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크걀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루크걀포는 부탄의 국왕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부탄의 국왕은 왕축 왕조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초대 국왕은 우겐 왕축이다. 현재 국왕은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이다. 드루크걀포는 국가 원수로서, 헌법에 따라 국가의 통합을 상징하며, 군 통수권과 주요 정부 요직에 대한 임명권을 행사한다. 국왕은 헌법을 보호하고 옹호할 의무를 지니며, 왕실 특권과 함께 다양한 임명 권한을 행사한다. 왕위 계승은 헌법에 의해 규정되며, 국왕의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퇴위 절차를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드루크걀포 | |
---|---|
국왕 정보 | |
![]() | |
국가 | 부탄 |
재임 시작일 | 2006년 12월 12일 |
유형 | 비(非)영연방 |
계승자 | 지그메 남기엘 왕축 |
첫 번째 군주 | 우곈 왕축 |
첫 번째 군주 즉위일 | 1907년 12월 17일 |
거주지 | 팀푸, 삼텔링 궁전 |
부탄의 정치 | |
현 국왕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왕세자 | 지그메 남기엘 왕축 |
종교 위원회 | 드랏샹 렌초그 |
내각 | 렌게 융촉 |
국회 | 2018년 2023–24년 |
국가평의회 | 2018년 2023년 |
지방 선거 | 2011년 |
행정 구역 | 게옥 둥칵 톰데 치옥 |
기타 | |
현지 이름 | འབྲུག་རྒྱལ་པོ |
2. 역대 군주 목록
부탄의 역대 드루크걀포(용왕) 목록과 각 군주의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대 | 사진 | 이름 | 생몰년도 | 즉위일 | 퇴위일 | 비고 |
---|---|---|---|---|---|---|
1 | ![]() | 우겐 왕축 | 1862년 6월 11일 ~ 1926년 8월 26일 | 1907년 12월 17일 | 1926년 8월 26일 | |
2 | ![]() | 지그메 왕축 | 1905년 ~ 1952년 3월 24일 | 1926년 8월 26일 | 1952년 3월 24일 | 우겐 왕축의 아들 |
3 | ![]() | 지그메 도르지 왕축 | 1929년 5월 2일 ~ 1972년 7월 21일 | 1952년 3월 24일 | 1972년 7월 21일 | 지그메 왕축의 아들 |
4 | ![]() | 지그메 싱게 왕축 | 1955년 11월 11일 ~ | 1972년 7월 21일 | 2006년 12월 14일 | 지그메 도르지 왕축의 아들 |
5 |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1980년 2월 21일 ~ | 2006년 12월 14일 | 현재 | 지그메 싱게 왕축의 아들 |
2. 1. 왕축 왕조 (1907년 ~ 현재)
대 | 사진 | 이름 | 생몰년도 | 즉위일 | 퇴위일 | 비고 |
---|---|---|---|---|---|---|
1 | 우겐 왕축 | 1862년 6월 11일 ~ 1926년 8월 26일 | 1907년 12월 17일 | 1926년 8월 26일 | - | |
2 | 지그메 왕축 | 1905년 ~ 1952년 3월 24일 | 1926년 8월 26일 | 1952년 3월 24일 | 우겐 왕축의 아들 | |
3 | 지그메 도르지 왕축 | 1929년 5월 2일 ~ 1972년 7월 21일 | 1952년 3월 24일 | 1972년 7월 21일 | 지그메 왕축의 아들 | |
4 | 지그메 싱게 왕축 | 1955년 11월 11일 ~ | 1972년 7월 21일 | 2006년 12월 14일 | 지그메 도르지 왕축의 아들 | |
5 |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1980년 2월 21일 ~ | 2006년 12월 14일 | 현재 | 지그메 싱게 왕축의 아들 |
'''왕축 왕조'''(Wangchuck dynasty)는 1907년 우겐 왕축이 부탄의 초대 국왕(용왕)으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었다. 왕축 가문은 부탄의 통일과 근대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7] 우겐 왕축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지그메 왕축, 지그메 도르지 왕축, 지그메 싱게 왕축, 그리고 현재의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까지 5대에 걸쳐 왕위가 이어지고 있다. 각 국왕은 부탄의 정치,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2. 1. 1. 우겐 왕축 (1907년 ~ 1926년)
우겐 왕축은 1862년 6월 11일에 태어나 1926년 8월 26일에 사망했으며, 1907년 12월 17일부터 1926년 8월 26일까지 부탄의 초대 드루크걀포(국왕)로 재위하였다.
