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차는 11세기부터 시작되어 러시아에서 발전해 온 별장 또는 시골 주택을 의미한다. 표트르 1세 시대에 시작되어, 스탈린 시대에 농민들이 자급자족을 위해 다차를 요구하면서 대중화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노동자들의 휴양 시설로 도시 근교에 정비되었고, 토지 용익권을 받은 시민들이 채원이나 오두막을 정비하며 식량 자급의 역할도 했다. 현대에는 교외 자연 보호, 무농약 식량 확보, 가드닝, 교외 주택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다차는 정부 고위 관리의 별장으로도 사용되며, 부유층의 호화로운 별장으로도 발전했다. 다차는 텃밭, 휴양, 여가, 고급 주택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도난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사회 - 우크라이나의 인구
우크라이나의 인구는 역사적 사건, 사회 변화, 경제적 요인 등으로 변동되어 왔으며, 특히 홀로도모르, 제2차 세계 대전, 독립 후 출산율 감소, 이민 증가, 그리고 러시아의 군사적 개입 등으로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 다차 |
|---|
2. 역사
다차는 러시아어로 '주어진 것'이라는 뜻으로, 1700년대 표트르 대제가 신하들에게 정원이 딸린 별장을 하사하면서 유래했다. 초기에는 귀족들의 사교 및 문화 모임 장소로 활용되었으나, 산업 혁명 이후 도시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를 벗어나 휴식을 취하려는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는 농업 집단화로 인해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급자족을 위해 "자류지"를 요구하면서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들에게 토지 제공이 장려되었고, 1960년대 흐루쇼프 정권은 한 가족당 최소 600소토크(m²)의 토지를 제공하도록 법제화했다.
소련 시대에는 노동자들의 휴양 시설로 도시 근교에 다수가 정비되었다. 국가나 기업 조합이 토지 용익권을 저렴하게 지급했고, 시민들은 서로 협력하여 채원과 오두막을 만들었다. 당시 토지는 국유였기 때문에 토지 용익권만 주어졌고, 세대주 1대에 한정되었으나 현재는 상속이 가능하다. 소련 시대에는 채원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시내에서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루어졌다. 소련 말기와 러시아 공화국 초기에는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급여 지연으로 인해 다차는 러시아 국민들에게 자급자족을 위한 식량 및 현금 수입 확보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및 기타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에서는 심각한 실업 문제 발생으로 텃밭은 많은 사람들을 기아에서 구제했으며, 과일과 열매는 비타민 결핍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최근에는 다차가 활발하게 매매되고 있으며, 전문 부동산 업자까지 등장했다.[2] 다차 소유자는 '다치닉'(러시아어: дачник)이라고 불린다.[2]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러시아에서 외출 금지령이 내려졌을 때도 다차로 가는 것은 허가되었다.[4]
2. 1. 기원
러시아에서 최초의 다차는 17세기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초기에는 차르가 충성스러운 가신들에게 하사한 시골의 작은 영지를 지칭했다.[7] 고대 러시아어에서 "다차"라는 단어는 "주다"라는 뜻의 동사 "дать" [dat']에서 파생된 "주어진 것"을 의미한다.[19] 계몽 시대 동안 러시아 귀족들은 다차를 사교 및 문화 모임에 사용했으며, 일반적으로 가면무도회와 불꽃놀이가 함께 열렸다. 산업 혁명의 도래는 러시아의 도시 인구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고, 부유한 도시 거주자들은 최소한 일시적으로라도 심하게 오염된 도시를 벗어나기를 점점 더 원했다.[7]19세기 말까지 다차는 러시아 사회의 상류층과 중산층에게 인기 있는 여름 휴양지가 되었다.[8] 차르 시대의 다차는 쾌적한 정원을 갖는 경향이 있었지만, 식량을 재배하는 데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9]
러시아어로 '다차'(Дача)는 '주다'라는 동사에 기원을 둔 명사로, '주어진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1700년대 표트르 1세(표트르 대제)가 정원 딸린 별장을 신하인 귀족들에게 하사한 데서 유래했다.
