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자는 말을 탈 때 발을 올려놓는 도구로, 기원전 4세기경 북방 유목 민족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등자는 기병의 안정성을 높여 전투력 향상에 기여했으며, 화약 이전 시대의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등자의 등장으로 기병 전술이 변화하고, 사회적으로 기사의 지위가 높아지는 등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유럽에는 8세기에 전해졌으며, 중세 기사들의 활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금속, 합성 재료 등으로 만들어지며, 다양한 안전 기능을 갖춘 등자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구 - 박차
박차는 기수가 말에게 다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부츠 뒤꿈치에 장착하는 승마용 장비로, 요크, 생크, 로웰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를 가지고 있고 승마 분야에 따라 쓰임새와 규정이 다르다. - 마구 - 재갈
재갈은 입을 막는 도구로, 소설, BDSM, 법적/사회적 억압, 의료, 마구, 정치 만평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굴욕감, 표현의 자유 침해, 검열 등을 상징한다. - 인도의 발명품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인도의 발명품 - 수차
수차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 기계로, 고대부터 농지 관개나 맷돌 등에 사용되었으며, 충동 수차와 반동 수차로 분류되고, 최근에는 수력 터빈으로 발전하여 전력 생산에 활용된다.
등자 | |
---|---|
말 장비 | |
![]() | |
종류 | 말 장비 |
명칭 | |
영어 | Stirrup |
일본어 | 鐙 (아부미) |
설명 | |
정의 | 기수의 발을 지탱하는 가벼운 틀 또는 고리 |
2. 역사
등자는 인류가 말을 타기 시작한 기원전 4500년경보다 훨씬 늦은 기원전 4세기경 북방 유목민족들이 처음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랴오닝성의 모용 선비 유적에서 다량의 첩갑과 등자가 출토되어 이 지역이 등자의 기원지로 주목받고 있다.[43] 중국에서는 서기 2~3세기부터 사용되었다. 유럽에는 8세기 경에야 등자가 전해졌는데, 이는 중세 유럽에서 기사들이 활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43]
등자는 기병이 안정적인 자세로 말을 탈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중요했다. 등자가 없던 시절에도 기병이 존재했지만, 두 다리만으로 말 허리를 조여 몸을 고정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힘들었고, 훈련된 기병이라도 전투 중 말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병들은 창으로 적을 찌르는 동시에 창을 놓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43]
등자 도입 이후, 유럽에서는 기병을 활용한 전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중세 유럽의 상징인 기사는 등자 덕분에 강력한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비잔틴 제국, 중동, 중국에서도 중장기병 발달에 등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등자는 기병에게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하여 화약 이전 전쟁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등자는 전차와 안장에 이어 전쟁에서 말의 사용을 확장시키는 세 번째 혁명적 단계로 불리기도 한다. 등자는 기병전술의 기본을 크게 변화시켰다. 등자의 도움을 받은 기병은 전투 중에 떨어질 위험이 적었고, 말과 기수의 무게와 운동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무기로 타격을 가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수에게 더 큰 균형과 지지력을 제공하여 기사가 검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하이힐은 등자로 인해 개발된 신발이며, 발이 등자에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1. 기원과 초기 형태
인류는 기원전 4500년경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지만, 등자는 상대적으로 매우 늦게 발명되었다. 가장 초기의 발 받침대는 인도에서 기원전 2세기 말에 사용된 엄지발가락 고리 형태였다.[7][8] 기원전 1세기 인도에서는 섬유나 가죽으로 만든 안장 바닥에 엄지발가락을 걸 수 있는 끈 고리가 사용되었다.[40][41][42] 이는 남인도와 중앙 인도의 따뜻한 기후에 적합한 형태였다.
산치 사원, 마투라, 바자 동굴의 불교 조각(기원전 1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는 안장 아래에 발가락을 끼운 정교한 안장을 갖춘 기마병이 묘사되어 있다. 고고학자 존 마셜은 산치 부조를 "세계 어느 곳에서든 등자를 사용한 가장 초기의 예로서 5세기가량 앞선다"라고 묘사했다.
