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피엣 (콜로라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피엣은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이다. 메리 E. 밀러가 1888년 설립했으며, 석탄 채굴 붐의 중심지였다. 1950년대부터 덴버와 볼더의 성장으로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다. 주요 산업은 석탄 채굴이었으나, 1956년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 폐쇄 이후 농업 기반 사회로 돌아갔다. 현재는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과 행사가 있으며, 볼더밸리 교육구에 속한 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버 도시권 - 오로라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오로라는 플레처 마을에서 시작되어 은값 폭락 후 오로라로 개명되었고 20세기 후반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는 콜로라도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으나, 군사 및 의료 시설의 경제적 성장과 함께 영화관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사회적 문제 또한 겪고 있으며, 다양한 인종 구성을 가진 채 끊임없이 성장하며 사회적, 정치적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 - 덴버 도시권 - 커머스시티
커머스 시티는 1859년 존 D. 헨더슨이 사우스 플랫 강변에 정착지를 건설하며 시작되어 농업과 광업을 중심으로 발전, 1952년 커머스 타운으로 법인화된 후 도시로 승격하며 현재 1,400개 이상의 기업이 활동하는 콜로라도주의 산업 도시이다. - 콜로라도주의 도시 - 덴버
덴버는 1858년 골드러시로 시작하여 콜로라도주의 주도가 된, 로키 산맥 기슭의 지리적 이점과 철도 발달로 급성장한 에너지, 광업, 통신, 하이테크 산업의 중심지이자 "마일 하이 시티"라는 별명을 가진 풍부한 문화 유산과 스포츠를 자랑하는 역동적인 도시이다. - 콜로라도주의 도시 - 오로라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오로라는 플레처 마을에서 시작되어 은값 폭락 후 오로라로 개명되었고 20세기 후반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는 콜로라도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으나, 군사 및 의료 시설의 경제적 성장과 함께 영화관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사회적 문제 또한 겪고 있으며, 다양한 인종 구성을 가진 채 끊임없이 성장하며 사회적, 정치적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라피엣 (콜로라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피엣 시 |
별칭 | 없음 |
군 | 볼더 군 |
지방 자치 형태 | 홈 룰 자치 도시 |
시장 | JD 망갓 |
시장 대리 | 브라이언 웡 |
시 행정관 | 프리츠 스프라그 |
설립 | 1888년 |
법인화 | 1890년 1월 6일 |
명명 유래 | 라피엣 밀러 |
지리 | |
면적 | 24.38 km2 |
육지 면적 | 23.86 km2 |
수면 면적 | 0.52 km2 |
고도 | 1,605 m |
인구 | |
2020년 인구 | 30,411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MST |
UTC 오프셋 | -7 |
하계 시간 | MDT |
UTC 오프셋 (하계) | -6 |
식별 코드 | |
우편 번호 | 80026 |
지역 번호 | 303, 720 |
FIPS 코드 | 08-41835 |
지리 이름 정보 시스템(GNIS) ID | 2411592 |
교통 | |
고속도로 | US 287, SH 7, SH 42, NW 파크웨이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라피엣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라피엣은 1888년 메리 E. 밀러가 남편 라피엣 밀러의 이름을 따서 설립한 도시이다.[15][19] 밀러 부부는 1868년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농장을 운영했으며, 1884년 농장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지역의 역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18][19] 1887년 첫 광산인 심슨 광산 개발을 시작으로 석탄 채굴 시대가 열렸고, 1889년 라피엣 타운은 공식적으로 법인화되었다.[19][17] 초기에는 퍼블릭 로드 동쪽에서의 알코올 음료 판매가 금지되는 등 독특한 규정이 있었다.[19][20][21]
20세기 초, 라피엣은 스펜서/심슨 광산을 중심으로 콜로라도주 동부 볼더군과 남서부 웰드군 일대의 석탄 채굴 붐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번성했다.[19] 1914년까지 은행 두 곳과 호텔 네 곳이 들어섰으며, 인근 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를 갖춘 초기 분산 전력망의 거점 중 하나였다.[19] 설립자 메리 밀러는 은행을 설립하고 회장을 맡는 등 지역 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금주 운동에도 참여했다.[19][22]
그러나 번영의 이면에는 광부들의 고된 노동과 투쟁이 있었다. 1910년부터 1914년까지 이어진 대규모 파업("롱 스트라이크")은 전미 광산 노동자 연합(UMWA)을 중심으로 노동 조건 개선과 노조 인정을 요구하며 전개되었으나, 사측의 강경 대응과 주 방위군 투입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9][23][24] 이 파업은 콜로라도 남부에서 발생한 러들로 학살과 함께 콜로라도 노동 운동 역사상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1927년에는 세계 산업 노동자(IWW) 주도의 파업 중 에리 인근 콜럼바인 광산에서 주 경찰의 발포로 라피엣 주민 5명을 포함한 광부들이 사망하는 '콜럼바인 광산 학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의 경영권을 인수한 조세핀 로슈는 노동 친화적인 정책을 도입하여 광부들의 처우 개선에 기여했다.
파업 과정에서 사측이 파업 파괴자로 동유럽 및 멕시코 출신 이주민들을 고용하면서 라피엣의 인구 구성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백인과 서유럽 출신 이주민이 대다수였으나, 점차 히스패닉 및 라틴계 인구가 증가하여 도시의 민족적 다양성이 확대되었다.[19][25][26]
1930년대부터 천연가스가 석탄을 대체하면서 석탄 산업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1956년 지역의 주요 광산이었던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이 폐쇄되면서 라피엣의 석탄 채굴 시대는 막을 내렸다.[19] 이후 라피엣은 잠시 농업 중심 지역으로 돌아갔으나, 덴버와 볼더의 성장에 힘입어 주거 지역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상업과 소규모 산업이 발달하는 도시로 변화했다.
