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브스토리 (1970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브 스토리 (1970년 영화)는 하버드 대학교 학생 올리버와 래드클리프 칼리지 학생 제니의 사랑을 그린 영화이다. 두 사람은 결혼하지만, 올리버의 아버지의 반대와 제니의 백혈병 발병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결국 제니는 죽음을 맞이하고, 올리버는 그녀의 마지막 말 "사랑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되새기며 슬픔에 잠긴다.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하여 많은 상을 받았으며, "사랑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서 힐러 감독 영화 - 카풀 (영화)
    아서 힐러 감독의 1996년 코미디 영화 《카풀》은 워커홀릭 아버지가 아이들을 등교시키다 은행 강도 사건에 휘말리는 소동을 그린 작품으로, 개봉 당시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골든 라즈베리 시상식에서 최악의 남자 배우상을 수상했다.
  • 아서 힐러 감독 영화 - 알란 스미시 영화
    《알란 스미시 영화》는 영화 제작 과정의 문제점을 풍자적으로 다룬 1997년 미국의 코미디 영화로, 감독 알란 스미시 역을 맡은 에릭 아이들이 촬영하며 겪는 혼란을 코믹하게 그렸으나, 실제 감독 아서 힐러가 불만을 품고 가명을 사용하면서 논란이 되었고, 개봉 당시 혹평과 흥행 실패, 그리고 골든 라즈베리 시상식에서 4관왕을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 계급 간의 사랑을 소재로 한 영화 - 타이타닉 (1997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타이타닉》은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을 배경으로 가난한 화가 잭 도슨과 부유한 귀족 여성 로즈 디윗 부케이터의 비극적인 로맨스를 그린 미국 로맨틱 재난 영화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았고, 아카데미상 11개 부문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 계급 간의 사랑을 소재로 한 영화 - 알라딘 (2019년 영화)
    알라딘 (2019년 영화)은 1992년 동명의 애니메이션을 실사화한 디즈니 영화로, 좀도둑 알라딘이 자스민 공주와 사랑에 빠져 지니의 도움을 받아 악당 자파에 맞서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윌 스미스, 메나 마수드, 나오미 스콧 등이 출연하고 2019년 개봉하여 흥행에 성공했다.
  •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작품상(영화) 수상작 - 아바타 (2009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2009년 공상과학 영화 《아바타》는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판도라 행성에 온 인류와 나비족의 갈등을 배경으로, 아바타 프로그램에 참여한 제이크 설리가 나비족과 함께 판도라를 지키는 이야기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시각 효과로 흥행했고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작품상(영화) 수상작 - 파워 오브 도그
    《파워 오브 도그》는 1925년 몬태나를 배경으로, 형제 필과 조지가 과부 로즈를 만나 결혼하지만, 필의 냉대와 로즈의 알코올 중독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러브스토리 (1970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작러브 스토리 (에리히 세갈)
감독아서 힐러
각본에리히 세갈
제작하워드 G. 민스키
주연알리 맥그로우
라이언 오닐
존 말리
레이 밀랜드
음악프랜시스 레이
촬영리처드 크래티나
편집로버트 C. 존스
제작사파라마운트 픽처스
러브 스토리 컴퍼니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처스
개봉일1970년 12월 16일
상영 시간101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220만 달러
흥행 수익1억 7340만 달러
일본 정보
일본어 제목ある愛の詩 (아루 아이노 우타)
일본 개봉일1971년 3월 6일
일본 배급사CIC
일본 상영 시간99분
일본 흥행 수입3억 2792만 엔
대한민국 정보
대한민국 배급사동아흥행 주식회사
대한민국 개봉일1971년 12월 15일
후속작 정보
후속작올리버 스토리

2. 줄거리

명문가 상속자인 하버드 대학교 학부생 올리버는 가난한 이탈리아 이민자 집안 출신인 래드클리프 칼리지(현재 하버드 학부의 일부) 학생 제니와 도서관에서 만나 사랑에 빠진다. 두 사람의 사랑은 결혼에 이르게 되지만 이 결혼을 반대한 올리버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의절을 선언하고 원조를 끊어 버린다. 올리버는 자비로 어렵게 하버드 로스쿨에 입학하게 되고 제니는 사립학교 교사로 취직하여 둘은 학교 근처에 위치한 집의 꼭대기 층을 얻어 힘들게 생활한다. 올리버가 로스쿨을 전교 3등으로 졸업하고 뉴욕의 유명 로펌에 취직함으로써 겨우 이제 행복이 찾아오는 듯했으나 올리버는 제니가 백혈병 말기라는 충격적인 사실에 직면하게 된다.

