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바테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바테인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무기의 이름으로, 어원은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 '파괴의 지팡이' 등으로 해석된다. 이 무기는 《푤스빈느르가 말하기를》에 언급되며, 로키가 룬 문자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레바테인은 검, 창, 화살 등 다양한 형태로 해석되며, 수르트의 불꽃의 검, 프레이의 검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키 - 마스크 (1994년 영화)
    척 러셀 감독의 영화 마스크는 짐 캐리와 카메론 디아즈 주연의 1994년 미국 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로, 로키의 가면을 줍게 된 은행원 스탠리 입키스가 초능력을 가진 '마스크'로 변신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다크 호스 코믹스 원작의 작품이다.
  • 로키 - 로키 (마블 코믹스)
    로키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토르의 의붓형제이자 뛰어난 마법 능력과 변신술을 이용해 음모를 꾸미는 악당이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톰 히들스턴이 연기하여 인기를 얻었다.
  • 노르드 신화의 물건 - 궁니르
    궁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베르그가 만든 오딘의 창으로, 던지면 반드시 맞고 되돌아오는 강력한 무기이며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이 사용할 것으로 예언되었다.
  • 노르드 신화의 물건 - 글레이프니르
    글레이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워프들이 여섯 가지 특별한 재료로 만든, 실크 리본처럼 가늘지만 강력한 마법 쇠사슬로, 악마 늑대 펜리르를 묶어 라그나로크까지 속박하는 운명을 지녔다.
레바테인

2. 어원 및 명칭

레바테인(Lævateinn)이라는 명칭은 소푸스 부게 등이 교정한 표기로, 원본 필사본에는 Hævateinn으로 표기되어 있었다.[29] Hævateinn은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spiculum in feriendo certumla)[4],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1]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Lævateinn은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손상된 가지', "파괴의 지팡이" 등으로 해석된다.

"Læva-teinn"은 형태소적으로 "Læva"와 "teinn"으로 분해된다. "læva"는 "læ"의 복수 속격 형태로 "파멸, 재앙, 불길한 것",[30] "배신, 해" 등을 의미하며, "teinn"은 "가지, 지팡이"[31]를 의미한다. ''læ''는 "교활함", "기만", "부상"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2]

일본어 서적에서는 레바테인을 "배신이 보이는 가지", "상처를 입히는 마의 지팡이", "해를 끼치는 마의 지팡이", "해를 끼치는 마법의 지팡이" 등으로 해석한다. 루돌프 지메크는 레바테인이 무기의 명칭이 아니라 "검"을 의미하는 케닝 (시적 표현)이라고 주장한다.[32]

한국어 표기로는 '''레바테인''', '''레이바테인''', '''라바테인''' 등이 있으며, 가타카나 표기에 따라 다르게 표기된다.

2. 1. 표기

'''Lævateinn'''[26][27]이라는 표기는 소푸스 부게 등이 교정한 표기이다.[28] 원본 필사본에서는 '''Hævateinn'''[29]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이전의 교정판이나 번역은 이를 따르고 있다.[24][25]

Hævateinn은 1787년 Árni Magnússon에 의해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spiculum in feriendo certumla)로 풀이되었으며,[4] 1797년 A. S. Cottle에 의해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 Lævateinn은 첫 글자를 H에서 L로 변경하여 수정된 것으로, 1860/1861년에 소푸스 부게에 의해 제안되었고, 나중에 Bugge의 Poetic Edda 판(1867)에 인쇄되었으며,[9]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손상된 가지', 또는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되었다.

''læ''-지팡이는 "교활함", "기만", "부상"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다.[2] 이 무기의 이름은 Einar Ólafur Sveinsson에 의해 "기만이 없는 지팡이"로 풀이되었다.[3]

한국어 표기에는 '''레바테인''', '''레이바테인''', '''라바테인''' 등 가타카나 표기에 따른 변동이 있다. '''레반테인''', '''레반틴''', '''레바인테인''' 등은 "teinn" 앞에 철자에 없는 N 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잘못된 표기이다.

2. 2. 의미

필사본에 나타난 무기 이름의 변경되지 않은 형태인 Hævateinn은 1787년 Árni Magnússon에 의해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로 풀이되었으며,[4] 1797년 A. S. Cottle에 의해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

Lævateinn은 첫 글자를 H에서 L로 변경하여 수정된 것으로, 1860/1861년에 소푸스 부게에 의해 제안되었고, 나중에 Bugge의 Poetic Edda 판(1867)에 인쇄되었으며,[9]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손상된 가지', 또는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되었다.

