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의 총리는 러시아 연방의 정부 수반이다. 러시아 총리직은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그리고 현재의 러시아 연방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변천해 왔다. 현대 러시아에서 총리는 대통령이 국가 두마의 동의를 얻어 임명하며, 대통령에게 책임을 지고 정기적으로 보고한다. 대통령의 사망, 사임 또는 탄핵 시에는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임시 대통령 역할을 수행한다. 1991년 이후 역대 총리로는 보리스 옐친, 예고르 가이다르,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세르게이 키리옌코,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세르게이 스테파신, 블라디미르 푸틴, 미하일 카시야노프, 미하일 프라드코프, 빅토르 줍코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미하일 미슈스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연방의 총리 -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로, KGB 협력자, 소련 최고회의 의장, 러시아 외국정보국 국장, 외무장관, 총리 등을 역임하며 '프리마코프 독트린'을 통해 러시아의 국익을 대변하고 경제 위기 극복에 기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 연방의 총리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 러시아 정부 - 러시아 헌법재판소
    러시아 헌법재판소는 법률의 헌법합치성 심사, 정부 기관 간 권한 분쟁 해결, 대통령 탄핵 절차 적법성 판단 등의 권한을 가진 러시아 연방의 헌법 재판 기관으로, 설립 초기 대통령과의 갈등, 재판소장 임명 방식 변경 논란, 정부 영향력 강화 비판 등의 역사를 거쳤으며 현재는 11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다.
  • 러시아 정부 - 국가두마
    러시아 국가두마는 러시아 연방의 하원으로, 제정 러시아 시대에 최초 설립 후 폐지, 소련 시대를 거쳐 1993년 재건되었으며, 대통령 중심제 하에서 정부 감시, 법률 제정 등의 권한을 행사하고 선거로 구성원을 선출한다.
  • 러시아의 정치인 - 가리 카스파로프
    가리 카스파로프는 최연소 체스 세계 챔피언이자 최장 기간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한 러시아의 체스 그랜드마스터이며, 딥 블루와의 대결, 저술 활동, 정치 활동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정치인 - 보리스 넴초프
    보리스 넴초프는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물리학자였으며, 니즈니노브고로드 주지사와 러시아 제1부총리를 역임하고 야권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을 비판하다가 2015년 모스크바에서 암살당했다.
러시아의 총리

2. 역사

러시아 총리직의 역사는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그리고 현재의 러시아 연방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변천해 왔다.