준아파니 근처 무덤에서 발굴된 기원전 1세기의 이중 굽힘 철 막대(길이 약 17cm)는 전체 발 등자 또는 재갈로 추정된다.[9][10][11]
등자의 기원은 서진 시대의 중국 혹은 만주에 있으며,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것은 각각 302년과 322년에 매장된 선비와 동진의 묘에서 나온 토우 말이며, 실물로 가장 오래된 것은 북연 귀족인 풍소불의 부장품이다. 따라서 등자가 발명된 것은 서기 290~300년경으로 여겨진다. 이후 목제 등자가 널리 보급되어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는 5세기경에 승마 풍습과 함께 전해졌다.[39]
2. 2. 동아시아의 등자
등자는 기원전 4세기경 북방 유목민족들이 처음 개발했다고 전해지며, 랴오닝성의 모용 선비 유적에서 다량의 첩갑과 등자가 출토되어 이 지역이 등자의 기원지로 주목받고 있다.[43] 중국에서는 서기 2~3세기부터 등자가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쌍등자는 기원후 4세기 초 서진 시대 중국에서 처음 등장했다. 등자를 묘사한 302년경의 묘지 조각상이 창사 인근의 서진 무덤에서 발굴되었다.[21]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쌍등자는 기원후 415년에 사망한 북연 귀족 풍사부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이 등자는 뽕나무에 청동과 철판을 입혀 제작되었다.
4~5세기경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등자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반도에도 이른 시기에 등자가 전래되었음을 보여준다.[22]
일본에는 5세기경에 등자가 전래되었으며, 고분 시대 유물에서 금속으로 덮인 나무 등자가 발견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발 전체를 지지하는 설장등자가 개발되었다. 이는 또는 로 대체되었으며, 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밑면이 있었고 발가락 컵의 오른쪽과 왼쪽이 제거되었다. 열린 측면은 기수가 등자에 발이 걸려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등자의 군사용 버전()은 헤이안 시대 중기에 사용되었다. 더 얇고, 더 깊은 발가락 주머니, 더 길고 평평한 발 받침대가 있었다. 이 등자는 19세기 후반에 유럽식 등자 고리가 다시 도입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일본인이 이러한 독특한 스타일의 등자를 개발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24]
2. 3. 서아시아 및 유럽의 등자

유럽에는 8세기 경에 등자가 전해졌으며, 이는 중세 유럽에서 기사들이 활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3] 등자가 없던 시절에는 두 다리만으로 말 허리를 조여 몸을 고정시켜야 했기 때문에, 기병은 어릴 적부터 훈련해야 했고, 전투 중 말에서 떨어지는 경우도 많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병들은 창으로 적을 찌르는 동시에 창을 놓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43]
등자의 도입으로 유럽에서는 기병을 적극 사용하는 전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중세 유럽의 상징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는 기사는 등자의 덕을 톡톡히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비잔틴 제국, 중동, 중국에서도 중장기병이 발달하는 데 등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6세기 말 또는 7세기 초, 등자는 중앙아시아의 아바르인과 같은 침략자들로 인해 중국에서 아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퍼졌다. 중세 유럽형 등자의 조상인 철제 서양배 모양의 등자는 7세기 아바르인 무덤에서 발견되었다.[26] 헝가리 및 주변 지역의 55개 매장지에서 길쭉한 현수 루프와 평평하고 약간 안쪽으로 구부러진 발판을 가진 사과 모양의 주철 등자 총 111개가 발굴되었다.[27] 등자에 대한 최초의 유럽 문헌 언급은 로마 황제 마우리키우스에게 귀속되어 575년에서 628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전략론에 나타난다.[28] 마우리키우스의 매뉴얼에는 "안장은 크고 두꺼운 천으로 만들어야 하고, 고삐는 좋은 품질이어야 하며, 안장에는 두 개의 철제 발걸이 [''스칼라'']와 끈이 달린 올가미가 부착되어야 한다."라고 제국 기병의 장비를 언급하고 있다.[29]
8세기에는 등자가 유럽인들에게 더욱 널리 채택되기 시작했다. 서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등자인 부덴하임과 레겐스부르크의 등자는 아바르 카간국에서 전리품이나 선물로 가져온 것이거나, 당시 아바르 전사들이 사용하던 등자를 지역에서 모방한 것이었다. 그러나 아바르 스타일의 등자는 서유럽에서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등자는 메로빙거 왕조와 이탈리아-롬바르드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지 않으며, 카르파티아 분지만큼 자주 발견되지도 않는다.
발트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등자는 7세기 독일에서 존재했던 등자의 복제품이다. 북유럽과 영국에서는 초기 나무, 밧줄, 가죽 형태의 등자가 금속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이 고고학적 기록에서 나타난다.

