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지털 비디오 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은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다양한 전송 매체를 통해 방송하기 위한 표준 기술이다. MPEG-2를 기반으로 영상 및 음성을 압축하며,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 전송 방식에 따라 DVB-S/S2/S2X, DVB-C/C2, DVB-T/T2, DVB-H/SH 등의 세부 표준을 사용한다. 1998년 영국에서 DVB-T 방식의 상업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DVB 프로젝트라는 산업 컨소시엄에서 표준 제정 및 관리를 담당한다. DVB는 유럽,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위성 및 케이블 방송에 채택되고 있다.

2. 역사

DVB 프로젝트는 300여 개의 단체가 가입한 산업 컨소시엄으로,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 유럽 전기 표준화 위원회(CENELEC), 유럽 방송 연합(EBU)에 의해 설립되었다. DVB 표준은 [http://www.etsi.org/services_products/freestandard/home.htm ETSI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등록 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1]

MPEG-2(DVB-MPEG)에 의해 통상 화질 영상 및 고화질 영상이 압축, 다중화(MPEG-2 시스템)된다.[1]

휴대용 소형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규격은 2004년 11월 ETSI 표준 EN 302 304로 공식 채택되었다.[1]

디지털 방송 및 수신을 위한 다른 국제 표준으로는 미국에서 시작된 ATSC와 일본에서 시작된 ISDB가 있다.[1]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규격인 DVB-T 방식의 최초 상업 방송은 영국에서 1998년 9월에 시작되었다. 2003년 독일베를린 지역에서 DVB-T로의 전환이 완료되어 세계 최초로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되었다.[1]

3. 기술 규격

DVB는 영상,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규격(DVB-DATA)도 정의한다. 통신 회선 규격으로는 DVB-RC*가 있으며, DECT(무선 전화 규격), GSM(휴대 전화 규격), 전화 회선(ISDN 포함) 등이 있다.[8] 통신 프로토콜 규격으로는 DVB-IPI(인터넷 프로토콜), DVB-NPI (network protocol independent)가 있으며, DVB-MHP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등에 사용된다.[8]

텔레텍스트(DVB-TXT), 수직 블랭킹 간격 데이터(DVB-VBI) 같은 구형 기술도 지원하지만, 자막 표시 기능을 강화한 DVB-SUB가 주로 사용된다.[8] 이러한 기능은 DVB-SI를 통해 구현된다.[8]

DVB-CI는 유료 방송에 사용되는 DVB-CSA 방식으로 암호화되는 제한 수신(DVB-CA)을 위한 규격이다.[8] 조건부 접속 시스템(DVB-CA)은 공통 스크램블링 알고리즘(DVB-CSA)과 스크램블된 콘텐츠 접근을 위한 물리적 공통 인터페이스(DVB-CI)를 정의한다.[8]

DVB 프로젝트는 콘텐츠 수신 후 보호를 위한 DVB-CPCM을 개발했다.[8] DVB 전송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설명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인 서비스 정보(DVB-SI)가 포함된다.[8]

DVB는 TV-Anytime 포럼의 메타데이터 프로파일(DVB-TVA)을 채택했다.[8] IPTV 사양(DVB-IPI), 광대역 콘텐츠 가이드(DVB-BCG) 메타데이터 정의도 개발했다.[8]

DVB 규격 TS 신호를 방송 장비 간, 유선/위성 회선으로 국가 간 전송하기 위한 규격은 다음과 같다.


  • DVB-SPI (Digital Video Broadcasting - Synchronous Parallel Interface): 동기 병렬 인터페이스
  • DVB-SSI (Digital Video Broadcasting - Synchronous Serial Interface): 동기 시리얼 인터페이스
  • DVB-ASI (Digital Video Broadcasting -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비동기 시리얼 인터페이스

3. 1. 전송 방식

DVB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표준들은 전송 시스템의 물리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을 정의하며, 사용되는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코드에서 차이가 있다.