2. 1. 설립과 초기 역사 (1888년 ~ 1900년대 초)

라피엣은 1888년 메리 E. (푸트) 밀러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녀와 남편 라피엣 밀러는 1868년 3월 덴버의 석탄 투기꾼 프랜시스 P. 히틀리와 에드워드 체이스로부터 구입한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18] 이 농장에는 1871년 홈스테드법을 통해 메리의 오빠 제임스 B. 푸트와 아버지 존 B. 푸트가 획득한 토지도 포함되었다.[19] 1874년 밀러 부부는 볼더로 이사하여 라피엣 밀러는 정육점을 운영하고 타운 위원으로 활동했다. 라피엣 밀러가 1878년 볼더에서 사망하자, 메리 밀러는 여섯 자녀와 함께 농장으로 돌아왔다.[19]
1884년 밀러 농장에서 석탄이 발견되었고, 1887년 존 H. 심슨은 제임스 B. 푸트로부터 석탄 임대 계약을 맺고 첫 번째 심슨 광산 갱도를 파면서 지역의 석탄 채굴 시대가 시작되었다.[19] 1888년 1월, 메리 밀러는 라피엣 타운의 원래 토지 측량도를 제출했으며,[15] 농장의 37acre를 남편의 이름을 딴 '라피엣' 타운 부지로 지정했다.[19] 같은 해 3월에는 첫 주택 부지(라피엣 타운 블록 G, 부지 6)를 휴 휴즈에게 판매했다.[16] 1888년 7월에는 두 번째 광산인 캐논 광산이 가동을 시작하고 첫 집들이 지어졌다.[19]
1889년 초, 메리 밀러는 톤당 12.5센트의 조건으로 찰스 스펜서와 존 H. 심슨에게 석탄 채굴권을 임대했고, 이들은 심슨 광산 서쪽 200야드 지점에 스펜서 석탄 광산 개발을 시작했다.[19] 메리 밀러는 1889년에 수정된 89acre 규모의 타운 토지 측량도를 제출했으며,[19] 같은 해 4월 2일 라피엣 타운은 공식적으로 법인화되었다.[19][17] 초기 토지 증서에는 현재 퍼블릭 로드로 알려진 거리 동쪽에서의 알코올 음료 판매 및 유통을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었으며,[19][20][21] 이 "알코올 조항"은 1904년 타운 위원회에 의해 라피엣의 모든 추가 토지 측량도에도 적용되도록 의무화되었다.[19]
라피엣은 스펜서/심슨 광산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생산성이 높은 광산으로 성장하면서, 볼더 동부와 웰드군 남서부 지역의 석탄 채굴 붐의 중심지가 되었다. 반면 캐논 광산은 수익성이 낮아 1898년에 폐쇄되었다.[19] 1914년경 라피엣은 은행 두 곳과 호텔 네 곳을 갖춘 번성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또한 루이빌, 볼더, 롱몬트, 포트 콜린스까지 전력을 공급하는 인터어반 발전소가 위치하여 미국 최초의 분산 전력망 중 하나를 갖추게 되었다.[19]
메리 밀러는 지역 사회의 주요 인물로 계속 활동했으며, 특히 1900년 1월 타운의 상업 지구가 화재로 소실되었을 때 복구에 힘썼다. 그녀는 1892년 파머스 & 마이너스 주립 은행 설립에 참여했으나 이 은행은 1894년에 문을 닫았다. 1900년에는 라피엣 은행을 직접 설립하고 회장으로 선출되어, 1902년 덴버 포스트 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여성 은행 회장"이 되었다.[19][22] 그러나 이 은행은 광부 파업으로 인한 약 9만달러의 부실 대출로 인해 1914년에 폐쇄되었다.[19] 메리 밀러는 금주 운동에도 적극적이어서 금주당 소속으로 미국 상원과 주 재무관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19][22]
초기 라피엣 주민들은 주로 미국 중서부 출신 백인 이주민들과 영국, 웨일스, 아일랜드 등 서유럽에서 온 석탄 광부들이었다. 1900년과 1910년 인구 조사 기록에는 라틴계 성씨를 가진 가구가 없었다.[19] 라피엣은 석탄 채굴 도시로 번영을 이어갔으나, 1910년 4월 북부 탄광 지대의 광부 노동조합 소속 광부들이 파업에 돌입하면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3] 이 시기를 전후하여 석탄 회사들은 파업에 대응하기 위해 동유럽과 멕시코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을 모집하기 시작했다.[19]
2. 2. 석탄 채굴 시대 (1900년대 초 ~ 1950년대)
20세기 초, 라피엣은 볼더 동부와 웰드 남서부 전역에서 일어난 석탄 채굴 붐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특히 스펜서/심슨 광산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생산성이 높은 광산으로 자리매김했다.[19] 1914년 무렵 라피엣은 은행 두 곳과 호텔 네 곳을 갖춘 번성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또한 루이빌, 볼더, 롱몬트, 포트 콜린스까지 전력을 공급하는 인터어반 발전소를 통해 미국 최초의 분산 전력망 중 하나를 구축하기도 했다.[19] 도시 설립자인 메리 E. 밀러는 지역 사회의 지도자로서 꾸준히 활동했으며, 1900년 상업 지구가 화재로 소실되었을 때 복구를 이끄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1900년 라피엣 은행을 설립하고 직접 회장을 맡아 당시 "미국에서 은행 회장으로 알려진 유일한 여성"으로 주목받았으나,[19][22] 이 은행은 광부 파업의 여파로 발생한 부실 대출 문제로 1914년 문을 닫게 되었다. 밀러는 금주 운동에도 헌신적인 활동을 보였다.[19][22]
라피엣 석탄 채굴의 역사는 덴버에 기반을 둔 거대 석탄 기업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유나이티드 석탄 회사, 노던 석탄 회사, 그리고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는 1891년부터 1944년 RMFC가 재편될 때까지 석탄 생산을 독점하고 수천 명의 지역 광부들을 고용하며 라피엣을 포함한 인근 지역 사회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19] 라피엣과 덴버 북서부(북부 탄전)에서 주로 채굴된 아역청탄은 가정 난방과 산업용 연료로 널리 사용되었다.[19] 1899년 콜로라도 탄광 검사관은 약 약 1048.94km2에 달하는 북부 탄전에 25억 6천만 톤의 석탄이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했다.[19] 수요가 급증하면서 1891년에는 다른 마을보다 15년이나 앞서 전화선이 설치되어 덴버 석탄 딜러들의 주문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19] 철도 역시 석탄 산업 발전에 필수적이었는데, 1889년 콜로라도 앤 사우스턴 철도가 루이빌에서 라피엣까지 약 4.83km의 지선을 건설하면서 대규모 채굴과 운송이 가능해졌다.[19]
그러나 산업 발전의 이면에는 열악한 노동 환경과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치열한 투쟁이 있었다. 1910년부터 1914년까지 이어진 장기간의 파업, 소위 "롱 스트라이크(Long Strike)"는 라피엣을 노동 운동의 최전선으로 만들었다.[19][23] 전미 광산 노동자 연합(UMWA) 소속 광부들은 위험천만한 작업 환경 속에서 임금 인상(기계 채굴 톤당 3센트, 곡괭이 채굴 4센트, 일당/추가 노동 5.55%), 8시간 노동제 보장, 검량사 선택권, 노조 인정, 그리고 주 노동 및 광산 안전법 준수 등을 요구하며 1910년 4월 1일 파업에 돌입했다.[19] 1913년 9월, 파업은 콜로라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주 역사상 가장 격렬한 노동 쟁의로 기록되었다. 광부들은 운영자들이 노동자의 안전을 경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한다고 비판하며, 노조 인정, 임금 10% 인상, 회사 상점 강매 금지, 주거 및 의료 선택의 자유 보장, 그리고 악명 높은 회사 경비 시스템 철폐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19]
