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클라크 카운티의 라스베이거스 대도시 지역을 관통하는 주요 도로로, 크리스탈에서 시작하여 진까지 이어진다. 스트랫 남쪽부터는 밸리의 동/서 주소 경계선 역할을 하며, 사하라 애비뉴에서 러셀 로드까지 약 6.4km 구간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으로 불리며 카지노 메가리조트가 밀집해 있다. 이 도로는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1959년 현재의 이름으로 정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스베이거스 밸리의 교통 - 해리 리드 국제공항
    해리 리드 국제공항은 1942년 알라모 공항으로 개항하여 여러 번 이름이 바뀌어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지속적인 확장과 현대화를 거쳐 현재 4개의 활주로와 110개 이상의 게이트를 갖춘 대규모 공항으로 성장, 2023년에는 5760만 명 이상의 여객을 처리했다.
  • 라스베이거스 밸리의 교통 - 라스베이거스 모노레일
    라스베이거스 모노레일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을 따라 운행되는 고가 모노레일 시스템으로, 개통 후 잦은 고장과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및 관광청이 소유하며 7개의 역을 연결하여 운영 중이다.
  • 네바다주의 도로 - 링컨 하이웨이
    링컨 하이웨이는 1913년 미국 최초의 대륙 횡단 도로로 건설되어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미국을 가로지르는 메인 스트리트"라는 별칭으로 연선 도시와 마을에 번영을 가져다주고 미국의 도로 건설 및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 가치를 기리고 있다.
  • 네바다주의 도로 - 국도 제93호선 (미국)
    국도 제93호선은 네바다주에서 시작하여 아이다호주, 몬태나주를 거쳐 캐나다 국경에 이르며, 후버 댐 우회도로, 스네이크 강 협곡, 비터루트 국유림, 플랫헤드 호수 등을 지나고, 노선 변경 및 고속도로 업그레이드 계획이 진행 중인 미국의 국도이다.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노선 정보
이름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위치네바다주
설명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를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함
길이51.4마일
확립알 수 없음
관리클라크 카운티, 라스베이거스 시, NDOT (SR 604 구간)
할당노스 라스베이거스의
관광지라스베이거스 스트립
방향 (A)남쪽
방향 (B)북쪽
종점 (A1)프림의 패션 아울렛 오브 라스베이거스
종점 (B1)프림 북쪽으로
종점 (A2)진 남쪽으로
종점 (B2)노스 라스베이거스의
카운티클라크

2. 경로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클라크 카운티 남쪽 끝에 있는 진 근처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모아파 폴라이트 솔라 로드까지 이어진다. 프림에서도 다시 나타나지만, 현재 북쪽 구간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프림의 기존 구간을 진의 북쪽 구간과 연결하는 잠정적인 계획이 있다.[1]

2. 1. 지리적 특징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클라크 카운티의 라스베이거스 대도시 지역 전체를 관통한다. 오랜 라스베이거스 거주자들은 이 거리를 "더 불러바드"라고 부르기도 한다.[1] 이 도로는 유령 도시인 크리스탈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6.04k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모하비 사막의 진에서 남쪽으로 약 약 3.22km 떨어진 지점까지 이어진다. 불러바드는 프림에서도 다시 나타나지만, 현재 북쪽 구간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프림의 기존 구간을 진의 북쪽 구간과 연결하는 잠정적인 계획이 있다.[1]

2012년 파리 라스베이거스 꼭대기에서 바라본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의 항공 사진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스트랫 남쪽부터 밸리의 동/서 주소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도로 자체의 북/남 거리 주소 경계선은 프리몬트 스트리트와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경우 도로 이름 앞에 방향을 붙이는 보다 전통적인 명명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불러바드는 예외적으로 "노스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와 "사우스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라고 불리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주민들과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 이 도로를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노스"(약칭 LVBN)와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사우스"(LVBS)라고 부른다.

북쪽 끝에서 불러바드는 모아파 폴라이트 솔라 로드의 남쪽 끝에서 시작한다. I-15의 북쪽에서 거의 평행하게 달리며, 라스베이거스를 향해 남서쪽으로 향하며 에이펙스의 유니언 퍼시픽 철도 노선을 따라 달리는 제조 공장과 발전소의 산업 지구를 통과한다.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이 도로는 동쪽에서 넬리스 공군 기지와 서쪽에서 라스베이거스 모터 스피드웨이를 만난다.

이 도로는 노스 라스베이거스 시에 진입하면서 이 지역의 오래된 상업 지역을 통과한다. 이 도로는 라스베이거스 시내에 접근하면서 오래된 카지노와 유명하고 오래 운영된 스트립 클럽이 등장하면서 역사적인 라스베이거스의 일부가 눈에 띄게 된다.

라스베이거스 시 경계에 진입하면 불러바드는 올드 라스베이거스 몰몬 요새 주립 역사 공원, 네온 박물관, 프리몬트 스트리트 익스피리언스 및 시내 카지노 구역을 포함한 많은 박물관을 통해 이 지역의 과거를 보여준다. 워싱턴 애비뉴를 건너면서 불러바드는 주에서 ''다운타운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경관 도로''로 지정된다. 이 지정은 사하라 애비뉴까지 남쪽으로 이어진다.

더 남쪽으로 가면 메가 리조트 시대 이전의 옛 라스베이거스의 하이라이트였던 많은 오래된 모텔, 바 및 웨딩 채플이 있는 도로 구간이 있다.