올리버 배럿 4세는 미국 동부의 백인 앵글로색슨 개신교도 가문의 상속자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며 아이스하키를 한다. 그는 클래식 음악을 전공하는 노동자 계급 출신 래드클리프 칼리지 학생인 제니퍼 "제니" 카빌레리를 만난다. 그는 그녀를 다트머스 대학교와의 아이스하키 경기에 초대하고, 그들은 서로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사랑에 빠진다.[1]

제니는 래드클리프 졸업 후 파리에서 장학금을 받기로 했다고 밝힌다. 올리버는 제니의 계획에 자신이 포함되지 않자 화가 나서 결혼을 제안한다. 그녀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그는 그녀를 배럿 저택으로 데려가 부모님을 소개한다. 부모님은 그녀의 이탈리아계 미국인 및 노동자 계급 배경에 불편함을 느낀다. 올리버의 아버지는 그가 제니와 결혼하면 재정적인 지원을 끊겠다고 말한다.[1]

그들은 로드아일랜드주 크랜스턴에 있는 과부 제빵사인 그녀의 아버지 필을 방문하는데, 필은 올리버가 그의 아버지와 잘 지내기를 바란다. 필은 가톨릭식 결혼을 원하지만, 올리버와 제니는 그가 월트 휘트먼의 "열린 길의 노래"를 낭송하고 그녀는 엘리자베스 바렛 브라우닝의 "소네트 22"를 낭송하며 스스로 결혼 서약을 한다.[1]

제니는 교사로 일하지만, 아버지의 재정적 지원이 없기에 부부는 올리버가 하버드 로스쿨을 다니는 동안 어려움을 겪는다. 올리버는 반에서 세 번째로 졸업하고 뉴욕시의 유능한 로펌에 취직한다. 그들은 아이를 가지려 하지만 실패한다. 제니가 세 번의 혈액 검사를 받은 후, 올리버는 그녀가 불치병에 걸렸다는 말을 듣는다.[1]

올리버는 제니에게 그녀의 상태를 말하지 않고 평소와 같이 행동하려 하지만, 그녀는 의사에게 따져 진실을 알게 된다. 올리버는 파리행 티켓을 사지만, 그녀는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며 가지 않겠다고 한다. 올리버는 제니의 치료비를 지불하기 위해 아버지에게서 돈을 구하지만, 자존심 때문에 이 요청의 이유를 밝히지 않는다. 그의 아버지는 올리버가 불륜을 저지른다고 생각하고, 올리버는 이를 부인하려 하지 않지만, 어쨌든 돈을 빌려준다.[1]

제니는 병상에서 아버지와 함께 가톨릭 장례식을 준비한다. 그녀는 올리버에게 자신을 탓하지 말라고 말하며, 그가 음악과 파리로 가는 것을 막은 적이 없으며 그들이 나눈 사랑 때문에 가치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제니의 마지막 소원은 그녀가 죽을 때 올리버가 그녀를 꽉 안아주는 것이다.[1]

슬픔에 잠긴 올리버는 병원을 떠나 밖에서 아버지를 만난다. 아버지는 올리버의 요청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되었다. 아버지가 애도를 표하자 올리버는 제니가 전에 그에게 했던 말인 "사랑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대답한다. 올리버는 제니가 입원하기 전날 그가 스케이트를 타는 것을 보았던 야외 아이스 링크로 혼자 걸어간다.[1]

3. 등장인물

배역배우
제니퍼 "제니" 카빌레리알리 맥그로우
올리버 바렛 4세라이언 오닐
필 카빌레리존 말리
올리버 바렛 3세레이 밀랜드
톰슨 학장러셀 나이프
바렛 부인캐서린 발푸어
셰이플리 박사시드니 워커
애디슨 박사로버트 모디카
레이 스트래턴워커 다니엘스
행크 심슨토미 리 존스 (톰 리 존스로 출연)
스티브존 메렌스키
블로펠트 목사앤드루 던컨


