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릉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따릉이는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이다. 2000년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2015년 시민 공모를 통해 현재의 명칭을 얻었다. 2020년 QR코드 방식의 자전거를 도입했으며, 대중교통 연계 시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환승 마일리지 서비스도 운영한다. 이용권은 시간권, 정기권 등으로 나뉘며, 티머니, 신용카드, 모바일 티머니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자전거 대여 및 반납은 카드,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가능하며, 빈 거치대가 없을 경우 연결 반납도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도입 - 천궁 (미사일)
천궁(KM-SAM)은 대한민국 공군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15km 고도와 40km 사거리의 표적을 요격하며, 노후화된 호크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어 2015년부터 실전 배치되었고, 아랍에미리트 등 여러 국가에 수출되었다. - 2015년 도입 - 작전계획 5015
작전계획 5015는 한미 연합군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유사시 북한의 주요 시설을 무력화하는 선제타격 계획이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따릉이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공공 자전거 |
국가 | 대한민국 |
운영 지역 | 서울특별시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웹사이트 | 서울자전거 따릉이 - 무인대여시스템 |
개업일 | 2015년 10월 1일 |
운영자 | 서울시설공단 |
시스템 정보 | |
대여소 수 | 2,763개 |
자전거 수 | 43,500대 |
2. 역사
서울특별시의 공공자전거 서비스는 2000년대 초반 창동역, 여의도역 인근에서의 시범 운영과 송파구의 무료 대여 등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파리의 벨리브나 몬트리올의 빅시 시스템을 모델로 한 본격적인 무인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 구상이 오세훈 당시 시장 등에 의해 발표되었으나, 초기에는 주로 자전거 도로 확충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따릉이 서비스가 구축되었다.
2. 1. 시초
서울특별시 차원의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2000년 4월에 처음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창동역과 여의도역 두 곳의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대여소가 설치되었고, 회원등록제 및 유료로 서비스되었다.[9][10] 2004년경에는 송파구가 자전거 특별구로 지정되면서 공원 위주로 자전거 무료 대여 서비스를 운영하기도 했다.[11] 2008년에는 지하철역과 시내 등에서 본격적인 무인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12]2007년 11월, 서울시는 자전거 관련 정책을 발표하면서 파리의 벨리브와 같은 무인 공공 자전거를 도입해 다음 해부터 시범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자전거 도로망 권역 내에 300m 간격으로 자전거 대여소 5,102개를 만들고, 자전거 82,400대를 비치한다는 계획이었다.[13][14] 이듬해인 2008년 10월 서울시는 자전거 마스터플랜을 다시 발표하고 2012년까지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뜻을 다시금 확인했다.[15] 다만 두 발표 모두 자전거 도로 확충에 중점을 두고 있었고, 서울시 전역의 공공 자전거 대여에 관해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한편 그해 말에는 서울시설공단이 청계천 구간에 한정하여 무인 대여 서비스를 개시하였다.[16]
2009년 9월 17일, 몬트리올 시를 순방하던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은 몬트리올의 빅시 (BIXI)와 비슷한, 서울 시내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인 '자전거 택시' (당시 명칭)를 도입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오세훈 시장은 "당장 도입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서울시의 자전거도로 구축 계획상 2011년에 시범 운영한 후 전면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17][18]
2. 2. 공모와 서비스 개시
서울특별시의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2000년 4월 창동과 여의도의 두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2004년에는 송파구가 자전거 특구로 지정되어 공원 위주로 무상 대여 서비스가 운영되었고, 2008년부터는 지하철역과 시내에서 본격적인 무인 대여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연말에는 청계천에서 서울시설공단이 운영하는 무인 대여 서비스도 개시되었다.2007년 11월, 서울시는 파리의 벨리브(Vélib')를 모델로 한 무인 공공 자전거 정책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자전거 전용 도로망 내 300m 간격으로 5,102개의 대여소를 설치하고 82,400대의 자전거를 비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 추진은 더디었다. 2008년 10월 발표된 자전거 마스터 플랜에서도 2012년까지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 도입 검토 의사를 재확인했지만, 당시 정책은 주로 자전거 도로 확충에 집중되었고 시 전역의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본격화되지 못했다.
2009년 9월 17일,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몬트리올 방문 중 몬트리올의 BIXI 시스템과 유사한 '자전거 택시'(당시 명칭)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즉시 도입은 어렵겠지만, 2011년 시의 자전거 도로 건설 계획에 맞춰 시범 운영 후 본격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후 2015년 3월 20일, 서울특별시는 서울형 공공자전거의 명칭과 디자인을 시민 참여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명칭 공모를 통해 '따릉이'를 포함한 여러 후보군('서울 자전거 공공', '더블로', '고고(go go) 서울공공자전거', 'S-Bike', '빠르릉', 'SeSeSe') 중에서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으며, 자전거와 정류장 디자인 역시 흰색, 흰색·검은색, 녹색 등 여러 방안을 제시하여 스마트폰 앱과 현장 투표로 선정했다.[19]
서비스 개시 이후, 2020년 3월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대여와 반납이 간편해진 'QR형 뉴-따릉이'가 도입되었으며, 이후 기존 자전거들도 모두 QR형으로 교체되었다.[20]
3. 이용권
(내용 없음)
3. 1. 이용권 종류
따릉이 이용권은 대여 시간에 따라 1시간권과 2시간권으로 나뉜다. 이용권 구매 시점부터 24시간 동안 유효하며, 해당 시간 내에서 구매한 대여 시간만큼 여러 번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다.이용 시간을 초과할 경우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과거에는 30분당 1000KRW이었으나, 2018년 상반기부터 5분당 200KRW으로 변경되었다.[21] 최대 대여 가능 시간은 일반권(1시간권)은 4시간, 프리미엄권(2시간권)은 6시간이다. 이 시간을 초과하면 도난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그 전에 반납해야 한다.
