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닌 (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닌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AAS)을 활성화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레닌은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키고, 안지오텐신 I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II로 전환되어 혈관 수축, 알도스테론 분비 촉진, 갈증 유발 등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킨다. 레닌의 분비는 신 혈류량 감소, 나트륨 부하 감소, 교감 신경계 활성화에 의해 자극받으며, 고혈압 치료를 위해 레닌 억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레닌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는 드물게 유전성 신장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레닌은 1898년 로버트 티게르스테트와 페르 베리만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혈장 레닌 활성도(PRA)를 통해 측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생리학 -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 산물로,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혈액 및 소변 내 농도 지표이다.
  • 신장생리학 - 사구체 여과율
    사구체 여과율은 신장의 사구체 모세혈관에서 보우만낭으로 단위 시간당 여과되는 체액의 양으로, 신장 기능 평가 및 만성 신장 질환 단계 분류에 중요한 지표이다.
  • EC 3.4.23 - 레닛
    레닛은 치즈 제조에 필수적인 우유 응고 효소로, 전통적인 동물성 외에 식물, 곰팡이, 미생물 등 다양한 공급원의 대체 레닛이 개발되어 사용되며 윤리적, 종교적 요구사항이 레닛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 EC 3.4.23 - 펩신
    펩신은 테오도어 슈반이 발견한 최초의 효소 중 하나로, 위 주세포에서 펩시노젠 형태로 생성되어 위산에 의해 활성화되어 단백질을 분해하며, 산성 환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고 펩스타틴에 의해 억제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된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ANP)는 심방에서 생성되는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혈압 조절 및 체액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트륨 배설 촉진,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혈관 이완 등의 효과를 나타내 심혈관 질환의 바이오마커 및 급성 심부전 치료제로 활용된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갑상샘자극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을 자극하여 티록신과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생산 및 분비를 촉진하는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갑상선 기능 이상 진단 및 치료 지표로 활용되며 갑상선 호르몬의 음성 피드백에 의해 분비가 억제된다.
레닌 (효소)
효소 정보
명칭레닌
EC 번호3.4.23.15
CAS 등록번호9015-94-5
GO 코드0004195
일반 정보
다른 명칭안지오텐시노겐 전환 효소
기능아스파르트산 분해효소 단백질 및 효소
역할레닌-안지오텐신계 조절
관련 질병고혈압
추가 정보
참고 문헌Nguyen G, Clin Sci (Lond) 120(5): 169–178, 2011

2. 생화학 및 생리학

레닌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일종으로,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시스템은 주로 혈압과 체액의 균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한다.[2] 레닌은 신장에서 분비되어 혈액 속의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키며, 이는 연쇄적인 생화학 반응을 통해 혈압 상승과 나트륨 재흡수 촉진 등을 유발한다.

2. 1. 구조

레닌 전구체의 1차 구조는 각각 20개와 4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전(pre)- 및 프로(pro)-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40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성숙 레닌은 34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37 kDa의 질량을 갖는다.[2]

2. 2. 분비

효소 레닌은 수입 소동맥 및 신장의 유사한 미세 혈관 주변의 혈관주위세포와 사구체 옆 장치의 특수 세포인 사구체 옆 세포에서 분비된다.

레닌 분비는 다음 세 가지 자극에 의해 조절된다.

  • 압력 수용체(압력 감지 세포)가 감지하는 동맥 혈압 감소. 이는 혈액량 감소와 관련될 수 있으며, 혈압과 레닌 분비 사이의 가장 직접적인 인과 관계이다.
  • 원위 세뇨관으로 전달되는 나트륨 부하 감소. 이 부하는 사구체 옆 장치의 치밀반에 의해 측정된다.
  • 교감 신경계 활동. 이는 혈압 조절에도 관여하며, β1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사람 레닌은 최소 두 가지 세포 경로를 통해 분비된다. 하나는 전구체인 프로레닌을 분비하는 구성적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성숙한 레닌을 분비하는 조절된 경로이다.

3.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RAAS)

레닌-안지오텐신계(RAAS)는 혈압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호르몬 시스템이다.[4] 이 시스템은 신장의 사구체곁 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인 레닌으로부터 시작된다. 레닌은 혈류를 순환하며 에서 만들어진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이라는 펩타이드로 전환시킨다.

생성된 안지오텐신 I은 주로 폐의 혈관 내피에 있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다시 안지오텐신 II로 변환된다.[5][6] 안지오텐신 II는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신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늘려 혈액량과 혈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RAAS는 신장 혈류량 감소 등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알도스테론 등에 의한 음성 피드백 기전을 통해 조절된다. 이 시스템은 생물이 해양 환경에서 육상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겪게 되는 염분과 수분 손실에 대응하여 순환 혈류량을 유지하기 위해 진화한 중요한 생리적 기전으로 이해된다.

