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는 람보르기니의 수석 디자이너 미티아 보르케르트와 Centro Stile 부서가 디자인한 전기 슈퍼카 컨셉트이다. 슈퍼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에너지 저장 및 방전 속도를 높였으며, 각 휠에 전기 모터를 장착하여 사륜구동 방식을 구현한다. 레이스 트랙 주행 전용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탄소 섬유 차체와 슬라이딩 캐노피를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우라코
람보르기니 우라코는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주도로 개발되어 포르쉐 911 등과 경쟁한 2+2 시트 쿠페형 스포츠카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하고 V8 엔진을 횡치한 지아코사 레이아웃을 채택하여 출시되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에스파다
람보르기니 에스파다는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4인승 GT 쿠페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베르토네에서 디자인했으며, V12 엔진을 탑재하고 총 1,217대가 제작되었다. - 전기 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전기 자동차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4륜구동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4륜구동 - 기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1993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5세대 모델까지 판매되며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해왔다.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Lamborghini Terzo Millennio |
제조사 | 람보르기니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차종 | 하이퍼카 |
차체 스타일 | 해치탑 쿠페 |
구동 방식 | 쿼드 모터 사륜구동 |
모터 | 각 바퀴에 장착된 4개의 e-모터 |
도어 | 캐노피 |
디자이너 | 미챠 보커트 |
생산 년도 | 2017년 |
2. 역사적 배경
차명인 테르조 밀레니오는 이탈리아어로 '세 번째 천년기(Third Millenniumeng)'를 의미한다.[10][11]
차명 Terzo Millennio|테르조 밀레니오ita는 이탈리아어로 '세 번째 천년기(Third Millennium)'를 의미한다.[10][11] 이 콘셉트카는 2017년 11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EmTech 컨퍼런스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1], 람보르기니와 MIT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10] 람보르기니와 MIT는 2016년 가을부터 파트너십을 맺고 주로 자동차용 신소재 연구에 집중해왔다.
람보르기니는 2016년 가을부터 MIT와 협력하여 주로 자동차용 신소재 연구에 집중했으며, 이 과정에서 테르조 밀레니오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개발에는 람보르기니의 전문 엔지니어들과 MIT의 교수 및 학생들이 참여했다.[10] 이 컨셉 모델은 "미래의 스포츠카"를 목표로 하며, 전 세계적인 전기차(EV) 전환 추세 속에서 타협 없는 EV 슈퍼카(슈퍼 EV)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에너지 저장"과 "혁신 소재"를 제시했다.
테르조 밀레니오는 2017년 11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MIT에서 열린 EmTech 컨퍼런스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0][1] 디자인은 람보르기니 수석 디자이너 미티야 보케르트와 회사 디자인 부서(Centro Stileita)의 작품으로, 전통적인 "간디니 라인"의 일부로 간주된다.[5]
람보르기니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 마우리치오 레지아니는 이 차가 실제 양산 모델이라기보다는 미래 기술을 탐색하는 "생각하는 상자(thinking boxeng)" 또는 "사고 실험 상자"에 가깝다고 설명했다.[12][6] 그는 또한 이 컨셉카가 람보르기니가 즉시 완전 전기차 생산으로 전환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10][1] 당시 람보르기니 회장이었던 스테파노 도메니칼리는 MIT와의 협력이 슈퍼 스포츠카의 규칙을 재정의할 기회이며, 테르조 밀레니오가 미래 세대의 꿈을 만들기 위한 진보적인 컨셉트카라고 언급했다.
테르조 밀레니오는 미래 스포츠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대표 모델로 여겨진다.[13][7] 여기에 적용된 슈퍼 캐패시터 기술은 이후 2019년에 공개된 람보르기니 최초의 하이브리드 한정판 모델인 시안 FKP 37에 일부 반영되었다.
3. 주요 특징
테르조 밀레니오는 단순히 양산을 염두에 둔 모델이라기보다는, 미래의 전기 슈퍼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생각하는 상자(thinking box)"[6] 또는 "사고 실험 상자"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당시 람보르기니 최고 기술 책임자(CTO)였던 마우리치오 레지아니가 언급한 내용으로, 그는 이 차가 회사의 즉각적인 완전 전기차 생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1][6] 즉, 테르조 밀레니오는 미래 스포츠카의 대표자[7][13]로서, 세계적인 전동화 흐름 속에서 람보르기니가 추구하는 타협 없는 EV 슈퍼카(슈퍼 EV)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에너지 저장 방식의 혁신과 첨단 신소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개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 중 슈퍼커패시터 기술은 이후 2019년에 공개된 람보르기니 최초의 하이브리드 한정판 모델인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에 일부 반영되었다.