러시아 제국 장관회의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세르게이 위테무소속1905년 11월 6일 - 1906년 5월 5일
2이반 고레미킨무소속1906년 5월 5일 - 1906년 7월 21일
3표트르 스톨리핀무소속1906년 7월 21일 - 1911년 9월 18일
4블라디미르 코코프초프무소속1911년 9월 18일 - 1914년 2월 12일
5이반 고레미킨무소속1914년 2월 12일 - 1916년 2월 2일
6보리스 슈튀르머무소속1916년 2월 2일 - 1916년 11월 23일
7알렉산드르 트레포프무소속1916년 11월 23일 - 1917년 1월 9일
8니콜라이 고리친무소속1917년 1월 9일 - 1917년 3월 12일
러시아 공화국 장관회의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게오르기 리보프무소속1917년 3월 23일 - 1917년 7월 21일
2
60px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1917년 7월 21일 - 1917년 11월 8일
25px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위원회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블라디미르 레닌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러시아 공산당1917년 11월 8일 - 1924년 1월 21일
2
60px
알렉세이 리코프러시아 공산당/전연방 공산당1924년 2월 2일 - 1929년 5월 18일
3
60px
세르게이 시르초프전연방 공산당1929년 5월 18일 - 1930년 11월 3일
4다닐 술리모프전연방 공산당1930년 11월 3일 - 1937년 7월 22일
5니콜라이 불가닌전연방 공산당1937년 7월 22일 - 1938년 9월 17일
6바실리 바흐루셰프전연방 공산당1939년 7월 29일 - 1940년 6월 2일
7이반 호흐로프전연방 공산당1940년 6월 2일 - 1943년 6월 23일
-콘스탄틴 판필로프전연방 공산당1942년 5월 5일 - 1943년 6월 23일
8알렉세이 코시긴전연방 공산당1943년 6월 23일 - 1946년 3월 23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각료회의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9미하일 로드노프전연방 공산당1946년 3월 23일 - 1949년 3월 9일
10보리스 체르노우소프전연방 공산당1949년 3월 9일 - 1952년 10월 20일
11알렉산드르 프잘로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52년 10월 20일 - 1956년 1월 24일
1260px미하일 야스노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56년 1월 24일 - 1957년 12월 19일
1360px플로르 코즐로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57년 12월 19일 - 1958년 3월 31일
14드미트리 폴리아놉스키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58년 3월 31일 - 1962년 11월 23일
15겐나디 보로노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62년 11월 23일 - 1971년 7월 23일
16미하일 솔로멘체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71년 7월 28일 - 1983년 7월 24일
17비탈리 볼로트니코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83년 7월 24일 - 1988년 10월 3일
18알렉산드르 우라소프/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Вла́совru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88년 10월 3일 - 1990년 6월 15일
19이반 실라예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90년 6월 15일 - 1991년 9월 26일
-올레그 로보프러시아 공산당1991년 9월 26일 - 1991년 11월 6일
20보리스 옐친무소속1991년 11월 6일 - 1992년 5월 21일(법률상)[25]대통령 겸임
러시아 연방 각료회의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보리스 옐친무소속1991년 12월 25일 - 1992년 6월 15일
-
60px
예고르 가이다르 (총리 대행)무소속1992년 6월 15일 - 1992년 12월 14일총리 대행
2
60px
빅토르 체르노미르딘무소속1992년 12월 14일 - 1993년 12월 25일
러시아 연방 정부 회의 의장
총리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3빅토르 체르노미르딘우리집 러시아1993년 12월 25일 - 1998년 3월 23일
-보리스 옐친무소속1998년 3월 23일[26]총리 대행
-
60px
세르게이 키리옌코무소속1998년 3월 23일 - 1998년 4월 24일총리 대행
41998년 4월 24일 - 1998년 8월 23일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우리집 러시아1998년 8월 23일 - 1998년 9월 11일
5예브게니 프리마코프무소속1998년 9월 11일 - 1999년 5월 12일
-
90x90픽셀
세르게이 스테파신무소속1999년 5월 12일 - 1999년 5월 19일
41999년 5월 19일 - 1999년 8월 9일
-
60px
블라디미르 푸틴무소속1999년 8월 9일 - 1999년 8월 16일
51999년 8월 16일 - 2000년 5월 7일
-60px미하일 카시아노프무소속2000년 5월 7일 - 2000년 5월 17일
62000년 5월 17일 - 2004년 2월 24일
-60px빅토르 크리스텐코무소속2004년 2월 24일 - 2004년 3월 5일총리 대행
760px미하일 프라드코프무소속2004년 3월 5일 - 2007년 9월 14일
860px빅토르 주브코프무소속2007년 9월 14일 - 2008년 5월 8일
9블라디미르 푸틴통합 러시아2008년 5월 8일 - 2012년 5월 7일
-
60px
빅토르 주브코프무소속2012년 5월 7일 - 2012년 5월 8일총리 대행
10
60px
드미트리 메드베데프통합 러시아2012년 5월 8일 - 2020년 1월 16일
11
60px
미하일 미슈스틴무소속2020년 1월 16일 - (현직)
-
60px
안드레이 벨로우소프무소속2020년 4월 30일 - 2020년 5월 19일총리 대행


2. 1. 제정 러시아 시대 (1905-1917)

1905년 10월 19일, 니콜라이 2세의 칙령에 따라 러시아 제국 각료회의가 설립되면서 현대적인 총리직이 시작되었다.[3] 각료회의 의장은 공식적으로 정부 수반이 되었으며, 세르게이 비테 백작이 초대 총리로 임명되었다.[3]
러시아의 초대 총리인 세르게이 비테 백작


1905년부터 총리는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하며 자신의 정책과 개혁을 추진할 수 있었다. 특히, 표트르 스톨리핀(재임: 1906~1911)은 강력한 총리 중 한 명으로, 재임 기간 동안 여러 중요한 개혁을 단행했다.