  • DVB-S (SHF)는 QPSK, 8-PSK 또는 16-QAM을 사용한다.
  • DVB-S2는 방송사의 결정에 따라 QPSK, 8-PSK, 16-APSK 또는 32-APSK를 사용하며, QPSK와 8-PSK가 주로 사용된다.
  • DVB-C (VHF/UHF)는 QAM을 사용한다. (16-QAM, 32-QAM, 64-QAM, 128-QAM 또는 256-QAM)
  • DVB-T (VHF/UHF)는 (C)OFDM과 함께 16-QAM 또는 64-QAM (또는 QPSK)을 사용하며 계층 변조를 지원할 수 있다.


DVB-T2 규격은 2009년 9월에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에서 채택되었다.[2]

최신 DVB-x2 시스템 (DVB-S2, DVB-T2, DVB-C2) 표준의 모드 및 기능 비교는 다음과 같다.

DVB-S2DVB-T2DVB-C2
입력 인터페이스다중 전송 스트림 및 일반 스트림 캡슐화 (GSE)다중 전송 스트림 및 일반 스트림 캡슐화 (GSE)다중 전송 스트림 및 일반 스트림 캡슐화 (GSE)
모드가변 코딩 및 변조 및 적응 코딩 및 변조가변 코딩 및 변조[4]가변 코딩 및 변조 및 적응 코딩 및 변조
FECLDPC + BCH 1/4, 1/3, 2/5, 1/2, 3/5, 2/3, 3/4, 4/5, 5/6, 8/9, 9/10LDPC + BCH 1/2, 3/5, 2/3, 3/4, 4/5, 5/6LDPC + BCH 1/2, 2/3, 3/4, 4/5, 5/6, 8/9, 9/10[5]
변조단일 캐리어, PSK 또는 APSK, 다중 스트림OFDM절대 OFDM[6]
변조 방식QPSK, 8-PSK, 16-APSK, 32-APSKQPSK, 16-QAM, 64-QAM, 256-QAM16- ~ 4096-QAM
보호 간격해당 없음1/4, 19/256, 1/8, 19/128, 1/16, 1/32, 1/1281/64 또는 1/128
푸리에 변환 크기해당 없음1k, 2k, 4k, 8k, 16k, 32k DFT4k 역 FFT[7]
인터리빙비트-인터리빙비트, 시간 및 주파수-인터리빙비트, 시간 및 주파수-인터리빙
파일럿파일럿 심볼분산 및 지속적인 파일럿분산 및 지속적인 파일럿


  • DVB-S (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위성 디지털 방송용): 1993년 제정. 변조 방식 QPSK.
  • DVB-S2 (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 Second Generation, 위성 디지털 방송용): 2005년 발표.
  • DVB-SH: 이동체용 위성 방송 규격.
  • DVB-C (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CATV 디지털 방송용): 1994년 제정. 변조 방식은 QAM(통상은 64-QAM)
  • DVB-C2: 차세대 CATV용
  •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1997년 초에 제정. 변조 방식 COFDM. 주파수 대역 VHF, UHF.
  •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Second Generation Terrestrial, 차세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2007년 발표.
  •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휴대 기기용): 2004년 발표.

3. 2. 영상 및 음성 압축

DVB는 MPEG-2('''DVB-MPEG''')를 통해 통상 화질 및 고화질 영상을 압축하고, MPEG-2 시스템으로 다중화한다.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는 H.26x 및 MPEG 형식 등 이산 코사인 변환(DCT) 기반의 비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8]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는 수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MDCT) 기반의 오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하여 인코딩되며, 여기에는 AAC, 돌비 디지털(AC-3) 및 MP3가 포함된다.[9]

