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들랜 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들랜 법은 1284년 3월 3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제정한 왕실 조례로, 웨일스 정복 이후 잉글랜드의 웨일스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법은 웨일스를 잉글랜드의 샤이어(shire) 행정 구역으로 개편하고, 잉글랜드 보통법을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웨일스 고유의 법과 관습 일부를 유지하면서 잉글랜드 지배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러들랜 법은 북웨일스의 러들랜 성에서 공포되었으며, 1535년 및 1542년 웨일스 법에 의해 대체되었고, 1887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러들랜 법
지도
개요
명칭러들랜 법령
원어 명칭cy: Statud Rhuddlan (웨일스어)
la: Statuta Walliae (라틴어)
별칭웨일스 법령
기본 정보
유형법령
국가잉글랜드 왕국
지역웨일스 공국
제정1284년 3월 3일
역사적 배경
배경에드워드 1세의 웨일스 정복 이후
주요 내용
목적잉글랜드 법을 웨일스에 적용, 웨일스 공국 설립
적용 법률잉글랜드 법
존속 여부일부 조항은 1535년과 1542년의 법령에 의해 수정, 폐지됨.
영향
정치적 영향웨일스 공국의 잉글랜드 왕국에 통합 가속화
법률적 영향웨일스 법률 체계에 잉글랜드 법 도입
문화적 영향웨일스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영향

2. 역사적 배경

1284년에 공포된 러들랜 법은 에드워드 1세웨일스를 정복하고 잉글랜드에 병합하는 과정에서 제정된 법이다. 이 법은 웨일스의 전통적인 법률과 관습을 잉글랜드의 법률 체계로 대체하려는 시도였다.

1267년 잉글랜드 왕국은 그위네드 공을 웨일스 공으로 인정하고, 잉글랜드 왕을 봉건 군주로 하여 그의 영토를 소유하게 했다. 그러나 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반란을 일으키자 잉글랜드는 이를 반역으로 간주하고 그의 영토를 몰수했다. 에드워드 1세는 1282년부터 1283년까지의 군사 정복을 통해 웨일스 공국을 차지했고, 공국은 영국 왕실에 "통합되고 합병"되었다.[4]

2. 1. 에드워드 1세의 웨일스 정복

러들랜 성


그위네드 공은 1267년 잉글랜드 왕국에 의해 웨일스 공으로 인정받아, 잉글랜드 왕을 봉건 군주로 하여 그의 영토를 소유했다. 이는 잉글랜드가 아베르프로우의 영주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그의 사후 잠시 그의 후계자인 다비드 압 그리피드에 의해 유지되었을 때의 칭호를 해석한 방식이었다. 이것은 리웰린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잉글랜드가 이를 반역 행위로 해석했음을 의미했다. 따라서 그의 영토는 잉글랜드 왕에게 몰수되었고, 에드워드 1세는 1282년부터 1283년까지의 군사 정복을 통해 웨일스 공국을 차지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국은 영국 왕실에 "통합되고 합병"되었다.[4]

정복 이후 에드워드 1세는 웨일스 북동부에 치르크(치르크랜드), 브롬필드와 예일(파위스 파도그), 루틴(디프린 클위드) 및 덴비(덴비 영주) 4개의 새로운 변경 영주령을 세웠고, 웨일스 남부에 칸트레프 비찬을 세웠다.[4] 그는 파위스 웬웬윈 공국을 리웰린에게 고통받았던 그리피드 압 웬웬윈에게 돌려주었고, 그와 그의 후계자인 오웬 드 라 폴은 이를 변경 영주로 유지했다. 드리스윈의 리스 압 마레두드는 리웰린의 반란 동안 왕을 지지했기 때문에 칸트레프 마워르에서 비슷한 입장이었을 것이지만, 1287년에 반란을 일으켜 그의 영토를 몰수당했다. 다른 소수의 웨일스 귀족들은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때맞춰 복종했지만, 젠트리에 불과하게 되었다.[4]

영국 왕실은 이미 124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카마던과 카디건의 명예에서 웨일스 남부를 통치할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카마던에 기반을 둔 웨일스 남부 재판관(또는 웨일스 서부 재판관)의 통치하에 카운티가 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는 펨브로크셔에서 웨일스 남부를 거쳐 웨일스 변경 지역에 이르는 상당한 면적의 땅에 큰 차이를 만들지 못했는데, 그 땅은 이미 변경 영주의 손에 있었다.[4] 또한 몽고메리와 빌스의 왕실 영주의 행정을 변경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제도를 유지했다.[4]

2. 2. 잉글랜드의 웨일스 통치 강화

에드워드 1세는 1282년부터 1283년까지 군사 정복을 통해 웨일스 공국을 차지했다. 이로써 웨일스 공국은 영국 왕실에 "통합되고 합병"되었다.[4]

정복 이후 에드워드 1세는 웨일스 북동부에 4개의 새로운 변경 영주령을 세웠다.