1906년 1906년 러시아 헌법에 따라 국가 두마(의회)가 설립되었으나, 정부는 의회에 책임을 지지 않았다.[4] 세르게이 비테와 표트르 스톨리핀은 주요 정치 조직들의 연립 정부를 구성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국가 두마는 정부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려고 시도했으며, 이반 고레미킨의 첫 번째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정부와의 갈등이 두드러졌다.[4]

러시아 제국 각료회의 의장직은 12년 동안 존속했으며, 7명(1명은 두 번)이 이 직책을 맡았다. 1917년 3월(구력 3월 2일) 2월 혁명 이후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함께 러시아 임시 정부가 수립되면서 폐지되었다.

2. 2. 러시아 임시정부 시대 (1917)

러시아의 8번째 총리(러시아 임시정부 초대 의장)인 게오르기 류보프


러시아 임시정부 시기, 총리는 사실상 러시아 국가를 수장했으며 공식 직함은 "러시아 임시정부 의장"이었다. 이 직책은 게오르기 류보프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두 사람만이 역임했다.

이 직책은 약 6개월간 지속되었으며,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 SFSR 인민위원회 의장으로 대체되었다.

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1991)

블라디미르 레닌 시대에는 인민위원회 평의회 의장이 RSFSR(1922년부터 1991년까지)의 지도자였다. 1946년, 정부 수반 직책의 명칭이 장관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이 직책을 역임한 사람들은 때때로 총리(premier of ministers) 또는 단순히 총리(premier)라고도 불렸다.

2. 4. 러시아 연방 시대 (1991-현재)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 각료회의 의장이 총리직을 수행했다. 1993년 러시아 연방 헌법 제정으로 현재의 "러시아 연방 정부 의장" 직책이 확립되었다.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정부 수반은 옐친 자신이였다. 그는 약 6개월 동안 러시아 SFSR 정부(1992년 5월 16일, 러시아 연방 정부)를 이끌었다. 옐친은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의 첫 정부 수반이었지만, 총리는 아니었다. 옐친 이후 예고르 가이다르가 총리 직무대행이 되었지만, 러시아 최고 소비에트는 그를 총리로 승인하는 것을 거부했다. 1992년 12월 14일,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이 총리로 임명되었다.

러시아의 29대 총리(러시아 연방 정부 초대 의장)인 비크토르 체르노미르딘


현대 러시아에서 총리는 대통령이 국가 두마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총리는 대통령에게 책임을 지고 정기적으로 보고하지만, 국가 두마에는 연 1회만 보고한다. 러시아의 정치 체제는 현대 프랑스 체제와 유사하다. 총리 임명을 위해 대통령은 국가 두마에서 과반수를 확보해야 한다. 대통령이 속한 정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연정을 구성하는 데 실패하면, 대통령은 총리직에 충성스러운 인물을 임명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998년 국가 두마(대통령의 정당에 대한 대부분의 반대 세력이 있었던 곳)가 두 차례나 비크토르 체르노미르딘 총리 임명을 거부했을 때, 보리스 옐친은 좌파 야당을 지지했던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를 총리로 임명했다.

