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닌그라드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닌그라드는 스카 펑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을 선보이는 러시아 밴드이다. 1997년에 결성되어 여러 차례 해체와 재결합을 거쳤으며, 보컬 세르게이 슈누로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음악은 보드카, 여성 등 일상적인 주제부터 정치, 사회 비판까지 다양한 내용을 다루며, 러시아어 욕설을 사용한 직설적이고 풍자적인 표현이 특징이다. 레닌그라드는 여러 영화와 게임에 삽입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러시아 팝 음악과 팝 록을 조롱하는 커버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펑크 록 밴드 - 푸시 라이엇
    푸시 라이엇은 2011년 러시아에서 결성된 펑크 록 페미니스트 예술 집단으로, 정치적 퍼포먼스와 음악을 통해 페미니즘, 반권위주의, LGBT 권리 옹호 메시지를 전달하며 부패한 푸틴 정권에 저항하고, 2012년 성당 공연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은 후 현재까지도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스카 펑크 - 랜시드
    1991년 캘리포니아주 올버니에서 결성된 랜시드는 오퍼레이션 아이비 멤버였던 팀 암스트롱과 맷 프리먼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미국의 펑크 록 밴드이며, 다양한 장르 융합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알려져 있다.
  • 스카 펑크 - 노 다웃
    노 다웃은 1986년 결성된 미국의 밴드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1995년 앨범 'Tragic Kingdom'의 성공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그래미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재결합 공연을 가졌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사운드가든
    사운드가든은 1984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그런지 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였으나, 1997년 해체 후 2010년 재결합했으나 크리스 코넬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사운드가든이라는 이름으로의 활동 재개는 불투명하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토토 (밴드)
    TOTO는 1970년대 최고의 세션 뮤지션들이 모여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성과 "Hold the Line", "Rosanna" 등의 히트곡으로 1980년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레닌그라드 (그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레닌그라드
다른 이름그루피로브카 레닌그라드
별칭반드포르미로바니예 "레닌그라드"
원산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장르스카 펑크
러시아 샹송
팝 록
활동 기간1997–2008
레이블Gala Records
O.G.I. Records
웹사이트leningrad.top
2017년 프라하 공연 중인 레닌그라드. 슈누로프와 플로리다
2017년 공연 모습 (슈누로프, 플로리다)
구성원
현재 구성원현재 라인업
이전 구성원이전 구성원

2. 역사

1997년 세르게이 슈누로프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3. 음악 스타일

밴드의 리더인 세르게이 슈누로프는 "우리 노래는 인생의 좋은 면, 즉 보드카와 여자에 관한 것이다."라고 직접 언급한 바 있다.

레닌그라드의 가사는 러시아어 욕설인 '맷'(мат)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주류 문화와 정치적인 클리셰를 직설적으로 풍자한다. 예를 들어, 2007년 발표된 노래 "Vybory"("선거")의 후렴구인 ''Kandidaty - pidory''("후보는 호모")는 구소련 지역에서 선거 불참을 의미하는 으로 널리 퍼졌다. 또한 2010년 노래 ''I Bolsche Nikovo''("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다른 사람은 없다")[5]에서는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가진 "러시아의 문화 수도"라는 의도된 이미지를 욕설 사용과 알코올 중독, 거리 범죄 등을 언급하며 조롱하기도 했다.

슈누로프는 다른 인기 연예인의 노래를 커버하거나 그들을 레닌그라드 라이브 무대에 초대하는 방식으로 러시아의 팝 음악팝 록을 풍자하기도 한다.

과거 모스크바 시장이었던 유리 루시코프는 레닌그라드를 매우 싫어하여,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모스크바에서 예정되었던 밴드의 대규모 공연은 모두 취소되었다.[4] 이로 인해 레닌그라드는 모스크바에서 주로 개인 소유의 나이트클럽이나 에서만 공연할 수 있었다.

4. 구성원

레닌그라드 그룹은 활동 기간 동안 다수의 멤버 교체가 있었다. 현재 활동 중인 멤버와 과거에 활동했던 멤버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1. 현재 구성원