성인 혈장에서 레닌의 정상 농도는 서 있을 때(직립 시) 1.98–24.6 ng/L 수준이다.[7]

3. 1. 작동 기전

200px


레닌 효소는 혈류를 순환하며 에서 분비된 안지오텐시노겐을 펩타이드 안지오텐신 I으로 가수분해한다.

안지오텐신 I은 폐의 내피에 결합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더 분해되어, 가장 강력한 혈관 활성 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II가 된다.[5][6] 안지오텐신 II는 모든 혈관을 강력하게 수축시키는 물질이다. 이는 평활근에 작용하여 동맥심장에 가하는 저항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심박출량에서 혈압이 상승한다. 또한 안지오텐신 II는 부신에 작용하여 알도스테론 방출을 촉진한다. 알도스테론은 신장의 원위 세뇨관과 집합관의 상피 세포를 자극하여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칼륨과 교환하여 전기화학적 중립성을 유지하며,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상승시킨다. 레닌-안지오텐신계(RAS)는 중추 신경계(CNS)에도 작용하여 갈증을 유발해 물 섭취를 늘리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바소프레신 분비를 촉진하여 소변 손실을 줄임으로써 혈액량을 보존한다.

신장의 사구체곁 세포는 신장 혈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혈류량이 감소하면 레닌 분비를 촉진하고 증가하면 억제한다. 레닌에 의해 활성화된 안지오텐신 I은 그 자체로도 혈관 수축 작용을 가지지만, 더 강력한 작용을 하는 안지오텐신 II로 변환된다. 안지오텐신 II는 혈압 상승 작용 외에도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신장에서의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삼투압을 높여 요량을 감소시켜 혈액량 감소를 억제한다. 이 전체 과정을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RAA)계라고 한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는 생물이 해양 환경에서 육상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나트륨 손실과 그로 인한 순환 혈류량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진화한 기전으로 여겨진다.

이 시스템은 알도스테론에 의해 음성 피드백 조절을 받는다. 따라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과 같이 알도스테론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레닌 활성은 저하된다. 레닌 분비는 전신 혈류량이 아닌 신장 혈류량에 의해 주로 결정되므로, 신동맥 협착 등으로 신장 혈류량이 감소하면 레닌 분비가 증가하여 신혈관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는 염분과 수분 손실로 신장 혈류량이 감소했을 때 순환 혈류량을 확보하기 위한 긴급 시스템이므로, 염분 섭취가 과다한 현대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레닌 분비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염분 과다 상황에서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와 같은 혈압 강하제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 치료에서는 여전히 염분 제한이 중요하며, 칼슘 통로 차단제이뇨제 등을 병용하는 치료법이 널리 사용된다.

성인 혈장에서 레닌의 정상 농도는 서 있을 때(직립 시) 1.98–24.6 ng/L이다.[7]

3. 2. 음성 피드백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계)는 알도스테론에 의해 음성 피드백 조절을 받는다. 즉, 알도스테론의 분비가 증가하면 레닌 활성은 저하된다. 예를 들어, 원발성 알도스테론증과 같이 알도스테론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상태에서는 레닌 활성이 낮게 나타난다.

레닌 분비량은 전신의 혈류량이 아닌 신장의 혈류량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신동맥의 문제로 신장 혈류량만 감소하는 경우, 전신 혈압이 정상이거나 높더라도 레닌 분비가 촉진되어 신혈관성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는 본래 염분과 수분 손실로 신장 혈류량이 감소했을 때 순환 혈류량을 확보하기 위해 진화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현대인과 같이 염분 섭취가 과다한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레닌 분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염분 섭취가 많은 고혈압 환자에게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의 혈압 강하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 고혈압 치료에서는 염분 제한이 중요하게 강조되며, 칼슘 길항제이뇨제 등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 요법이 널리 쓰인다.

3. 3. 진화적 관점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는 생물이 바다에서 육지로 생활 환경을 옮기면서 겪게 되는 나트륨과 수분 손실을 보상하고, 순환 혈류량을 유지하기 위해 진화한 중요한 생리 조절 시스템이다.

신장의 사구체곁 세포는 신장으로 들어오는 혈류량 변화를 감지한다. 혈류량이 감소하면 레닌 분비를 촉진하고, 증가하면 억제한다. 레닌은 간에서 생성된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킨다. 안지오텐신 I 자체도 약한 혈관 수축 작용을 하지만, 주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더욱 강력한 혈관 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II로 전환된다. 안지오텐신 II는 직접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동시에, 부신 피질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한다.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늘려 체액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일련의 과정을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라고 부른다.