1990년대 중반 러시아에서는 "기술적 총리"라는 용어가 있었다. 이 용어는 독립적인 정치 인물이 아니고 명목상 정부 수반일 뿐이며, 실제로는 대통령이 정부 활동을 주도하는 총리를 가리킨다.

style="text-align:right"|정당 구분:     (보수주의 정당)
사진이름임기정당
취임일퇴임일
권한대행
120px
보리스 옐친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옐친/Бори́с Никола́евич Е́льцинru
1991년 12월 25일1992년 6월 15일무소속
권한대행예고르 가이다르
예고르 티무로비치 가이다르/Его́р Тиму́рович Гайда́рru
1992년 6월 15일1992년 12월 14일무소속
1ㆍ2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빅토르 스테파노비치 체르노미르딘/Ви́ктор Степа́нович Черномы́рдинru
1992년 12월 14일1998년 3월 23일무소속(~ 1995)
우리 집 러시아(1995 ~ 2001)
3
120px
세르게이 키리옌코
세르게이 블라딜레노비치 키리옌코/Серге́й Владиле́нович Кирие́нкоru
1998년 3월 23일1998년 8월 3일무소속
권한대행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빅토르 스테파노비치 체르노미르딘/Ви́ктор Степа́нович Черномы́рдинru
1998년 8월 3일1998년 9월 11일우리 집 러시아
4
120px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예브게니 막시모비치 프리마코프/Евгений Максимович Примаковru
1998년 9월 11일1999년 5월 12일조국 - 전 러시아
5세르게이 스테파신
세르게이 바디모비치 스테파신/Серге́й Вади́мович Степа́шинru
1999년 5월 12일1999년 8월 9일무소속
권한대행
120px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푸틴/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Пу́тинru
1999년 8월 9일1999년 8월 16일러시아 통합당
61999년 8월 16일2000년 5월 7일
7
120px
미하일 카시야노프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카시야노프/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Касья́новru
2000년 5월 7일2004년 2월 24일무소속
권한대행
120px
빅토르 흐리스텐코
빅토르 보리소비치 흐리스텐코/Ви́ктор Бори́сович Христе́нкоru
2004년 2월 24일2004년 3월 5일무소속
8
120px
미하일 프랏코프
미하일 예피모비치 프랏코프/Михаи́л Ефи́мович Фрадко́вru
2004년 3월 5일2007년 9월 14일무소속
9
120px
빅토르 줍코프
빅토르 알렉세예비치 줍코프/Ви́ктор Алексе́евич Зубко́вru
2007년 9월 14일2008년 5월 7일통합 러시아
10
120px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푸틴/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Пу́тинru
2008년 5월 8일2012년 5월 7일통합 러시아
권한대행빅토르 줍코프
빅토르 알렉세예비치 줍코프/Ви́ктор Алексе́евич Зубко́вru
2012년 5월 7일2012년 5월 8일통합 러시아
11
120px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드미트리 아나톨리예비치 메드베데프/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Медве́девru
2012년 5월 8일2020년 1월 15일통합 러시아
권한대행2020년 1월 15일2020년 1월 16일
12미하일 미슈스틴
미하일 블라디미로비치 미슈스틴/Михаил Владимирович Мишустинru
2020년 1월 16일무소속


3. 권한과 역할

러시아 연방 헌법, 연방 헌법 법률, 연방 법률 및 대통령령에 따라 러시아 총리는 정부의 운영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업무를 조직하며, 일반적으로 정부의 일상 업무를 운영한다.[6] 중앙 행정부 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제안을 대통령에게 제출하며,[6] 부총리, 연방 장관 및 기타 공무원을 임명하고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또한, 정부 구성원에 대한 처벌 및 포상에 관한 제안을 대통령에게 제출한다.[6]

총리는 외교 관계 및 국내에서 기관으로서 정부를 대표한다. 정부 및 그 산하 위원회의 회의를 주재하며, 결정적인 표결권을 갖는다. 정부의 행위에 서명하며, 매년 국무회의에 정부 활동에 대해 보고한다. 정부 구성원 간의 직무를 분담하고, 정부 활동에 대해 대통령에게 체계적으로 보고한다.[6]