지역설명
치르크(치르크랜드)
브롬필드와 예일(파위스 파도그)
루틴(디프린 클위드)
덴비(덴비 영주)



그리고 웨일스 남부에 칸트레프 비찬을 세웠다.[4] 그는 파위스 웬웬윈 공국을 그리피드 압 웬웬윈에게 돌려주었고, 그와 그의 후계자인 오웬 드 라 폴은 이를 변경 영주로 유지했다. 드리스윈의 리스 압 마레두드는 리웰린 압 그리피드의 반란 동안 왕을 지지했기 때문에 칸트레프 마워르에서 비슷한 입장이었을 것이지만, 1287년에 반란을 일으켜 그의 영토를 몰수당했다. 다른 소수의 웨일스 귀족들은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때맞춰 복종했지만, 젠트리에 불과하게 되었다.[4]

영국 왕실은 이미 124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카마던과 카디건의 명예에서 웨일스 남부를 통치할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카마던에 기반을 둔 웨일스 남부 재판관 (또는 웨일스 서부 재판관)의 통치하에 카운티가 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는 펨브로크셔에서 웨일스 남부를 거쳐 웨일스 변경 지역에 이르는 상당한 면적의 땅에 큰 차이를 만들지 못했는데, 그 땅은 이미 변경 영주의 손에 있었다.[4] 또한 몽고메리와 빌스의 왕실 영주의 행정을 변경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제도를 유지했다.[4]

3. 러들랜 법의 제정과 주요 내용

1282년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웨일스를 정복한 후, 1284년 3월 3일 러들랜 성에서 웨일스 통치를 위한 법령을 공포했는데, 이를 '러들랜 법'이라고 한다.[6][7] 이 법은 웨일스 지역을 잉글랜드 왕실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고, 잉글랜드의 법률과 사법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했다.

이 법령에 따라 웨일스는 잉글랜드 왕실에 속한 샤이어(shire)라는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5] 이전까지 웨일스 공국은 웨일스 법에 따라 웨일스 군주가 통치했으나, 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1282년 잉글랜드군에 의해 살해되면서 웨일스 공국은 멸망했다.[5]

북웨일스 치안 판사와 카에르나본에 있는 지방 재무부의 감독을 받던 세 개의 주(州)는 수입을 징수하여 웨스트민스터재무부에 보고하는 북웨일스 실장이 운영하였다. 그 아래에는 보안관, 검시관, 영장 집행관과 같은 왕실 관리들이 세금을 징수하고 사법을 집행했다.[11] 왕은 왕자들이 누렸던 지대와 기타 부과금에 대한 조사를 명령했고, 새로운 관리들이 이를 시행했다. 지역 수준에서 코모트는 헌드레드가 되었지만, 그들의 관습, 경계 및 관직은 대체로 변하지 않았다.

3. 1. 제정 과정

이 법령은 의회법이 아니라, 1284년 3월 3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신중하게 고려한 후 내린 왕실 조례였다.[6] 이 법령은 1284년 3월 19일에 덴비셔의 러들랜 성에서 처음 공포되었다.[7]

3. 2. 행정 구역 개편

러들랜 법 이후의 웨일스


러들랜 법은 앵글시, 머리오네스셔, 카에르나본셔, 플린트셔를 주로 나누었는데, 이 주는 북웨일스 그위네드 왕국의 잔재에서 만들어졌다.[10] 플린트셔는 테게잉글, 호페데일, 마엘로르 사에스네그의 영주령에서 만들어졌다. 이 주는 체셔의 팔라티노 영지와 함께 체스터 치안 판사에 의해 관리되었다.[11]

3. 3. 법률 및 사법 제도

이 법령은 웨일스를 잉글랜드 왕실의 실질적인 지방인 샤이어를 통해 정부 행정 구역으로 나누었다.[5] 이 법령 이전에는 웨일스 공국이 웨일스 법과 웨일스 원주민인 웨일스 군주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전 공국을 통치한 군주는 1282년 잉글랜드군에게 매복되어 살해된 리웰린 압 그리피드였다.[5]