이에 맞서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를 비롯한 석탄 운영자들은 웨스트버지니아, 테네시 등 다른 지역에서 비노조 광부들을 '스캐브(scabs)'라 불리는 파업 파괴자로 동원하여 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억누르려 했다.[19] 또한, 노동 탄압으로 악명 높은 볼드윈-펠츠 탐정 에이전시의 경비원들을 고용하여 노동자들을 감시하고 탄압했으며, 법원으로부터 파업 집회 및 관련 활동을 금지하는 명령을 받아내기도 했다.[19] 이러한 사측의 강경 대응은 1913년 9월 라피엣 동쪽에서 총격전이 벌어지는 등 폭력 사태를 유발했고, 결국 주지사는 콜로라도 민병대를 투입하여 파업을 강제 진압했다. 민병대는 라피엣의 총기를 압수하고 가택 수색까지 벌이는 등 강압적인 조치를 취했다.[19] 롱 스트라이크는 1914년 말 UMWA에 의해 종료되었으나, 광부들의 요구는 대부분 관철되지 못했으며 노조는 콜로라도에서 영향력을 회복하는 데 수십 년의 세월을 보내야 했다. 이는 당시 자본의 힘 앞에서 노동 운동이 겪었던 좌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9] 이 시기 라피엣 지역 노조 지도자였던 에드워드 로렌스 도일은 광부 안전 문제 제기, 시민 불복종 운동 조직, 그리고 특히 러들로 학살의 참상을 전국에 알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노동 운동에 헌신했다.[19]
롱 스트라이크는 라피엣의 인구 구성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파업을 무력화하기 위해 동유럽과 멕시코 출신 이주민 노동자들이 유입되었고, 파업 과정에서 노조는 이들과의 연대가 필수적임을 깨달았다. UMWA 라피엣 지부 1388의 1913년 9월 회의록에는 프랭크 곤잘레스, 헤수스 구스만 등 다수의 라틴계 신입 회원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19] 파업 이후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는 남부 콜로라도와 멕시코 등지에서 라틴계 노동자들의 이주를 적극적으로 유도했으며, 인근 세린의 콜럼바인 광산 폐쇄와 사탕무 농장의 노동력 수요 증가 역시 라틴계 인구 유입에 영향을 미쳤다. 1920년 25명에 불과했던 라틴계 주민은 1940년 76명으로 증가했고, 2016년에는 전체 인구의 18%에 달하는 4,400명으로 늘어났다.[19][25][26]
1927년, 라피엣의 석탄 광부들은 급진적 노동 단체인 세계 산업 노동자(IWW, 일명 위블리)의 주도로 다시 한번 파업에 나섰다. 그러나 이 파업은 비극으로 얼룩졌다. 1927년 11월 27일, 에리 인근 콜럼바인 광산에서 주 경찰이 파업 중이던 광부들에게 발포하여 라피엣 주민 5명이 사망하는 '콜럼바인 광산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노동 운동에 대한 폭력적인 탄압의 또 다른 참혹한 사례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이러한 탄압 속에서도 노동자들의 편에 선 인물이 있었다.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의 반노동적인 회장이었던 존 J. 로슈의 딸 조세핀 로슈는 192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상속받은 주식을 활용하여 회사 경영권을 장악했다. 그녀는 즉시 미국에서 가장 진보적이고 노동 친화적인 광산 운영 정책을 도입하여 광부들의 권익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그녀의 이러한 노력은 훗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 프란시스 퍼킨스의 최고 보좌관으로 발탁되는 배경이 되었다. 조세핀 로슈의 리더십 아래 RMFC 광부들의 삶의 질은 눈에 띄게 개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석탄 산업 자체는 1930년대부터 천연가스가 주요 난방 연료로 자리 잡으면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1946년에는 파산한 RMFC 소유의 콜럼바인 갱도를 포함한 대부분의 주요 광산이 문을 닫았다.[19] 라피엣의 마지막 석탄 광산이었던 블랙 다이아몬드 갱도는 1956년에 폐쇄되었고, 북부 탄전 전체의 마지막 광산이었던 이글 갱도(에리 소재)는 1975년에 최종적으로 운영을 중단했다.[19] 석탄 채굴 시대가 저물면서 라피엣은 잠시 농업 중심 지역으로 회귀했으나, 이후 덴버와 볼더의 성장에 힘입어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며 상업, 소규모 산업 및 제조업이 발달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오늘날 라피엣에는 과거 번성했던 석탄 채굴 시대의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으며, 라피엣 광부 박물관에 일부 유물이 보존되어 그 시절을 증언하고 있다.
2. 3. 현대 (1950년대 이후 ~ 현재)
석탄 채굴 산업은 천연가스가 석탄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193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점차 쇠퇴하였다. 주요 광산 중 하나였던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이 1956년에 문을 닫으면서, 라피엣은 다시 농업 중심의 지역 사회가 되었다.하지만 인근 대도시인 덴버와 볼더가 성장하면서 라피엣은 이들 도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며 주거 지역으로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주거 지역의 확대는 라피엣의 경제 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농업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상업, 소규모 산업 및 제조업의 비중이 점차 커지게 되었다.
인구 증가와 함께 라피엣의 민족 구성도 더욱 다양해졌다. 1940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2,062명의 주민 중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 성을 가진 성인이 76명으로 기록되었으나,[25] 2016년에는 전체 주민 약 25,000명 중 약 4,400명(18%)이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로 파악되어,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다.[26]
3. 지리
라피엣은 볼더 카운티 남동부에 위치한다. 북쪽과 동쪽으로는 이리, 동쪽과 남쪽으로는 브룸필드, 남서쪽으로는 루이빌과 접한다. 287번 국도가 도시를 관통하는 주요 도로이며, 북쪽으로는 롱몬트, 남쪽으로는 브룸필드와 덴버로 이어진다. 7번 주간 고속도로는 라피엣에서 동쪽으로 브라이튼, 서쪽으로 볼더로 연결된다. 또한 25번 주간 고속도로에서 도시로 진입하는 출구가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라피엣의 총 면적은 약 24.09km2이며, 이 중 약 24.09km2는 육지이고 0.4km2 (1.50%)는 수역이다.[11]
4. 인구
2010년 미국 인구 조사[31]에 따르면, 라피엣에는 24,453명의 주민, 9,632가구, 6,354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제곱마일당 2,584명 (998/km2)이었다. 주택은 총 9,997채가 있었으며, 평균 주택 밀도는 제곱마일당 1052.3/sqmi (406.3/km2)였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32]
- 백인: 85.6%
- 흑인: 1.1%
- 아메리카 원주민: 0.9%
- 아시아인: 3.8%
- 태평양 섬 주민: 0.05%
- 기타 인종: 5.4%
- 둘 이상의 인종: 3.2%
전체 인구 중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18.2%를 차지했다.[32]
전체 9,632가구 중 36.5%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으며, 49.9%는 부부가 함께 사는 가구였다. 11.6%는 남편 없이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였고, 34.0%는 비가족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25.5%는 1인 가구였으며, 이 중 5.9%는 65세 이상의 독거 노인 가구였다. 평균 가구원 수는 2.54명이었고, 평균 가족 구성원 수는 3.08명이었다.[32]
연령대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32]
- 18세 미만: 25.4%
- 18세 ~ 24세: 6.9%
- 25세 ~ 44세: 29.7%
- 45세 ~ 64세: 29.9%
- 65세 이상: 8.1%
