하며 균근 곰팡이와의 공생을 통해 생태계 유지에 기여한다. - 쥐보리아족 - 쥐보리속
쥐보리속은 벼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로, 가늘고 긴 잎과 수상 꽃차례를 가지며 작은 이삭이 꽃차례 축에 좌우로 번갈아 배열되는 특징을 보이고, 목초, 잔디 등으로 활용되지만 잡초로 분류되기도 한다. - 유독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유독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독보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Lolium temulentum |
명명자 | L. |
한국어 이름 | 도크무기 |
영어 이름 | Darnel, Cockle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계급 없음) | 속씨식물 (Angiosperms) |
강 (계급 없음) | 외떡잎식물 (Monocots) |
아강 (계급 없음) |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목 | 이네목 (Poales) |
과 | 이네과 (Poaceae) |
속 | 도크무기속 (Lolium) |
종 | 도크무기 (L. temulentum) |
기타 | |
분류군 식별자 | Q162088 |
2. 특징
'''독보리'''는 단자엽식물벼과독보리속의 한해살이풀로, 키는 30-80cm이며, 밑동에서 줄기를 곧게 세워 포기를 이룬다. 잎은 가늘고 길며 길이는 40-60cm, 폭은 3-10mm이며, 아래면은 거칠고, 작은 잎귀와 높이 1-2mm의 잎혀가 있다.
봄부터 여름에 곧게 서서 분지하지 않는 이삭을 내며, 이삭의 길이는 10-30cm가 된다. 이삭에는 자루가 없는 작은이삭이 붙고, 작은이삭은 길이 2cm 정도의 작은 꽃을 5-10개 단다. 작은이삭은 제2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더 길다. 작은 꽃에는 15mm 정도의 까끄라기가 있다. 작은이삭은 이삭축보다 굵다. 이삭축은 거칠다.
유럽 원산으로 여겨지지만, 서아시아 기원이 지적되고 있다.[11] 전 세계의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메이지 시대에 귀화했다.
재배되는 맥류의 의태 잡초로, 풀의 형태가 곧게 서고, 비탈립성이거나, 휴면으로부터의 각성 등, 생활사가 맥류와 동조한다.[12]
맥각균과의 ''Neotyphodium'' 속의 감염으로, 균이 생산하는 곤충에 대한 신경독 롤린 알칼로이드가 독보리의 식물체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물에 대한 독성을 가진 맥각 알칼로이드도 생산된다 (라이그래스 스태거 참조).
2. 1. 형태
독보리는 일반적으로 밀과 동일한 생산 지역에서 자라며, 현대적인 선별 기계가 독보리 씨앗을 밀 씨앗에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전까지는 심각한 잡초였다.[1] 이 두 식물의 유사성은 매우 커서 일부 지역에서는 독보리를 "'''가짜 밀'''"이라고 부른다.[2] 이삭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밀과 매우 유사하다.''L. temulentum''의 이삭은 밀보다 더 가늘다. 소수는 자루에 옆으로 놓여 있고 포영이 하나만 있는 반면, 밀의 소수는 납작한 면이 자루를 향하고 두 개의 포영이 있다. 밀은 익으면 갈색으로 변하는 반면, 독보리는 검은색이다.[3]
독보리는 단자엽식물벼과독보리속의 한해살이풀로, 키는 30-80cm이며, 밑동에서 줄기를 곧게 세워 포기를 이룬다. 잎은 가늘고 길며 길이는 40-60cm, 폭은 3-10mm이며, 아래면은 거칠고, 작은 잎귀와 높이 1-2mm의 잎혀가 있다. 봄부터 여름에 곧게 서서 분지하지 않는 이삭을 내며, 이삭의 길이는 10-30cm가 된다. 이삭에는 자루가 없는 작은이삭이 붙고, 작은이삭은 길이 2cm 정도의 작은 꽃을 5-10개 단다. 작은이삭은 제2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더 길다. 작은 꽃에는 15mm 정도의 까끄라기가 있다. 작은이삭은 이삭축보다 굵다. 이삭축은 거칠다.