3. 3. 변조 방식

DVB 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 위성 방송 (DVB-S)은 QPSK를 사용하며, DVB-S2는 방송사에 따라 QPSK, 8-PSK, 16-APSK, 32-APSK를 사용한다. 이 중 QPSK와 8-PSK가 주로 사용된다.[2]
  • 케이블 방송 (DVB-C)은 QAM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16-QAM, 32-QAM, 64-QAM, 128-QAM, 256-QAM이 사용된다.[2]
  • 지상파 방송 (DVB-T)는 (C)OFDM 방식과 함께 16-QAM, 64-QAM (또는 QPSK)을 사용하며, 계층 변조를 지원한다.[2]


DVB-T2는 DVB-T보다 더 강력한 수신 성능을 제공하며, 단일 송신기 환경에서는 30% 이상, 대규모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최대 50% 이상의 비트 전송률 증가를 제공한다.[2] DVB-T2는 QPSK, 16-QAM, 64-QAM, 256-QAM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4]

최신 DVB-x2 시스템(DVB-S2, DVB-T2, DVB-C2)의 변조 방식은 다음과 같다.[5][6][7]

DVB-S2DVB-T2DVB-C2
변조 방식QPSK, 8-PSK, 16-APSK, 32-APSKQPSK, 16-QAM, 64-QAM, 256-QAM16- ~ 4096-QAM


3. 4. 부가 서비스

DVB는 데이터 방송,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자막 방송(DVB-SUB), 제한 수신(DVB-CA)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한다.

데이터 통신 규격(DVB-DATA)과 통신 회선 규격(DVB-RC*)이 있으며, DECT(무선 전화 규격의 일종), GSM(휴대 전화 규격의 일종), 전화 회선(ISDN 포함)이 사용된다.[8] 통신 프로토콜 규격으로는 DVB-IPI(인터넷 프로토콜), DVB-NPI (network protocol independent)가 있으며, 이들은 멀티미디어 규격인 DVB-MHP나 EPG에 사용된다.[8]

텔레텍스트 (DVB-TXT) 및 수직 블랭킹 간격 데이터 (DVB-VBI) 같은 구형 기술도 지원되지만, 자막용 DVB-SUB와 같이 더 발전된 기술이 사용된다.[8]

조건부 접속 시스템(DVB-CA)은 공통 스크램블링 알고리즘(DVB-CSA)과 스크램블러된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물리적 공통 인터페이스(DVB-CI)를 정의한다.[8]

DVB 프로젝트는 콘텐츠 수신 후 콘텐츠 보호를 위한 콘텐츠 보호 및 복사 관리 시스템(DVB-CPCM)을 개발했다.[8]

DVB 전송에는 다양한 기본 스트림을 일관된 프로그램으로 연결하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뿐만 아니라 자동 검색 및 필터링을 위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인 서비스 정보(DVB-SI)가 포함된다.[8]

DVB는 TV-Anytime 포럼에서 정의한 메타데이터 프로파일(DVB-TVA)을 채택했다.[8]

DVB는 IPTV를 위한 사양(DVB-IPI)을 개발하는 활동을 시작했으며, 여기에는 광대역 콘텐츠 가이드(DVB-BCG)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의도 포함되었다.[8]

DVB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DVB-MHP)은 소비자 비디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자바 기반 플랫폼을 정의한다.[8]

DVB-I 표준(ETSI TS 103 770)은 기존 디지털 방송 전송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시청각 서비스를 검색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넷 기반 요청 및 응답 메커니즘을 정의하고, 이를 통합된 방식으로 제공한다.[17]

4. 채택 국가 및 지역

유럽 이외 지역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 DVB를 채택하고 있으며, 인도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방송 중이나 향후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대부분의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과 많은 북아메리카 국가들에서는 위성 및 케이블 텔레비전 규격으로 DVB를 채택하고 있다. 캐나다, 대한민국, 멕시코ATSC 방식을 채택한 국가를 제외하면, 아직 지상파 디지털 방식을 결정하지 않은 나라가 많다.

