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산건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산건설은 196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로, 토목, 건축, 주택,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한다. 2004년 두산그룹에 편입되었으며, 200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두산중공업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2020년 두산그룹으로부터 분리하려 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주요 아파트 브랜드로는 두산위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설립된 기업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1976년 설립된 기업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건설 기업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건설 기업 - GS건설
    GS건설은 1969년 락희개발로 설립되어 2005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GS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건설 회사로,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자이' 아파트 브랜드로 알려져 있고, 국내외 주요 건설 프로젝트 참여와 신사업 분야 확장을 통해 성장해 왔다.
  • 대한민국의 브랜드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브랜드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두산건설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두산건설 로고
두산건설 로고
정식 명칭두산건설 주식회사
영문 명칭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국가대한민국
설립일1976년 4월 7일
이전 회사없음 (새로운 법인으로 설립)
산업 분야건설업 외
본사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26 (논현동)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170,575백만원
매출액1,828,661백만원
영업이익29,997백만원
순이익-165,066백만원
자산 총액1,550,662백만원
경영진
대표이사 사장이정환
대표이사 전무이강홍
주식 정보
자회사
자회사 목록네오트랜스주식회사
밸류웍스주식회사
Doosan Heavy Industry Vietnam Haiphong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두산건설 공식 홈페이지

2. 기업 연혁

2006년, 두산건설은 영국의 보일러 설계 및 엔지니어링 회사인 Mitsui Babcock Energy영어를 인수했다.

2019년, 두산건설은 두산중공업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주식 시장에서 상장 폐지될 것이 발표되었다.[1]

2020년 6월 15일, 두산건설은 매수자를 찾기 위해 두산그룹으로부터 분리하려 한다고 발표했다. 두산건설은 일부 자산과 부채를 밸류그로스(Valuegrowth Corporation)에 분사하고, 밸류그로스 보통주의 69.5%를 소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2]

2. 1. 현대그룹 시절 (1976년 ~ 2001년)

고려산업개발주식회사는 현대건설 및 현대산업개발과 함께 현대그룹의 건설사업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기업이다.

1976년 4월 7일 고려항만개발(주) 설립.

1983년 11월 1일 서산지구 간척농지 개발사업 참여 (현대건설과 공동).

1984년 12월 30일 고려산업개발(주)로 상호 변경.

1985년 3월 30일 한국포장건설(주) 흡수 합병.

1986년 3월 1일 이천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86년 3월 서산지구 간척지 영농사업 개시.

1986년 5월 1일 석수골재사업소 사업개시.

1987년 5월 11일 한강골재사업소 사업개시.

1987년 10월 1일 안양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87년 8월 22일 노조설립(전국화학노조 연맹 가입).

1988년 4월 29일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1989년 1월 1일 서산 영농사업소 현대건설로 업무 이관.

1994년 9월 6일 철강재설치공사 면허취득.

1995년 2월 1일 아산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96년 1월 30일 증권거래소 주식상장, 광주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이천공장 폐쇄(레미콘 제조), 순천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98년 8월 11일 현대알루미늄공업(주) 및 (주)신대한과 합병으로 언양공장(알루미늄 압연), 금형공장(금형 제조), 춘천공장(전선 제조) 합병취득.

1998년 12월 31일 현대리바트(주) 합병, 용인공장 합병취득(가구 제조).

1999년 3월 1일 영통사업소(레미콘 제조) 신설.

1999년 6월 5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산업개발 → 현대자동차).

1999년 7월 14일 레미콘(KOLAS) 인증획득(레미콘원자재 시험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1999년 7월 30일 Y2K 인증취득(한국 Y2K 인증센터).

1999년 7월 31일 가구사업부문 종업원지주사로 분사 (주식회사 리바트).

1999년 11월 22일 '99년 경영혁신대상 경영대상 수상(한국능률협회).

1999년 12월 8일 익산공장(폴리에틸렌파이프 제조) 신설.

2000년 3월 24일 기술용역업 사업목적추가.

2000년 6월 3일 본사사옥 이전(무교동 96번지 현대빌딩).