RAAS는 알도스테론에 의해 음성 피드백 조절을 받는다. 따라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과 같이 알도스테론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상태에서는 레닌 활성이 억제된다. 레닌 분비는 전신 혈류량보다는 신장 자체의 혈류량에 직접적으로 반응한다. 이 때문에 신동맥 협착 등으로 신장 혈류량이 국소적으로 감소하면, 실제 전신 혈압이 높더라도 레닌 분비가 촉진되어 신혈관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RAAS는 본래 염분과 수분 손실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혈류량을 확보하도록 진화했지만, 염분 섭취가 과도한 현대인의 생활 환경에서는 오히려 레닌 분비가 만성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다. 염분 섭취가 많은 상태에서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와 같은 RAAS 차단 약물의 혈압 강하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 치료에는 여전히 염분 섭취 제한이 중요하며, 필요에 따라 칼슘 길항제이뇨제 등을 병용하는 치료법이 널리 사용된다.

4. 기능

레닌은 엔도펩티다제 활성을 이용하여 에서 만들어진 안지오텐시노겐의 류신과 발린 잔기 사이의 펩타이드 결합을 절단하여 안지오텐신 I을 생성한다. 이 과정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시작점이다.[8] 생성된 안지오텐신 I은 주로 폐의 모세혈관 내에 존재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II로 추가 전환된다. 안지오텐신 II는 여러 작용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킨다. 즉, 혈관을 수축시키고, 항이뇨 호르몬(ADH) 및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의 시상 하부를 자극하여 갈증 반사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레닌의 주요 기능은 궁극적으로 혈압을 상승시켜 신장의 관류 압력(신장으로 혈액이 공급되는 압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레닌은 신장 사구체 근처의 세포(사구체 근접 세포)에서 분비된다. 이 세포들은 혈관벽의 신장 수용체를 통해 신장 관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또한, 사구체 근접 세포는 황반 밀도로부터 오는 신호에 의해서도 레닌을 방출하도록 자극받는다. 황반 밀도는 원위 세뇨관으로 들어가는 나트륨 양의 변화를 감지하며, 세뇨관 내 나트륨 양이 감소하면 이에 반응하여 사구체 근접 세포에서 레닌 방출을 자극한다. 황반 밀도와 사구체 근접 세포는 함께 사구체 근접 복합체를 구성한다.

레닌 분비는 교감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서도 촉진되는데, 이는 주로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1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9]

레닌과 그 전구체인 프로레닌이 결합하는 (프로)레닌 수용체는 ATP6ap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 수용체는 레닌이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하는 효율을 4배 증가시킨다. 또한, 프로레닌이 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프로레닌의 구조가 변하여 안지오텐시노겐 기질에 작용할 수 있게 되는 비가수분해적 활성화가 일어난다. 레닌과 프로레닌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ATP6AP2 단백질의 세린 및 티로신 잔기에 인산화가 일어난다.[10]

레닌 mRNA의 수준은 HADHB, HuR, CP1과 같은 단백질들이 레닌 mRNA의 3' 비번역 영역에 위치한 레닌 안정성 조절 요소(REN-SRE)에 결합함으로써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11]

5. 유전학

레닌(''REN'') 유전자는 12kb의 DNA에 걸쳐 있으며 8개의 인트론을 포함한다.[12] 이 유전자는 다양한 ''REN'' 이성질체를 암호화하는 여러 mRNA를 생성한다.

5. 1. 유전 질환

레닌(REN) 유전자는 12kb의 DNA에 걸쳐 있으며 8개의 인트론을 포함한다.[12] 이 유전자는 다양한 REN 이성질체를 암호화하는 여러 mRNA를 생성한다.

''REN''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유전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드문 유전성 신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현재까지 이 질환은 단 2가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이 질환은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며,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은 50%이다. 병은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신장 질환으로, 결국 신장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이 질환을 가진 많은 환자들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혈청 칼륨 수치가 높아지거나 설명하기 어려운 빈혈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모든 환자가 그런 것은 아니다. ''REN''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은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속도가 저마다 달라서, 어떤 사람은 40대에 투석을 시작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70대가 되어서야 투석을 받기도 한다. 이 질환은 전체 신장 질환 환자 중 1% 미만에서만 나타나는 매우 희귀한 유전성 신장 질환이다.[13]

6. 임상적 응용

레닌은 임상적으로 고혈압의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 그리고 특정 신장암의 감별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도하게 활성화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은 고혈압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며, 이를 조절하기 위한 약물 개발로 이어졌다.[14][15] 대표적으로 레닌 억제제가 있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다른 기전의 약물들이 더 널리 사용된다. 또한, 일부 신장 관련 종양은 레닌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생성할 수 있어, 고혈압 환자의 진단 과정에서 고려 대상이 된다.[16] 레닌 수치 측정은 이러한 질환들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활용된다.