DVB-S와 DVB-C는 1994년에, DVB-T는 1997년에 각각 비준되었다. 최초의 상업적 DVB-T 방송은 1998년 영국에서 시작되었고, 2003년 독일 베를린은 아날로그 TV 방송을 완전히 중단한 첫 지역이 되었다. DVB 표준은 유럽뿐만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등에서도 사용되며, 대부분의 아시아, 아프리카 및 많은 남아메리카 국가에서 케이블 및 위성 방송에 사용된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DVB-T 대신 다른 방식을 채택했다.[31]

4. 1. 아시아

대한민국은 위성 방송(DVB-S)에 한해 DVB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31] 일본에서는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등 일부 위성 방송 사업자가 DVB-S/S2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케이블 및 위성 TV에 DVB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지상파 방송에는 자체 표준인 DMB-T/H를 사용한다. 홍콩 역시 일부 케이블 TV 사업자가 DVB 방식을 사용하고, 지상파는 DMB-T/H를 채택하고 있다.

중화민국(대만)은 DVB-T를 채택했다. 이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말레이시아, 몽골 등은 DVB-T/T2를 채택했다. 동남아시아(필리핀 제외),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등도 DVB-T/T2를 채택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도 DVB-T/T2를 채택하여 사용한다.

4. 2. 유럽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 전 지역에서 DVB-T, DVB-T2, DVB-S, DVB-S2 등 다양한 DVB 표준을 사용하고 있다.[25][26][27][28]

  • '''DVB-T'''는 1997년 초에 제정되었으며, 변조 방식으로 COFDM을 사용하고, 주파수 대역은 VHF와 UHF를 사용한다. 최초의 상업적 DVB-T 방송은 1998년 말 영국의 디지털 TV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다. 2003년 독일 베를린은 아날로그 TV 신호 방송을 완전히 중단한 최초의 지역이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완전히 전환되었으며, 많은 국가들이 PAL/SECAM 서비스를 중단했다.
  • '''DVB-T2'''는 2007년에 발표된 DVB-T의 후속 규격이다.
  • '''DVB-C'''는 1994년에 제정되었으며, 변조 방식으로 QAM(통상은 64-QAM)을 사용한다.
  • '''DVB-C2'''는 차세대 CATV용 규격이다.
  • '''DVB-S'''는 1994년에 비준되었다.
  • '''DVB-H'''는 2004년에 발표된 휴대 기기용 규격이다. 이탈리아에서는 2006년 FIFA 월드컵 전에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각 국가별 DVB 도입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가DVB 표준아날로그 방송 중단비고
키프로스DVB-T (MPEG-4 인코딩)2011년 7월 1일CyBC 1 제외
덴마크DVB-T2009년 11월 1일DR의 무료 채널 존재
핀란드DVB-T2007년 9월 1일YLE(율레) 채널 무료 방송
이탈리아DVB-S, DVB-T2005년 (DVB-S), 2012년 7월 4일 (DVB-T)
네덜란드DVB-S, DVB-T, DVB-T21996년 8월 18일 (DVB-S), 2006년 12월 (DVB-T)DVB-T2는 2019/2020년 도입 예정
노르웨이DVB-TH.264와 HE-AAC 오디오 인코딩 사용
폴란드DVB-T2 (HEVC 인코딩)2013년 7월 23일
포르투갈DVB-T2012년 4월 26일H.264 및 AAC 오디오 인코딩 사용
루마니아DVB-T2, DVB-S/S2, DVB-CDVB-C는 SD 콘텐츠에 mpeg2, HD 콘텐츠에 mpeg4 사용
러시아DVB-T22019년2개의 채널 팩 방송 (로시야 1, NTV 등)
스페인DVB-T2010년2024년 2월 14일부터 모든 채널 HD 방송
영국DVB-T, DVB-T2, DVB-S/S2, DVB-C2012년 말프리뷰 서비스 제공