독보리는 내생균 진균인 ''Neotyphodium'' 속에 감염될 수 있으며, 내생균이 생성하는 살충성 롤린 알칼로이드는 이 식물에서 처음 분리되었다.[4]
2. 2. 생태
독보리는 일반적으로 밀과 동일한 생산 지역에서 자라며, 현대적인 선별 기계가 독보리 씨앗을 밀 씨앗에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전까지는 심각한 잡초였다.[1] 이 두 식물의 유사성은 매우 커서 일부 지역에서는 독보리를 "'''가짜 밀'''"이라고 부른다.[2] 이삭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밀과 매우 유사하다. ''L. temulentum''의 이삭은 밀보다 더 가늘다. 소수는 자루에 옆으로 놓여 있고 포영이 하나만 있는 반면, 밀의 소수는 납작한 면이 자루를 향하고 두 개의 포영이 있다. 밀은 익으면 갈색으로 변하는 반면, 독보리는 검은색이다.[3]독보리는 내생균 진균인 ''Neotyphodium'' 속에 감염될 수 있으며, 내생균이 생성하는 살충성 롤린 알칼로이드는 이 식물에서 처음 분리되었다.[4]
독보리를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는 ''ivraie'' (라틴어 ''ebriacus'', 취함에서 유래)인데, 이는 감염된 식물을 먹고 생기는 치명적일 수 있는 취한 듯한 메스꺼움을 표현한다.[1] 프랑스어 이름은 과학적 이름인 라틴어 ''temulentus'' "취한"과 같은 맥락이다.
재배되는 맥류의 의태 잡초로, 풀의 형태가 곧게 서고, 비탈립성이거나, 휴면으로부터의 각성 등, 생활사가 맥류와 동조한다.[12]
맥각균과의 ''Neotyphodium'' 속의 감염으로, 균이 생산하는 곤충에 대한 신경독 롤린 알칼로이드가 독보리의 식물체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물에 대한 독성을 가진 맥각 알칼로이드도 생산된다 (라이그래스 스태거 참조).
2. 3. 분포
유럽 원산으로 여겨지지만, 서아시아 기원이 지적되고 있다.[11] 전 세계의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메이지 시대에 귀화했다. 독보리는 단자엽식물벼과독보리속의 한해살이풀로, 키는 30-80cm이며, 밑동에서 줄기를 곧게 세워 포기를 이룬다. 잎은 가늘고 길며 길이는 40-60cm, 폭은 3-10mm이며, 아래면은 거칠고, 작은 잎귀와 높이 1-2mm의 잎혀가 있다. 봄부터 여름에 곧게 서서 분지하지 않는 이삭을 내며, 이삭의 길이는 10-30cm가 된다. 이삭에는 자루가 없는 작은이삭이 붙고, 작은이삭은 길이 2cm 정도의 작은 꽃을 5-10개 단다. 작은이삭은 제2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더 길다. 작은 꽃에는 15mm 정도의 까끄라기가 있다. 작은이삭은 이삭축보다 굵다. 이삭축은 거칠다.3. 내생균 및 독성
독보리는 내생균 진균인 ''Neotyphodium'' 속에 감염될 수 있으며, 내생균이 생성하는 살충성 롤린 알칼로이드는 이 식물에서 처음 분리되었다.[4]
3. 1. 롤린 알칼로이드
독보리는 내생균 진균인 ''Neotyphodium'' 속에 감염될 수 있으며, 내생균이 생성하는 살충성 롤린 알칼로이드는 이 식물에서 처음 분리되었다.[4]3. 2. 맥각 알칼로이드
4. 명칭
학명 Lolium은 켈트어 loloa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맥각균 혼동설도 있지만, 성경에서는 독보리의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13]
5. 문학 및 역사 속 독보리
고대 그리스 식물학자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기원론''(De causis plantarum) (8:7 §1)에서 밀이 독보리(''aira'')로 변형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metaballein''), 그 이유는 밀을 파종한 밭에서 수확할 때 종종 독보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5]
익명의 고전 그리스 작품인 게오포니카: 농업 추구에는 독보리(''zizonia'')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다.[6]
독보리(''zizonia'')는 마태복음의 가라지의 비유에 나오는 유독한 잡초였다.
"가라지를 먼저 거두어 불에 사르도록 단으로 묶고, 곡식은 내 곳간에 들여놓으라."- 마태오 13:30
에델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있던 모든 덴마크인을 학살하라고 명령하면서 "이 섬에서 밀 사이에 독보리처럼 자라난 모든 덴마크인들은 가장 정의로운 절멸을 통해 파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7]
독보리는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도 잡초로 언급되어 있다.[8]
독보리는 고대 폰토스 왕국의 왕이었던 미트리다테스 6세가 매일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는 미트리다테스의 많은 재료 중 하나이다.