6. 1. 레닌 억제제

과도하게 활성화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몸 안에 나트륨과 물이 쌓이게 만든다. 이러한 영향은 고혈압을 유발한다. 따라서, 레닌 억제제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14][15] 이는 혈장 레닌 활성도(PRA)를 측정하여 확인한다.

현재 의료 현장에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의 과활성(및 그로 인한 고혈압)을 치료할 때, 직접적인 경구 레닌 억제제보다는 ACE 억제제(예: 라미프릴, 페린도프릴)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예: 로사르탄, 이르베사르탄, 칸데사르탄)를 더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ACE 억제제나 ARB는 심장 마비 후 표준 치료의 일부이기도 하다.

고혈압이 있는 젊은 환자의 경우, 신장암의 감별 진단 과정에서 사구체 옆 세포 종양(레니노마), 윌름스 종양, 신세포 암종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 종양은 모두 레닌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16]

6. 2. 측정

레닌은 일반적으로 혈장 레닌 활성(PRA)으로 측정된다. PRA는 고혈압 또는 저혈압을 나타내는 특정 질환의 경우에 특별히 측정된다. PRA는 또한 특정 종양에서도 증가한다.[17] PRA 측정은 ''PAC/PRA 비율''로 혈장 알도스테론 농도(PAC)와 비교될 수 있다.

6. 3. 감별 진단

고혈압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신장암의 감별 진단에는 사구체 옆 세포 종양(레니노마), 윌름스 종양, 신세포 암종이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레닌을 생성할 수 있다.[16]

7. 역사

레닌(renin)의 이름은 "신장"을 뜻하는 라틴어 ''ren''에 "화합물"을 의미하는 접미사 ''-in''을 붙여 만들어졌다. 레닌은 1898년, 스톡홀름에 있는 카롤린스카 연구소생리학 교수인 로버트 티게르스테트와 그의 제자인 페르 베리만에 의해 발견되고 그 특성이 밝혀졌으며 명명되었다.[18][19] 이후 1983년에는 쓰쿠바 대학의 무라카미 가즈오 교수가 '사람 레닌'의 유전자 해독에 성공했다.

참조

[1] 논문 Renin, (pro)renin and receptor: an update 2011-03
[2] 논문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cDNA for human renin precursor 1983-12
[3] 논문 Different secretory pathways of renin from mouse cells transfected with the human renin gene http://www.jbc.org/c[...] 1988-03
[4] 서적 Medical physiology: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 Elsevier Saunders
[5] 논문 Decreased susceptibility to renovascular hypertension in mice lacking the prostaglandin I2 receptor IP 2004-09
[6] 서적 Brenner & Rector's The Kidney http://home.mdconsul[...] Saunders
[7] 웹사이트 Laboratory Reference Centre Manual http://lrc.stjoes.ca[...] Hamilton Regional Laboratory Medicine Program
[8] 논문 Link between the renin-angiotensin system and insulin resistance: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disease 2012-10
[9] 논문 The role of beta-1-adrenoceptors in the renin release response to graded renal sympathetic nerve stimulation 1980-09
[10] 논문 Pivotal role of the renin/prorenin receptor in angiotensin II production and cellular responses to renin 2002-06
[11] 논문 HADHB, HuR, and CP1 bind to the distal 3'-untranslated region of human renin mRNA and differentially modulate renin expression 2003-11
[12] 논문 Human renin gene: structure and sequence analysis 1984-08
[13] 논문 Dominant renin gene mutations associated with early-onset hyperuricemia, anemia, and chronic kidney failure
[14] 간행물 Presentation on Direct Renin Inhibitors as Antihypertensive Drugs http://pharmaxchange[...]
[15] 논문 Direct inhibition of renin: a physiological approach to treat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9-09
[16] 논문 Juxtaglomerular cell tumor of the kidney: case report and differential diagnosis with emphasis on pathologic and cytopathologic features 2011-02
[17] 문서 Hamilton Regional Laboratory Medicine Program - Laboratory Reference Centre Manual. Renin Direct.
[18] 논문 The Discovery of Renin 100 Years Ago 1999-12
[19] 논문 Niere und Kreislau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