2000년 6월 12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자동차 → 현대중공업).

2001년 2월 23일 염창공장(레미콘) 매각.

2001년 3월 2일 '''부도 발생'''.

2001년 3월 20일 회사정리절차 개시 신청.

2001년 3월 24일 회사재산 보전처분 결정.

2001년 3월 29일 기타 남북경제협력사업 사업목적 추가.

2001년 4월 16일 회사정리절차 개시 결정.

2001년 8월 1일 '''현대 계열에서 분리됨'''.

2001년 11월 22일 회사정리계획안 인가 결정.

2001년 12월 28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중공업 → 평화은행).

2002년 2월 7일 최대주주 변경(평화은행 → 서울보증보험).

2002년 7월 2일 M&A를 위한 회사매각 공고.

2003년 12월 19일 회사정리계획변경계획안 인가.

2004년 1월 10일 '''회사정리절차 종결'''.

2. 1. 1. 한국포장건설 주식회사 (1976년 ~ 1985년)

1976년 3월 16일 토건, 레미콘, 아스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4월 토목건축공사 면허를 취득했다. 1979년 12월 도로건설포장공사업 면허와 전기공사업 면허를 취득했다.

1980년 1월 관악공장과 염창공장에서 레미콘 사업을 시작했다. 1983년 3월에는 인천에 레미콘 제조 공장을 신설했고, 1984년 4월에는 대전에 레미콘, 아스콘 제조 공장을, 6월에는 울산에 레미콘 제조 공장을, 9월에는 부산에 레미콘, 아스콘 제조 공장을 신설했다.

1985년 3월 30일 고려산업개발에 흡수 합병되었다.

2. 1. 2. 고려산업개발 주식회사 (1976년 ~ 2004년)

1976년 4월 7일 고려항만개발(주) 설립.

1983년 11월 1일 서산지구 간척농지 개발사업 참여 (현대건설과 공동).

1984년 12월 30일 고려산업개발(주)로 상호 변경.

1985년 3월 30일 한국포장건설(주) 흡수 합병.

1986년 3월 1일 이천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86년 3월 서산지구 간척지 영농사업 개시.

1986년 5월 1일 석수골재사업소 사업개시.

1987년 5월 11일 한강골재사업소 사업개시.

1987년 10월 1일 안양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87년 8월 22일 노조설립(전국화학노조 연맹 가입).

1988년 4월 29일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1989년 1월 1일 서산 영농사업소 현대건설로 업무 이관.

1994년 9월 6일 철강재설치공사 면허취득.

1995년 2월 1일 아산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96년 1월 30일 증권거래소 주식상장, 광주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이천공장 폐쇄(레미콘 제조), 순천공장 신설(레미콘 제조).

1998년 8월 11일 현대알루미늄공업(주) 및 (주)신대한과 합병으로 언양공장(알루미늄 압연), 금형공장(금형 제조), 춘천공장(전선 제조) 합병취득.

1998년 12월 31일 현대리바트(주) 합병, 용인공장 합병취득(가구 제조).

1999년 3월 1일 영통사업소(레미콘 제조) 신설.

1999년 6월 5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산업개발 → 현대자동차).

1999년 7월 14일 레미콘(KOLAS) 인증획득(레미콘원자재 시험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1999년 7월 30일 Y2K 인증취득(한국 Y2K 인증센터).

1999년 7월 31일 가구사업부문 종업원지주사로 분사 (주식회사 리바트).

1999년 11월 22일 '99년 경영혁신대상 경영대상 수상(한국능률협회).

1999년 12월 8일 익산공장(폴리에틸렌파이프 제조) 신설.

2000년 3월 24일 기술용역업 사업목적추가.

2000년 6월 3일 본사사옥 이전(무교동 96번지 현대빌딩).

2000년 6월 12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자동차 → 현대중공업).

2001년 2월 23일 염창공장(레미콘) 매각.

2001년 3월 2일 '''부도 발생'''.

2001년 3월 20일 회사정리절차 개시 신청.

2001년 3월 24일 회사재산 보전처분 결정.

