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푸르스름하다는 뜻의 아라비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6~7m까지 자라며, 흰색, 연보라색, 붉은 보라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발칸반도가 원산지이며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된다.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으며, 삿포로시 등 일본의 여러 지역에서 상징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수꽃다리속 - 개회나무
개회나무는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낙엽수로,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 흰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며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목재와 꽃, 뿌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이 필요하다. - 수수꽃다리속 - 미스김라일락
미스김 라일락은 한국 도봉산에서 채집된 털개회나무 씨앗을 미국에서 개량하여 탄생한 낙엽성 관목으로, 둥근 잎과 라벤더색 꽃, 풍부한 향기를 가지며 전 세계에서 재배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라일락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yringa vulgaris |
명명자 | L. |
명명년도 | 1753년 |
한국어 이름 | 무라사키하시도이(紫丁香花) |
영어 이름 | Lilac |
프랑스어 이름 | Lilas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목 | 꿀풀목 |
과 | 물푸레나무과 |
속 | 수수꽃다리속 |
종 | 라일락 |
보존 상태 | |
IUCN 상태 | LC |
IUCN 버전 | 3.1 |
기타 | |
참고 | "무라사키하시도이"라고도 읽지만, 관례적으로 "라일락"이라고도 읽음. |
2. 이름
라일락의 이름은 푸르스름하다(bluish)는 뜻을 가진 아라비아어 "라일락(ليلكar)"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하고, 페르시아어 "닐락(نیلکfa)"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라일락"은 영어 번역을 해도 라일락이지만 "릴락"은 "ㄱ"받침이 없어 "릴라"라고 한다.[36]
라일락은 6m에서 7m까지 자라는 큰 낙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이다. 밑부분이나 뿌리에서 흡지를 생성하며, 줄기의 지름은 20cm까지 자라고 수십 년 동안 작은 무성생식 군락을 형성할 수 있다.[1] 나무껍질은 회색에서 회갈색이며, 어린 줄기에서는 매끄럽고, 늙은 줄기에서는 세로로 홈이 지고 벗겨진다. 잎은 단순하며, 길이 4cm에서 12cm, 폭 3~8cm로 연한 녹색에서 분백색을 띠고, 난형에서 심장형이며, 깃 모양 잎맥, 첨두의 분열조직, 그리고 밋밋한 가장자리를 갖는다. 잎은 마주나거나 때때로 세 개씩 돌려난다.
1753년 카를 폰 린네에 의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으며, 그 기술은 ''식물의 종''에 발표되었다.[4][5] 종소명 ''vulgaris''는 라틴어로 "흔한"(널리 퍼져 있는 의미에서)을 뜻한다.[6]
발칸반도 원산으로, 바위산에서 자란다.[2][7][8] 향기로운 꽃 때문에 봄에 재배되며,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귀화되었다. 공격적인 종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야생에서는 드물게 발견되고 보통 과거 또는 현재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 발견된다.[9][10][11]
수수꽃다리(S. vulgaris)와 페르시아 수수꽃다리(S. × persica)는 16세기 말 오스만 제국 정원에서 북유럽 정원으로 들어왔다. 신성 로마 제국 대사 오지에르 기젤랭 드 부스베크가 1562년경 네덜란드 원예가 카롤루스 클루시우스에게 라일락 꺾꽂이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존 제라드와 같은 유명한 식물학자들은 곧 그 희귀한 식물을 자신의 정원에 두게 되었다.
3. 형태
꽃은 품종에 따라 흰색·연보라색·붉은 보라색 등 다양한 색으로 피는데, 보라색 계통이 가장 흔하다. 꽃에서 나는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이며, 홑꽃, 겹꽃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꽃은 향기가 은은하고 강하며, 가지에 빽빽하게 달린다. 녹색을 띠는 잎은 길이가 약 13cm이며, 꽃차례는 길이가 약 25cm이다. 꽃은 화관의 기부가 6~10mm 길이의 관상이며, 5~8mm 너비의 열린 네 갈래로 된 끝부분을 가지며, 보통 연보라색에서 자주색이고, 때로는 흰색이다. 꽃은 길이 8cm에서 18cm의 밀집된, 끝에 달린 원추꽃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열매는 길이 1~2cm의 마르고 매끄러운 갈색 삭과이며, 두 개로 갈라져 두 개의 날개가 달린 종자를 방출한다.[2][3]
4. 분류
5. 분포 및 서식지
6. 재배 역사
미국 식민지에서는 18세기에 라일락이 소개되었다. 피터 콜린슨은 펜실베이니아 정원사이자 식물학자인 존 바트람에게 편지를 쓰면서 몇몇 라일락을 보내겠다고 제안했다.[16]
라일락은 분재로도 재배된다.[17]
6. 1. 품종
대부분의 정원용 ''S. vulgaris'' 식물은 재배품종이며, 그 대부분은 4m~5m를 넘지 않는다.[22] 1876년부터 1927년 사이에 프랑스 낭시의 묘목상 빅토르 르무아느는 153개 이상의 명명된 재배품종을 도입했는데, 그중 많은 수가 고전으로 여겨지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 르무아느의 "프랑스 라일락"은 제한적인 색상 범위를 더 깊고 더욱 풍부한 색조로 확장했으며, 그중 많은 수가 수술이 여분의 꽃잎으로 대체된 겹꽃 돌연변이이다.