4. 3. 아메리카

북미는 지상파에서 ATSC를 채택하고 있지만, 위성과 케이블에서는 DVB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1] 캐나다, 멕시코,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미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COFDM을 사용하는 DVB-T 대신 8VSB 변조를 사용하는 ATSC 인코딩을 사용한다.[4]

남미에서는 콜롬비아만 DVB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2] 2008년부터 콜롬비아는 1954년에 시행된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DVB-T2)으로 전환하는 결정을 공공 정책으로 채택했다.[5] 이 조치를 통해 시청자는 공영 및 민영 채널의 개방형 텔레비전(OTA)을 HD 화질로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5] 계획대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21년에 종료될 예정이다.[5]

4. 4. 오세아니아

뉴질랜드에서 DVB 방송은 프리뷰 브랜드로 판매된다. 2007년 5월 2일에 위성 기반 SD MPEG-2 DVB-S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2008년 4월에는 HD H.264 비디오 및 HE-AAC 오디오를 사용하는 DVB-T(지상파) 방송이 시작되었다.[29]

오스트레일리아에서 DVB 방송은 프리뷰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되며, 최근에는 특정 DVB 장치에서 온라인 HbbTV 및 EPG 통합을 나타내는 '프리뷰 플러스'라는 이름으로도 판매된다. 2001년 1월, MPEG 2 비디오와 MPEG 1 오디오를 사용하는 SD 및 HD 정규 방송이 시작되었다.

방송 규칙 변경으로 방송사들이 멀티 채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일부 보조 채널에는 H.264 비디오와 MPEG 1 또는 AAC 오디오 인코딩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HD 채널의 사양은 방송사에 따라 다르다. ABC, 나인, 텐은 1920x1080i MPEG 4 비디오와 돌비 디지털 오디오를 사용하며, 세븐과 SBS는 1440x1080i MPEG 2 비디오와 각각 돌비 디지털 및 MPEG 1을 사용한다.[29]

4. 5.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2009년 12월 9일 므와이 키바키 대통령이 DVB-T 방송을 시작했다. 이 방송은 H.264를 사용하며, 나이로비 대학교에서 디코더를 공급했다.[19] 케냐는 2009년 7월부터 DVB-H도 방송하고 있으며, 사파리콤 및 기타 GSM 네트워크에서 일부 노키아ZTE 휴대폰으로 시청할 수 있다.[20]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995년부터 유료 TV 사업자인 DStv가 DVB-S 표준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방송해 왔다. 2010년에는 DVB over IP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11년에는 DVB-H 표준을 사용하여 DStv 모바일을 시작했다.[21] 2010년 말,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각은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태스크 팀의 DVB-T2 표준 채택 결정을 지지했다.[22]

이 외에도 이집트, 마다가스카르, 리비아, 알제리, 모로코 등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DVB-T 또는 DVB-T2를 채택하고 있다.

5. DVB 프로젝트

DVB 표준 제정 등을 담당하는 DVB 프로젝트는 약 300여 개의 단체가 가맹한 산업 컨소시엄이다.[30] DVB 프로젝트는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 유럽 전기 표준화 위원회(CENELEC), 유럽 방송 연합(EBU)에 의해 설립되었다.

하나 이상의 DVB 표준을 준수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는 해당 제품에 대한 적합성 선언을 등록할 수 있다. 제품(방송,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또는 장비)과 관련하여 DVB 상표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제품은 DVB 프로젝트 사무소에 등록해야 한다.[30]