총리는 직권으로 러시아 연방 안전 보장 회의, 독립 국가 연합 정부 수반 협의회, 러시아와 벨라루스 연합국 최고 국가 평의회, 상하이 협력 기구 정부 수반 협의회,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EurAsEC) 국가간 이사회의 구성원이 된다.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가 보리스 옐친의 사임 후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대통령의 사망, 사임 또는 탄핵의 경우, 총리는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3개월 이내에 실시될 때까지 임시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는 국가두마를 해산하거나, 국민투표를 공표하거나, 헌법 개정을 제안할 수 없다.[19][20][21][22]

4. 임명 절차

러시아의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며, 러시아 연방 의회의 하원인 국가 두마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9] 다른 대부분의 "총리"들이 입법부 또는 의회의 선출된 구성원인 것과 달리, 러시아 정부 수반은 다른 국가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한, 어떤 러시아 시민이라도 될 수 있다.

대통령은 이전 정부의 사임 또는 대통령 취임식 후 2주 이내에 새로운 정부 수반을 지명해야 한다.[9] 국가 두마는 지명 후 2주 이내에 해당 사안을 논의하고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의회의 동의 절차는 일반적으로 의회 각 당의 후보에 대한 며칠간의 포괄적인 협의 및 면접을 거친 후에 진행된다. 국가 두마가 대통령의 승인을 결정하면 대통령은 즉시 해당 임명령에 서명할 수 있다.

국가 두마가 총리 후보 지명을 세 번 부결할 경우, 대통령은 두마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9] 국가 두마는 의회 선거 후 첫 해, 현직 대통령 임기의 마지막 6개월, 비상 사태 또는 전쟁 중, 그리고 국가 두마가 현직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시작한 경우에는 이러한 이유로 해산될 수 없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Dmitry Medvedev)의 2018년 5월 8일 인준 청문회


2020년 1월 15일 대통령 연례 연설에서는 대통령에게 있는 총리 임명권을 하원으로 이관하고, 총리의 내각 구성을 대통령이 거부할 수 없도록 헌법을 개정할 방침이 제시되었다.[24]

5. 해임 및 사임

대통령은 언제든지 총리를 해임할 수 있다.[17] 총리는 자진 사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통령에게 사임 의사를 제출한다.[17] 대통령은 사임을 거부하고 총리에게 계속 근무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17] 새로 선출된 대통령이 취임하면 총리와 정부 전체는 헌법상 사임해야 한다.[17]

국가 두마는 3개월 이내에 두 차례 정부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대통령에게 정부 해임을 강제할 수 있다.[17] 일반적으로 이 경우 대통령은 정부를 해임하거나 국가 두마를 해산할 수 있다.[17] 그러나 의회 선거 후 1년 이내에는 국가 두마를 해산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 대통령은 정부를 해임해야 한다.[17]

총리는 자신의 요청에 따라 또는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사임할 수 있으며, 총리의 해임은 정부 전체의 사퇴를 의미한다.[18] 총리가 사임하는 경우, 대통령은 부총리 중 한 명에게 최대 두 달 동안 직무를 위임할 수 있다.[18] 이 기간 동안 대통령은 새로운 총리 후보를 선출하고 국가 두마에 제출한다.[18] 대개 권한대행 총리가 나중에 국가 두마에 새로운 총리로 제안된다.

6. 권한 대행

러시아 연방 정부에 관한 연방 헌법 법률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정부 수반의 "일시적" 부재 시에는 서면으로 분담된 책임에 따라 러시아 연방 정부 부수반 중 한 명이 그 직무를 수행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필요하지 않다. 러시아 연방 정부에 관한 연방 헌법 법률은 총리의 "일시적 부재" 기간과 대리 총리의 임기 기간을 제한하지 않는다.[18]