당시 람보르기니 회장이었던 스테파노 도메니칼리는 MIT와의 협력이 "슈퍼 스포츠카에 대한 규칙을 다시 쓰는 훌륭한 기회"라며 다음과 같이 테르조 밀레니오의 의미를 강조했다.
: 연구 개발 부서와 MIT와 협력하는 것은 람보르기니가 항상 매우 잘 해왔던 일, 즉 슈퍼 스포츠카에 대한 규칙을 다시 쓰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이제 우리는 흥미롭고 진보적인 컨셉트카를 선보입니다. 불가능한 오늘을 수용하여 내일의 현실을 만들어내는 데 영감을 받았습니다. 람보르기니는 항상 다음 세대의 꿈을 만들어야 합니다.
3. 1. 동력 장치 및 성능
테르조 밀레니오는 동력원으로 각 바퀴(주황색으로 빛나는 링 포함)에 전기 모터를 장착하여 사륜구동 레이아웃을 가진다. 각 모터는 토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현대적인 포뮬러 원 자동차 수준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에너지 저장 장치로는 일반적인 배터리 대신 고용량 슈퍼커패시터를 사용한다. 이는 에너지 저장 및 방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6][10] 슈퍼커패시터는 화학 반응 없이 에너지를 즉각적으로 포착하고 방출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1][4][10] 또한, 차체 소재로 탄소 나노 튜브를 사용하여 차체 자체가 에너지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슈퍼커패시터 기술은 이후 2019년에 공개된 람보르기니 최초의 하이브리드 한정판 모델인 시안 FKP 37에 일부 반영되었다.
3. 2. 자율 주행 기능
테르조 밀레니오는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이는 레이스 트랙 주행 전용이다. 이 시스템은 차량이 실수 없이 트랙 전체 랩을 완주하도록 도우며, Forza나 그란 투리스모 같은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고스트 카 개념을 활용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랩을 효과적으로 주행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6]
3. 3. 디자인 및 차체
테르조 밀레니오의 디자인은 람보르기니의 수석 디자이너인 미티아 보르케르트와 회사 내 디자인 부서인 센트로 스틸레(Centro Stile)의 작품으로[5], 흔히 '간디니 라인'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차량은 전조등과 미등에 적용된 Y자 형태의 디자인 요소, 삼각형 모양의 앞쪽 트렁크와 뒤쪽 엔진 베이 등 현대적인 람보르기니 디자인의 특징들을 계승하고 있다.[4] 차량의 전체 높이는 1143mm이다.
차체 패널은 전적으로 탄소 섬유로 제작되었으며, 차체 자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었다.[6] 이는 차체 손상을 스스로 감지하고 복구하는 개념을 포함한다. 승객은 위로 열리는 슬라이딩 방식의 캐노피를 통해 탑승한다.[8][14]
람보르기니는 이 컨셉카 개발을 위해 MIT와 협력했다. 특히 자동차용 신소재 연구에 집중했으며, 차체 소재로 탄소 나노 튜브를 채택하여 차체 전체를 슈퍼커패시터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슈퍼커패시터는 짧은 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어 고출력 전기 모터에 적합한 에너지 저장 방식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람보르기니의 전문 엔지니어들과 MIT 교수 및 학생들이 공동으로 진행했다.[1]
테르조 밀레니오는 2017년 11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EmTech 컨퍼런스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 당시 람보르기니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였던 마우리치오 레지아니는 이 차가 당장 양산될 모델이라기보다는 미래 기술을 탐색하기 위한 "생각하는 상자(thinking box)"에 가깝다고 설명했으며,[6] 이 컨셉카 공개가 람보르기니의 즉각적인 완전 전기차 생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1] 하지만 여기에 적용된 슈퍼커패시터 기술은 이후 람보르기니 최초의 하이브리드 모델인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에 일부 반영되었다.