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 농업 집단화로 강제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류지"를 요구(요컨대 농민의 생산물을 모조리 징수하려 했던 스탈린 정권에 대해 농민들이 "자신들의 식량 자급"을 요구)하여 획득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
2. 2. 19세기: 대중화
러시아어로 '다차'(Дача)는 '주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명사로, '주어진 것'이라는 뜻을 지닌다. 이는 1700년대 표트르 대제가 정원이 딸린 별장을 신하인 귀족들에게 하사한 데서 유래했다. 현재와 같은 대중적인 다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고 종전 후 식량 부족 대책으로 시민들에게 토지를 제공하도록 주 정부나 국가에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났고, 1960년대 흐루쇼프 정권이 한 가족당 최소 600소토크(m²)의 토지를 제공하도록 법제화하면서 시작되었다.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 농업 집단화로 강제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류지"를 요구(농민들이 "자신들의 식량 자급"을 요구)하여 획득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2]
2. 3. 소련 시대
러시아 혁명 이후 대부분의 다차는 국유화되었다. 일부는 공장 노동자를 위한 휴가용 주택으로 개조되었고, 다른 주택들은 대개 더 좋은 품질로, 공산당의 주요 간부와 새롭게 등장한 문화 및 과학 엘리트들에게 분배되었다. 소수의 다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국가 소유로 남아 있었으며, 다차 거주자가 해고되거나 국가 통치자에게 미움을 받으면 사용 권한이 보통 박탈되었다. 새로운 다차를 짓는 것은 고위 관리의 허가를 필요로 했고, 소련 초기에는 거의 허가되지 않았다.[10] 최고위 소련 지도자들은 모두 자신만의 다차를 가지고 있었고, 이오시프 스탈린이 가장 좋아했던 다차는 압하스의 가그라에 있었다.[11] 1930년대에 새로운 다차가 대규모로 건설되기 시작했고, 예술가, 군인, 또는 다양한 계층의 당 간부들을 위한 다차 단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8]소련 시대에는 다차 주택에 대한 법적 크기 제한이 있었다. 거실 면적은 25m2를 넘을 수 없었고, 단층 건물이어야 했다.[12] 그런 이유로, 그들은 보통 만사르드 지붕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당국에 의해 2층이 아닌 큰 다락방이나 다락으로 간주되었다.[13] 종종 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실내 배관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차는 수백만 명의 노동자 계급 가족들이 자신만의 여름 휴양을 가질 수 있는 해결책이었다. 토지를 갖는 것은 또한 도시 거주자들이 자신만의 과일과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7][8]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수년간, 다차 부지에서 정원 작물의 재배는 상당했는데, 이는 신선한 농산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데 중앙 계획된 소련의 농업 프로그램의 실패 때문이었다. 많은 다차 소유자들이 시장에 작물을 재배했다. 그 이후로, 정원 작물 재배는 덜 중요해졌지만,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7][8] 많은 러시아 다차 소유자들은 여전히 정원 가꾸기를 ''다치니크'' 문화의 핵심 가치로 여긴다. 역사적인 식량 부족을 염두에 두고, 그들은 가게에서 사는 것보다 자신만의 음식을 재배하는 데 큰 자부심을 느낀다.[1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간에는 다차 개발이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다차 건설을 금지하는 실제 법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도시와 마을 근처의 사용하지 않는 토지를 불법 점유하여 정원을 가꾸고, 헛간, 오두막, 그리고 다차 역할을 하는 더 눈에 띄는 주택을 짓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법 점유자의 수가 증가했고 정부는 그들의 아마추어 농업에 대한 권리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15]
1955년 법은 소련 법률 시스템에 새로운 유형의 법인을 도입했는데, 이는 다른 국가의 ''공동체 정원''과 유사한 정원사 협동 조합(садоводческое товарищество|사도보드체스코에 토바리시체보ru)이었다. 정원사 협동 조합은 농업 목적으로만 토지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권리와 공공 전기 및 수도 공급망에 연결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15] 1958년에는 또 다른 형태의 조직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정부로부터 임대한 토지에 개인이 작은 집을 지을 권리를 인정한 ''다차 건설 협동 조합'' (дач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оператив|다치노-스트로이텔니이 코오페라티프ru)이었다.[7]
1930년대 스탈린 시대, 농업 집단화로 강제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류지"를 요구하여 획득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 (여기서 "자류지"는 농민들이 스탈린 정권에 맞서 자신들의 식량 자급을 요구한 것을 의미한다.)