이 법령은 의회법이 아니라, 1284년 3월 3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신중하게 고려한 후 내린 왕실 조례였다.[6] 이 법령은 1284년 3월 19일에 처음 공포덴비셔의 러들랜 성에서 이름을 따왔다.[7] 이 법령은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웨일스를 명백히 "잉글랜드 왕국"의 일부로 만들었을 때 1535년 및 1542년 웨일스 법에 의해 대체되었다.[8] 이 법령은 1887년 법령 개정법(50 & 51 Vict. c. 59)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9]

러들랜 법은 영국 보통법 체계를 웨일스에 도입했지만,[12] 시행된 법은 정확히 잉글랜드와 같지는 않았다. 형법은 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살인, 절도, 강도와 같은 중죄는 치안 판사 앞에서 기소되었다. 신성 불법 침해, 채무, 과부의 상속과 같은 영국의 영장 및 소송 형태가 적용되었지만, 멀리 떨어진 웨스트민스터가 아닌 카나번의 감독을 받았다. 그러나 분쟁을 중재로 해결하는 웨일스의 관행은 유지되었다. 채무 절차는 잉글랜드보다 발전하여, 부전 패소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토지법에서, 분할 상속의 웨일스 관행이 다음과 같이 잉글랜드 관행에 따라 계속되었다.

  • 딸은 아들이 없을 경우 아버지의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 미망인은 사망한 남편 토지의 3분의 1에 대한 상속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
  • 사생아는 상속에서 제외되었다.

4. 러들랜 법의 영향과 의의

러들랜 법은 웨일스 지역의 법과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국 보통법 체계가 도입되었지만, 형법을 제외한 일부 분야에서는 웨일스 고유의 법과 관습이 유지되었다.[12]

형사 사건에서는 살인, 절도, 강도와 같은 중범죄는 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치안 판사 앞에서 기소되었다. 민사 사건에서는 신성 불법 침해, 채무 등 영국의 영장 및 소송 형태가 적용되었지만, 웨일스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카나번에서 감독을 받았다. 또한 분쟁 해결에 있어서는 웨일스 전통 방식인 중재가 계속 허용되었다. 채무 절차는 잉글랜드보다 발전하여 부전 패소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4]

토지법에서는 분할 상속이라는 웨일스 관행이 일부 유지되었다. 이에 따라 아들이 없을 경우 딸에게도 상속권이 주어졌고, 미망인은 남편 토지의 3분의 1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 다만, 사생아는 상속에서 제외되었다.[4]

러들랜 법은 1535년 및 1542년 웨일스 법으로 대체될 때까지 웨일스 지역에 적용되었다. 이후 1887년 법령 개정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9]

에드워드 1세의 의회 건물은 러들랜 법이 공포된 러들랜에 위치해 있다. 오늘날 이 건물은 부분적으로 파라먼트 스트리트에 남아있으며, 13세기 후반의 출입구와 14세기의 첨두 오지 문머리를 볼 수 있다.[15]

에드워드 1세 의회 건물, 러들랜, 1238

4. 1. 잉글랜드 지배 강화

에드워드 1세는 1282년부터 1283년까지 군사 정복을 통해 웨일스 공국을 차지했다. 그위네드 공은 1267년 잉글랜드 왕국에 의해 웨일스 공으로 인정받아, 잉글랜드 왕을 봉건 군주로 하여 그의 영토를 소유했다. 그러나 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반란을 일으키자 잉글랜드는 이를 반역 행위로 해석했고, 그의 영토는 잉글랜드 왕에게 몰수되었다. 이로써 웨일스 공국은 영국 왕실에 "통합되고 합병"되었다.[4]

정복 이후 에드워드 1세는 웨일스 북동부에 4개의 새로운 변경 영주령을 세웠다.

변경 영주령
치르크(치르크랜드)
브롬필드와 예일(파위스 파도그)
루틴(디프린 클위드)
덴비(덴비 영주)



그리고 웨일스 남부에 칸트레프 비찬을 세웠다.[4] 그는 파위스 웬웬윈 공국을 그리피드 압 웬웬윈에게 돌려주었고, 그와 그의 후계자인 오웬 드 라 폴은 이를 변경 영주로 유지했다. 드리스윈의 리스 압 마레두드는 리웰린 압 그리피드의 반란 동안 왕을 지지했기 때문에 칸트레프 마워르에서 비슷한 입장이었을 것이지만, 1287년에 반란을 일으켜 그의 영토를 몰수당했다. 다른 소수의 웨일스 귀족들은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때맞춰 복종했지만, 젠트리에 불과하게 되었다.[4]