3. 1. 주연


  • 알리 맥그로우 - 제니퍼 "제니" 카빌레리 역
  • 라이언 오닐 - 올리버 배럿 4세 역
  • 존 말리 - 필 카빌레리 역
  • 레이 밀랜드 - 올리버 배럿 3세 역
  • 러셀 나이프 - 톰슨 학장 역
  • 캐서린 발푸어 - 바렛 부인 역
  • 시드니 워커 - 셰이플리 박사 역
  • 로버트 모디카 - 애디슨 박사 역
  • 워커 다니엘스 - 레이 스트래튼 역
  • 토미 리 존스 - 행크 심슨 역 (톰 리 존스로 출연)
  • 존 메렌스키 - 스티브 역
  • 앤드루 던컨 - 블로펠트 목사 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올리버 배럿 4세 역은 제프 브리지스, 마이클 더글러스, 보 브리지스, 마이클 요크, 존 보이트가 거절했다.[11] 라이언 오닐은 에릭 시걸의 추천으로 이 역할을 맡게 되었는데, 시걸은 오닐과 ''The Games''에서 함께 작업한 적이 있었다. 오닐은 이 역할로 25000USD를 받았다.[12]

1969년 11월, 에반스는 "1,000명 이상의 배우를 검토했고, 과장이 아니다. 14명의 무명 배우를 테스트했지만, 그들 중 누구도 오닐과 비교할 수 없었다"라고 주장했다.[13]

하버드 대학교 출신이자 1960년 미국 올림픽 하키 스타(후에 하버드 하키 코치/체육 부장)였던 빌 클리어리는 스케이팅과 하키 실력이 필요한 주요 장면에서 라이언 오닐의 하키 대역을 맡았다. 오닐의 남동생 케빈 오닐(1945-2023)은 영화에서 단역을 맡았다.[14]

3. 2. 조연


  • 존 말리 - 필 카빌레리 역: 제니퍼의 아버지로, 로드아일랜드주 크랜스턴에서 빵집을 운영하는 과부이다. 가톨릭 신자이다.
  • 레이 밀랜드 - 올리버 바렛 3세 역: 올리버의 아버지로, 제니퍼와의 결혼을 탐탁찮아한다.
  • 러셀 나이프 - 톰슨 학장 역
  • 캐서린 발푸어 - 바렛 부인 역
  • 시드니 워커 - 셰이플리 박사 역
  • 로버트 모디카 - 애디슨 박사 역
  • 워커 다니엘스 - 레이 스트래튼 역: 올리버의 룸메이트이다.
  • 토미 리 존스 - 행크 심슨 역 (톰 리 존스로 출연): 올리버의 룸메이트이다.
  • 존 메렌스키 - 스티브 역: 올리버의 룸메이트.
  • 앤드루 던컨 - 블로펠트 목사 역

4. 제작

Love Story영어는 원래 시나리오로 쓰였지만, 작가 에릭 시걸은 이를 판매할 수 없었다. 시걸의 대리인이었던 윌리엄 모리스 에이전시의 동부 해안 영화 부서 책임자였던 하워드 민스키는 이 프로젝트를 믿었다. 아서 힐러 감독은 "그는 직장을 그만두고 에릭 시걸과 계약을 맺었다. 그 프로젝트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과정을 꼼꼼하게 챙겼다. 그가 없었다면 영화로 만들어지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회고했다.[17]

민스키는 시걸에게 대본을 일곱 번이나 다시 쓰게 했다고 한다. 변경 사항에는 여성 주연을 유대인에서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변경하고, 여주인공의 어머니 캐릭터를 삭제하고, 욕설과 노출을 최소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7][8]

알리 맥그로우는 이 시나리오를 읽고 영화를 찍고 싶어했다. 그녀는 당시 로버트 에반스가 지휘하던 파라마운트 픽쳐스에서 ''굿바이 콜럼버스''를 촬영했다. 파라마운트는 맥그로우와 세 편의 영화 계약을 맺었고 맥그로우를 위한 영화로 만들기로 합의했다.[17] 1969년 5월, 에반스는 보 브리지스존 보이트와 같은 "감성적인 젊은 배우"를 주연으로 캐스팅하고, ''굿바이 콜럼버스''를 연출했던 래리 피어스가 감독을 맡을 것이라고 발표했다.[9] 에반스는 나중에 피어스가 "어떻게든 일을 해야 했기 때문에" 이 일을 맡았지만, 감독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항상 불만스러워했고 한 달 만에 하차했다고 말했다. ''겨울의 라이온''을 연출했던 앤서니 하비로 교체되었지만, 하비는 시걸과 협업한 후 이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 결국 파라마운트에서 ''The Out of Towners''와 ''Plaza Suite'' 두 편의 영화를 제작하고 있던 아서 힐러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11]