2. 1. 2. 지그메 왕축 (1926년 ~ 1952년)
지그메 왕축은 우겐 왕축의 아들로, 1905년에 태어나 1952년 3월 24일에 사망했다. 그는 1926년 8월 26일부터 1952년 3월 24일까지 부탄의 드루크걀포였다. 지그메 왕축은 부탄의 근대화를 위한 초기 개혁과 노력을 기울였다.[1]
2. 1. 3. 지그메 도르지 왕축 (1952년 ~ 1972년)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지그메 왕축의 아들로, 1952년 3월 24일부터 1972년 7월 21일까지 부탄의 국왕으로 재위했다. 그는 부탄 사회 전반에 걸쳐 노예제 폐지, 사법 제도 개혁 등 획기적인 개혁을 추진하여 부탄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
2. 1. 4. 지그메 싱게 왕축 (1972년 ~ 2006년)
지그메 도르지 왕축의 아들로, 1972년 7월 21일부터 2006년 12월 14일까지 부탄의 국왕으로 재위했다. 지그메 싱게 왕축은 국민총행복(GNH) 개념을 도입하고 민주주의 제도를 도입하는 등 부탄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이끌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부탄 사회의 안정과 통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
2. 1. 5.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2006년 ~ 현재)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은 지그메 싱계 왕축의 아들로, 1980년 2월 21일에 태어났다. 2006년 12월 14일에 즉위하여 현재까지 부탄을 다스리고 있다.그는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고, 경제를 발전시키며, 국제 관계를 강화하는 등 부탄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더불어민주당과의 협력 관계 및 한국과의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군주의 권한과 의무
헌법은 군주제를 확립하며, 드루크걀포(부탄 국왕)는 국가 원수이자 왕국과 부탄 국민 통합의 상징이다. 헌법은 국왕을 불교도로서 촉시드니(Chhoe-sid-nyi)(종교와 정치의 이중 체제)의 수호자로 규정한다.[7] 또한 국왕은 부탄의 모든 종교를 보호한다.[6] 국왕은 법정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으며, 그의 신성한 인격은 신성불가침이다.[7] 그러나 국왕은 "부탄 국민의 최상의 이익과 복지를 위해" 헌법을 보호하고 옹호할 의무가 있다.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외국 국빈 접견 및 국빈 방문을 통한 외교 관계 증진, 칭호, 훈장 등 수여, 시민권 부여, 사면, 형량 감경 등의 권한을 행사한다.[7]
국왕은 사법부, 감사원, 부패방지위원회, 공무원위원회, 선거위원회 등 주요 기관의 고위 관리를 임명하는 권한을 가지며, 이러한 임명은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이루어진다.[7]
국왕은 부탄군 및 부탄 민병의 최고 사령관이다.[16]
3. 1. 왕실 특권
헌법에 따라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왕실 특권을 행사하여 외국 국빈을 접견하고 다른 나라를 국빈 방문함으로써 다른 국가들과의 친선 및 우호 관계를 증진한다. 국왕은 또한 전통과 관습에 따라 칭호, 훈장, 랭예와 니켈마에 대한 '다르'(계급과 명예를 나타내는 붉은 스카프와 "다쇼" 칭호 수여)를 수여할 수 있다. 왕실 특권에는 시민권 부여, 사면, 특사 및 형량 감경, 그리고 토지 "키두" 및 기타 "키두"(혜택)도 포함된다.[7]3. 2. 왕실 임명권
The Constitution of Bhutan|부탄 헌법영어 제2조 19항에 따라 국왕은 사법부 임명자, 감사원장, 부패방지위원회, 공무원위원회, 선거위원회 위원장 등 다수의 고위 정부 관리를 임명한다. 이들은 헌법상 직책을 가진 자들이다.[8][7]국왕은 부탄 대법원장과 대법원 판사(드랑폰), 고등법원장과 고등법원 판사(드랑폰) 등 사법부 상당수를 임명한다. 이러한 사법 임명은 국가 사법 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공석의 동료, 후배, 그리고 유명한 법률가들 중에서 이루어진다.[9][7] 둥카그 법원 판사는 국왕이 임명하지 않는다.