wikitext

이름역할활동 기간
세르게이 "슈누르" 슈누로프 Сергей "Шнур" Шнуровru보컬, 편곡, 작사, 기타, 베이스1997–2008, 2010–현재
뱌체슬라프 "세비치" 안토노프 Вячеслав "Севыч" Антоновru백 보컬, 마라카스2000–2008, 2010–현재
알렉산드르 "푸조" 포포프 Александр "Пузо" Поповru베이스 드럼, 타악기, 보컬1997–2008, 2010–현재
안드레이 "안토니치" 안토넨코 Андрей "Антоныч" Антоненкоru튜바, 편곡, 아코디언, 키보드1997–2008, 2010–현재
그리고리 "존티크" 존토프 Григорий "Зонтик" Зонтовru테너 색소폰2002–2008, 2010–현재
로만 "슈케르" 파리긴 Роман "Шухер" Парыгинru트럼펫2002–2008, 2010–현재
안드레이 "데드" 쿠라예프 Андрей "Дед" Кураевru베이스2002–2008, 2010–현재
일리야 "피아니스트" 로가쳅스키 Илья "Пианист" Рогачевскийru키보드2002–2008, 2010–현재
콘스탄틴 "리몬" 리모노프 Константин "Лимон" Лимоновru기타2002–2008, 2010–현재
블라디슬라프 "발디크" 알렉산드로프 Владислав "Валдик" Александровru트롬본2002–2008, 2010–현재
알렉세이 "레카" 카네프 Алексей "Лёха" Каневru바리톤 색소폰, 알토 색소폰2002–2008, 2010–현재
데니스 모진 Денис Можинru음향 감독 (2002–2008), 드럼 (2010–현재)2002–2008, 2010–현재
알렉세이 "믹셰르" 칼리닌 Алексей "Микшер" Калининru드럼, 타악기1997–2002, 2006–2008, 2010–현재
드미트리 구구치킨 Дмитрий Гугучкинru기타2010–현재
플로리다 찬투리야 Флорида Чантурияru보컬, 백 보컬2016–현재
빅토르 라포티힌 Виктор Рапотихинru바이올린2016–현재


4. 2. 이전 구성원


  • 세르게이 시누로프 "시누르" (Сергей Шнуров "Шнур"|세르게이 시누로프 "시누르"ru) - 작사
  • 뱌체슬라프 안토노프 "세비치" (Вячеслав Антонов "Севыч"|뱌체슬라프 안토노프 "세비치"ru) - 마라카스, 제2보컬
  • 알렉산드르 포포프 "푸조" (Александр Попов "Пузо"|알렉산드르 포포프 "푸조"ru) - 퍼커션, 보컬
  • 안드레이 안토넨코 "안토네비치" (Андрей Антоненко "Антоненыч"|안드레이 안토넨코 "안토네비치"ru) - 튜바
  • 데니스 모진 (Денис Можин|데니스 모진ru) - 음향 엔지니어
  • 그리고리 존토프 "존트닉" (Григорий Зонтов "Зонтик"|그리고리 존토프 "존트닉"ru) - 색소폰
  • 로만 파리진 "슈헤르" (Роман Парыгин "Шухер"|로만 파리진 "슈헤르"ru) - 트럼펫
  • 데니스 쿱초프 "카셰이" (Денис Купцов "Кащей"|데니스 쿱초프 "카셰이"ru) - 드럼
  • 안드레이 쿠라예프 "데드" (Андрей Кураев "Дед"|안드레이 쿠라예프 "데드"ru) - 바스
  • 일랴 로가쳅스키 "피아니스트" (Илья Рогачевский "Пианист"|일랴 로가쳅스키 "피아니스트"ru) - 키보드
  • 콘스탄틴 리모노프 "리몬" (Константин Лимонов "Лимон"|콘스탄틴 리모노프 "리몬"ru) - 기타
  • 블라디슬라프 알렉산드로프 "발디크" (Владислав Александров "Валдик"|블라디슬라프 알렉산드로프 "발디크"ru) - 트롬본
  • 알렉세이 카네프 "레하" (Алексей Канев "Леха"|알렉세이 카네프 "레하"ru) - 색소폰
  • 율리야 "율랴" 코간 (Юлия "Юля" Коган|율리야 "율랴" 코간ru) – 보컬, 백 보컬 (2007–2008, 2010–2013)
  • 이고르 브도빈 (Игорь Вдовин|이고르 브도빈ru) – 보컬, 기타 (1997–1999)
  • 로만 "로메로" 포킨 (Роман "Ромеро" Фокин|로만 "로메로" 포킨ru) – 색소폰 (1997–2002)
  • 알렉산드르 "사슈코" 프리바로프 (Александр "Сашко" Привалов|알렉산드르 "사슈코" 프리바로프ru) – 트럼펫 (1998–2002)
  • 올레그 소콜로프 (Олег Соколов|올레그 소콜로프ru) – 트럼펫 (1997–1998)
  • 바실리 "쿠즈네치크" 사빈 (Василий "Кузнечик" Савин|바실리 "쿠즈네치크" 사빈ru) – 트롬본 (1998–2002)
  • 드미트리 "안테나" 멜니코프 (Дмитрий "Антенна" Мельников|드미트리 "안테나" 멜니코프ru) – 드럼 (2000–2002)
  • 일리야 "드라큘라" 이바쇼프 (Илья "Дракула" Ивашов|일리야 "드라큘라" 이바쇼프ru) – 튜바 (1997–2002)
  • 스타스 바레츠키 (Стас Барецкий|스타스 바레츠키ru) – 댄스 및 마스코트 (2005–2008)
  • 데니스 "카슈체이" 쿠프초프 (Денис "Кащей" Купцов|데니스 "카슈체이" 쿠프초프ru) – 드럼 (2002–2008)
  • 미하일 고팍 (Михаил Гопак|미하일 고팍ru) – 트롬본 (2002)
  • 다니일 "댄" 칼라시니크 (Даниил "Дэн" Калашник|다니일 "댄" 칼라시니크ru) – 기타 (1999–2002)
  • 막심 템노프 (Максим Темнов|막심 템노프ru) – 베이스, 더블 베이스 (2001–2002)
  • 세르게이 아르세니예프 (Сергей Арсеньев|세르게이 아르세니예프ru) – 아코디언 (2001)
  • 앨리스 복스-부르미스트로바 (Алиса Вокс-Бурмистрова|앨리스 복스-부르미스트로바ru) – 보컬, 백 보컬 (2012–2016)
  • 바실리사 스타르쇼바 (Василиса Старшова|바실리사 스타르쇼바ru) – 보컬, 백 보컬 (2016–2017)