소련 시대가 되면서 노동자들도 다차를 요구했고, 다차는 노동자의 휴양 시설로서 도시 근교에 다수 정비되었다. 다차의 토지 용익권은 국가나 기업 조합에서 희망자에게 저렴하게 지급되었고, 토지 용익권을 받은 시민들은 서로 협력하여 채원이나 오두막 등을 정비했다. 소련에서는 토지가 국유였기 때문에 토지 용익권만 주어졌고, 그 권리는 세대주 1대에 한정되었다. 현재는 상속도 인정되고 있다.
1980년대는 다차 붐의 정점을 보였으며, 도시 지역의 거의 모든 부유한 가족(3분의 1 이상)이 자신만의 다차를 소유하게 되었다.[16][17] 1980년대 후반부터 지어진 다차 주택은 이전 주택보다 훨씬 더 커졌는데, 이는 법적 크기 제한이 완화되었고, 새로운 다차 지역이 작은 토지에 비교적 큰 주택이 들어선 곳이 되었기 때문이다.[18] 다차 토지 구획 사이의 간선 도로는 일반적으로 개량되지 않거나 쇄석으로 개량되며, 좁아서(울타리 사이가 대개 약 6m) 두 대의 차가 겨우 지나갈 수 있다.
소련 시대에는 채원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시내에 가져가서 파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행해졌다. 경제가 현저하게 혼란했던 소련 말기나 러시아 공화국 초기에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급여 지급 지연으로 피폐해지고, 일상적인 식량 조달도 어려웠던 러시아 국민들에게, 다차는 자급자족을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식량과 현금 수입을 얻는(스스로 병조림 가공 등 저장 식품도 제조·보관했다) 마지막 장소이기도 했다. 지금은 교외의 자연 보호, 스스로 무농약의 안전한 식량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도 중요시되고 있다.
2. 4. 소련 붕괴 이후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및 기타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에서는 심각한 실업 문제가 발생했으며, 여전히 운영되는 공장과 연구소의 급여가 수개월 동안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시기에 텃밭에서 재배한 감자는 많은 사람들을 기아에서 구제했으며, 과일과 열매는 비타민 결핍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러시아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많은 시골집들이 다차(dacha)로 사용하기 위해 판매되고 있다. 많은 러시아 마을에는 현재 임시 거주자인 ''다치니키''(dachniki)가 살고 있다. 일부 마을은 완전히 다차 정착지로 변모했으며, 일부 오래된 다차 정착지는 더 영구적인 숙소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마을에서 다차를 구입하는 장점은 낮은 비용, 더 넓은 토지 면적, 집 사이의 더 넓은 거리 등이 있다. 단점으로는 낮은 품질의 유틸리티, 낮은 보안, 그리고 일반적으로 더 먼 이동 거리가 있을 수 있다.[1]
다차로 가는 사람들의 교통 수단은 자동차 외에도 "수상 트램", 버스, 그리고 엘렉트리치카라고 구어적으로 불리는 전철이 있다. 특히 여름철 주말에는 많은 사람들이 다차로 이동하기 때문에 대도시 주변에서 교통 체증이 발생하고, 엘렉트리치카와 버스는 만석이 된다.[1]
최근에는 다차가 활발하게 매매되기 시작했으며, 전문 부동산 업자까지 등장했다.[2] 다차 소유자는 '다치닉'(러시아어: дачник)이라고 불린다.[2]
2020년에 유행한 코로나19로 인해 러시아에서는 외출 금지령이 내려졌지만, 다차로 가는 것은 불필요하고 급하지 않은 이동으로 간주되지 않아 공식적으로 허가되었다.[4]
3. 다차의 형태와 기능
다차는 러시아어로 '주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단어로, 1700년대 표트르 대제가 귀족들에게 정원이 딸린 별장을 하사한 것에서 기원한다. 현대적인 다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들에게 토지를 제공하면서 시작되었고, 1960년대 흐루쇼프 정권 때 법제화되었다.