6. 1. 1. 홑꽃
보라색 계통이 가장 흔하다. 꽃에서 나는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이다. 홑꽃이 피는 것과 겹꽃이 피는 것이 있다. 꽃은 향기가 은은하고 강하다. 약 6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 넓게 퍼지고, 꽃이 가지에 빽빽하게 달린다. 녹색을 띠는 잎은 길이가 약 13cm이며, 길이가 약 25cm인 꽃차례를 이룬다.
6. 1. 2. 겹꽃
겹꽃이 피는 품종도 있다.[1]
7. 재배
라일락은 매력적이고 향긋한 꽃이 초여름에 피어 장미나 다른 여름 꽃들이 피기 직전에 만개하기 때문에 정원과 공원에서 매우 인기 있는 관상식물이다.[18]
늦여름에는 라일락이 특히 ''Erysiphe syringae''(흰가루병균과의 흰가루병)에 걸릴 수 있다.[19]
일반 라일락은 격년으로 풍성하게 꽃을 피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꽃이 시들고 씨앗이 생기기 전에 꽃을 따줌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서유럽과 북유럽에서는 널리 귀화되었다.[3] 북미에서는 완전히 귀화되었다는 증거로 뉴햄프셔주의 주화로 선정되었다.[20] 이사벨라 프레스턴은 캐나다 정원에 적합하도록 ''S. vulgaris''의 여러 잡종을 육종하여 늦게 피는 품종들을 많이 선보였다. 늦게 꽃봉오리가 발달하는 품종들은 늦은 봄 서리로부터 더 잘 보호된다. ''Syringa ''×'' prestoniae'' 잡종은 주로 분홍색과 라벤더색 계열이다.[21]
8. 이용
라일락 꽃은 식용이며 꿀, 설탕, 식품 및 기타 과자의 향료로 사용된다.[32][33] 일본에서는 향기가 좋아 향수 원료로도 사용되며, 향기 성분 중에서 라이락 알코올이라는 새로운 화합물이 발견되었다.[37]
9. 상징
10. 라일락 관련 문학 작품
- 루이자 메이 올콧의 소설 라일락꽃 피는 집
11. 사진
참조
[1]
문서
In second-growth woodlands of New England, a thicket of lilac may be the first indication of the cellar-hole of a vanished 19th-century timber-framed farmhouse.
[2]
서적
Trees of Britain and Europe
1999
[3]
서적
Flora of Britain and Northern Europe
1989
[4]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https://www.ipni.org[...]
2023-07-30
[5]
웹사이트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2015-12-27
[6]
서적
RHS Latin for Gardeners
Mitchell Beazley
[7]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http://ww2.bgbm.org/[...]
[8]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http://rbg-web2.rbge[...]
[9]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http://bonap.net/Map[...]
[10]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http://luirig.alterv[...]
[11]
웹사이트
common lilac, Syringa vulgaris
http://www.illinoisw[...]
[12]
문서
The botanic homeland of S. vulgaris was identified in 1828, when naturalist Anton Rocher found truly wild specimens in Balkans.
[13]
문서
Their first appearance by name in English print was in the OED dated to 1625.
[14]
서적
Arboretum
1838
[15]
문서
Written in the endpapers of his copy of John Parkinson's Paradisus, in the Bodleian Library; printed in Gunther 1922:346
[16]
서적
American Gardens in the Eighteenth Centur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6
[17]
웹사이트
Ma-Ke Bonsai Care Guide for Common Lilac
https://www.makebons[...]
Ma-Ke Bonsai
2021-02-04
[18]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2008
[19]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British Powdery Mildews
1990
[20]
법률
New Hampshire Revised Statute Annotated (RSA) 3:5
[21]
웹사이트
Plant Profiles - Chicago Botanic Garden
http://www.chicagobo[...]
2018-06-25
[22]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1992
[23]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Andenken an Ludwig Späth'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4]
웹사이트
Syringa × hyacinthiflora 'Esther Staley'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5]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Firmament'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6]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Sensation'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7]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Vestal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8]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Katherine Havemeyer'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9]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Madame Lemoin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30]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Mrs Edward Harding'
https://www.rhs.org.[...]
RHS
2021-03-05
[31]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Primros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32]
웹사이트
How to Eat Lilacs (and Other Ways to Use Them)
https://practicalsel[...]
2022-01-12
[33]
웹사이트
Edible Wild Food Blog » Lilac Flowers for Eye Health
https://www.ediblewi[...]
2022-01-12
[34]
웹사이트
Syringa vulgaris L. ムラサキハシドイ(標準)
2024-03-09
[35]
웹사이트
難読漢字 .jp
https://nandokukanji[...]
2020-03-29
[36]
서적
2014
[37]
논문
ライラック花の香気成分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1971
[38]
웹사이트
ライラックとは - 育て方図鑑 みんなの趣味の園芸 NHK出版
https://www.shuminoe[...]
2020-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