인구의 중앙 연령은 37.6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5.8명이었으며,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91.9명이었다.[32]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2010년 기준 추정치에 따르면, 가구당 중위 소득은 66202USD였고, 가족당 중위 소득은 79212USD였다. 정규직 남성 근로자의 중위 소득은 54313USD, 여성 근로자는 50166USD였다. 1인당 소득은 34711USD였다. 전체 가족의 약 9.3%, 인구의 12.5%가 빈곤선 아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3]
5. 기후
wikitext
6. 경제
라피엣에서 채굴된 석탄은 1880년대 후반부터 인근 덴버의 난방 연료 및 다양한 산업 시설의 핵심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지역 경제의 기반을 형성했다.[19] 덴버의 높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다른 지역보다 일찍 전화선이 설치되었고(1891년), 1889년 콜로라도 앤 사우스턴 철도 지선 연결은 석탄 운송을 용이하게 하여 산업 성장을 촉진했다.[19]
이 지역에서 주로 생산된 아역청탄(갈탄)은 가정 난방과 산업용으로 적합했으며, 1899년 추정 매장량은 약 25억 6천만 톤에 달했다.[19] 유나이티드 석탄 회사, 노던 석탄 회사,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 등 대규모 석탄 기업들이 생산을 주도하며 지역 경제와 고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초기에는 생산된 석탄 대부분이 덴버의 산업 시설로 공급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롱몬트의 설탕 공장이나 볼더의 발전소 등이 주요 소비처로 부상했다.[19]
그러나 1930년대 이후 천연가스가 석탄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라피엣의 석탄 산업은 점차 쇠퇴하였다. 1940년대 중반부터 주요 탄광들이 문을 닫기 시작했고,[19]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의 파산(1944년 재편, 1946년 주요 광산 폐쇄) 이후 쇠퇴는 가속화되었다.[19] 라피엣의 마지막 석탄 광산인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은 1956년에 폐쇄되었으며, 북부 탄전 지역 전체의 석탄 채굴은 1975년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19]
오늘날 라피엣에는 과거 번성했던 석탄 채굴 산업의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일부 오래된 건물이나 라피엣 광부 박물관에 보존된 유물을 통해 그 역사를 엿볼 수 있다.[19] 석탄 산업 쇠퇴 이후 라피엣은 농업 중심 사회를 거쳐, 인근 덴버와 볼더의 성장에 힘입어 주거 지역으로 성장하며 상업 및 소규모 제조업 중심으로 경제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19]
6. 1. 산업
라피엣의 경제는 역사적으로 석탄 채굴 산업에 크게 의존했다. 1884년 메리 밀러의 농장에서 석탄이 발견된 후,[19] 1887년 존 H. 심슨이 첫 번째 광산인 심슨 광산을 열면서 지역의 석탄 채굴 시대가 시작되었다.[19] 1888년 캐논 광산, 1889년 스펜서 광산이 차례로 문을 열었으며,[19] 특히 스펜서-심슨 광산은 지역에서 가장 크고 생산성이 높은 광산으로 성장했다.[19] 1889년 콜로라도 앤 사우스턴 철도 지선이 라피엣까지 연결되면서 석탄 운송이 용이해졌고, 이는 산업화를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9]라피엣에서 채굴된 아역청탄(갈탄)은 주로 덴버 지역의 가정 난방 연료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련소, 공장, 발전소 등 산업 시설의 중요한 에너지원이었다.[19] 1898년 기준으로 라피엣에서 생산된 석탄의 약 95%가 산업용으로 공급될 정도였다.[19] 덴버의 수요가 높아 1891년에는 다른 지역보다 15년이나 앞서 전화선이 설치되기도 했다.[19] 20세기 초 라피엣은 은행 두 곳과 호텔 네 곳이 들어설 정도로 번성했으며,[19] 루이빌, 볼더, 롱몬트, 포트 콜린스 등 인근 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터어반 발전소가 위치한, 미국 초기 분산 전력망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9] 이 지역의 석탄 산업은 유나이티드 석탄 회사, 노던 석탄 회사,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와 같은 대규모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었다.[19]
그러나 석탄 산업의 발전 이면에는 광부들의 고된 노동과 투쟁이 있었다. 1910년 4월, 북부 탄전 지역의 광부들은 광부 노동조합(UMWA)을 중심으로 파업에 돌입했다.[23] 이 파업은 1913년 콜로라도 전역으로 확대되었고,[19][24][23] 이 과정에서 트리니다드 인근에서 주 방위군에 의해 광부 가족들이 희생된 비극적인 러들로 학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9][24] 파업 기간 동안 석탄 회사들은 파업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동유럽과 멕시코 등지에서 이주 노동자들을 고용했으며, 이는 라피엣의 인구 구성을 다양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백인과 서유럽계 이민자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파업 이후 라틴계 인구가 점차 증가했다.[19] 1927년에는 세계 산업 노동자(IWW, 위블리)가 주도한 또 다른 대규모 파업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콜럼바인 광산 학살이 발생하여 라피엣 주민 5명을 포함한 광부들이 희생되었다.[19] 이러한 갈등 속에서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 회장의 딸인 조세핀 로슈는 아버지 사후 회사 경영권을 확보하여 미국에서 가장 노동 친화적인 광산 운영 정책을 펼쳤으며, 이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 프란시스 퍼킨스의 보좌관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녀의 노력으로 라피엣 광부들의 노동 환경은 다소 개선될 수 있었다.[19]
1930년대부터 천연가스가 석탄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라피엣의 석탄 산업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19]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는 1944년 재편성 과정에서 대부분의 광산을 폐쇄했고,[19] 1946년에는 파산과 함께 콜럼바인 갱도를 포함한 여러 광산이 문을 닫았다.[19] 라피엣의 마지막 석탄 광산인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은 1956년에 최종적으로 폐쇄되었다.[19] 북부 탄전 지역 전체에서도 1975년 에리의 이글 갱도가 문을 닫으면서 석탄 채굴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19]
석탄 산업 쇠퇴 이후 라피엣은 다시 농업 중심의 지역 사회로 돌아갔다. 하지만 인근 덴버와 볼더의 성장에 힘입어 주거 지역으로서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에 따라 상업, 소규모 산업 및 제조업 분야가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19] 오늘날 라피엣에는 과거 번성했던 석탄 채굴 산업의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일부 오래된 건물이나 라피엣 광부 박물관에 보존된 유물을 통해 그 역사를 엿볼 수 있을 뿐이다.[19]
6. 2. 노동