920년대부터 980년대까지 덴마크에서는 옐링 왕들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지도급 덴마크인들이 기병 묘에서 등자, 말재갈, 박차를 갖춘 채 매장되었다.[32] 잉글랜드에서는 9세기의 스칸디나비아 정착민에 의해 등자가 도입된 것이 아니라, 크누트 대왕과 다른 사람들의 통치 기간 동안의 바이킹 습격과 더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오늘날 프랑스 지역에서는 샤를 마르텔이 등자의 군사적 잠재력을 인식한 것으로 여겨지는 조건으로 압류한 토지를 자신의 가신들에게 분배했다. 이후 샤를마뉴는 가난한 봉신들에게 자원을 모아 기마 기사를 제공하도록 명령했지만, 이 시스템은 실행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대신 기사의 복무에 기반하여 봉신에게 토지를 분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7세기경 등자는 유라시아 대륙을 페르시아에서 이슬람 국가로, 그리고 동로마 제국으로 전해졌고, 그 후 프랑크족으로 퍼졌다. 등자가 등장하면서 말 위에서 버틸 수 있게 되었고, 기사는 적을 향해 돌진할 수 있게 되면서, 기병의 전투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2. 4. 등자 논쟁
일부 학자들은 봉건제의 탄생과 이후 북부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및 슬라브족 영토로의 확산을 등자의 공으로 돌린다. "등자만큼 단순한 발명품은 없었지만, 역사에 그토록 촉매적인 영향을 미친 발명품도 드물다. 등자가 가능하게 한 새로운 형태의 전쟁의 요구 사항은 서유럽 사회의 새로운 형태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토지를 소유한 전사 귀족이 지배하여 새롭고 매우 전문적인 방식으로 싸울 수 있게 되었다."[35]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등자는 충격 전투에서 거의 이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지만, 주로 기수가 싸우는 동안 안장에서 좌우로 더 멀리 기울일 수 있도록 해주고 떨어질 위험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중세 군대에서 보병에서 기병으로 전환한 이유도, 봉건주의가 등장한 이유도 등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36]
3. 등자의 영향
등자는 기원전 4세기경 북방 유목민족들이 처음 개발했다고 전해지며, 랴오닝성의 모용 선비 유적에서 다량의 첩갑과 등자가 출토되어 이곳이 등자의 기원지로 주목받고 있다.[43] 등자는 기병에게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하여 화약 이전 전쟁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묘사된다. 전쟁에서 말의 사용을 확장시키는 도구로서 등자는 전차와 안장에 이어 장비의 세 번째 혁명적 단계로 불리기도 한다.
하이힐은 등자로 인해 개발된 신발이며, 발이 등자에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3. 1. 군사적 측면
등자는 기병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전투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등자가 없던 시대에는 기병 양성이 매우 어려웠고, 양성된 기병도 중세 이후의 기병에 비해 그 질이 떨어졌다.[43] 등자는 기병 전술의 기본을 변화시켰고, 기병은 전투 중 낙마 위험이 줄었으며, 말과 기수의 무게와 운동량을 활용하여 강력한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5]등자가 없던 시절에는 두 다리만으로 말 허리를 조여 몸을 고정시켜야 했는데, 이는 몹시 고된 일이었고 어릴 적부터 훈련하지 않으면 결코 할 수 없는 일이었다. 훈련을 통해 기병이 되었다 해도, 적을 공격할 때 전해지는 반동을 다리 힘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워 전투 중 말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병들은 창으로 적을 찌르는 동시에 창을 놓는 방법을 취하기도 했다.[43]
등자의 도입 이후, 유럽에서는 기병을 적극 사용하는 전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중세 유럽에서 기사들이 활약할 수 있었던 것도 등자 덕분이었다. 비잔틴 제국, 중동, 중국에서 중장기병이 발달할 수 있었던 데에도 등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말리 제국의 기록에는 기병대에서 등자와 안장을 사용하여 찌르기 창과 칼을 이용한 대규모 돌격을 하는 등 새로운 전술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34]
등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기승자는 두 다리의 허벅지로 말의 몸을 조여 말을 탔다. 이 자세는 불안정했고, 말의 격렬한 움직임을 따라가기 어려웠다. 특히 군사 목적으로 말을 이용하는 경우, 불안정한 자세로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말을 탄 채 싸우는 기술(기사)은 기마 민족 외에는 장기간의 훈련을 할 수 있는 극히 일부 귀족 계급만이 가진 특수 기술이었다.