2001년 3월 29일 기타 남북경제협력사업 사업목적 추가.

2001년 4월 16일 회사정리절차 개시 결정.

2001년 8월 1일 '''현대 계열에서 분리됨'''.

2001년 11월 22일 회사정리계획안 인가 결정.

2001년 12월 28일 최대주주 변경(현대중공업 → 평화은행).

2002년 2월 7일 최대주주 변경(평화은행 → 서울보증보험).

2002년 7월 2일 M&A를 위한 회사매각 공고.

2003년 12월 19일 회사정리계획변경계획안 인가.

2004년 1월 10일 '''회사정리절차 종결'''.

2. 2. 두산그룹 편입 및 합병 (2004년 ~ 현재)

두산중공업과 두산건설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옛 현대 계열사인 고려산업개발을 인수하였고, 얼마 뒤 두산건설과 고려산업개발이 합병하여 두산산업개발주식회사라는 이름의 국내 수위권의 건설사로 도약하였다. 두산산업개발주식회사는 곧 두산건설로 회사 이름이 변경된다.[1]

2006년, 두산건설은 영국의 보일러 설계 및 엔지니어링 회사인 미쓰이 밥콕 에너지(Mitsui Babcock Energy영어)를 인수했다.

2019년, 두산건설은 두산중공업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주식 시장에서 상장 폐지될 것이 발표되었다.[1]

2020년 6월 15일, 두산건설은 매수자를 찾기 위해 두산그룹으로부터 분리하려 한다고 발표했다. 두산건설은 일부 자산과 부채를 밸류그로스(Valuegrowth Corporation)에 분사하고, 밸류그로스 보통주의 69.5%를 소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2]

2. 2. 1. 두산건설 주식회사 (1960년 ~ 2004년)

1960년 7월 1일 불입 자본금 5백만원으로 회사가 설립되었고, 1961년 3월 10일 건설업 면허(제1488호)를 취득했다. 1975년 11월 27일 우리사주조합을 결성하고, 12월 9일 주식을 상장했다.

1976년 2월 16일 이집트 카이로 공사 수주를 시작으로 해외에 진출했으며, 같은 해 6월 18일 해외건설업(토목공사업2호, 건축공사업3호) 면허와 8월 31일 해외건설 특수공사 면허를 취득했다. 1977년 8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 공사 수주, 1978년 11월 25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지점 설치, 12월 21일 카이로 현지법인을 설치했다. 1980년 6월 11일 해외건설 전기공사 면허를 취득하고, 8월 23일 뉴욕지점을 설치했다.

1982년 3월 23일 국내 F.E.D공사(동두천 상수도 정수 시설공사)에 진출했고, 6월 18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1987년 8월 18일 두산기업에 30억원을 출자했다. 1989년 10월 6일 중앙고속도로 (제7공구) 공사(262억 2900만원)를 수주했다.

1990년 6월 17일 기업부설연구소를 인정받았고(과학기술처), 11월 14일 전국품질관리대회 연구팀장 VE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12월 8일 제2경인고속도로 2공구(245억원)를 수주했다. 1992년 5월 12일 제2경인고속도로 1공구(512억 8200만원)를 수주했다.

1993년 2월 26일 제33회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두산건설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3년 10월 8일 구로 제6구역 재개발사업(754억 8700만원), 1994년 4월 16일 봉천동 8구역 재개발사업(1,700억원)을 수주했다. 1994년 6월 21일 이집트 아스완호텔공사(224억원)를 수주하고, 6월 22일 분당선 왕십리-분당간 복선전철 노반시설공사 제5공구(467억 2천만원)를 수주했다. 1994년 7월 9일 석관동 두산아파트 신축공사 사업승인(1,500억원)을 받고, 10월 21일 충남 서산단지 개발사업(약 1,000억원)을 수주했다.