라피엣의 발전은 석탄 채굴 산업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노동 문제와 투쟁의 역사를 동반했다. 특히 20세기 초반, 라피엣은 미국 노동 운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롱 스트라이크 (1910-1914)1910년 4월 1일, 전미 광산 노동자 연합(United Mine Workers of America, UMWA) 소속의 북부 탄전(Northern Field) 광부들은 "롱 스트라이크(Long Strike)"로 알려진 장기간의 파업에 돌입했다.[23][19] 이들은 기계 채굴 시 톤당 3센트, 곡괭이 채굴 시 4센트의 임금 인상, 일당 및 추가 노동에 대한 5.55% 인상, 8시간 노동제 보장, 노동자가 선출하는 검량사(weighman, 채굴량 측정 담당자) 제도, 노동조합 인정, 그리고 주 노동 및 광산 안전법의 철저한 시행을 요구했다.[19]
1913년 9월, 트리니다드에서 열린 UMWA 전당대회에서 콜로라도 전역의 대표들은 주 전체 파업을 결의하며 투쟁을 확대했다. 이는 콜로라도 역사상 가장 큰 노동 쟁의였다.[19][24][23] 광부들은 석탄 회사 운영자들이 노동자의 안전보다 이윤을 우선시한다고 비판하며, 노조 인정, 임금 10% 인상, 8시간 노동제 전면 시행, 추가 노동 수당 지급, 노조 소속 검량사 고용 권리, 회사 상점이 아닌 곳에서의 자유로운 거래 권리, 거주지와 의사 선택의 자유, 콜로라도 광산법 준수, 그리고 "악명 높은 사설 경비 시스템의 완전한 폐지" 등을 요구했다.[19] 이 파업은 남부 탄전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러들로 학살 사건과도 연결되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파업에 맞서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ocky Mountain Fuel Co., RMFC)를 비롯한 석탄 운영자들은 웨스트버지니아, 테네시, 켄터키, 미주리 등지에서 비노조 광부들을 파업 파괴자(strikebreaker), 소위 "스캐브(scabs)"로 모집하여 투입했다.[19] 또한, 운영자들은 파업 노동자들의 집회나 선전 활동을 금지하는 법원 명령을 얻어냈고, 악명 높은 볼드윈-펠츠 탐정 에이전시(Baldwin-Felts Detective Agency) 소속 사설 경비원들을 고용하여 회사 자산을 보호하고 파업을 탄압했다.[19] 볼드윈-펠츠 경비원들은 남부 석탄 지대에서 노동 탄압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판사 그릴리 W. 휘트포드는 이들을 법원 명령 집행자로 임명하며 사실상 회사 측의 탄압을 용인했다.[19]
파업이 격화되면서 폭력 사태도 발생했다. 1913년 9월 17일 라피엣 동쪽에서는 파업 광부들과 비노조 노동자 및 회사 경비대 간의 총격전이 벌어져 1,000발 이상의 총탄이 오갔고, 이 과정에서 부상자와 사망한 말이 발생했다.[19] 엘리아스 M. 에먼스 주지사는 결국 콜로라도 주 방위군을 파견하여 파업을 진압하도록 했다.[19] 군대는 라피엣에 주둔하며 가택 수색까지 벌여 모든 총기를 압수하는 등 강압적인 조치를 취했다.[19]
롱 스트라이크는 1914년 말, UMWA에 의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주요 석탄 회사들은 파업 참가자 재고용 외에는 광부들의 요구를 대부분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1913-1914년의 주 전역 파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콜로라도에서 UMWA가 다시 영향력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19]
이 시기 라피엣의 노동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한 명은 에드워드 로렌스 도일(Edward Lawrence Doyle, 1886–1954)이다. 그는 1908년부터 1912년까지 라피엣에 거주하며 캐피톨 광산의 검량사로 일했고, 광산 안전 문제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이후 1912년부터 1917년까지 UMWA 제15지구 서기 겸 재무를 맡아 롱 스트라이크 기간 동안 라피엣 지역 노조(지부 1388)를 이끌며 시민 불복종 운동을 조직했다. 그는 또한 회사 측 스파이를 색출하고, 노조원을 비노조 광부로 위장시켜 광산 내 정보를 파악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도일은 러들로 학살의 참상을 전국 언론에 알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노동 운동가 마더 존스나 작가 업턴 싱클레어와 교류하며 콜로라도 광부들의 열악한 현실을 알리는 데 힘썼다. 싱클레어는 도일의 도움을 받아 콜로라도 탄광 현실을 고발한 소설 《킹 콜》(King Coal)을 집필하기도 했다.[19]
민족 구성의 변화와 노동롱 스트라이크는 라피엣의 민족 구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파업 이전 라피엣 주민은 주로 백인 중서부 이주민과 서유럽 출신 광부들이었다. 1900년과 1910년 인구 조사에서는 라틴계 성을 가진 가족이 거의 없었다.[19] 그러나 파업이 시작되자 석탄 운영자들은 파업 파괴자로 동유럽과 멕시코 출신 이주민들을 대거 고용했다. 초기에는 라틴계 노동자들의 노조 가입이 제한되기도 했으나, UMWA는 롱 스트라이크 과정에서 이들과의 연대 필요성을 깨닫고 1913년부터 라틴계 회원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9] 파업 이후에도 RMFC 등은 남부 콜로라도와 뉴멕시코 등지에서 라틴계 노동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했으며, 인근 세린의 콜럼바인 광산 폐쇄 후에도 많은 라틴계 가족들이 라피엣으로 이주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사탕무 농장 노동 수요로 인해 라틴계 인구 유입이 더욱 늘어났다. 1920년 라피엣 인구 1,800명 중 라틴계는 25명에 불과했지만[19], 2016년에는 전체 인구 25,000명 중 약 18%인 4,400명이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로 기록될 정도로[26] 중요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1927년 파업과 콜럼바인 광산 학살1927년, 라피엣의 석탄 광부들은 다시 파업에 나섰다. 이 파업은 급진적인 노동조합인 세계 산업 노동자(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IWW, 일명 "위블리")와 연관되어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 안타깝게도 이 파업 과정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1927년 11월 27일, 에리 인근 콜럼바인 광산 앞에서 평화롭게 시위하던 광부들에게 주 경찰 민병대가 발포하여 6명의 광부가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하는 콜럼바인 광산 학살(Columbine Mine Massacre)이 일어났다. 사망자 중 5명은 라피엣 주민이었다. 이 사건은 콜로라도 노동 운동 역사상 또 다른 비극으로 기록되었다.
조세핀 로슈와 친노동 정책한편, 라피엣 지역의 주요 광산 회사의 경영자가 노동자들의 편에 서는 주목할 만한 사례도 있었다.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MFC)는 원래 반노동적인 성향의 존 J. 로슈가 이끌었으나, 1927년 그가 사망한 후 그의 딸인 조세핀 로슈(Josephine Roche)가 상속받은 지분을 활용하여 회사 경영권을 장악했다. 조세핀 로슈는 즉시 미국에서 가장 노동 친화적인 광산 운영 정책을 도입하여 노동조합을 인정하고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에 힘썼다. 그녀의 노력 덕분에 RMFC 광부들의 삶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조세핀 로슈는 이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 프란시스 퍼킨스의 최고 보좌관으로 활동하며 노동 정책 발전에 기여했다.
석탄 산업의 쇠퇴1930년대부터 천연가스가 난방 연료로 석탄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라피엣의 석탄 채굴 산업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194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주요 탄광이 문을 닫았고, 라피엣의 마지막 탄광인 블랙 다이아몬드 광산(Black Diamond Mine)은 1956년에 폐쇄되었다.[19] 이로써 라피엣의 주요 산업 기반이었던 석탄 채굴 시대는 막을 내리고, 도시는 다시 농업 중심 지역으로 돌아갔다가 이후 덴버와 볼더의 성장과 함께 주거 도시로 변화하게 된다.
