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음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D)는 음이름 중 하나로,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과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에 따라 옥타브별로 다르게 표기된다. D 음은 D₋₁부터 D₁₀까지 존재하며, 숫자가 커질수록 높은 옥타브를 나타낸다. 라(D)를 으뜸음으로 하는 장음계와 단음계가 존재하며, D 도리아 선법, D 프리지아 선법, D 리디아 선법, D 믹소리디아 선법, D 에올리아 선법, D 로크리아 선법 등 다양한 교회 선법과 재즈 멜로딕 마이너 스케일에서도 사용된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기타, 콘트라베이스, 일렉트릭 베이스 등의 현악기와 피콜로, 클라리넷, 바스 튜바 등의 관악기에서 D 음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이름 - 가 (음이름)
가 (음이름)은 서양 음악에서 'A'로 표기되는 음 이름으로, 옥타브에 따라 주파수와 음높이가 다르며, 다양한 음계의 기본음, 악기 조율 기준음, 시보 및 예보음으로 활용된다. - 음이름 - 다 (음이름)
다는 서양 음악의 음이름 중 하나로, 다양한 옥타브에서 사용되며,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에서 C₄,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에서 c′로 표기되고, 약 261.63 Hz의 주파수를 가지며, 플루트, 성악 등 다양한 악기에서 기준 음으로 사용된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라 (음이름) | |
---|---|
음높이 | |
음이름 | 라 |
영어 음이름 | D |
독일어 음이름 | D |
프랑스어 음이름 | Ré |
이탈리아어 음이름 | Re |
이명 동음 | 겹올림다, 겹내림마 |
위치 | 2번째 |
위치 (음계) | 2 |
음악적 표현 | |
기타 | |
solfège (솔페지) | Re (레) |
관련 문서 | 계이름 |
movable-do system (이동 도 시스템) | Re (음악) |
2. 옥타브별 표기
D 음은 옥타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된다.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과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에서는 D−1부터 D10까지 숫자를 붙여 표기하며, 숫자가 커질수록 높은 옥타브를 나타낸다.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에서는 라(D)음을 대문자, 소문자, 첨자 등을 조합하여 옥타브를 나타낸다. 각 옥타브의 라(D) 음은 고유한 주파수를 가지며, D−1의 주파수는 약 9.177Hz이고, 옥타브가 올라갈수록 주파수는 2배씩 증가한다.
2. 1.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에서 D 음은 D−1부터 D10까지 숫자를 붙여 표기한다. 숫자가 커질수록 높은 옥타브를 나타낸다. 각 음높이에 따른 주파수는 아래 표와 같다.과학적 표기 | 옥타브 이름 | 주파수 (Hz) |
---|---|---|
D−1 | Subsubcontra | 9.177Hz |
D0 | Subcontra | 18.354Hz |
D1 | Contra | 36.708Hz |
D2 | Great | 73.416Hz |
D3 | Small | 146.832Hz |
D4 | One-lined | 293.665Hz |
D5 | Two-lined | |
D6 | Three-lined | 1174.659Hz |
D7 | Four-lined | 2349.318Hz |
D8 | Five-lined | 4698.636Hz |
D9 | Six-lined | 9397.273Hz |
D10 | Seven-lined | 18794.545Hz |
2. 2.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
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에서는 라음을 대문자, 소문자, 첨자 등을 조합하여 옥타브를 나타낸다.과학적 표기 | 헬름홀츠 표기 | 옥타브 이름 | 주파수 (Hz) |
---|---|---|---|
D−1 | D͵͵͵ 또는 ͵͵͵D 또는 DDDD | Subsubcontra | 9.177Hz |
D0 | D͵͵ 또는 ͵͵D 또는 DDD | Subcontra | 18.354Hz |
D1 | D͵ 또는 ͵D 또는 DD | Contra | 36.708Hz |
D2 | D | Great | 73.416Hz |
D3 | d | Small | 146.832Hz |
D4 | d′ | One-lined | 293.665Hz |
D5 | d′′ | Two-lined | |
D6 | d′′′ | Three-lined | 1174.659Hz |
D7 | d′′′′ | Four-lined | 2349.318Hz |
D8 | d′′′′′ | Five-lined | 4698.636Hz |
D9 | d′′′′′′ | Six-lined | 9397.273Hz |
D10 | d′′′′′′′ | Seven-lined | 18794.545Hz |
2. 3. 옥타브별 주파수
과학적 표기 | 헬름홀츠 표기 | 옥타브 이름 | 주파수 (Hz) |
---|---|---|---|
D−1 | D͵͵͵ 또는 ͵͵͵D 또는 DDDD | Subsubcontra | 9.177Hz |
D0 | D͵͵ 또는 ͵͵D 또는 DDD | Subcontra | 18.354Hz |
D1 | D͵ 또는 ͵D 또는 DD | Contra | 36.708Hz |
D2 | D | Great | 73.416Hz |
D3 | d | Small | 146.832Hz |
D4 | d′ | One-lined | 293.665Hz |
D5 | d″ | Two-lined | |
D6 | d‴ | Three-lined | 1174.659Hz |
D7 | d⁗ | Four-lined | 2349.318Hz |
D8 | d′⁗ | Five-lined | 4698.636Hz |
D9 | d″⁗ | Six-lined | 9397.273Hz |
D10 | d‴⁗ | Seven-lined | 18794.545Hz |
D음을 시작음으로 하는 음계는 다음과 같다.