초기 다차는 단순한 창고 형태였지만, 점차 발전하여 전기, 가스, 수도 시설을 갖춘 현대적인 주거 형태로 변화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근교에는 다차 전용 철도까지 있을 정도다. 다차 건물 또한 고급화되어 사우나, 수영장 등을 갖춘 곳도 있다. 다차 소유자는 '다치닉'이라고 불린다.
소련 붕괴 이후 다차는 매매가 활발해졌고, 전문 부동산 업자도 등장했다.
소련 시대에는 노동자들의 휴양 시설로 도시 근교에 많은 다차가 조성되었다. 국가나 기업 조합에서 저렴하게 토지 용익권을 제공했고, 시민들은 협력하여 채소밭과 오두막을 정비했다. 소련에서는 토지가 국유였기 때문에 토지 용익권만 주어졌고, 그 권리는 한 세대에 한정되었지만, 현재는 상속도 가능하다.[3]
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는 농업 집단화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류지"를 요구하여 획득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2]
소련 시대에는 채소밭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도시에서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루어졌다.[4] 경제가 혼란했던 소련 말기와 러시아 공화국 초기에는 다차가 국민들에게 식량과 현금 수입을 얻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했다.[4] 최근에는 다차를 통해 교외의 자연 보호를 하거나, 스스로 무농약의 안전한 식량을 확보하기도 한다.[4]
3. 1. 텃밭
다차 부지는 일반적으로 면적이 600sqm을 넘지 않으며, 어떤 경우에는 1200sqm을 넘기도 하지만, 거의 0.96ha을 초과하지 않는다.[7] 따라서 많은 양의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기에는 너무 작아, 때로는 근처에 있는 별도의 전용 부지에서도 재배된다. 소비에트 시대와 현재에도 이러한 전용 부지는 종종 집단 농장이 소유한 농지 중 사용되지 않는 구획으로 만들어졌다. 많은 작은 다차 부지, 특히 최근에 구입한 부지는 대규모 과일 및 채소 농업에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원예와 이국적인 식물 심기에 자주 사용된다.관습과 좋은 장비의 높은 비용 때문에, 비교적 넓은 토지도 종종 삽이나 쇠스랑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경작된다.[2][22] 가을에는 재배한 감자 및 기타 작물을 수확하여 도시로 운반하여 지하실, 토굴(보통 사용하지 않는 부지에 위치) 또는 개인 자동차 차고에 보관한다.
많은 러시아인들은 슈퍼마켓과 식료품점에서 판매되는 채소에 과도한 농약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과 상점과 바자르에서 채소의 더 높은 가격, 특히 노년층 사이에서 자신들이 직접 채소를 재배하는 것을 선호한다.[14] 또한, 직접 식량을 재배하는 것은 부유한 러시아인들도 실천하는 오래된 러시아 전통이다. 이는 땅과의 연결, 자급자족, 그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자본주의 경제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찾는 것으로 여겨진다.[14]
도시 러시아인의 상당수가 다차 정원에서 채소를 재배하지만, 도시 러시아인들이 점점 더 자급자족하게 된다는 사회 일각의 인식은 신화이며, 도시 거주자가 재배하는 채소는 약 15%에 불과하다.[22]
러시아의 서늘한 온대 지역에서 가장 흔한 다차 과일은 사과, 검은 건포도, 붉은 건포도, 구즈베리, 라즈베리, 딸기이며 (때로는 버찌, 털개벚나무, 로즈힙, 자두, 벚나무, 배, 비타민나무, ''Actinidia kolomikta'', 블랙 초크베리, 아로니아, 매자나무, 인동덩굴, 블랙베리 및 포도도 있지만, 이 중 많은 과일이 희귀하거나 내한성이 충분하지 않아 겨울철 보호가 필요하다). 인기 있는 채소와 허브는 감자, 오이, 주키니, 호박, 토마토, 당근, 피망, 사탕무, 양배추, 콜리플라워, 무, 순무, 양파, 마늘, 딜, 파슬리, 루바브, 소렐, 양귀비, 예루살렘 아티초크, 고추냉이 등이다.