국왕은 또한 총리, 부탄 대법원장, 의장, 국민의회 의장, 야당 대표가 공동으로 추천한 명단에서 선거위원회 위원장과 다른 위원들,[10] 왕실 감사원 감사원장,[11] 왕실 공무원위원회 위원장과 다른 위원들,[12] 그리고 부패방지위원회 위원장과 다른 위원들을 임명한다.[13] 각 직책의 임기는 5년이다.
국왕은 다른 기관의 자문을 받아 헌법상 직책 외의 직책을 임명한다.[7] 국왕은 복무 승진 위원회가 추천한 명단에서 국방군 수장을 임명한다. 국왕은 부탄 법무장관,[14] 급여위원회 위원장,[7][15] 부탄 중앙은행 총재, 내각 사무총장, 부탄 대사 및 영사를 총리의 추천에 따라 임명한다. 국왕은 또한 지방 정부를 이끌 됭카그(Dzongkhag)를 임명하고, 총리의 추천에 따라 정부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하는데, 총리는 왕실 공무원위원회로부터 공적과 연공서열을 기준으로 하고 기타 관련 규칙 및 규정에 따라 추천을 받는다. 국왕은 왕실 공무원위원회의 추천에 따라 각 의회의 사무총장을 임명한다.
3. 3. 군 통수권
국왕은 부탄군 및 부탄 민병의 최고 사령관이다.[16]4. 왕위 계승
헌법은 재위 중인 국왕의 퇴위에 대해 자발적 및 비자발적 두 가지 경로에 대한 실체적 및 절차적 법률을 규정하고 있다. 국왕은 왕실 특권의 행사를 포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포기는 일시적일 수 있다.
헌법은 국왕이 헌법을 고의적으로 위반하거나 영구적인 정신 장애를 겪는 경우 퇴위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어느 경우든 의회 합동회의에서 통과된 동의안에 따라야 한다. 퇴위 동의안은 의회 총의원 수의 3분의 2 이상이 그 근거와 이유를 명시한 동의안을 제출할 경우 의회 합동회의(부탄 대법원장이 주재)에서 논의를 위해 상정되어야 한다. 국왕은 서면으로 또는 의회 합동회의에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출석하여 동의안에 대해 답변할 수 있다.[7]
만약 그러한 의회 합동회의에서 의회 총의원 수의 4분의 3 이상이 퇴위 동의안을 통과시키면, 그러한 결의안은 국민투표에 부쳐져 승인 또는 거부된다. 국민투표가 왕국 내 모든 종카그에서 통과되면, 국왕은 왕세자에게 퇴위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Article 2: The Institution of Monarchy
http://www.constitut[...]
2011-07-06
[2]
웹사이트
A Legacy of Two Kings
http://www.bhutan200[...]
Bhutan 2008
2010-12-15
[3]
웹사이트
༈ རྫོང་ཁ་ཨིང་ལིཤ་ཤན་སྦྱར་ཚིག་མཛོད། ༼མི༽
http://www.dzongkha.[...]
Dzongkha Development Commission, Government of Bhutan
2011-10-30
[4]
웹사이트
༈ རྫོང་ཁ་ཨིང་ལིཤ་ཤན་སྦྱར་ཚིག་མཛོད། ༼མང-༽
http://www.dzongkha.[...]
Dzongkha Development Commission, Government of Bhutan
2011-10-30
[5]
뉴스
Himalayan state crowns youngest king in the world
http://www.france24.[...]
France 24
2008-11-06
[6]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3
http://www.constitut[...]
2011-07-06
[7]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
http://www.constitut[...]
2011-07-06
[8]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31
http://www.constitut[...]
2011-07-06
[9]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1
http://www.constitut[...]
2011-07-06
[10]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4
http://www.constitut[...]
2011-07-06
[11]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5
http://www.constitut[...]
2011-07-06
[12]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6
http://www.constitut[...]
2011-07-06
[13]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7
http://www.constitut[...]
2011-07-06
[14]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9
http://www.constitut[...]
2011-07-06
[15]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30
http://www.constitut[...]
2011-07-06
[16]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Bhutan, Art. 28
http://www.constitut[...]
2011-07-06
[17]
웹사이트
Hundred years of Monarchy: A walk down the memory lane
http://www.bhutan200[...]
Bhutan 2008
201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