Lævateinn 또는 ''læ''-지팡이는 세 가지 가능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후자의 세 영어 풀이는 그중 하나만을 활용한다. ''læ'' (''læva''의 주격)의 세 가지 의미는 "교활함", "기만", "부상"이다.[2] 이 무기의 이름은 Einar Ólafur Sveinsson에 의해 더 이상의 설명 없이 "기만이 없는 지팡이"로 풀이되었다.[3]

'''Lævateinn'''[26][27]이라는 표기는 소푸스 부게 등이 교정한 표기이다.[28] 원본 필사본에서는 '''Hævateinn'''[29]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이전의 교정판이나 번역은 이를 따르고 있다.[24][25]

형태소적으로는 "Læva-teinn"으로 분해된다. "læva"는 "læ"의 복수속격형(「〜의」)으로, "læ"는 "파멸, 재앙, 불길한 것",[30] "배신, 해" 등을 의미하며, "teinn"은 "가지, 지팡이"[31] 등을 의미한다.

레바테인을 다루고 있는 일본어 서적에서는 각각 "배신이 보이는 가지", "상처를 입히는 마의 지팡이", "해를 끼치는 마의 지팡이", "해를 끼치는 마법의 지팡이" 의미라고 한다.

신화 연구자 루돌프 지메크는 실제로는 무기의 명칭이 아니라, 그 자체가 "검"을 의미하는 케닝 (시적 표현)이라고 한다.[32]

한국어 표기에는 '''레바테인''', '''레이바테인''', '''라바테인''' 등 가타카나 표기에 따른 변동이 있다. 또한 '''레반테인''', '''레반틴''', '''레바인테인'''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지만, "teinn" 앞에 철자에 없는 N 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

3. 출전

레바테인은 에다 시가집 중 하나인 『푤스비드르의 말』에서 언급된다. 이 시에서 레바테인은 세계수 위그드라실 꼭대기에 사는 수탉 비도프니르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무기이다. 롭트가 만든 레바테인은 신마라가 레갸르의 상자 안에 아홉 개의 자물쇠로 잠가 보관하고 있다.

3. 1. 〈푤스빈느르가 말하기를〉

레바테인은 에다 시가집 중 하나인 『푤스비드르의 말』에 등장한다.[13] 주인공 스비프다글은 멩글로드를 찾아 무스펠헤임 요새 앞에서 거인 푤스비드르와 문답을 나누는데, 이 과정에서 레바테인이 언급된다.

스비프다글이 요새에 들어가려면 세계수 위그드라실[18] 꼭대기에 사는 수탉 비도프니르의 고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비도프니르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바로 레바테인이다. 문제는 신모라에게서 레바테인을 얻으려면 비도프니르의 꼬리 깃털이 필요하다는 점이다.[19] 이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수수께끼로, 결국 선택받은 자만이 요새에 들어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20]

3. 1. 1. 번역 비교

이 무기는 〈푤스빈느르가 말하기를〉에서 아주 짧게 언급되는데, 학자마다 번역이 상이하여 두 판본을 병기한다.



레바테인은 시 "피욜스빈스말"에서 매우 현명한 문지기 푤스비드에 의해 설명된 대로, 수탉 비도프니르를 물리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이다.[10][5] 검의 제작자인 로프트로키를 언급한다.[7]

필사본에 나타난 무기 이름의 변경되지 않은 형태인 Hævateinn은 1787년 Árni Magnússon에 의해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로 풀이되었으며,[4] 1797년 A. S. Cottle에 의해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

Lævateinn은 첫 글자를 H에서 L로 변경하여 수정된 것으로, 1860/1861년에 Sophus Bugge에 의해 제안되었고, 나중에 Bugge의 Poetic Edda 판(1867)에 인쇄되었으며,[9]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또는 '손상된 가지', 또는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되었다.

''læ'' (''læva''의 주격)의 세 가지 의미는 "교활함", "기만", "부상"이다.[2] 이 무기의 이름은 Einar Ólafur Sveinsson에 의해 더 이상의 설명 없이 "기만이 없는 지팡이"로 풀이되었다.[3]

원문번역
(소푸스 부게『Norrœn Fornkvæði』(1867년)「Svipdagsmál. II. Fjölsvinnsmál」에서 인용. 강조는 인용자.)


4. 해석 및 이설

필사본에 나타난 무기 이름의 원래 형태인 Hævateinnnon은 1787년 아르니 마그누손에 의해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로 해석되었고,[4] 1797년 A. S. 코틀에 의해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

Lævateinnnon은 첫 글자를 H에서 L로 변경하여 수정된 것으로, 1860/1861년에 소푸스 부게에 의해 제안되었고, 나중에 부게의 Poetic Edda 판(1867)에 인쇄되었으며,[9]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손상된 가지', 또는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되었다.