3. 2. 휴양과 여가
러시아어로 '다차'(Дача)는 '주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명사로, '주어진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1700년대 표트르 대제가 정원이 딸린 별장을 신하인 귀족들에게 하사하면서 다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대와 같은 대중적인 다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고 종전 후 식량 부족 대책으로 시민들에게 토지를 제공하도록 주 정부나 국가에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나면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 흐루쇼프 정권은 한 가족당 최소 600소토크(제곱미터)의 토지를 제공하도록 법제화하였다.처음에는 창고 정도의 시설이 많았지만, 최근의 다차는 인프라가 잘 갖춰져 전기, 가스, 수도, 포장도로까지 완비된 곳도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교외에는 다차행 전용 철도까지 있을 정도다. 다차의 가옥도 점차 호화로워져 사우나나 수영장, 본격적인 주방, 어린이용 집까지 갖춘 곳도 있다. 평소에는 인근 도시(차로 30분 - 1시간 정도)에 거주하며 주말에만 이용하는 주인이 많다. 특히 여름 동안 활발하게 이용되며, 여름 휴가 기간에 가족과 함께 장기간 다차에서 지내는 경우도 많다.
소련 붕괴 후, 최근에는 다차가 활발하게 매매되기 시작했으며, 전문 부동산 업자까지 등장했다. 다차 소유자는 '다치닉'(러시아어: дачник)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소유자는 이 근처에서 채소밭(러시아어: огород, 개인 소유 채소밭, 국유는 러시아어: поле)을 가꾸거나 가축을 기르기도 한다.
소련 시대에는 노동자들이 농민을 따라 다차를 요구했고, 다차는 노동자의 휴양 시설로서 도시 근교에 다수 정비되었다. 다차의 토지 용익권은 국가나 기업 조합에서 희망자에게 저렴하게 지급되었고, 토지 용익권을 받은 시민들은 서로 협력하여 채원이나 오두막 등을 정비했다.[3] 소련에서는 토지가 국유였기 때문에 토지 용익권만 주어졌고, 그 권리는 세대주 1대에 한정되었다. 현재는 상속도 인정되고 있다.[3]
1930년대 스탈린 시대, 농업 집단화로 강제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자류지"를 요구하여 획득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적인 다차의 발단이 되었다.[2]
소련 시대에는 채원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시내에 가져가서 파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행해졌다.[4] 경제가 혼란했던 소련 말기나 러시아 공화국 초기,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급여 지연으로 피폐해진 러시아 국민들에게 다차는 자활(자급자족)이라는 최후의 수단으로 식량과 현금 수입을 얻는 마지막 장소이기도 했다.[4] 지금은 교외의 자연 보호, 스스로 무농약의 안전한 식량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도 중요시되고 있다.[4] 최근에는 젊은 사람들이 채소가 아닌 꽃을 재배하고, 가드닝을 즐기거나, 연금 생활자들이 도심을 떠나 자연이 풍부한 교외 주택으로 이용하거나, 민박을 지어 영업하는 등 다양한 이용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4]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러시아에서 외출 금지령이 내려졌을 때, 다차로 가는 것은 불필요하고 급하지 않은 이동으로 간주되지 않아 공식적으로 허가되었다.[5]
3. 3. 고급 주택 및 레저 시설
현대 러시아에서 러시아 연방 재산 관리청은 정부 관계자에게 종종 비시장 조건으로 임대되는 전국에 걸쳐 수많은 저택을 소유하고 있다. 러시아 대통령은 노보-오가료보와 자비도보에 공식 다차 레지던스를 가지고 있다. 코마로보와 페레델키노, 주코프카, 바르비하, 우소보, 그리고 모스크바의 루블료프카에 있는 고스다차에는 많은 소련 시대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거주하고 있다.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오제로라는 협동조합의 일환으로 카렐리야 지협에 다차를 가지고 있으며,[24] 소치에도 다차를 가지고 있다.[25]