독보리는 미쉬나의 킬라임 (1:1)에서 זונין (주닌/zuninhe)로 언급되며, 아랍어 زؤان (주안/zuʾānar)과 유사하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면에 관하여''에서 잠을 유도하는 물질 목록에 독보리를 언급했다.[10]
신약성경 중 마태복음 13장 24~30절 "밭의 가라지 비유", 34~43절 "가라지 비유의 설명"에 기술된 "ζιζάνιαel(그리스어)"가 "독보리"로 번역된다. "밭의 가라지 비유" 외에는 독보리라는 단어는 성경에서 사용되지 않는다.[14][15]
어린 시기에는 밀과 구별하기 어렵다. 뿌리도 밀과 얽혀 있어서 뽑으면 밀도 함께 뽑아 버릴 위험이 있다. 이삭이 나오면 구별할 수 있으므로 수확 때까지 함께 자라도록 하라고 명령했다는 성경 말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 비유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떤 사람의 밭에 원수가 독보리를 몰래 뿌린다. 종들이 알아차리고 곧바로 베어내려고 하지만, 주인은 수확할 때까지 기다리라고 지시한다. 곧바로 뽑으면 좋은 것도 뽑아버릴 수 있지만, 충분히 자랐을 때라면 완전히 가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16]
5. 1. 고대 문헌
고대 그리스 식물학자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기원론''(De causis plantarum) (8:7 §1)에서 밀이 독보리(''aira'')로 변형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metaballein''), 그 이유는 밀을 파종한 밭에서 수확할 때 종종 독보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5] 익명의 고전 그리스 작품인 게오포니카: 농업 추구에는 독보리(''zizonia'')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다.[6] 독보리(''zizonia'')는 마태복음의 가라지의 비유에 나오는 유독한 잡초였다.}}
에델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있던 모든 덴마크인을 학살하라고 명령하면서 "이 섬에서 밀 사이에 독보리처럼 자라난 모든 덴마크인들은 가장 정의로운 절멸을 통해 파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7] 독보리는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도 잡초로 언급되어 있다.[8] 독보리는 고대 폰토스 왕국의 왕이었던 미트리다테스 6세가 매일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는 미트리다테스의 많은 재료 중 하나이다. 독보리는 미쉬나의 킬라임 (1:1)에서 זונין ()로 언급되며, 아랍어 زؤان ()과 유사하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면에 관하여''에서 잠을 유도하는 물질 목록에 독보리를 언급했다.[10]
5. 2. 성경
고대 그리스 식물학자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기원론''(De causis plantarum) (8:7 §1)에서 밀이 독보리(''aira'')로 변형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metaballein''), 그 이유는 밀을 파종한 밭에서 수확할 때 종종 독보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5] 익명의 고전 그리스 작품인 게오포니카: 농업 추구에는 독보리(''zizonia'')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다.[6]
독보리(''zizonia'')는 마태복음의 가라지의 비유에 나오는 유독한 잡초였다. 어린 시기에는 밀과 구별하기 어렵다.[16] 뿌리도 밀과 얽혀 있어서 뽑으면 밀도 함께 뽑아 버릴 위험이 있다. 이삭이 나오면 구별할 수 있으므로 수확 때까지 함께 자라도록 하라고 명령했다는 성경 말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16]
}}
에델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있던 모든 덴마크인을 학살하라고 명령하면서 "이 섬에서 밀 사이에 독보리처럼 자라난 모든 덴마크인들은 가장 정의로운 절멸을 통해 파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7] 독보리는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도 잡초로 언급되어 있다.[8] 독보리는 고대 폰토스 왕국의 왕이었던 미트리다테스 6세가 매일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는 미트리다테스의 많은 재료 중 하나이다. 독보리는 미쉬나의 킬라임 (1:1)에서 זונין ()로 언급되며, 아랍어 زؤان ()과 유사하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면에 관하여''에서 잠을 유도하는 물질 목록에 독보리를 언급했다.[10]
신약성경 중 마태복음 13장 24~30절 "밭의 가라지 비유", 34~43절 "가라지 비유의 설명"에 기술된 "ζιζάνιαel(그리스어)"가 "독보리"로 번역된다. "밭의 가라지 비유" 외에는 독보리라는 단어는 성경에서 사용되지 않는다.[14][15]
이 비유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떤 사람의 밭에 원수가 독보리를 몰래 뿌린다. 종들이 알아차리고 곧바로 베어내려고 하지만, 주인은 수확할 때까지 기다리라고 지시한다. 곧바로 뽑으면 좋은 것도 뽑아버릴 수 있지만, 충분히 자랐을 때라면 완전히 가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16]
5. 3. 셰익스피어
고대 그리스 식물학자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기원론''(De causis plantarum) (8:7 §1)에서 밀이 독보리(''aira'')로 변형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metaballein''), 그 이유는 밀을 파종한 밭에서 수확할 때 종종 독보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5] 익명의 고전 그리스 작품인 게오포니카: 농업 추구에는 독보리(''zizonia'')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다.[6] 독보리(''zizonia'')는 마태복음의 가라지의 비유에 나오는 유독한 잡초였다.