러시아에는 러시아 제1부총리가 한 명 이상 있을 수 있으므로, 서면으로 된 책임 분담이 가장 중요한 문서이다. 제1부총리직은 헌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직책이 아니다. 러시아 헌법 제6장은 "러시아 연방 정부는 러시아 연방 정부 수반, ''러시아 연방 정부 부수반'' 및 연방 부처로 구성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총리는 자신의 요청에 따라 또는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사임할 수 있다. 러시아 연방 정부에 관한 연방 헌법 법률에 따르면 총리의 해임은 정부 전체의 사퇴를 의미한다. 총리가 사임하는 경우, 대통령은 그의 직무를 부총리 중 한 명에게 위임할 권리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두 달 이상 지속될 수 없다. 이 기간은 국가원수가 새로운 총리 후보를 선출하고 국가 두마에 제출하기 위한 것이다.[18]

대개 권한대행 총리가 나중에 국가 두마에 새로운 총리로 제안된다.

대통령의 사망, 사임 또는 탄핵의 경우, 총리는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3개월 이내에 실시될 때까지 임시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는 국가두마를 해산하거나, 국민투표를 공표하거나, 헌법 개정을 제안할 수 없다.

러시아 헌법은 총리가 임명되지 않았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 권한대행이 누가 되어야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일부에서는 대통령과 총리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연방평의회 의장이 국가 원수 권한대행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19][20][21][22] 그러나 어디에도 이것이 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7. 역대 총리 목록 (1991년 이후)

초상화정당임기국가 두마정부명칭장관의 당적rowspan=1 style="background:; color:black;" |1보리스 옐친
(1931–2007)

90px
무소속1991년 12월 26일1992년 6월 15일제12대 최고 소비에트옐친-가이다르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예고르 가이다르
90px
무소속1992년 6월 15일1992년 12월 14일rowspan=3 style="background:; color:black; border-bottom:solid 0 gray;" |
2빅토르 체르노미르딘
(1938–2010)
90px
무소속1992년 12월 14일1996년 8월 9일체르노미르딘 1기 내각1993년 (제1대)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color:white; border-top:solid 0 gray;"|우리 집 - 러시아1995년 (제2대)1996년 8월 10일1998년 3월 23일체르노미르딘 2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세르게이 키리옌코
90px
무소속1998년 3월 23일1998년 4월 24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31998년 4월 24일1998년 8월 23일키리옌코 내각style="background:; color:white;" |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우리 집 - 러시아1998년 8월 23일1998년 9월 11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4예브게니 프리마코프
(1929–2015)
90px
무소속1998년 9월 11일1999년 5월 12일프리마코프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세르게이 스테파신
무소속1999년 5월 12일1999년 5월 19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51999년 5월 19일1999년 8월 9일스테파신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border-bottom:solid 0 gray;" |블라디미르 푸틴
90px
무소속1999년 8월 9일1999년 8월 19일rowspan=1 style="background:; color:black;" |61999년 8월 19일2000년 5월 7일푸틴 1기 내각rowspan=1 style="background-color:; color:white; border-top:solid 0 gray;"|통일1999년 (제3대)style="background:; color:black;" |미하일 카시야노프
90px
무소속2000년 5월 7일2000년 5월 17일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black;" |72000년 5월 17일2004년 2월 24일카시야노프 내각2003년 (제4대)style="background:; color:black;" | 빅토르 크리스텐코
90px
무소속2004년 2월 24일2004년 3월 5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8미하일 프라드코프
90px
무소속2004년 3월 5일2004년 5월 7일프라드코프 1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2004년 5월 7일2004년 5월 12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2004년 5월 12일2007년 9월 12일프라드코프 2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2007년 9월 12일2007년 9월 14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9빅토르 주브코프
90px
무소속2007년 9월 14일2008년 5월 7일주브코프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2008년 5월 7일2008년 5월 8일2007년 (제5대)style="background:; color:white;" |블라디미르 푸틴
90px
통합 러시아2008년 5월 8일2012년 5월 7일푸틴 2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빅토르 주브코프
무소속2012년 5월 7일2012년 5월 8일2011년 (제6대)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white;" |10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통합 러시아2012년 5월 8일2018년 5월 7일메드베데프 1기 내각2016년 (제7대)style="background:; color:white;" | 2018년 5월 7일2018년 5월 8일style="background:; color:white;" |2018년 5월 8일2020년 1월 15일메드베데프 2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white;" | 2020년 1월 15일2020년 1월 16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1미하일 미슈스틴
90px
무소속2020년 1월 16일2020년 4월 30일미슈스틴 1기 내각style="background:; color:black;" | 안드레이 벨루소프
90px
무소속2020년 4월 30일2020년 5월 19일rowspan=4 style="background:; color:black;" |미하일 미슈스틴
무소속2020년 5월 19일2024년 5월 7일2021년 (제8대)2024년 5월 7일2024년 5월 10일2024년 5월 10일현직미슈스틴 2기 내각