현대에 들어와 러시아 사회의 새로운 계층('신 러시아인')의 부상은 다차 개념에 새로운 차원을 더했다. (일부 부유한 러시아인들은 별장(cottag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26]
건축 비용이 종종 수백만 미국 달러에 달하는 경우가 많아, 이 나라 엘리트들의 다차는 소비에트 시대의 작은 다차와 전혀 닮지 않았다. 저택과 궁전에 비견될 만한 크기와 장식을 갖춘 이들은 사회적 지위, 부, 권력을 과시하는 정교한 수단이 되었다.[8][27][28] 엘리트들의 다차는 대부분 벽돌과 콘크리트로 지어지는 반면, 중산층의 다차는 대부분 나무로 지어진다.[7][29]
이러한 새로운 번영의 상징들은 전문 건축가에 의해 설계되며, 대개 절충주의 양식으로 지어진다. 이 양식은 이전 시대의 '다치니크'들이 소유주들의 신흥 부자 취향을 반영한다며 멸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대리석 조각상, 분수, 이국적인 식물과 같은 과시적인 품목을 특징으로 한다.[26][29][30] 일부 다차는 실내 수영장, 여러 테니스 코트, 경주마를 위한 마구간과 같은 최첨단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몇몇 사유지에는 작은 숲과 호수까지 있다.
부유한 러시아인들은 또한 귀족 시대의 차르 시대 다차와 예술가 및 지식인들의 소비에트 시대 다차를 많이 사들였다.[31]
3. 4. 영구 거주
러시아어로 '다차'(Дача)는 '주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명사로, '주어진 것'이라는 뜻을 지닌다. 이는 1700년대 표트르 대제가 정원이 딸린 별장을 신하인 귀족들에게 하사한 것에서 유래했다. 현재와 같은 대중적인 다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고 종전 후 식량 부족 대책으로 시민들에게 토지를 제공하도록 주 정부나 국가에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났고, 1960년대 흐루쇼프 정권이 한 가족당 최소 600소토크(제곱미터)의 토지를 제공하도록 법제화하면서 시작되었다.소련 시대에는 노동자들이 농민을 따라 다차를 요구했고, 다차는 노동자의 휴양 시설로서 도시 근교에 다수 정비되었다.[3] 다차의 토지 용익권은 국가나 기업 조합에서 희망자에게 저렴하게 지급되었고, 토지 용익권을 받은 시민들은 서로 협력하여 채원이나 오두막 등을 정비했다.[3] 소련에서는 토지가 국유였기 때문에 토지 용익권만 주어졌고, 그 권리는 세대주 1대에 한정되었으나, 현재는 상속도 인정되고 있다.[3]
소련 시대에는 채원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시내에 가져가서 파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행해졌다.[4] 경제가 현저하게 혼란했던 소련 말기나 러시아 공화국 초기에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급여 지급 지연으로 피폐해지고, 일상적인 식량 조달도 어려웠던 러시아 국민들에게, 자활(자급자족)은 최후의 수단으로 식량, 현금 수입을 얻는(스스로 병조림 가공 등 저장 식품도 제조·보관했다) 마지막 장소이기도 했다.[4] 지금은 교외의 자연 보호, 스스로 무농약의 안전한 식량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도 중요시되고 있다.[4]
4. 다차와 관련된 문제점
다차에서는 도난 사건이 자주 발생한다. 보통 다차에는 감시 시설이 없거나, 있어도 전체 부지를 관리하는 경비원 한 명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절도를 막기 위해 다차 소유주들은 여름이 끝나면 귀중품을 모두 도시의 아파트로 가져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접시, 도구, 의류 등이 도난당한다.[32][33] 노숙인과 범죄자들은 소유주가 없는 가을과 겨울에 종종 다차를 사용한다.[32][33] 때때로 미성년자들이 재미 삼아 감시가 없는 다차에 불을 지르기도 한다.