1995년 1월 16일 잠실시영아파트 재건축사업(1,250억원), 6월 30일 서울외곽순환도로 제10공구 건설공사(227억원)를 수주했다. 1996년 3월 26일 경부고속철도 제1-1공구 노반시설기타공사(693억), 11월 15일 대전-진주간 고속도록 제3공구(463억)를 수주했다. 1997년 3월 11일 중부고속도로 확장공사(하남-호법간)(761억), 7월 1일 공공공사 수주금액 1조원을 돌파했고, 9월 10일 중부내륙고속 5공구(여주-구미)(907억), 12월 5일 대전도시철도 1-2공구(290억)를 수주했다.

1998년 2월 13일 서울외곽 10공구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되었고, 6월 30일 두산개발(주) 건설부문 영업을 양수했다. 11월 1일 이화령터널을 준공했다(3년11개월 소요). 1999년 6월 11일 중부내륙고속도로6-1공구(444억원)를 수주하고, 12월 6일 광주순환도로 우선협상자로 지정되었다.

2000년 6월 2일 월곡Hill's Vill 두산아파트가 국내최초 그린빌딩 시범인증 아파트로 선정되었으며, 12월 12일 '''한국중공업 인수에 성공'''했다. 2001년 5월 4일 두산엔지니어링을 합병하고, 7월 13일 잠실시영아파트 재건축공사(1,385억원), 12월 4일 고속국도 제1호선 부산 ~ 언양간 확장공사(950억원)를 수주했다.

2002년 4월 9일 분당구 정자동 두산 위브 센티움 오피스텔 신축공사(1,924억원), 4월 20일 부산 해운대 주공아파트 재건축 공사(1,100억원)를 수주했다. 5월 30일 경부고속철도 11-1공구 노반 신설공사(865억원), 6월 5일 경부고속철도 14-1공구 노반 신설공사(1,135억원), 10월 8일 경부고속철도 10-5공구 노반 신설공사(678억원)를 수주했다.

2003년 2월 8일 경부고속철도 제11-4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405억원), 2월 18일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1,734억원)을 체결했다. 3월 18일 가음정 주공아파트 재건축공사(1,022억원), 6월 24일 안양 석수 한신아파트 재건축공사(888억원)를 수주했다. 7월 16일 매일경제신문 2003년 '살기 좋은 아파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8월 22일 고려산업개발(주) M&A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10월 15일 부천 중동 주거복합 신축공사(2공구)(2,078억)를 수주했다. 12월 31일 대전광역시 2003년도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되었다.

2004년 2월 13일 고려산업개발(주)와의 피 흡수합병 계약을 체결, 3월 26일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4월 30일 '''고려산업개발(주)으로 피 흡수 합병'''되었고, 5월 6일 두산건설(주)는 해산등기되었다.

2. 2. 2. 두산산업개발 주식회사 (2004년 ~ 2007년)

2004년 2월 2일 고려산업개발주식회사가 두산 계열로 편입되었다.[1] 3월 26일 두산건설주식회사와의 합병계약 승인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4월 30일 고려산업개발주식회사가 두산건설주식회사를 흡수 합병하였다.[1] 5월 6일 두산건설주식회사 흡수합병 등기 후, 고려산업개발(주)에서 두산산업개발(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2004년 8월 23일 두산기업주식회사와의 소규모합병승인 이사회 결의를 거쳐, 10월 1일 두산기업주식회사를 흡수 합병하고, 10월 5일 흡수 합병 등기를 완료하였다.[1]

2005년 2월 1일 유화사업부문을 양도하였고, 8월 1일 알루미늄 사업부문을 양도하였다.[1] 2006년 12월 21일 레저사업부문 및 레미콘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였다. 같은 해, 두산건설은 영국의 보일러 설계 및 엔지니어링 회사인 미쓰이 밥콕 에너지(Mitsui Babcock Energy)를 인수했다. 이는 박정희 정권부터 이어져 온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2. 3. 두산건설 주식회사 (2007년 ~ 현재)

2007년 3월 16일, '''두산산업개발주식회사의 사명을 두산건설로 상호 변경'''하였다. 2010년 11월 4일에는 두산메카텍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다.