1969년 9월, 힐러가 감독을 맡고 하퍼앤로우가 다음 해 2월에 시나리오를 소설화하여 출판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0] 에반스에 따르면, 파라마운트는 시걸에게 영화 홍보를 돕기 위해 시나리오를 소설로 각색할 것을 제안했다. 민스키는 자신이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말한다.[7] 당시 파라마운트의 임원이었던 피터 바트는 자신이 제안했다고 주장한다. 시걸은 시나리오와 동시에 소설을 썼으며 편집자였던 ''하퍼스''의 진 영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말한다.[6] 이 책은 1970년 발렌타인 데이에 맞춰 출판되었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다.[7][8]

영화는 1970년 12월 16일 수요일, 뉴욕 시의 로우스 스테이트 극장 I에서 시사회가 열렸다.

본 작품은 원작과 영화의 "미디어 믹스"의 성공 사례로서 선구적인 작품이다[72]。카도카와 하루키는 "순애 붐은 10년 주기로 온다"고 확신했고[73], 줄거리만 읽고 원작 소설의 일본어판 판권을 250USD (약 9만 엔)에 손에 넣었으며[74], 일본에서도 영화가 대히트했을 때, 프로모션을 전개하여 성공했다[72]

영화 감독 오바야시 노부히코는 미국에서 『러브 스토리』 개봉 당시 현지에서 관람하며, 어째서 이런 시대착오적인 순애물이 히트하고 있는 것일까 의아해하면서도, 베트남 전쟁으로 쇠퇴한 미국이, 속으로는 이러한 순애 드라마를 바라는 시대 감각을 피부로 느꼈다고 한다.[72]。오바야시는 카도카와의 저널리즘 감각에 감탄했다.[72]

기존 영화계와는 다른 곳에서 일하던 카도카와와 오바야시는 본 작품의 "미디어 믹스"를 힌트로 1970년대 후반, 거의 동시기에 각자의 방식으로 "미디어 믹스"를 시도했으며[72][75][76][77], 1980년대에는 태그를 이루었다.

4. 1. 캐스팅

라이언 오닐이 맡은 올리버 배럿 4세 역에는 제프 브리지스, 마이클 더글러스, 보 브리지스, 마이클 요크, 존 보이트 등 여러 배우가 물망에 올랐었다.[9] 그러나 에릭 시걸의 추천으로 오디션을 보게 된 라이언 오닐이 최종적으로 캐스팅되었다.[11] 아서 힐러 감독은 오닐의 연기에서 감정적인 깊이를 발견했다고 한다.[17]

영화 속 하키 장면에서는 1960년 동계 올림픽 미국 올림픽 하키 스타이자 하버드 대학교 출신인 빌 클리어리(Bill Cleary)가 라이언 오닐의 대역을 맡았다.

4. 2. 촬영

Love Story영어의 촬영은 1969년 11월부터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보스턴, 뉴욕 등지에서 진행되었다.[17] 이 영화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촬영 허가를 받은 최초의 영화 중 하나였다.[17]

하버드 대학교코넬 대학교의 아이스 스케이팅 경기 장면은 해밀턴 칼리지에서 촬영되었고,[17] 올리버와 제니의 신혼집 장면은 케임브리지의 아가시 구역에서 촬영되었다.[17]

5. 반응

《러브 스토리》는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했지만, 미국 영화 연구소(AFI)가 선정한 100대 러브 스토리 영화 목록에서 9위에 오르는 등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원작 소설과 영화를 연계한 "미디어 믹스"의 성공 사례로 꼽히며, 일본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카도카와 하루키는 원작 소설의 일본어판 판권을 250USD (약 9만 엔)에 구매, 영화 개봉과 함께 프로모션을 전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72][74]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은 미국 개봉 당시 영화를 보고 베트남 전쟁으로 쇠퇴한 미국 사회가 순수한 사랑 이야기를 갈망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느꼈다고 회고했다.[72]

제43회 아카데미상에서는 7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나 아카데미 음악상만 수상했고,[36] 제28회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작품상(드라마)을 포함한 5개 부문을 수상했다.[38] 수상 내역은 아래 표와 같다.