등자의 기원은 서진 시대의 중국 혹은 만주에 있으며,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것은 각각 302년과 322년에 매장된 선비와 동진의 묘에서 나온 토우 말이며, 실물로 가장 오래된 것은 북연 귀족인 풍소불의 부장품이다. 따라서 등자가 발명된 것은 서기 290~300년경으로 여겨진다. 이후 목제 등자가 널리 보급되어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는 5세기경에 승마 풍습과 함께 전해졌다.[39]
유럽에서는 7세기경이 되어서야 등자가 확인되었다. 등자는 유라시아 대륙을 페르시아에서 이슬람 국가로, 그리고 동로마 제국으로 전해졌고, 그 후 프랑크족으로 퍼졌다. 등자가 등장하면서 말 위에서 버틸 수 있게 되었고, 기사는 적을 향해 돌진할 수 있게 되면서, 기병의 전투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중국에서도, 등자의 등장 이전의 주력 무기는 창이나 모와 같은 자루가 긴 무기였지만, 말 위에서의 안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대도와 같은 참격 무기나 채찍과 같은 타격 무기가 사용되었다. 기마 민족에게도 몸이 안정됨으로써 기사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등 장점이 컸다.
3. 2. 사회적 측면
등자가 도입된 이후, 유럽에서는 기병을 적극 사용하는 전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중세 유럽은 북쪽 바이킹의 침략에 끊임없이 시달렸으나, 결과적으로 바이킹이 유럽 전역을 정복할 수 없도록 막았던 요인에는 등자가 중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세 유럽의 상징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는 기사는 무엇보다 이 등자의 덕을 톡톡히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유럽 외에도 비잔틴 제국, 중동, 중국에서 중장기병이 발달할 수 있었던 데에도 등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43]등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기승자는 두 다리의 허벅지로 말의 몸을 조여 말을 탔다. 자세는 불안정했고, 말의 격렬한 움직임을 따라가기 어려웠다. 특히 군사 목적으로 말을 이용하는 경우, 불안정한 자세로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 이 때문에 말을 탄 채 싸우는 기술(기사)은 기마 민족 외에는 장기간 훈련을 할 수 있는 극히 일부 귀족 계급이 가진 특수 기술이었다.
유럽에서는 7세기경이 되어서야 등자가 확인되었다. 등자는 유라시아 대륙을 페르시아에서 이슬람 국가로, 그리고 동로마 제국으로 전해졌고, 그 후 프랑크족으로 퍼졌다. 등자가 등장하면서 말 위에서 버틸 수 있게 되었고, 기사는 적을 향해 돌진할 수 있게 되면서 기병의 전투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전투 시 신속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 된 점이나, 장거리 원정 시에도 사람뿐만 아니라 말에 대한 부담도 크게 줄었다는 점도 중요한 점이다.
또한, 어릴 때부터 말과 친숙한 기마 민족의 기병에 대항하여 농경 민족 국가의 기병도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 높은 군사력을 가진 기사는 사회적으로도 인정받았고, 기사의 발언력이 커지게 되었다.
중국에서도 등자 등장 이전의 주력 무기는 창이나 모와 같은 자루가 긴 무기였지만, 말 위에서의 안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대도와 같은 참격 무기나 채찍과 같은 타격 무기가 사용되었다.
4. 현대의 등자
현대에는 영국식 승마와 웨스턴 승마에서 각각 다른 형태의 등자가 사용된다. 영국식 승마에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등자가, 웨스턴 승마에서는 가죽 재질의 등자가 주로 사용된다. 과거 일본 등에서는 나무로 만든 등자도 사용되었다.[38]
4. 1. 영국식 등자
영국식 안장에 사용되는 등자는 보통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아이언"이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더 이상 철로 만들어지지는 않으며, 대신 강도가 뛰어나 스테인리스강이 선택되는 합금이다.[38] 하지만 기수와 같이 무게가 중요한 경우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기도 한다. 저렴한 등자는 쉽게 구부러지거나 부러질 수 있는 니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등자는 또한 합성 재료와 다양한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표준 등자 디자인에는 많은 변형이 있으며, 대부분은 낙마 시 더 안전하거나 기수가 적절한 발과 다리 자세를 유지하는 데 더 쉽게 해준다고 주장한다.일부 변형은 다음과 같다.
- '''표준 아이언''': 가장 일반적인 등자 아이언으로, 발판, 두 개의 가지, 가죽이 통과할 수 있는 상단의 고리로 구성된다. 오늘날 볼 수 있는 주요 스타일은 다음과 같다.
- * '''필리스''': 무거운 발판과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고리까지 올라가는 가지가 있는 디자인이다.
- * '''프로이센''': 더 둥글고 가벼운 디자인이다.