5. 음반 목록

wikitext

발매 연도원제한국어 번역 제목기타 정보
1997풀랴 (Пуля)탄환
1999마트 베즈 엘렉트리체스트바 (Мат без электричества)전기 없는 Mat관용적으로 "전기 없는 Mat" 또는 "어쿠스틱 Mat"
2000다치니키 (Дачники)다차 사람들
2001풀랴+ (디스크 1) (Пуля+ (Диск 1))탄환+ (디스크 1)
2001풀랴+ (디스크 2) (Пуля+ (Диск 2))탄환+ (디스크 2)
2001마데 인 조파 (Маде ин жопа)엉덩이에서 만듦
2002피라티 XXI 베카 (Пираты XXI века)21세기 해적들
2002토치카 (Точка)"Money" 곡 포함
2003레닌그라드 우델리바예트 아메리쿠 (디스크 1) (Ленинград уделывает Америку (Диск 1))레닌그라드가 미국을 이김 (디스크 1)
2003레닌그라드 우델리바예트 아메리쿠 (디스크 2) (Ленинград уделывает Америку (Диск 2))레닌그라드가 미국을 이김 (디스크 2)
2003브토로이 마가단스키 (Второй Магаданский)두 번째 마가단
2003들랴 밀리오노프 (Для миллионов)수백만을 위해"Меня зовут Шнур" 곡 포함
2004바바로봇 (Бабаробот)펨봇
2004(네) 폴노예 소브라니예 소치네니 ((Не)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불)완전 작품집컴필레이션
2005후이냐 (Хуйня)헛소리The Tiger Lillies와의 협업
2006흘레프 (Хлеб)
2006바비에 레토 (Бабье лето)늦더위
2007아브로라 (Аврора)오로라
2011흐나 (Хна)헤나
2011베치니 오곤 (Вечный огонь)영원한 불꽃
2012리바 (Рыба)생선
2014파르쉬 (Фарш)다진 고기
2014플랴쉬 나쉬 (Пляж наш)해변은 우리 것
2018프세야코예 (Всякое)별의별 일인터넷 발매