부문대상결과
제43회 아카데미상아카데미 작품상후보
아카데미 감독상아서 힐러
아카데미 남우주연상라이언 오닐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알리 맥그로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존 말리
아카데미 각본상에릭 시걸
아카데미 작곡상프란시스 레이수상
제28회 골든 글로브상작품상 (드라마 부문)수상
남우주연상 (드라마 부문)라이언 오닐후보
여우주연상 (드라마 부문)알리 맥그로우수상
남우조연상존 말리후보
골든 글로브상 감독상아서 힐러수상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에릭 시걸
작곡상프란시스 레이


5. 1. 평가

《러브 스토리》는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30명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63%의 신선도 점수를 받았으며,[19] 28건의 평론 중 긍정적 평가는 68%에 해당하는 19건이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6점이다.[70] 평론가들은 "관객을 감동시키기 위해 진지하고 헌신적인 《러브 스토리》는 눈물샘을 자극하는 영화이며,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다."라는 공통된 의견을 내놓았다.[19] 메타크리틱에서는 5건의 평론 중 긍정적 평가 4건, 엇갈린 평가 1건으로 평균 평점은 100점 만점에 84점이다.[71]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주면서 "책보다 훨씬 낫다"고 평가했고, "힐러가 연인들을 개별적인 인물로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는 영화의 결말에 감동받는다."라고 덧붙였다.[20] 찰스 챔플린 역시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줄거리는 여러 번 다루어졌지만… 중요한 것은 이야기 방식, 표면, 질감, 배우들의 매력이다. 《러브 스토리》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21]

반면, 뉴스위크는 이 영화가 부자연스럽다고 평가했고,[20] 영화 평론가 주디스 크리스트는 《러브 스토리》를 "쓰레기 같은 《춘희》"라고 폄하했다.[22] 빈센트 캔비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러브 어페어(1939)와 1957년 리메이크작인 《애수》 이후, 이처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수준 높은 키치 스타일의 영화는 기억나지 않는다. 《러브 스토리》에서 정말 실망스러운 점은 앞으로 잇따를 끔찍한 아류작들을 생각하게 한다는 것이다."라고 비판했다.[23] 진 시스켈은 별 4개 중 2개를 주면서, "영화 속 인물들을 보면서 그들에 대해 뭔가 알고 싶어진다. 하지만 우리는 아는 것이 거의 없고, 사랑을 강요하는 방식은 영화에서 잘 통하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다.[24] 워싱턴 포스트의 게리 아놀드는 "나는 이 영화가 내가 본 가장 참을 수 없는 감상적인 영화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라고 혹평했다.[25] 작가 할란 엘리슨은 평론집 《The Other Glass Teat》에서 이 영화를 "쓰레기"라고 썼으며, 존 시몬은 《러브 스토리》가 너무 형편없어서 단 한 번도 감동받지 못했다고 썼다.[26]

제니 카빌레리의 질병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질병 발병 시에도 비교적 좋은 외모를 유지하는 설정은 비현실적이라는 비판도 있었다.[57] 빈센트 캔비는 초기 뉴욕 타임스 리뷰에서 제니가 "모호하게 불쾌한 엘리자베스 아덴 트리트먼트"를 받고 있는 것 같다고 썼다.[23] 1997년, 로저 이버트는 "알리 맥그로우 병"을 "환자가 죽기 직전까지 더 아름다워지는 것이 유일한 증상인" 영화 속 질병으로 정의하기도 했다.[60]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브 스토리》는 AFI's 100 Years...100 Passions 목록에서 9위에 올랐으며, 이는 미국 영화에서 최고의 100대 러브 스토리를 선정한 것이다. 이 영화는 수많은 영화에서 아류작, 패러디, 오마주를 낳았으며, 영화계에서 멜로드라마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여성 영화"의 틀을 설정하는 데 기여했다.

5. 2. 흥행

본 작품은 원작과 영화의 "미디어 믹스"의 성공 사례로서 선구적인 작품이다.[72] 카도카와 하루키는 "순애 붐은 10년 주기로 온다"고 확신했고,[73] 줄거리만 읽고 원작 소설의 일본어판 판권을 250USD(약 9만 엔)에 손에 넣었으며,[74] 일본에서도 영화가 대히트했을 때, 프로모션을 전개하여 성공했다.[72]

영화 감독 오바야시 노부히코는 미국에서 『러브 스토리』 개봉 당시 현지에서 관람하며, 어째서 이런 시대착오적인 순애물이 히트하고 있는 것일까 의아해하면서도, 베트남 전쟁으로 쇠퇴한 미국이 속으로는 이러한 순애 드라마를 바라는 시대 감각을 피부로 느꼈다고 한다.[72] 오바야시는 카도카와의 저널리즘 감각에 감탄했다.[72]

기존 영화계와는 다른 곳에서 일하던 카도카와와 오바야시는 본 작품의 "미디어 믹스"를 힌트로 1970년대 후반, 거의 동시기에 각자의 방식으로 "미디어 믹스"를 시도해[72][75][76][77], 1980년대에는 태그를 이루었다.