도둑들은 금, 구리, 은과 같은 비철금속을 훔칠 목적으로 다차에 침입하기도 한다. 2000년에는 자유민주당의 지도자 이고리 레베데프에게도 이런 일이 발생했다. 모스크바 시 경찰은 비철금속 수집가들이 모스크바 지역의 큰 문제이며, 그들이 여러 인접 지역에서 온다고 주장한다.[34]
마약 남용이 증가함에 따라 양귀비가 다차에서 더 자주 도난당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양귀비 2그루 이상을 재배하는 것은 범죄로 간주된다.[35] 2008년에는 정체불명의 남성들이 안나 아흐마토바의 다차를 포함한 10채의 다차를 털었고,[36] 2002년에는 미국 시민 야코프 틸리프만이 총에 맞았으며,[37][38][39] 2008년에는 강도들이 TV 진행자 알렉산드르 체칼로의 다차에 침입하여 금품을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했다.[40]
4. 1. 도난 및 범죄
다차에서는 도난 사건이 자주 발생한다. 보통 다차에는 감시 시설이 없거나, 있어도 전체 부지를 관리하는 경비원 한 명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절도를 막기 위해 다차 소유주들은 여름이 끝나면 귀중품을 모두 도시의 아파트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접시, 도구, 의류 등이 도난당한다.[32][33] 노숙인과 범죄자들은 소유주가 없는 가을과 겨울에 종종 다차를 사용한다.[32][33] 때때로 미성년자들은 재미 삼아 감시가 없는 다차에 불을 지르기도 한다.도둑들은 금, 구리, 은과 같은 비철금속을 훔칠 목적으로 다차에 침입하기도 한다. 2000년에는 자유민주당의 지도자 이고리 레베데프에게도 이런 일이 발생했다. 두 남자가 오딘초보 지구에 있는 그의 다차에 침입했고, 이후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모스크바 시 경찰은 비철금속 수집가들이 모스크바 지역의 큰 문제이며, 그들이 여러 인접 지역에서 온다고 주장한다.[34]
마약 남용이 증가함에 따라 양귀비가 다차에서 더 자주 도난당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양귀비 2그루 이상을 재배하는 것은 범죄로 간주된다.[35]
2008년에는, 정체불명의 남성들이 안나 아흐마토바로 알려진 유명 러시아 시인의 "젤료나야 부드카"(Зелёная Будка|젤료나야 부드카ru)를 포함한 10채의 다차를 털었다. 이 다차는 코마로보의 리트폰다 정착지에 있었다.[36]
2002년에는 "크렘료프스카야 그룹"의 이익을 대변하는 미국 시민 야코프 틸리프만이 모스크바 크라스노고르스크 지역의 오팔리하에 있는 보호 정원 협회 "야고드카"(Ягодка|야고드카ru)에서 총에 맞았다.[37][38][39] 2008년에는 위장복을 입은 강도들이 울타리를 넘어 TV 진행자 알렉산드르 체칼로의 다차에 침입하여 그의 친척들을 묶고 금품을 훔쳐갔다. 이 사건은 크라스노고르스크에서 발생했다.[40]
참조
[1]
웹사이트
Этимология слова дача
https://lexicography[...]
2020-04-18
[2]
간행물
Summer Dachas: Country Life
http://www.passportm[...]
2010-05
[3]
간행물
Russian Summer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2-06
[4]
간행물
The Russian Dacha phenomenon
[5]
서적
Pop Culture Russia!: Media, Arts, and Lifestyl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1-25
[6]
웹사이트
Опрос: более 60% россиян выезжают летом на дачу
https://ria.ru/20190[...]