6. 영상 목록


  • 2000: "돈이 없을 때"(When There Is No Money)
  • 2002: "WWW"
  • 2003: "매니저"(A Manager)
  • 2003: "후얌바"(Huyamba)
  • 2003: "라즈피즈댜이"(Raspizdyay) (그만두는 사람)
  • 2013: "로드나야"(Rodnaya) (그리운 사람)
  • 2013: "플라추"(Plachu) (울고 있어요)
  • 2013: "숨카"(Sumka) (가방)
  • 2014: "파트리옷카"(Patriotka) (애국 소녀)
  • 2015: "오트푸스크나야"(Otpusknaya) (휴가 노래)
  • 2015: "VIP"
  • 2016: "엑스포나트"(Exhibit (일명 루부탱)) (율리야 토폴니츠카야, 배우)[8]
  • 2016년 9월 1일: "시시키"(Tits) (안나 파르마스, 감독; 율리야 토폴니츠카야, 배우)
  • 2016: "피테르에서 마시기"(V Pitere Pit')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마시기)
  • 2016: "오치키 소브착"(Ochki Sobchak) (크세니야 소브착의 안경)
  • 2016: "오베자나 이 오르욜"(Obezyana i Oryol) (원숭이와 독수리)
  • 2017: "Ch.P.Kh."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일)
  • 2017: "콜시치크"(Kolshchik) (타투 마스터) (일리야 나이슐러, 감독; 율리야 토폴니츠카야, 배우)
  • 2017: "보야지"(Voyage) (일리야 나이슐러, 감독)
  • 2017: "엑스타즈"(Ecstasy) (스베틀라나 호드첸코바, 배우)
  • 2017: "칸디다트"(Candidate)
  • 2018: "주-주" feat. 글루코자 ("Zhu Zhu") (줌 줌)
  • 2018: "졸로토"(Zoloto) (금)
  • 2019: "i_$uss" (Iisus) (예수) (레오니트 콜로소프스키, 감독)
  • 2019: "카브리올레"(Cabriolet)
  • 2020: "포토세시야"(Fotosessiya) (포토세션)
  • 2020: "미그"(Mig) (순간)
  • 2022: "포카 탁"(Poka tak) (지금은 그대로 두자)
  • 2022: "포카얀나야"(Pokayannaya) (참회)
  • 2022: "리듬 이 멜로디야" feat. 조야(Ritm i Melodiya) (리듬과 멜로디)
  • 2022: "파-스포르트"(Pa-sport) (파-스포르트)
  • 2022: "스보보드나야 카사"(Svobodnaya kassa) (자유 현금 등록기)
  • 2022: "메르시, 바쿠"(Mersi, Baku) (메르시 바쿠)
  • 2022: "프로시, 엘리타"(Proshchay, elita) (안녕, 엘리트!)
  • 2022: "브호다 네트!"(Vkhoda net!) (입장 불가!)
  • 2022: "아 우 올리가르하타..."(A u oligarkhata...) (그리고 과두제...)
  • 2022: "멜로치"(Melochi) (사소한 것들)
  • 2022: "지오폴리티체스카야"(Geopoliticheskaya) (지정학적)
  • 2022: "이노아겐트"(Inoagent) (외국 요원)
  • 2022: "나샤 에코노미카"(Nasha ekonomika) (우리 경제)

7. 문화적 영향

레닌그라드의 가사는 주류 문화 및 정치적 클리셰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2007년 노래 Vyboryru의 후렴구인 Kandidaty - pidoryru("후보는 호모")는 널리 퍼져 구소련 시대의 이 되었고, 선거 불참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010년 노래 I Bolsche Nikovoru("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다른 사람은 없다")[5]상트페테르부르크가 스스로 내세우는 "러시아의 문화 수도"라는 이미지를 거친 욕설(맷) 사용과 알코올 중독, 거리 범죄 등을 언급하며 조롱한다.

밴드의 리더 슈누로프는 러시아의 대중적인 팝 음악팝 록을 조롱하는 것을 즐기며, 때로는 해당 장르 가수의 노래를 커버하고 함께 라이브 무대에 서기도 한다.

레닌그라드의 노래는 여러 대중 매체에 사용되며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B급 영화범죄 장르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레닌그라드 음악 사용 매체 예시
매체 종류작품명사용된 곡연도비고
영화DMB정보 없음정보 없음
영화Bimmer정보 없음정보 없음
영화모두가 훌륭해3곡2005사운드트랙에 비중 있게 사용
비디오 게임Grand Theft Auto IVNikogo Ne Zhalkoru
("누구에게도 연민은 없다")
2008게임 내 라디오 방송국 수록[6][7]
영화뱀파이어: 어둠 속의 생존자Lastochkaru2014모큐멘터리 영화 엔딩 크레딧


참조

[1] 웹사이트 Berlin Music Video Awards Winners 2017 https://www.berlinmv[...] 2017-05-23
[2] 웹사이트 Berlin Music Video Awards 2018 https://www.berlinmv[...] 2018-05-28
[3] Youtube Невзоров о том, почему Шнур распускает «Ленинград» https://www.youtube.[...]
[4] 뉴스 Запрещенная Лужковым группа «Ленинград» выступит в поддержку его соперника Лебедева http://www.lenta.ru/[...] 2012-03-16
[5] 간행물 Official MP3 release http://www.sosimc.ru[...]
[6] 웹사이트 GTA IV soundtrack update nixes Stevie Nicks, David Bowie, and dozens more https://www.pcgamesn[...] Network N 2018-04-27
[7] 웹사이트 Grand Theft Auto 4 update removes a long list of songs https://www.polygon.[...] Vox Media 2018-04-27
[8] 뉴스 Musica, il tormentone russo del momento ora anche in lingua italiana https://it.rbth.com/[...] Russia Beyond 2016-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