2. 2. 주소 체계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스트랫 남쪽부터 밸리의 동/서 주소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도로 자체의 북/남 거리 주소 경계선은 프리몬트 스트리트와의 교차로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 도로 이름 앞에 방향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예외적으로 "노스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와 "사우스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라고 불리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주민들과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는 이 도로를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노스"(약칭 LVBN)와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사우스"(LVBS)라고 부른다.[1]

3.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중 사하라 애비뉴부터 러셀 로드까지 약 6.4km 구간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이라고 불린다.

M 리조트를 지나면 불러바드는 시골 사막 지역으로 들어서며, 15번 주간고속도로와 나란히 진까지 이어진다. 진 남쪽에서는 몇 마일 동안 주요 간선 도로 역할을 하지 않다가, 프림 바로 북쪽에서 다시 시작되어 리조트의 두 호텔과 쇼핑몰을 따라 이어진다. 네바다/캘리포니아 주 경계선 직전에서 도로명은 로또 스토어 로드로 바뀌고 지방 도로가 된다.

3. 1. 특징

환영 표지판, 2009년 스트립 북쪽을 바라보며 촬영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사하라 애비뉴에서 라스베이거스 시를 벗어나 약 6.44km (약 6.4km) 동안 비공식적으로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이 구간은 북쪽으로 몇 블록 떨어진 스트라토스피어 (라스베이거스 시 경계 내에 위치한 유일한 주요 스트립 호텔/카지노)에서 시작하여 윈체스터와 파라다이스를 지나며, 러셀 로드에서 끝난다. 이곳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조명, 거대한 비디오 간판 및 기타 명소가 있는 카지노 메가리조트가 위치해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잘 아는 도로 구간이다. 이곳은 올 아메리칸 로드로 지정되어 있다. 스트립의 끝을 지나면, 도로는 해리 리드 국제공항 부지의 서쪽 가장자리에 접해 있으며, 중앙 분리대에 위치한 환영 표지판을 지나간다. 이 표지판은 종종 스트립의 남쪽 끝으로 여겨진다.

"사우스 스트립"은 현재 러셀 로드와 블루 다이아몬드 로드 사이의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구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구간을 따라, 쇼핑몰, 호텔, 리조트, 카지노콘도미니엄 (예: 사우스 포인트 호텔 & 카지노 및 더 그랜드뷰 앳 라스베이거스)을 제외하고 개발이 줄어든다. 불러바드는 15번 주간고속도로의 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3. 2. 사우스 스트립



"사우스 스트립"은 러셀 로드와 블루 다이아몬드 로드 사이의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구간을 가리킨다. 이 구간에는 쇼핑몰, 호텔, 리조트, 카지노, 콘도미니엄 (예: 사우스 포인트 호텔 & 카지노, 더 그랜드뷰 앳 라스베이거스) 등이 있으나, 개발은 비교적 덜 이루어져 있다. 불러바드는 15번 주간고속도로 동쪽에서 남쪽으로 이어진다.

4. 대중교통

RTC 트랜짓 노선이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를 따라 운행된다. 2016년 2월 이전에 MAX 노선도 운행되었다.[1]

4. 1. 주요 노선

RTC 트랜짓 113번 노선은 라스베이거스 시내에서 북쪽의 넬리스 공군기지까지 운행하며, 더 듀스 노선은 라스베이거스 시내에서 남쪽의 웜 스프링스 및 사우스 스트립 환승 터미널(SSTT)까지 운행한다. 117번 노선은 SSTT에서 남쪽으로 사우스 포인트 호텔 & 카지노를 지나 라스베이거스 프리미엄 아울렛 사우스 매장과 실버라도 랜치 대로까지 운행한다.[1]

5. 역사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과거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시 남쪽에서는 '로스앤젤레스 하이웨이'로 알려졌다.[2] 진 바로 북쪽에는 샌 페드로, 로스앤젤레스 및 솔트레이크 철도 노선의 마지막 스파이크가 박힌 곳이 있다.

I-15 건설로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주요 간선 도로에서 지역 주민과 관광객을 위한 도시 도로로 역할이 바뀌었다. 1959년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5. 1. 과거 명칭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여러 이름을 거쳤다.

과거 명칭구간 및 기타
5번가 (5th Street)라스베이거스 시 경계 내에서 사하라 애비뉴에서 오웬스 애비뉴까지
메인 스트리트 (Main Street)노스라스베이거스
애로우헤드 하이웨이
로스앤젤레스 하이웨이 (Los Angeles Highway)
솔트레이크 하이웨이 (Salt Lake Highway)
US 91 (전 구간)
US 93 (프리몬트 스트리트 북쪽)
US 466 (진에서 프리몬트 스트리트까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포함)
주도 6번 (전 구간, 미지정)



시 남쪽에서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일반적으로 ''로스앤젤레스 하이웨이''로 알려졌다.[2]

5. 2. 주요 사건

1959년,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이전의 여러 이름들보다 계곡 전체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한 것이다.[2]

I-15 고속도로의 건설은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이전에는 주요 간선 도로였으나, I-15 건설 이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도로로 바뀌었다.

2009년 10월 16일, 연방 고속도로 관리국은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의 일부 구간을 국가 경관 도로로 지정했다. 사하라 애비뉴에서 워싱턴 애비뉴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는 약 5.63km 구간은 ''라스베이거스 시,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주 경관 도로''로 지정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Southern Nevada motorists getting more than expected from new fuel tax http://www.reviewjou[...] 2015-08-01
[2] 웹사이트 Nevada Historical Marker 195 http://nevadaculture[...]
[3] 간행물 U.S. Transportation Secretary Ray LaHood Announces America's Byways Designations for 2009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9-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