5. 3. 수상

부문대상결과
제43회 아카데미상아카데미 작품상후보
아카데미 감독상아서 힐러
아카데미 남우주연상라이언 오닐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알리 맥그로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존 말리
아카데미 각본상에릭 시걸
아카데미 작곡상프란시스 레이수상
제28회 골든 글로브상작품상 (드라마 부문)수상
남우주연상 (드라마 부문)라이언 오닐후보
여우주연상 (드라마 부문)알리 맥그로우수상
남우조연상존 말리후보
골든 글로브상 감독상아서 힐러수상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에릭 시걸
작곡상프란시스 레이



《러브 스토리》는 제43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을 비롯한 7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나 음악상만 수상했다.[36] 제28회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작품상(드라마)을 포함한 5개 부문을 수상했다.[38]

6. 한국어 더빙

2021년 12월 13일



2021년 8월 25일 발매된 "디지털 리마스터판 50th 애니버서리 에디션 Blu-ray"에는 VOD판이 수록되었다.[66]

6. 1. KBS 더빙 (1981년, 1997년)

배역1981년 더빙1997년 더빙
제니 (알리 맥그로우)주희함수정
올리버 (라이언 오닐)박상일구자형
올리버 배럿 3세 (레이 밀랜드)임종국박상일
샤펠리 의사 (시드니 워커)김계원
제니의 아버지 (존 마리)김정경
올리버의 엄마 (캐서린 밸포)김정희
올리버의 유모 (수디 본드)양정애
올리버의 친구 (존 메렌스키)전인배
올리버의 친구 (토미 리 존스) / 학장 (러셀 나이피) / 하키 경기 해설김영진
기타1981년 더빙1997년 더빙
음악박복규
효과최병관
녹음김동길
번역배현나정은주
연출김종현
우리말 제작KBS 한국방송KBS 미디어


7. 영향 및 유산

이 영화는 "사랑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42] 이 대사는 영화의 여주인공 제니가 올리버에게 한 말로,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패러디되거나 인용되었다.

1971년 《캐롤 버넷 쇼》 시즌 4의 20번째 에피소드에서는 "러블리 스토리"라는 영화 패러디를 선보였는데, 캐롤 버넷이 맥그로 역할을, 하비 코먼이 오닐 역할을 맡았다.[61]

영화의 여주인공 이름인 "제니퍼"는 1970년 북미 지역에서 제니퍼라는 아기 이름이 급증하는 데 기여했으며, 14년 동안 여성 이름 1위를 차지했다.[62]

2002년 동계 올림픽 솔트레이크 시티에서는 캐나다 페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제이미 살레와 데이비드 펠티에가 이 영화의 테마곡에 맞춰 프리 스케이팅을 펼쳤다.[63]

2020년에는 이 영화의 주제가가 이란 장군 가셈 솔레이마니의 장례 행렬에서 연주되기도 했다.[63]

2022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 인터뷰에서 테일러 스위프트는 《올 투 웰: 단편 영화》의 가을 분위기의 세트 디자인에 《러브 스토리》가 영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다.[64]

본 작품은 원작과 영화의 "미디어 믹스"의 성공 사례로서 선구적인 작품이다.[72]

8. 속편 및 리메이크

1978년, 라이언 오닐레이 밀랜드가 출연한 속편 《올리버의 이야기》가 개봉되었다.[56] 이 영화는 에릭 시걸의 1977년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제니의 장례식 18개월 후를 배경으로 한다. 올리버는 성공한 변호사이지만 여전히 제니를 그리워하며, 상속녀 마시 본윗(캔디스 버겐)과 새로운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원작과의 비교로 인해, 《올리버의 이야기》는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1973년, NBC에서 《러브 스토리》라는 제목의 TV 시리즈가 방영되었으나,[56] 영화와 동일한 제목과 주제가를 사용했지만, 등장인물이나 줄거리는 영화와 관련이 없었다.