2013년 4월 17일, 두산중공업의 HRSG사업부문을 양수하였다. 2014년 1월 14일에는 (주)렉스콘을 흡수합병하였고, 2014년 3월 17일 최대주주가 두산중공업으로 변경되어 두산중공업이 두산건설의 지분 57.58%를 소유하게 되었다.

2006년, 두산건설은 영국의 보일러 설계 및 엔지니어링 회사인 미쓰이 밥콕 에너지(Mitsui Babcock Energy영어)를 인수했다.

2018년 5월 9일, 중부내륙선 이천~문경 철도건설 제9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를 수주(694.1억원)하였다.

2019년, 두산건설은 두산중공업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주식 시장에서 상장 폐지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

2020년 6월 15일, 두산건설은 매수자를 찾기 위해 두산그룹으로부터 분리하려 한다고 발표했다. 두산건설은 일부 자산과 부채를 밸류그로스(Valuegrowth Corporation)에 분사하고, 밸류그로스 보통주의 69.5%를 소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2]

3. 주요 사업 분야

두산건설은 고속도로, 지하철, 도로, 교량, 산업 및 주거 단지 건설, 간척, 항만 건설 등 모든 유형의 토목 공사에 대한 설계, 시공, 유지 보수 및 수리를 수행한다.[5] 에너지, 산업, 환경 플랜트를 포함한 다양한 플랜트 엔지니어링 사업 분야에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저온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가스 처리 플랜트와 같은 시설을 건설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마다가스카르 암모니아 터미널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 '''토목'''
  • * 도로/고속도로
  • * 철도/지하철
  • * 교량/터널
  • * 항만/매립/수처리 및 하수 처리
  • * 민자 SOC 사업 (신분당선 건설출자사)[5]
  • '''건축'''
  • * 업무 시설
  • * 교육/R&D/생산 시설
  • * 문화/회의/체육 시설
  • * 레저/호텔/상업 시설
  • * 공공/의료 시설
  • * 전기 공사
  • * 리모델링
  • '''주택'''
  • * 재건축
  • * 재개발
  • * 자체 개발 사업
  • * 주택 개발 사업
  • * 도급 사업 (두산위브더제니스)
  • '''플랜트'''
  • * 환경 플랜트
  • * 탄화수소/에너지 플랜트
  • * 산업 플랜트
  • '''CPE (화학 공정 설비)'''
  • * 타워/컬럼
  • * 원자로
  • * 열교환기
  • * 압력 용기
  • * 기타
  • '''강교'''
  • * 일반 교량
  • * 현수교
  • * 트러스 교
  • * 사장교

4. 브랜드

2001년 만들어진 두산건설의 아파트 브랜드 두산위브(We've)는 모든 것을 다 가진 풍요로운 삶을 뜻한다.[3] 아파트 브랜드 외에 오피스텔 브랜드로 두산위브센티움, 초고층 고급 주상복합 브랜드로 두산위브더제니스 등이 있으며, 도곡동에는 상설 주택전시관인 ‘아트스퀘어’가 있다.[3] ‘아트스퀘어’는 2009년 국내 건설 업계 최초로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및 독일 iF communication design award에서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3]

5. 사회적 책임 및 논란

5. 1. 두산중공업의 지원 및 재무 문제

2013년 2월 4일, 자금난으로 인해 최대주주인 두산중공업과 두산그룹 오너 일가가 총 1조원에 해당하는 지원을 결정했다. 두산중공업은 5,716억 규모의 배열회수보일러(HRSG) 사업을 두산건설에 현물출자한다.[4]

5. 2. 하도급 업체와의 갈등 (삭제 제안)

참조

[1] 웹사이트 Doosan E&C to Be Delisted and Turned into an Affiliate of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http://www.businessk[...] 2019-12-13
[2] 웹사이트 Doosan E&C spins off construction assets https://koreajoongan[...] 2021-07-28
[3] 뉴스 두산건설, `2011년 굿 디자인` 대상 수상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2-03-19
[4] 뉴스 '자금난' 건설사 지원…또 그룹 수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2-04
[5] 웹사이트 신분당선주식회사 - 회사소개 - 참여회원사 - 건설출자사 http://www.shinbunda[...] 2014-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