''læ''non-지팡이는 "교활함", "기만", "부상"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2] 이 무기의 이름은 에이나르 올라퓌르 스베인손에 의해 "기만이 없는 지팡이"로 풀이되었다.[3] 무기 이름의 어간 "Laeva-"는 로키의 별명 Lægjarnnon에서 "lae"가 '기만, 사기; 파멸'을 의미하는 것처럼 "Lae-"의 속격 형태로 여겨진다.[2]

이처럼 레바테인의 어원, 무기의 종류, 그리고 다른 신화 속 무기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과 이설이 존재한다.

4. 1. 무기의 종류

레바테인이 정확히 어떤 종류의 무기인지는 신화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검으로 여겨진다.[21][22] 그러나 [23], 화살[24], 가는 가지[25]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름해석
헤바테인(Hævateinn)18세기 아르니 마그누손(Árni Magnússon)과 A. S. 코틀(A. S. Cottle)은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spiculum|스피쿨룸la)로 해석했다.[4][1]
레바테인(Lævateinn)19세기 소푸스 부게(Sophus Bugge)는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 손상된 가지, 또는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했다.[7]
피누르 요운손을 비롯한 20세기 초의 다른 편집자들은 검으로 해석했다.
헨릭 슈크는 거인 수르트의 불타는 검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앨버트 모리 스터테번트는 로키가 만든 마법 지팡이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루돌프 시멕은 세이드 마법 지팡이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1]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는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로 풀이했지만, 미스티르테인(mistilteinn) 또는 "발드르가 죽임을 당한 겨우살이"와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7]
리 M. 홀란더는 문자적으로 "파괴의 지팡이"로 번역될 수 있지만 어원적으로 검의 켄닝으로 간주된다고 주장한다.
레바테인(Lævateinn)아돌포 자보로니와 레지오 에밀리아는 곤봉("악의 곤봉")으로 해석했다.[12]



스트롬의 『고대 북유럽의 종교와 신화』에서는 "마법의 검"으로 묘사하고 있다.

"피욜스빈스말"에 따르면, 레바테인은 수탉 비드오프니르를 물리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이다.[10][5] 검의 제작자는 로프트라고 언급된다.[7] 단조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들이 있다.


  • 스트롬의 『고대 북유럽의 종교와 신화』: "저승의 문 아래에서 을 새겨 만들었다"
  • 크로슬리-홀랜드의 재화 『북유럽 신화 이야기』: "니플헤임의 문 앞에서 룬을 외우며 단조했다"

4. 2. 수르트의 검과의 동일시

무기의 종류에 대한 해석은 평론가와 번역가들 사이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헨릭 슈크는 레바테인을 거인 수르트의 불타는 검과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레바테인을 "수르트라그나로크 때 휘두르는 불꽃의 검"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신기원사에서 출판된 일반 서적에서는, 라그나로크 해설 부분에서 수르트가 가진 불꽃의 검에 대해 언급하고, 그 각주에서 레바테인을 소개하며, "어쩌면 이 레바테인이, 수르트가 가진 불꽃의 검일지도 모릅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같은 신기원사에서 출판된 다른 일반 서적에서는, "세계를 통째로 불태워 버린다는 궁극의 무기",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가 세계를 불태우는 검은, 아마도 이 레바테인일 것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푤스빈스말』에서는 레바테인이 수르트의 불꽃과 같다고 명확히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다른 신화에서도 수르트의 불꽃을 레바테인이라고 명확하게 부른 적은 없다.

4. 3. 프레이의 검과의 동일시

스웨덴작가 Viktor Rydberg|빅토르 뤼드베리영어는 저서 《Investigations into Germanic Mythology|게르만 신화 연구영어[33][34]》(1886년-1889년, 2권)에서 레바테인과 프레이의 검(그는 이것을 "승리의 검"이라고 부르고 있다) 및 다른 여러 무기들이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책은 신화의 번역이나 학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그의 손에 의한 신화의 재해석·재구성이란 측면이 강하며, 그는 이 책에서 각 에다 시나 삭소의 《데인인의 사적》, 각 사가에 나타나는 일화 등이 원래는 하나의 신화였다는 설을 취하고 있다.

뤼드베리가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북유럽 신화에서 대장장이로 명성이 높은 벨룬트는 이발디의 아들들 중 한 명이며, 로키와 브로크·에이트리 형제의 내기[35]에서 아들들이 만든 보물(궁니르 등)이 형제가 만든 보물(묠니르 등)에 패배한 것을 계기로, 묠니르를 능가하는 것으로서 레바테인을 만들었다고 한다. 스비프다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로프토르는 로키가 아닌 볼룬트이며, 사실 스비프다글의 삼촌이다.