테르조 밀레니오는 세계적인 전동화 추세 속에서 람보르기니가 추구하는 타협 없는 EV 슈퍼카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7] 당시 람보르기니 회장 스테파노 도메니칼리는 EmTech 컨퍼런스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컨셉카의 의미를 강조했다.람보르기니는 항상 다음 세대의 꿈을 만들어야 합니다. 연구 개발 부서와 MIT와의 협력은 슈퍼 스포츠카에 대한 규칙을 다시 쓰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이제 우리는 불가능해 보이는 오늘을 수용하여 내일의 현실을 만드는 데 영감을 받은, 흥미롭고 진보적인 컨셉트카를 선보입니다.
4. 영향 및 평가
테르조 밀레니오는 미래의 스포츠카를 대표하는 역할로 사용되었다.[7][13] 람보르기니의 최고 기술 책임자인 마우리치오 레지아니는 이 차가 실제 생산 차량이라기보다는 미래 기술을 탐구하는 "생각하는 상자"에 가깝다고 설명했다.[6][12] 그는 또한 이 콘셉트카가 람보르기니가 당장 순수 전기차만을 생산할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1][10]
당시 람보르기니 회장 스테파노 도메니칼리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EmTech 컨퍼런스에서 MIT와의 협력을 통한 혁신 의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연구 개발 부서와 MIT와 협력하는 것은 람보르기니가 항상 매우 잘 해왔던 일, 즉 슈퍼 스포츠카에 대한 규칙을 다시 쓰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이제 우리는 흥미롭고 진보적인 콘셉트카를 선보입니다. 불가능한 오늘을 수용하여 내일의 현실을 만들어내는 데 영감을 받았습니다. 람보르기니는 항상 다음 세대의 꿈을 만들어야 합니다.
테르조 밀레니오 개발 과정에서 연구된 슈퍼 캐패시터 기술은 이후 람보르기니 최초의 하이브리드 모델인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에 일부 반영되어 기술적 영향을 미쳤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람보르기니 수석 디자이너 미티야 보케르트와 센트로 스틸레 부서의 작품으로, 전통적인 "간디니 라인"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5]
참조
[1]
뉴스
The Lamborghini Terzo Millennio concept is a lightning strike from the future
https://www.theverge[...]
2017-11-10
[2]
뉴스
Electric new Lamborghini Terzo Millennio: the future of Lambo, right there
http://www.carmagazi[...]
2017-11-10
[3]
뉴스
Lamborghini Terzo Millennio – a look into the future of supercars
http://www.evo.co.uk[...]
evo.co.uk
2017-11-08
[4]
뉴스
Lamborghini Unveils a Self-Healing, Electric Supercar
https://www.bloomber[...]
2017-11-10
[5]
웹사이트
ENCOUNTER - Bullseye
https://audi-encount[...]
2019-11-27
[6]
간행물
Five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Lamborghini and MIT's Terzo Millennio concept
https://www.youtube.[...]
2017-11-10
[7]
뉴스
The Lamborghini Terzo Millennio is the self-healing super car of your dreams
https://tech.thaivis[...]
2017-11-10
[8]
웹사이트
Lamborghini Terzo Millennio review, specs, stats, comparison, rivals, data, details, photos and information on SupercarWorld.com
http://www.supercarw[...]
2021-04-08
[9]
뉴스
車体そのものに充電することでバッテリーが不要のスーパーEV「テルツォ・ミッレニオ」をランボルギーニとMITがコラボで発表
https://gigazine.net[...]
GIGAZINE
2017-11-08
[10]
뉴스
The Lamborghini Terzo Millennio concept is a lightning strike from the future
https://www.theverge[...]
2017-11-10
[11]
뉴스
Electric new Lamborghini Terzo Millennio: the future of Lambo, right there
http://www.carmagazi[...]
2017-11-10
[12]
간행물
Five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Lamborghini and MIT's Terzo Millennio concept
https://www.youtube.[...]
2017-11-10
[13]
뉴스
The Lamborghini Terzo Millennio is the self-healing super car of your dreams
https://tech.thaivis[...]
2017-11-10
[14]
웹인용
Lamborghini Terzo Millennio review, specs, stats, comparison, rivals, data, details, photos and information on SupercarWorld.com
http://www.supercarw[...]
2021-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