각 옥타브의 라(D) 음은 고유한 주파수를 가진다. D−1의 주파수는 약 9.177Hz이며, 옥타브가 올라갈수록 주파수는 2배씩 증가한다.
3. 음계
3. 1. 장음계
D 장조: D E F♯ G A B C♯ D
D 화성 장음계: D E F♯ G A B♭ C♯ D
D 선율 장음계 (올림): D E F♯ G A B C♯ D
D 선율 장음계 (내림): D C B♭ A G F♯ E D
3. 2. 단음계
D 단음계는 D, E, F, G, A, B♭|플랫영어, C, D로 구성된다.[1] D 화성 단음계는 D, E, F, G, A, B♭|플랫영어, C♯|샤프영어, D로 구성된다.[1] D 선율 단음계 상행은 D, E, F, G, A, B, C♯|샤프영어, D이며,[1] 하행은 D, C, B♭|플랫영어, A, G, F, E, D이다.[1]
3. 3. 교회 선법
선법 | 구성음 |
---|---|
D 도리아 | D E F G A B C D |
D 프리지아 | D E♭ F G A B♭ C D |
D 리디아 | D E F♯ G♯ A B C♯ D |
D 믹소리디아 | D E F♯ G A B C D |
D 에올리아 | D E F G A B♭ C D |
D 로크리아 | D E♭ F G A♭ B♭ C D |
3. 4. 재즈 멜로딕 마이너 스케일
- D 상행 멜로디 단음계: D E F G A B C♯ D
- D 도리안 ♭2: D E♭ F G A B C D
- D 리디안 증화: D E F♯ G♯ A♯ B C♯ D
- D 리디안 도미넌트: D E F♯ G♯ A B C D
- D 믹소리디안 ♭6: D E F♯ G A B♭ C D
- D 로크리안 ♮2: D E F G A♭ B♭ C D
- D 얼터드: D E♭ F G♭ A♭ B♭ C D
4. 악기별 D 음
악기 | 옥타브 | 설명 |
---|---|---|
피콜로 | 옥타브5 | 최저음 |
바이올린 | 옥타브4 | 제3현 |
비올라 | 옥타브4 | 제2현 |
첼로 | 옥타브3 | 제2현 |
기타 | 옥타브3 | 제4현 |
클라리넷 (B관) | 옥타브3 | 최저음 |
콘트라베이스 (오케스트라 튜닝)・일렉트릭 베이스 | 옥타브2 | 제2현 |
F관 바스 튜바 | 옥타브1 | 최저음 |
4. 1. 현악기
바이올린의 제3현과 비올라의 제2현은 D₄이다.[1] 첼로의 제2현과 기타의 제4현은 D₃이다.[1] 콘트라베이스(오케스트라 튜닝) 및 일렉트릭 베이스의 제2현은 D₂이다.[1]4. 2. 관악기
피콜로의 최저음은 D₅이다.[1] 클라리넷(B♭관)의 최저음은 D₃이다.[1] F관 바스 튜바의 최저음은 D₁이다.[1]참조
[1]
웹사이트
D note
https://www.basicmus[...]
[2]
웹사이트
Physics of Music Notes – Scales: Just vs Equal Temperament
https://pages.mtu.ed[...]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
1998-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