7. 교통
라피엣을 관통하는 주요 도로는 287번 국도이다. 이 도로는 북쪽으로 롱몬트까지, 남쪽으로는 브룸필드와 덴버까지 이어진다. 7번 주간 고속도로 역시 라피엣을 지나며, 동쪽으로는 브라이튼, 서쪽으로는 볼더로 연결된다. 또한, 25번 주간 고속도로에서 라피엣으로 진입하는 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과거 라피엣 지역은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했다. 1849년부터 1870년 사이, 캘리포니아 금광을 찾아 나선 이들은 오버랜드 익스프레스 & 메일사(Overland Express and Mail Co.)의 콩코드 코치(Concord Coaches)를 타고 체로키 트레일(Cherokee Trail)을 따라 이동했다. 이 고대 남북 교역로는 오늘날 라피엣을 지나는 287번 미국 고속도로와 경로가 상당 부분 일치한다. 특히 1864년부터 1868년까지 체로키 트레일/라라미 로드(Laramie Road)는 서부로 향하는 주요 통로였으며, 캔자스주 애치슨(Atchison)에서 시작하여 약 1609.34km에 달하는 오버랜드 메일 & 익스프레스사(Overland Mail and Express Co.) 노선의 핵심 구간이었다. 이 노선의 프론트 레인지(Front Range) 구간은 덴버에서 북쪽으로 라포트(LaPorte)와 버지니아 데일(Virginia Dale)을 거쳐 와이오밍주 라라미(Laramie)에서 센트럴 오버랜드 루트(Central Overland Route)와 다시 만났다.[19]
벤 홀러데이(Ben Holladay)가 운영하던 오버랜드 메일 & 익스프레스사는 약 965.60km 길이의 덴버-솔트레이크시티 구간에 약 16.09km에서 약 24.14km 간격으로 46개의 스테이지 정류장을 두었다. 라피엣 북쪽 볼더 크릭(Boulder Creek)을 건너던 스테이지코치 경로는 오늘날의 N. 109번가와 브라운스빌(Brownsville) 근처, 287번 국도에서 동쪽으로 약 약 0.80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했다. 1864년부터 볼더 카운티와 브룸필드 카운티에는 벤 홀러데이의 오버랜드 스테이지 라인(Overland Stage Line) 정류장 세 곳이 운영되었다. 이는 오늘날 롱몬트 북쪽 약 약 3.22km 지점의 리틀 톰슨 스테이지 정류장, 볼더 크릭의 분스 랜치(Boon's Ranch, 볼더 스테이션), 그리고 웨스트민스터의 처치스 랜치(Church's Ranch, 당시 차일즈 스테이지 정류장)이다. 이후 롱몬트의 벌링턴 하우스(Burlington House)가 오버랜드 스테이지 라인의 본부 정류장이 되었다.[19]
라피엣 지역 내에도 스테이지코치 정류장이 있었다. 1866년부터 1871년까지 라피엣과 메리 밀러(Mary Miller)는 딜론 로드(Dillon Road) 북쪽, 현재 록 크릭 팜(Rock Creek Farm)으로 알려진 곳에서 밀러 태번 랜치(Miller Tavern Ranch)를 운영했다. 이곳은 메이슨 & 가노우(Mason & Ganow) 스테이지코치를 위한 술집 겸 정류장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라피엣의 초기 정착민인 아돌프(Adolf)와 안나 와네카(Anna Waneka)는 오늘날 287번 국도가 코얼 크릭(Coal Creek)을 건너는 지점에 2층짜리 스테이지 정류장을 운영했는데, 이곳은 주로 식사 정류장으로 이용되었다.[19]
1868년 10월 17일 설립된 메이슨 & 가노우 스테이지코치 회사는 웰스 파고와 경쟁하며 덴버에서 샤이엔까지 약 약 160.93km 거리를 매일 야간 운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스테이지코치는 덴버에서 오전 8시에 출발하여 다음 날 오전 7시에 샤이엔에 도착했고, 반대 방향으로는 샤이엔에서 오후 6시에 출발했다. 1867년 11월 19일자 로키 마운틴 뉴스(Rocky Mountain News)에 따르면 당시 덴버에서는 웰스 파고, 덴버, 발몬트 및 볼더 스테이지 회사,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익스프레스 컴퍼니 등 6개의 스테이지 회사가 운영 중이었다.[19]
스테이지코치 시대는 대륙횡단철도의 등장으로 점차 저물었다. 벤 홀러데이의 오버랜드 메일 & 익스프레스사는 1866년에 현금과 주식을 합쳐 180만달러에 웰스 파고에 매각되었다. 1867년 대륙 횡단 철도가 샤이엔까지 연결되면서 스테이지코치 이용객은 크게 줄었고, 덴버-샤이엔 노선은 주로 동쪽으로 가는 기차를 타려는 승객들을 수송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1869년 초, 웰스 파고는 덴버-샤이엔 노선을 포함한 모든 스테이지코치 운영권을 매각했다. 이 노선은 존 휴즈(John Hughes)에게 넘어갔다가 다시 로버트 스포츠우드(Robert Spotswood)와 윌리엄 맥클렐런드(William McClelland)에게 매각되어 1869년 11월 27일까지 운영되었다.[19]
8. 레크리에이션
라피엣에서 가장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장소 중 하나는 웨스트 에마 스트리트(West Emma Street)와 카리아 드라이브(Karia Drive)에 위치한 와네카 호수 공원(Waneka Lake Park)이다. 공원의 중심에는 시 소유의 인공 저수지인 와네카 호수(Waneka Lake)가 있다.[27]
와네카 호수 공원은 교외 지역에 자리 잡은 레크리에이션 공간이자 야생동물 보호 구역이다. 공원 내에는 놀이터, 쉼터, 피크닉 테이블, 벤치, 낚시터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원 전체 면적 147acre 내에 약 1.93km 길이의 피트니스 트레일이 조성되어 있어 걷기, 자전거 타기, 달리기를 즐길 수 있다.[27]
공원 남동쪽 모퉁이에는 187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와네카 곡물 창고(Waneka Granary)가 있다. 이는 라피엣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창고의 건축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는데, 고(故) 찰스 "클랜시" 와네카(Charles "Clancy" Waneka)는 라피엣 개척자 아돌프 와네카(Adolph Waneka)가 지었다고 믿었으나, 그의 사촌인 찰스 "척" 와네카(Charles "Chuck" Waneka)는 개척자인 하몬(Harmon) 가문이 지었다고 주장했다. 이 구조물은 손으로 다듬은 통나무와 사각형 철못 등 초기 건축 방식을 잘 보여준다.[19]
콜로라도주 물 자원부 기록(댐 ID = 060225)에 따르면, 와네카 호수는 1865년 아돌프 와네카가 인근 샘에서 나오는 물을 모으기 위해 처음 건설했다. 이는 1989년 클랜시 와네카가 ''라피엣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1860년대 어느 시점에 (아돌프 와네카가) 약 13acre.ft를 담을 수 있는 작은 저수지를 팠고, 이는 기록되어 주 엔지니어 사무실 기록으로 남아 있다"고 언급한 내용과 일치한다.[28] 아돌프 와네카는 호수에 대한 권리를 아들 헨리 "보이" 와네카(Henry "Bo" Waneka)에게 넘겼고, 헨리는 1897년 이 호수를 윌리엄(William), 프랭크(Frank), 가이 하몬(Guy Harmon)에게 매각했다. 1906년 노던 콜로라도 전력 회사(Northern Colorado Power Company) 문서와 콜로라도 주 물 자원부의 저수지 기록 모두 와네카 호수의 원래 이름이 "헨리 와네카 No. 1 저수지(Henry Waneka No. 1 Reservoir)"였음을 보여준다.[19]