2021년 2월, 파라마운트+는 《러브 스토리》를 TV 시리즈로 리메이크한다고 발표했다.[56] 이 시리즈는 조쉬 슈워츠와 스테파니 사바지가 제작할 예정이며, 페이크 엠파이어에서 제작하고, 파라마운트 텔레비전 스튜디오와 CBS 스튜디오가 공동 제작한다.

9. 비판

일부 비평가들은 제니퍼 카빌레리의 질병(백혈병)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지 않고, 병세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외모가 아름답게 유지되는 설정이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57] 빈센트 캔비는 ''뉴욕 타임스'' 리뷰에서 제니가 "모호하게 불쾌한 엘리자베스 아덴 트리트먼트"를 받고 있는 것 같다고 썼다.[23] 잡지 ''매드''는 1971년 10월호에서 이 영화를 패러디("러버 스토리")했는데, 여기서는 알리 맥그로우의 캐릭터가 "올드 무비 병"에 걸린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이 질병은 죽어가는 환자를 "분 단위로 더 아름답게" 만든다고 묘사했다.[58][59] 1997년, 로저 이버트는 "알리 맥그로우 병"을 "환자가 죽기 직전까지 더 아름다워지는 것이 유일한 증상인" 영화 속 질병으로 정의했다.[60]