6. 한국의 DVB 도입 현황 및 전망

한국은 지상파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미국의 ATSC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위성 방송에서는 DVB-S 방식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방송의 경우, DVB-C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혼용되고 있어 표준화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DVB-S 방식의 위성 방송 도입에 대해, 특정 국가(미국)의 기술 종속을 탈피하고 유럽과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향후 차세대 방송 기술 발전과 함께, 한국 내 DVB 방식의 도입 및 활용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VB - Digital Video Broadcasting http://www.dvb.org/ 2018-04-01
[2] 웹사이트 Work Programme: Details of 'DEN/JTC-DVB-228' Work Item Schedule http://webapp.etsi.o[...] ETSI 2010-08-29
[3] 웹사이트 DVB - Digital Video Broadcasting - DVB 3D TV Kick-Off Workshop https://web.archive.[...] 2010-01-12
[4] 웹사이트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DVB-T2) http://www.dvb.org/t[...] DVB consortium 2011-02-01
[5] 웹사이트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cable systems (DVB-C2) http://www.telcogrou[...] DVB consortium 2010-05-07
[6] 웹사이트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cable transmission system (DVB-C2) http://digitus.itk.p[...] DVB consortium 2010-11-19
[7] 웹사이트 DVB-C2 The second generation transmission technology for broadband cable https://web.archive.[...] Dirk Jaeger, Philipp Hasse, Joerg Robert, Institut fuer Nachrichtentechnik at Technische Universitaet Braunschweig 2013-01-24
[8] 웹사이트 Europe's Broadcast Flag https://web.archive.[...]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07-08-15
[9] 웹사이트 ETSI Work Programme - Query Result of search for TS 102 825 https://portal.etsi.[...]
[10] 간행물 Kicking Off DVB Internet TV Services https://dvb.org/wp-c[...]
[11] 웹사이트 DVB launches new DVB-I initiative for open internet https://www.svgeurop[...] 2018-03-05
[12] 웹사이트 DVB Approves Internet-Centric Linear TV DVB-I Specification https://www.ibc.org/[...] 2019-11-13
[13] 웹사이트 DVB approves new specification for linear TV delivered over the internet https://www.tvbeurop[...] 2019-11-13
[14] 서적 Service Discovery and Programme Metadata for DVB-I: DVB Document A177 https://dvb.org/wp-c[...] DVB
[15] 서적 ETSI TS 103 770 V1.1.1 (2020-1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ervice Discovery and Programme Metadata for DVB-I https://www.etsi.org[...] ETSI
[16] 웹사이트 DVB-I Deployments https://dvb-i.tv/dep[...] 2024-10-28
[17] 웹사이트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ervice Discovery and Programme Metadata for DVB-I https://www.etsi.org[...] 2020-11-01
[18] 웹사이트 Digital TV a reality in Kenya http://www.nation.co[...] Nation Media 2009-12-09
[19] 웹사이트 Blueline Madagascar http://www.blueline.[...] 2018-04-01
[20] 웹사이트 BluelineTV http://www.blueline.[...]
[21] 웹사이트 The MultiChoice Group http://www.multichoi[...] 2023-03-02
[22] 웹사이트 SA to adopt European TV standard: report http://www.fin24.com[...] 24.com 2011-01-18
[23] 웹사이트 Digital TV https://web.archive.[...] 2018-04-01
[24] 웹사이트 About - DVB http://www.dvb.org/a[...] 2018-04-01
[25] 웹사이트 Fleksible tv-pakker og bredbånd hos Boxer - Tv-udbyder med valgfrihed http://www.boxertv.d[...] 2018-04-01
[26] 웹사이트 Kulturministeriets hjemmeside http://www.kum.dk/gr[...] 2018-04-01
[27] 웹사이트 Kulturministeriets hjemmeside https://web.archive.[...] 2018-04-01
[28]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n Poland https://mac.gov.pl/n[...] Ministry of Administration and Digitalization of Poland 2013-08-13
[29] 웹사이트 ABC HD is now live http://about.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12-27
[30] 서적 Digital Television : Satellite, Cable, Terrestrial, IPTV, Mobile TV in the DVB Framework. Taylor & Francis 2009
[31] 이미지 인벤의 게시물 사진 http://www.inve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