1906년, 노던 콜로라도 전력 회사는 증기 발전기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호수를 확장하여 790000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했다. 당시 라피엣의 창립자인 메리 밀러(Mary Miller)와 전력 회사는 추가로 저장된 물에 대한 권리를 절반씩 나누어 가졌다. 메리 밀러가 호수를 소유했을 당시에는 '밀러와 하몬 저수지(Miller and Harmon Reservoir)'로 불리기도 했다.[19]
노던 콜로라도 전력 회사는 1905년부터 1906년에 걸쳐 호수 남쪽 가장자리에 6,000킬로와트 규모의 전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이 발전소는 볼더와 덴버를 연결하는 전기 구동식 도시 간 여객 전차 노선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발전소 사업 계획은 덴버의 조셉 J. 헨리(Joseph J. Henry)가 개발했으며, 이사진에는 W.F. 크로슬리(W.F. Crossley), 타이슨 다인스(Tyson Dines), W.H. 앨리슨(W.H. Allison), 와이오밍주 출신 F.E. 워렌(F.E. Warren) 상원의원, 윌리엄 J. 바커(William J. Barker), 토마스 켈리(Thomas Kelly), 로버트 S. 엘리슨(Robert S. Ellison), 윌리엄 메이어(William Mayer), C.C. 브롬리(C.C. Bromley) 등이 참여했다.[19]
원래 발전소 부지로는 라피엣 동쪽의 블루 리본 힐(Blue Ribbon Hill)이 석탄 크릭(Coal Creek)의 물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현재의 와네카 호수 위치에 건설되었다. 볼더 카운티 기록에 따르면 메리 밀러는 1904년 하몬 가문으로부터 저수지를 매입했지만, 하몬 가문은 저수지로 유입되는 물에 대한 일부 권리를 계속 보유했다. 이 발전소는 1920년대에 마지막으로 가동되었으며 1963년에 철거되었다.[19]
볼더 카운티 서기 및 등기소 기록에 따르면, 라피엣 시는 1972년 10월 J.B. 텔린(J.B. Tellin)으로부터 "헨리 와네카 저수지"를 매입했다. 몇 년 후 콜로라도 주 정부는 저수지가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했으나, 라피엣 시는 보수 공사를 통해 저수지의 기능을 회복시켰다.[29]
9. 정부
라피엣 시의회는 지역 사회의 입법 기관으로서 조례를 제정하고, 시의 업무 수행을 위한 자금을 배정하며, 시 행정관을 통해 시정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시의회는 홀수 해에 무소속으로 선출되는 7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임기는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매 선거 해에 4석이 채워진다. 최다 득표를 한 3명의 의원은 4년 임기를, 4번째 의원은 2년 임기를 수행한다. 시장과 임시 시장은 시의회에서 2년 임기로 선출한다. 2021년 12월 현재 라피엣의 시장은 JD 망갓이며, 임시 시장은 브라이언 웡이다.[30]
라피엣 역사상 주목할 만한 정치적 공석은 다음과 같다.
- '''재임 중 사망''': 라피엣 밀러 (1878년, 볼더 타운 위원)
- '''해임''': 리처드 W. 모건 (1907년, 콜로라도주 상원 의원) - 700USD 상당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해임되었다.
- '''시의원 사임'''
연도 | 이름 |
---|---|
1891년 | 월터 문 |
1935년 | 조 매티어스 |
1959년 | 로이 "햄" 로버츠 |
1975년 | 톰 로페즈 |
1980년 | 칼 윌리엄스 |
1986년 | 존 드레넨 |
1996년 | 캔디 폭스 |
1996년 | 브라이언 올슨 |
1999년 | 마이크 로메로 |
2000년 | 데니스 벅 |
2001년 | 마크 호스킨스 |
2001년 | 톰 앤더슨 |
2002년 | 앤디 프로크터 |
2003년 | 데이브 슈넬러 |
2003년 | 톰 호그 |
2005년 | 알렉스 샤츠 |
2010년 | 케리 벤스만 |
2010년 | 크리스 카메론 |
2016년 | 톰 도울링 |
2018년 | 구스타보 레이나 |
2019년 | 크리스틴 버그 |
2019년 | 메릴리 마자 |
10. 행사
라피엣에서는 매년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주요 행사로는 복숭아 축제, 와인 축제, 라피엣 데이 등이 있다. 특히 매년 1월에는 퀘이커 오츠 컴퍼니(Quaker Oats Company)와 협력하여 오트밀 축제가 개최되며, 이 기간 동안 와네카 호수 주변에서는 피트니스 달리기도 진행된다.
행사가 열리는 주요 장소 중 하나는 올드 타운 라피엣의 퍼블릭 로드와 체스터 스트리트에 위치한 페스티벌 플라자이다. 이곳은 만남의 장소 역할을 하며, 여러 행사를 홍보하기 위한 특징을 갖춘 네 개의 작은 광장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11. 교육
라피엣의 공립학교는 볼더밸리 교육구에 속해 있다. 주요 공립 고등학교는 센타우루스 고등학교(Centaurus High School)로, 약 1,6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피크 투 피크 차터 스쿨도 있다. 공립 중학교인 앤저바인 중학교(Angevine Middle School) 학생들은 센타우루스 고등학교로 진학한다. 초등학교로는 라파예트 초등학교, 알리시아 산체스 초등학교, 버나드 D. '패트' 라이언 STEAM 학교, 그리고 영어와 스페인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언어 학교인 파이오니어 초등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라피엣 북부에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과정을 갖춘 사립 대학 준비 학교인 알렉산더 도슨 스쿨이 있다.
12. 종교
라피엣 최초의 교회는 1890년에 존과 애니 존스, J. M. 반 데런 부부, 로라 킴바크가 세운 회중 교회였다.[34] 도시 설립자인 메리 E. 밀러는 1892년경 교회의 건설 비용을 대고 초대 목사의 급여를 지원했다. 1907년에는 성 이다 가톨릭 교회가 세워졌고, 1954년에는 성모 수태 가톨릭 교회로 바뀌었다.[35] 플랫아이언스 커뮤니티 교회는 1997년 라피엣에서 시작되었다.
13. 인물
라피엣은 1888년 메리 E. 밀러(Mary E. Miller, 1843–1921)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녀는 남편 라피엣 밀러(Lafayette Miller)가 사망한 후, 1884년 농장에서 석탄이 발견되자 1888년 남편의 이름을 따 도시를 세우고 토지 측량도를 제출했다.[15][16][19] 메리 밀러는 라피엣 은행을 설립하여 미국 최초의 여성 은행 회장 중 한 명이 되었으며,[22] 지역 사회의 지도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또한 금주 운동에 헌신하여 금주당 후보로 미국 상원 의원 선거와 주 재무관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19][22] 그녀는 1921년 라피엣에서 사망했다.