참조

[1] 웹사이트 'Love Story' (PG) https://www.bbfc.co.[...] 1971-01-20
[2] 잡지 Romance Back; 'Sado-Sex, Drugs At End' - Hiller https://archive.org/[...] 1970-12-30
[3] 잡지 Top 50 worldwide grossers 2002-07-15
[4] 뉴스 Howard Minsky, Hollywood Producer, Is Dead at 94 https://www.nytimes.[...] 2008-08-16
[5] 웹사이트 Domestic Grosses https://boxofficemoj[...]
[6] 서적 The Author Speaks: Selected PW Interviews, 1967-1976 https://archive.org/[...] Bowker
[7] 뉴스 'Love Story' didn't start out as a book 1970-12-19
[8] 뉴스 How to succeed at romance 1971-02-09
[9] 뉴스 Love Story role for Ali MacGraw 1969-05-07
[10] 뉴스 Production Company formed 1969-09-25
[11] 뉴스 Ryan O'Neal: A Love-Hate Story 1977-08-28
[12] 뉴스 Ryan O'Neal Has Plenty of Stories 1970-12-06
[13] 뉴스 Ryan O'Neal, Ali to play love story 1969-11-04
[14] 웹사이트 Kevin O'Neal, Actor on TV's 'No Time for Sergeants,' Dies at 77 https://www.hollywoo[...] 2023-01-31
[15] 웹사이트 University, Hollywood Relationship Not Always a 'Love Story' http://www.thecrimso[...] 1999-09-21
[16] 웹사이트 The Agassiz neighborhood starred in 'Love Story' alongside Ryan O'Neal, Ali MacGraw and Harvard https://www.cambridg[...] 2021-07-19
[17] 서적 The Directors: In Their Own Words https://archive.org/[...] TV Books
[18] 잡지 It's Everybody's 'Godfather' https://archive.org/[...] 1972-03-22
[19] 웹사이트 Love Story https://www.rottento[...]
[20] 웹사이트 Love Story https://www.rogerebe[...] 1970-01-01
[21] 뉴스 'Love Story' Tells It Like It Always Was 1970-12-20
[22] 서적 In the Kingdom of the Lonely Go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3] 뉴스 Screen: Perfection and a 'Love Story' https://www.nytimes.[...] 1970-12-18
[24] 뉴스 'Love Story' a Return to Tearful Melodrama 1970-12-27
[25] 뉴스 Love Story 1970-12-26
[26] 서적 Reverse Angle: A Decade of American Film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Inc.
[27] 뉴스 The Lesson of 'Love Story' 1971-01-01
[28] 잡지 50 Top-Grossing Films https://archive.org/[...] 1971-01-13
[29] 잡지 Love Story (advertisement) https://archive.org/[...] 1971-01-13
[30] 잡지 The biggest FIRST 7 days in the history of the film industry! (advertisement) 1971-01-16
[31] 잡지 Love Story Is Now An Institution (advertisement) https://archive.org/[...] 1971-01-13
[32] 잡지 And 'Love Story' Is Just Beginning (advertisement) 1971-06-30
[33] 잡지 50 Top-Grossing Films 1971-07-07
[34] 서적 The Director Within: Storytellers of Stage and Screen https://archive.org/[...] Wesleyan University Press
[35] 서적 Shoot Out: Surviving Fame and (Mis)fortune in Hollywood https://archive.org/[...] TarcherPerigee
[36] 웹사이트 The 43rd Academy Awards (1971)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5-07-04
[37] 웹사이트 23rd DGA Awards https://www.dga.org/[...] 2021-07-05
[38] 웹사이트 Love Story – Golden Globes https://www.goldengl[...] 2021-07-05
[39] 웹사이트 14th Annual GRAMMY Awards (1971) https://www.grammy.c[...] 2011-05-01
[40] 웹사이트 1970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2021-07-05
[41]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2010-06-06
[42] 간행물 Alltime Top 20 Movies on TV https://archive.org/[...] 1972-12-13
[43] 간행물 Hit Movies on U.S. TV Since 1961 1990-01-24
[44] 뉴스 The Disease: Fatal. The Treatment: Mockery https://www.nytimes.[...] 2010-08-22
[45] 음반 Love Story (Music from the Original Soundtrack) Review 2023-07-27
[46] 간행물 From the Music Capit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6-26
[47]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7-10
[48]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49] 서적 Sisältää hitin - 2. laitos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1.1.1960–30.6.2021 https://musiikkiarki[...] Kustannusosakeyhtiö Otava
[50]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7-31
[51]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6-26
[52] 서적 M&D Borsa Album 1964–2019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Print Us
[53]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5-29
[54]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1971 https://dutchcharts.[...] Hung Medien
[55]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1971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56] 웹사이트 'Love Story,' 'Fatal Attraction,' 'Parallax View,' 'Italian Job,' 'Flashdance' TV Shows a Go at Paramount+ https://www.hollywoo[...] 2021-02-24
[57] 뉴스 Beauty Flashback: Ali MacGraw's 'Love Story' hair https://www.telegrap[...] 2018-04-11
[58] 간행물 Lover's Story 1971-10
[59] 웹사이트 Picks and Pans Review: Milk Money https://people.com/a[...] 1994-09-12
[60] 웹사이트 'For Roseanna' (Review) https://www.rogerebe[...]
[61] 방송 Rita Hayworth, Jim Bailey, Glen Campbell 1971-02-01
[62] 뉴스 The Jennifer epidemic: How the spiking popularity of different baby names cycle like genetic drift https://nationalpost[...] 2015-01-23
[63] 웹사이트 Qasem Soleimani burial: Stampede kills 56 mourners https://www.rnz.co.n[...] 2020-01-08
[64] 웹사이트 Taylor Swift In Conversation With… TIFF 2022 https://www.youtube.[...] 2022-09-16
[65] 웹사이트 Love Story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21-04-24
[66] 웹사이트 ある愛の詩 デジタル・リマスター版 50th アニバーサリー・エディション https://db2.nbcuni.c[...] NBC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ジャパン 2021-06-21
[67] 문서 중화
[68] 웹사이트 角川春樹78歳、子どもは7歳、ボクシングは週2 超人的能力に「俺は一体何者なんだ」 https://dot.asahi.co[...] 朝日新聞出版 2020-07-18
[69] 문서 いつかギラギラする日 角川春樹事務所
[70] 웹사이트 Love Story (1970)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4-24
[71] 웹사이트 Love Story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04-24
[72] 문서 中川
[73] 서적 最後の角川春樹 毎日新聞出版 2021-11
[74] 서적 最後の角川春樹 毎日新聞出版 2021-11
[75] 간행물 特別対談 大林宣彦×大森一樹 キネマ旬報 1979-02
[76] 서적 シネアルバム 日本映画1978 1977年公開映画全集 芳賀書店 1978
[77] 웹사이트 大林 宣彦さん 映画作家 http://e.kaigo110.co[...] 「介護110番」総合案内 2021-04-24
[78] 뉴스 「ローマの休日」と「E.T.」。英語教材としてどっちが最適? https://eiga.com/new[...] 2009-07-24
[79] 서적 ウィズダム英和辞典 第三版 三省堂
[80] 웹사이트 Love Story (1970) - Trivia https://www.imdb.com[...] IMDb 2021-04-24
[81] 뉴스 ‘러브·스토리’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2023-04-15
[82] 뉴스 러브♥스토리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2023-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