}}
에델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있던 모든 덴마크인을 학살하라고 명령하면서 "이 섬에서 밀 사이에 독보리처럼 자라난 모든 덴마크인들은 가장 정의로운 절멸을 통해 파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7] 독보리는 미트리다테스 6세가 매일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는 미트리다테스의 많은 재료 중 하나이며, 미쉬나의 킬라임 (1:1)에서 זונין ()로 언급되며, 아랍어 زؤان ()과 유사하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면에 관하여''에서 잠을 유도하는 물질 목록에 독보리를 언급했다.[10]
5. 4. 기타
고대 그리스 식물학자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기원론''(De causis plantarum)에서 밀이 독보리로 변형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5] 익명의 고전 그리스 작품인 게오포니카: 농업 추구에는 독보리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다.[6] 독보리는 마태복음의 가라지의 비유에 나오는 유독한 잡초였다.}}
에델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있던 모든 덴마크인을 학살하라고 명령하면서 "이 섬에서 밀 사이에 독보리처럼 자라난 모든 덴마크인들은 가장 정의로운 절멸을 통해 파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7] 독보리는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도 잡초로 언급되어 있다.[8] 고대 폰토스 왕국의 왕이었던 미트리다테스 6세가 매일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는 미트리다테스의 많은 재료 중 하나이기도 하다. 독보리는 미쉬나의 킬라임 (1:1)에서 זונין ()로 언급되며, 아랍어 زؤان ()과 유사하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면에 관하여''에서 잠을 유도하는 물질 목록에 독보리를 언급했다.[10]
참조
[1]
서적
The Lagoon: How Aristotle Invented Science
Bloomsbury
2014
[2]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Wm. B. Eerdmans Publishing
2009
[3]
서적
The Jerusalem Talmud
Walter de Gruyter
2000
[4]
간행물
Loline alkaloids: currencies of mutualism
[5]
문서
Horace's Satire 2.6 refers to “vetch” as the grain eaten by the country mouse while he serves his guest fancier, but that grain is probably not darnel, which is generally toxic to animals and birds as well as humans.
[6]
웹사이트
See the English translation by Thomas Owen published in 1806 (posted at https://archive.org/details/Geoponica02/page/n2/mode/1up) and the Greek-English Lexicon of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published in 1946 and posted at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057:entry=ziza/nion).
https://archive.org/[...]
[7]
간행물
'Cockles Amongst the Wheat': Danes and English in the Western Midlands in the First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8]
서적
Natural history in Shakespeare's time
https://archive.org/[...]
Elliot Stock
[9]
문서
Artscroll Kilayim
2012-06
[10]
웹사이트
On Sleep and Sleeplessness
https://classics.mit[...]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2023-08-28
[11]
간행물
仙田貴之ら(2004)「マイクロサテライトおよびAFLPマーカーを用いたドクムギの地理的分化の解析」日本雑草学会誌第49巻 別号 144-145
[12]
간행물
仙田貴之ら(2004)「マイクロサテライトおよびAFLPマーカーを用いたドクムギの地理的分化の解析」日本雑草学会誌第49巻 別号 144-145
[13]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14]
서적
聖書語句事典
新教出版社
[15]
서적
聖書語句大辞典 新約旧約
教文館
1982
[16]
서적
新聖書注解 新約1
いのちのことば社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