2019-08-05
[7]
서적
Summerfolk: A History of the Dacha, 1710-200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11-25
[8]
서적
Pop Culture Russia!: Media, Arts, and Lifestyl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1-25
[9]
서적
Dacha Idylls: Living Organically in Russia's Countrys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간행물
The Making of the Stalin-Era Dacha
[11]
뉴스
Abkhazia: where Stalin's ghost holds sway
http://www.thefirstp[...]
[12]
서적
The Shadow of War: Russia and the USSR, 1941 to the present
John Wiley & Sons
2011
[13]
서적
The 'Unmaking' of Soviet Life: Everyday Economies After Socialism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Contesting Capitalism at the Post-Soviet Dacha: The Meaning of Food Cultivation for Urban Russians
[15]
백과사전
http://agricultural_[...]
Sovetskaya Entsiklopediya
2014-09-30
[16]
서적
Encyclopaedia of Contemporary Russi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10
[17]
간행물
The Good Old Days
http://www.lrb.co.uk[...]
2014-09-30
[18]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Russian Dachas
http://lidenz.ru/rus[...]
Liden & Denz Intercultural Institute of Languages
2014-09-30
[19]
서적
Brockhaus Enzyklopädie
F. A. Brockhaus
[20]
뉴스
2010-10-02
[21]
서적
Auf der Datscha: Eine kleine Kulturgeschichte und ein Lesebuch
Dörlemann Verlag
[22]
서적
Making Ends Meet in Contemporary Russia: Secondary Employment, Subsidiary Agriculture and Social Networks
http://www.warwick.a[...]
Edward Elgar
2008-05-20
[23]
웹사이트
The Presidential Residences: Novo-Ogaryovo
http://www.kremlin.r[...]
President of Russia
[24]
간행물
How the 1980s Explains Vladimir Putin
https://www.theatlan[...]
2017-03-06
[25]
뉴스
David Cameron to hold Syria talks with Russia's Vladimir Putin at his summer residence in Sochi
2013-05-08
[26]
뉴스
The Russian summer house: Country life
http://www.economist[...]
2014-09-30
[27]
뉴스
Russian dacha craze risks environmental carnage
http://www.russialis[...]
Johnson's Russia List
2014-09-30
[28]
뉴스
Russia's dacha building boom shows rich-poor gulf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7-05
[29]
뉴스
A Cottage Industry of Wealth
https://www.latimes.[...]
2014-09-30
[30]
서적
The New Nobility: The Restoration of Russia's Security State and the Enduring Legacy of the KGB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31]
뉴스
Dachas Offer Bucolic Charms, and Elite Modern Comforts
http://www.sptimes.r[...]
2014-09-30
[32]
뉴스
Политические перетасовки - Призыв
http://www.prizyv.ru[...]
2018-03-08
[33]
웹사이트
Сахалинский чиновник, на которого напал голодный бомж, умер от ран
http://newsru.com/ru[...]
"[[NEWSru]]"
2010-08-13
[34]
웹사이트
Задержанные на даче лидера фракции ЛДПР в Госдуме оказались ворами
http://www.newsru.co[...]
"[[NEWSru]]"
2010-08-13
[35]
웹사이트
МС > № 20 (7351) от 15 мая 2008 года
http://www.mskomi.ru[...]
2023-12-17
[36]
웹사이트
Дачу Ахматовой, ограбленную в Комарово, некому охранять
https://gazeta.spb.r[...]
gazeta.spb.ru
2008-01-31
[37]
웹사이트
The Search Engine that Does at InfoWeb.net
http://www.nrs.com/n[...]
[38]
웹사이트
Водочный король погиб на подмосковной даче
http://www.kommersan[...]
Коммерсантъ № 141 (2510)
2002-08-10
[39]
웹사이트
КИЛЛЕРЫ ПРИШЛИ К ВОДОЧНОМУ КОРОЛЮ ИЗ ЛЕСА - Бизнес и криминал - Деловая пресса. Электронные газеты
http://www.businessp[...]
businesspress.ru
[40]
뉴스
НОВОСТИ LIFE | NEWS — Первый по срочным новостям
http://life.ru/news/[...]
2009-05-25
[41]
문서
wikt:en:хата#Russianも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