{{각주|refs=

}}

8. 평가 및 비판

8. 1. 긍정적 평가

8. 2. 부정적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Protocol and Liaison Service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Зарплаты президентов - Новости Таджикистана ASIA-Plus https://web.archive.[...] 2019-06-03
[3] 웹사이트 7 царских председателей Совета министров https://web.archive.[...] 2018-04-10
[4] 웹사이트 Первое министерство И.Л. Горемыкина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дума первого созыва https://web.archive.[...] 2021-10-27
[5]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АЯ ПОЛИТ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ЕХНИЧЕСКИЙ ПРЕМЬЕР https://web.archive.[...] 2022-03-27
[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Section One, Chapter 6. –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Bucknell University 2010-01-13
[7]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Основной Закон) Российской Советской Федеративн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утверждена постановлением Чрезвычайного XVII Всероссийского Съезда Советов от 21 января 1937 г.) Глава III. Высшие орган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Российской Советской Федеративн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s://web.archive.[...] 2017-08-28
[8]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Основной закон) Российской Советской Федеративн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т 12 апреля 1978 г. Глава 14. Совет Министров РСФСР https://web.archive.[...] 2018-01-08
[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Chapter 6.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2019-11-22
[10]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meeting https://web.archive.[...] 2020-10-30
[11]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meeting https://web.archive.[...] 2020-10-31
[12]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meeting https://web.archive.[...] 2020-10-31
[13]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meeting https://web.archive.[...] 2020-10-31
[14] 웹사이트 Госдума согласилась на назначение Медведева главой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Ф https://web.archive.[...] 2018-05-09
[15] 웹사이트 Госдума одобрила Мишустина на пост премьера https://web.archive.[...] 2020-04-29
[16] 웹사이트 О проекте постановле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 622328-8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Мишустина Михаила Владимировича Председателем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Система анализа результатов голосований на заседаниях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http://vote.duma.gov[...] 2024-05-11
[17]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инята всенародным голосованием 12.12.1993 с изменениями, одобренными в ходе общероссийского голосования 01.07.2020). Статья 117 https://web.archive.[...] 2021-10-27
[18] 간행물 Беспремьерная ситуация https://web.archive.[...] 2020-05-03
[19] 웹사이트 "Пост Председателя Совета Федерации РФ – это третий пост в стране. В случае недееспособности президента и премьера именно председатель верхней палаты парламента должен возглавить государство." https://web.archive.[...] 2014-01-11
[20] 웹사이트 "Почему у нас третье лицо в государстве Председатель Совета Федерации? Потому что это федерация, он не распускается, он действует постоянно." - Сергей Шахрай https://web.archive.[...] 2014-01-11
[21] 웹사이트 Миронов третьим не будет https://web.archive.[...] 2022-10-07
[22] 웹사이트 Сергей Шахрай: Конституция началась с трёх листов бумаги https://web.archive.[...] 2014-07-26
[23] 웹사이트 Зарплаты президентов - Новости Таджикистана ASIA-Plus https://web.archive.[...] 2019-06-03
[24] 뉴스 ロシアのメドベージェフ首相、大統領の年次教書演説を受けて、内閣総辞職を表明 https://sputniknews.[...] 2020-01-16
[25] 문서 러시아 연방의 개명
[26] 문서 헌법재판소의 판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