기존 LCD 단말기가 부착된 따릉이는 단말기 커넥터가 설치된 대여소에서만 반납할 수 있다. 반면, QR코드 방식으로 대여하는 따릉이는 모든 대여소에서 자유롭게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다.
3. 2. 단체권
따릉이는 단체권 서비스를 제공한다. 1일 1시간권에 한해 최소 2명에서 최대 5명까지 하나의 계정으로 구매할 수 있다.단체권 1시간 | ||
---|---|---|
기간 | 인원 | |
1일 | 2명 | 2000KRW |
3명 | 3000KRW | |
4명 | 4000KRW | |
5명 | 5000KRW |
4. 이용 방법
따릉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용권 결제 과정을 거쳐야 한다. 결제가 완료된 후, 대여소에서 등록된 카드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인증 절차를 거쳐 자전거를 빌릴 수 있다.
4. 1. 결제
회원은 정기권, 일일권, 단체권 등의 이용권을 구매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매 또는 선물할 이용권을 선택하고, 휴대전화, 신용카드, 모바일 티머니 중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한다.비회원은 일일권만 구매할 수 있으며, 모바일 티머니를 이용한 결제는 불가능하다. 결제하기 전에 휴대전화 본인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4. 2. 카드 등록
등록할 수 있는 대여 카드는 티머니와 후불교통카드가 있다.티머니 교통카드는 따릉이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앱에 로그인한 후, 카드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후불교통카드는 자전거를 대여할 때 등록 절차가 진행된다. 카드의 칩 번호를 읽어야 하므로, 자전거 단말기에서 직접 등록해야 한다. 또한, 회원 정보와 칩 번호를 연동해야 하므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대여하는 경우에만 등록이 가능하다.
스마트폰 앱으로만 따릉이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로 카드를 등록할 필요가 없다.
4. 3. 자전거 대여 및 반납
자전거를 빌리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1]- 등록된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 대여하려는 자전거 단말기의 홈 버튼을 누른 후, 미리 등록해 둔 카드를 단말기에 인식시킨다. 이후 안내에 따라 대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거치대에 연결된 잠금 장치를 풀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1]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방법: 스마트폰 앱을 실행하여 대여할 거치대를 선택하거나, 대여하려는 자전거 거치대의 QR 코드를 스캔한다. 이후 해당 자전거 단말기의 홈 버튼을 누르고, 대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잠금 장치를 해제하면 된다.[1]
자전거를 반납할 때는 반납하려는 대여소의 빈 거치대에 자전거를 거치한 후, 자전거의 잠금 장치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반납 처리된다.[1]
만약 대여소에 빈 거치대가 없을 경우에는 연결 반납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 거치되어 있는 다른 자전거 단말기 왼쪽에 있는 보조 잠금 장치를 풀어서, 반납하려는 자전거에 연결하면 반납이 완료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서울자전거 따릉이 - 무인대여시스템
https://www.bikeseou[...]
2018-05-14
[2]
웹사이트
Expanded Operation of Seoul Bike "Ddareungi" -
http://english.seoul[...]
2016-03-18
[3]
웹사이트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서울생활…'청년수당'부터 '따릉이'까지 : 포커스뉴스
http://www.focus.kr/[...]
2016-07-27
[4]
웹사이트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http://www.newsis.co[...]
2018-05-14
[5]
웹사이트
"[생활꿀팁] 1인 모빌리티 따릉이, 마일리지 사용은 어떻게 하는 걸까?"
http://www.dailypop.[...]
2021-04-20
[6]
웹사이트
서울자전거 '따릉이' 내일부터 본격 운영
http://www.cpbc.co.k[...]
2021-04-21
[7]
웹인용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소 정보
http://data.seoul.go[...]
2024-07-12
[8]
웹인용
전동킥보드 가고 전기자전거 온다! 따릉이와 차이점은?
https://mediahub.seo[...]
2023-06-13
[9]
뉴스
서울시, 자전거 대여제도...여의도.창동역 등지
https://news.naver.c[...]
2018-05-14
[10]
뉴스
서울시, 지하철역서 출.퇴근용 자전거 빌려주는 제도 도입키로
https://news.naver.c[...]
2018-05-14
[11]
웹인용
'자전거특별구', 국가대표 자격 있나?
http://www.ohmynews.[...]
2006-07-31
[12]
뉴스
"'송파구 본격적인 '자전거도시'로 태어난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8-11-05
[13]
뉴스
서울시 자전거 길 늘린다…건강을 위한 360km
http://news.sbs.co.k[...]
SBS NEWS
2007-11-04
[14]
뉴스
'[Zoom in 서울] 자전거전용로 360km로 늘린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11-05
[15]
뉴스
서울 '자전거 도시'로 바뀐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8-10-21
[16]
뉴스
서울시 청계천에 자전거 무료대여소 설치
https://news.naver.c[...]
2018-05-14
[17]
웹인용
2011년 서울에 자전거택시 `빅시` 도입
http://www.edaily.co[...]
2009-09-17
[18]
뉴스
오세훈 "자전거택시 2011년 도입 추진"(종합)
https://news.naver.c[...]
2018-05-14
[19]
뉴스
서울형 공공자전거 디자인 시민 선호도 조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3-20
[20]
뉴스
QR코드로 대여·반납, 뉴따릉이 나온다…내달 500대 도입
https://newsis.com/v[...]
뉴시스
2020-02-27
[21]
뉴스
‘따릉이 2만 시대’ 회원가입·결제도 간편 - 트래블바이크뉴스
http://www.travelnbi[...]
2018-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