조세핀 로슈(Josephine Roche, 1886-1976)는 라피엣 지역의 주요 탄광 회사였던 로키 마운틴 연료 회사(Rocky Mountain Fuel Company, RMFC)의 소유주이자 경영자였다. 아버지로부터 회사를 물려받은 후, 그녀는 당시로서는 매우 진보적인 친노동 정책을 펼쳐 미국에서 가장 노동 친화적인 광산 운영을 실현했다. 이는 광부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로슈는 이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 프란시스 퍼킨스의 최고 보좌관으로 활동하며 노동 정책 발전에 기여했다.
그 외 라피엣 출신이거나 거주했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밥 보프레즈 (Bob Beauprez): 공화당 소속 정치인.
- 데본 베이첼 (Devon Beitzel): 전 프로 농구 선수 (포인트 가드).
- 존 C. 뷰크너 (John C. Buechner): 교육자, 정치인, 시의원.
- 에드워드 도일 (Edward Doyle, 1886–1954): 탄광 노동자 출신으로, 노동자 권익 향상을 위해 헌신한 노동 운동가.
- 라스 그림스루드 (Lars Grimsrud): 항공우주 공학자이자 고성능 자동차 애호가.
- 마리아 핸들리 (Maria Handley): 민주당 전국위원회 일반 위원으로 활동하며 당의 발전에 기여했다.
- 스티븐 린지 (Steven Lindsey): 퇴역 미국 공군 장교이자 NASA 우주 비행사.
- 존 마사로 (John Massaro): 기타리스트, 스티브 밀러 밴드의 곡을 작곡. '존 빈센트 해즐릿'(John Vincent Hazlett)으로도 알려져 있다.
- 라피엣 뱀파이어 (Lafayette Vampire): 테오도르 글라바(Theodore Glava, 1877–1918)로 알려진 인물.
- 제임스 로드 (James Lord, 1878–1962): 탄광 노동자 출신의 노동 운동가로, 동료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 투쟁했다.
- 레니 메츠 (Renie Metz, 1899–1953): 1923년부터 1925년까지 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 유격수로 활동했으며, 라피엣에 거주했다.
- 조 네구세 (Joe Neguse): 민주당 소속으로 콜로라도 제2선거구 미국 하원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 알리시아 산체스 (Alicia Sanchez, 1926–1985): 라틴계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운동가로, 저소득층을 위한 의료 기관인 클리니카 캄페시나(Clinica Campesina)를 설립했다.
- 마릴린 시츠먼 (Marilyn Sitzman):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당시 현장에 있었던 목격자.
- 제시카 왓킨스 (Jessica Watkins): 지질학자이자 전 국제 럭비 선수이며, 2017년 NASA 우주 비행사 후보로 선발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Active Colorado Municipalities
https://dola.colorad[...]
"State of Colorado, Colorado Department of Local Affairs, Division of Local Government"
2021-01-27
[2]
웹사이트
Colorado Counties
https://dola.colorad[...]
"State of Colorado, Colorado Department of Local Affairs, Division of Local Government"
2021-01-27
[3]
웹사이트
Staff Directory: Alexandra Lynch
https://lafayetteco.[...]
City of Lafayette
2019-09-18
[4]
웹사이트
Staff Directory: Jamie Harkins
https://lafayetteco.[...]
City of Lafayette
2019-09-18
[5]
웹사이트
Staff Directory: Fritz Sprague
https://lafayetteco.[...]
City of Lafayette
2019-09-18
[6]
웹사이트
Colorado Municipal Incorporations
http://www.colorado.[...]
"State of Colorado, Department of Personnel & Administration, Colorado State Archives"
2004-12-01
[7]
웹사이트
2019 U.S. Gazetteer File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7-01
[8]
웹사이트
Lafayette city; Colorado
https://data.census.[...]
2023-04-28
[9]
웹사이트
ZIP Code Lookup
http://zip4.usps.com[...]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07-10-25
[10]
문서
'{{GNIS|2411592}}'
[11]
웹사이트
Geographic Identifier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G001): Lafayette city, Colorado
http://factfinder.ce[...]
U.S. Census Bureau, American Factfinder
2013-09-26
[12]
웹사이트
Lafayette Climate
https://en.climate-d[...]
2023-09-02
[13]
웹사이트
Lafayette Annual Weather Averages
https://www.worldwea[...]
2023-09-02
[14]
웹사이트
Monthly Average Snowfall
https://climate.colo[...]
2024-02-10
[15]
웹사이트
Rec88000054
https://recorder.bou[...]
2021-12-09
[16]
웹사이트
Rec80109526
https://recorder.bou[...]
2021-12-09
[17]
웹사이트
Recording
https://recorder.bou[...]
2021-12-09
[18]
웹사이트
Rec80011064
https://recorder.bou[...]
2021-12-09
[19]
서적
'80026: An illustrated history of Lafayette, Colo. – 1829 to 1929'
http://www.lafayette[...]
6000 Bees LLC
2017
[20]
웹사이트
History of Lafayette
http://www.cityoflaf[...]
City of Lafayette
2007-02-01
[21]
웹사이트
Mary Miller
http://www.cityoflaf[...]
City of Lafayette
2007-02-01
[22]
뉴스
Mrs. Mary E. Miller
Lafayette News, Lafayette, Colo.
1902-12-13
[23]
서적
Lafayette, Colorado History – Treeless Plain to Thriving City
Lafayette Historical Society
1990
[24]
서적
Coal Mining in Colorado's Northern Field
http://www.lafayette[...]
6000 Bees LLC
2001
[25]
서적
Latinos of Boulder County, Colorado, 1900 to 1980
Old John Publishing
2016
[26]
웹사이트
Lafayette, Colorado population
https://suburbanstat[...]
[27]
웹사이트
Recreation Facilities
http://www.cityoflaf[...]
2018-03-29
[28]
뉴스
Clancy Waneka
Lafayette News
1989-09-27
[29]
서적
History of Waneka Lake – Lafayette, Colorado
2006
[30]
웹사이트
City Council – Lafayette, CO – Official Website
http://cityoflafayet[...]
[31]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8-01-31
[32]
웹사이트
Profile of General Population and Housing Characteristic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DP-1): Lafayette city, Colorado
http://factfinder.ce[...]
U.S. Census Bureau, American Factfinder
2013-09-26
[33]
웹사이트
Selected Economic Characteristics: 2009–2011 American Community Survey 3-Year Estimates (DP03): Lafayette city, Colorado
http://factfinder.ce[...]
U.S. Census Bureau, American Factfinder
2013-09-26
[34]
서적
Minutes of the Congregational Church (Pilgrim Church)
Lafayette Public Library, Lafayette, Colo.
1890-1928
[35]
웹사이트
History
https://lafayettecat[...]
2023-09-05
[36]
웹사이트
Astronaut Candidate Jessica Watkins
https://www.nasa.gov[...]
2017-06-06
[37]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24
[38]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39]
웹인용
Lafayette Climate
https://en.climate-d[...]
2023-09-02
[40]
웹인용
Lafayette Annual Weather Averages
https://www.worldwea[...]
202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