- '''안전 등자''': 낙마 시 발을 더 쉽게 풀 수 있도록 설계된 다양한 디자인이 있다. 한 스타일은 바깥쪽 가지가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되어 있다. 다른 디자인은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면 분리되어 발을 자유롭게 해주는 분리 가능한 바깥쪽 가지가 특징이다.
- '''측면 안장 등자''': 보통 측면 안장의 두꺼운 등자 가죽을 수용하기 위해 고리가 약간 더 크다.
- '''기타 디자인''': 등자의 가지에 관절이나 경첩이 있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한 모델은 경첩이 부러지는 경향이 있어 2007년에 리콜되었다.[38] 경첩이 달린 등자의 변형으로는, 등자 고리가 90도 회전하여 힘줄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등자를 잃었을 경우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아이슬란드 등자가 있다. 편안함을 높이거나 적절한 발 위치를 돕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다른 많은 특허 디자인이 있다.
현대에는 영국식 승마에서는 금속제, 플라스틱제가 주류이다.
4. 2. 웨스턴 등자
웨스턴 승마에서는 가죽으로 만든 등자를 주로 사용한다.[1]5. 기타
하이힐은 등자에서 발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개발된 신발이다.[43]
5. 1. 어원
영어 단어 "stirrup"은 고대 영어 ''stirap, stigrap'', 중세 영어 ''stirop, styrope''에서 유래되었으며,[3] 이는 등자 혹은 오르내리는 밧줄을 의미한다.[1] 고대 영어 ''stīgan'' "오르다"와 ''rap'' "밧줄, 끈"과 비교해 볼 수 있다.[4]원래 「鐙」은 금속으로 만든 고배를 나타내는 한자였으나, 가차하여 등자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하게 되었다.
5. 2. 등자와 관련된 물건
하이힐은 등자에서 발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개발된 신발이다.[43]참조
[1]
백과사전
[2]
백과사전
stirrup
http://www.merriam-w[...]
[3]
웹사이트
Dictionary.com definition
http://dictionary.re[...]
[4]
어원사전
2019-01-24
[5]
웹사이트
Saddle, Lance and Stirrup
http://www.classical[...]
[6]
서적
Sadd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7]
서적
Sadd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8]
서적
Medieval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ndian Archaeology
[10]
학술지
The rise of the European continent: Old theories and new hypotheses related to innovation
https://www.research[...]
[11]
뉴스
horse bridle-bit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2-01-12
[12]
웹사이트
Stirrups
https://web.archive.[...]
[13]
서적
Conquerors: The Roots of New World Horsemanship
Amigo
[14]
웹사이트
Treeless vs. Conventional Saddles: Back Pressure Evaluated
http://www.thehorse.[...]
[15]
뉴스
AAEP 2004: Evaluating Saddle Fit
http://www.thehorse.[...]
2005-02-04
[16]
웹사이트
Ephippium
https://penelope.uch[...]
2022-10-23
[1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Western Leather Spurs and Spur Straps, Cuffs, Chaps, Chinks and Saddles
http://www.cochisele[...]
[1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addle
http://www.limebrook[...]
[19]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Origins and Construction of the Roman Military Saddle
[20]
학술지
The origins of saddles and riding technology in East Asia: discoveries from the Mongolian Altai
[21]
서적
The Armies of Ancient Persia: The Sassanians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2]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24]
서적
Samurai, warfare and the state in early medieval Japa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5]
서적
The Complete Encyclopedia of Arms and Weapons
Simon & Schuster
[26]
서적
The Hun: Scourge of God AD 375–565
Osprey
[27]
서적
The other Europe in the Middle Ages: Avars, Bulgars, Khazars and Cumans.
Kononklijke Brill N.Y.
[28]
서적
Maurice's Strategikon
[29]
서적
The Strategikon
[30]
서적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Dumbarton Oaks
[31]
서적
[32]
서적
The Norsemen in the Viking age
https://archive.org/[...]
Blackwell
[33]
웹사이트
World Decade for Cultural Development 1988–1997
https://web.archive.[...]
World Decade Secretariat, UNESCO
[34]
학술지
Horses, Firearms, and Political Power in Pre-Colonial West Africa, Past and Present
[35]
서적
Medieval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36]
논문
English Historical Review
[37]
웹사이트
Treeless Saddles
http://lorienstable.[...]
2008-02-02
[38]
웹사이트
Stübben Steeltec Horseback Riding Stirrups Recalled Due to Fall Hazard
https://www.cpsc.gov[...]
2007-08-08
[39]
서적
新版 日本史モノ事典
平凡社
2017-06-21
[40]
서적
Sadd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41]
서적
Medieval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43]
서적
유라시아 역사기행
민음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