영국 왕실은 이미 124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카마던과 카디건의 명예에서 웨일스 남부를 통치할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카마던에 기반을 둔 웨일스 남부 재판관 (또는 웨일스 서부 재판관)의 통치하에 카운티가 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는 펨브로크셔에서 웨일스 남부를 거쳐 웨일스 변경 지역에 이르는 상당한 면적의 땅에 큰 차이를 만들지 못했는데, 그 땅은 이미 변경 영주의 손에 있었다.[4] 또한 몽고메리와 빌스의 왕실 영주의 행정을 변경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제도를 유지했다.[4]

4. 2. 웨일스 법과 관습의 일부 유지

러들랜 법은 영국 보통법 체계를 웨일스에 도입했지만,[12] 시행된 법이 잉글랜드와 완전히 같지는 않았다. 형법은 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살인, 절도, 강도와 같은 중죄는 치안 판사 앞에서 기소되었다. 신성 불법 침해, 채무, 과부의 상속과 같은 영국의 영장 및 소송 형태가 적용되었지만, 멀리 떨어진 웨스트민스터가 아닌 카나번의 감독을 받았다. 그러나 분쟁을 중재로 해결하는 웨일스의 관행은 유지되었다. 채무 절차는 잉글랜드보다 발전하여, 부전 패소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토지법에서, 분할 상속의 웨일스 관행이 잉글랜드 관행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속되었다.

  • 딸은 아들이 없을 경우 아버지의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 미망인은 사망한 남편 토지의 3분의 1에 대한 상속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
  • 사생아는 상속에서 제외되었다.

4. 3. 역사적 의의

이 법령은 웨일스를 잉글랜드 왕실의 실질적인 지방인 샤이어를 통해 정부 행정 구역으로 나누었다.[5] 이 법령 이전에는 웨일스 공국이 웨일스 법과 웨일스 원주민인 웨일스 군주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전 공국을 통치한 군주는 1282년 잉글랜드군에게 매복되어 살해된 리웰린 압 그리피드였다.[5]

이 법령은 의회법이 아니라, 1284년 3월 3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신중하게 고려한 후 내린 왕실 조례였다.[6] 1284년 3월 19일에 처음 공포덴비셔의 러들랜 성에서 이름을 따왔다.[7] 이 법령은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웨일스를 명백히 "잉글랜드 왕국"의 일부로 만들었을 때 1535년 및 1542년 웨일스 법에 의해 대체되었다.[8] 1887년 법령 개정법(50 & 51 Vict. c. 59)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9]

4. 4. 러들랜 성



에드워드 1세의 의회 건물은 러들랜 법이 공포된 것으로 여겨지는 러들랜에 있다. 토마스 페넌트는 1778년에 "파를르망(의회)이라고 불리는 고대 건물 한 채가 러들랜에서 여전히 볼 수 있는데, 아마도 왕이 의회에 앉았던 곳일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3] 페넌트는 존 잉글비에게서 건물의 수채화를 제공받았다.[14] 오늘날 이 건물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파라먼트 스트리트에 서 있으며, 13세기 후반의 출입구와 14세기의 첨두 오지 문머리가 있다.[15]

4. 5. 에드워드 1세 의회 건물



에드워드 1세의 의회 건물은 러들랜 법이 공포된 것으로 여겨지는 러들랜에 위치해 있다. 토마스 페넌트는 1778년에 "파를르망(의회)이라고 불리는 고대 건물 한 채가 러들랜에서 여전히 볼 수 있는데, 아마도 왕이 의회에 앉았던 곳일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3] 페넌트는 존 잉글비에게 건물의 수채화를 제공받았다.[14] 오늘날 이 건물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파라먼트 스트리트에 서 있으며, 13세기 후반의 출입구와 14세기의 첨두 오지 문머리가 있다.[15]

참조

[1] 논문 The Ancient Laws and Statutes of Wales https://books.google[...] British Archaeological Association. 1878
[2] 웹사이트 https://archiveshub.[...]
[3] 웹사이트 https://www.iwa.wale[...]
[4] 서적 Conquest, Coexistence and Change: Wales 1063–1415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Legal History of Wales University of Wales Press
[6] 서적 The Princes and Principality of Wa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7] 서적 Feudal Britain: the completion of the medieval kingdoms, 1066–1314 https://books.google[...] E. Arnold
[8] 문서 The Laws in Wales Act 1535
[9] 웹사이트 Statute Law Revision Act 1887, Schedule http://www.irishstat[...]
[10] 서적 The history of Wales: a pocket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1-03-02
[11] 서적 Documents in British History: Early times to 1714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11-03-02
[12]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Cavendish
[13] 문서 A Tour in Wales 1778-1784
[14] 웹사이트 A Tour in Wales, Volume 6 (PD09872) – National Library of Wales https://www.llgc.org[...] 2017-02-13
[15] 문서 Hubbard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