멩그로드는 프레이야, 푤스비드는 오딘, 그들이 있던 요새는 사실 아스가르드를 가리킨다. 스비프다글이 입성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이미 레바테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며, 그는 멩그로드, 즉 프레이야와 결혼한 후, 가지고 있던 검을 의형제 프레이에게 넘겨준다. 즉 레바테인이 프레이의 승리의 검이 된다. 다른 설에서는 스비프다글은 토르의 피를 이은 영웅 하딩에게 살해당하고, 승리의 검은 우여곡절을 거쳐 프레이의 손에 들어간다.

스비프다글은 스키르니르와도 동일시될 수 있으며, 그가 게르드를 위협하는 데 사용한 마법 지팡이 "Gambanteinn|감반테인영어" 또한 레바테인과 동일하다고 한다. 멩그로스가 프레이야이기 때문에 그녀의 남편인 오드와 스비프다글은 동일 인물이며, 오드는 《데인인의 사적》에 등장하는 호더스와 동일시될 수 있고, 호더스는 북유럽 신화의 헤드르에 해당하므로, 헤드르가 발드를 죽인 겨우살이 "미스틸테인" 또한 사실 레바테인이 아니었을까 하는 논의까지 이어진다. 뤼드베리는 이러한 검들의 공통점으로, 각각 신이나 그에 가까운 존재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여겨진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그의 저서는 발표 당시 찬반양론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4. 4. 감반테인과의 관계

스웨덴의 작가 Viktor Rydberg영어는 자신의 저서 『게르만 신화 연구(1886년-1889년, 2권)에서 레바테인이 프레이의 검("승리의 검")과 동일하며, 더 나아가 여러 다른 무기들과도 동일하다고 주장했다.[33][34] 그는 이 책에서 각 에다 시나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 각 사가에 나타나는 일화 등이 원래는 하나의 신화였다는 설을 제시했다.

뤼드베리에 따르면, 북유럽 신화에서 뛰어난 대장장이인 벨룬트는 이발디의 아들들 중 한 명이며, 로키와 브로크·에이트리 형제의 내기[35]에서 아들들이 만든 보물(궁니르 등)이 형제가 만든 보물(묠니르 등)에 패배한 것을 계기로, 묠니르를 능가하는 레바테인을 만들었다고 한다. 스비프다글 이야기에 등장하는 로프토르는 로키가 아닌 볼룬트이며, 스비프다글의 삼촌이다.

멩그로드는 프레이야, 푤스비드는 오딘이며, 그들이 있던 요새는 아스가르드를 가리킨다. 스비프다글이 입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이미 레바테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며, 그는 멩그로드(프레이야)와 결혼한 후, 가지고 있던 검을 의형제 프레이에게 넘겨주었다. 즉 레바테인이 프레이의 승리의 검이 된다. 다른 설에서는 스비프다글은 토르의 피를 이은 영웅 하딩에게 살해당하고, 승리의 검은 우여곡절을 거쳐 프레이의 손에 들어간다.

또한, 스비프다글은 스키르니르와 동일시될 수 있으며, 그가 게르드를 위협하는 데 사용한 마법 지팡이 또한 레바테인과 동일하다고 한다. 멩그로스가 프레이야이기 때문에 그녀의 남편인 오드와 스비프다글은 동일 인물이며, 오드는 『데인인의 사적』에 등장하는 호더스와 동일시될 수 있고, 호더스는 북유럽 신화의 헤드르에 해당하므로, 헤드르가 발드를 죽인 겨우살이 "미스틸테인" 또한 레바테인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뤼드베리는 이러한 검들의 공통점으로, 각각 신이나 그에 가까운 존재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여겨진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그의 저서는 발표 당시 찬반양론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4. 5. 미스틸테인과의 관계

Hævateinnnon은 1787년 아르니 마그누손에 의해 "확실하게 명중하는 투창/화살"로 풀이되었고,[4] 1797년 A. S. 코틀에 의해 "결코 목표를 실망시키지 않는 화살의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

Lævateinnnon은 첫 글자를 H에서 L로 변경하여 수정된 것으로, 1860/1861년에 소푸스 부게에 의해 제안되었고, 나중에 부게의 Poetic Edda 판(1867)에 인쇄되었으며,[9]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7], '손상된 가지', "파괴의 지팡이"로 해석되었다.

''læ''non-지팡이는 "교활함", "기만", "부상"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2] 이 무기의 이름은 에이나르 올라퓌르 스베인손에 의해 "기만이 없는 지팡이"로 풀이되었다.[3]

무기의 종류에 대한 해석은 평론가와 번역가들 사이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18세기 아르니 마그누손과 A. S. 코틀은 헤바테인(Hævateinn)을 투창/화살()로 해석했다.[4][1] 반면 피누르 요운손은 20세기 초 다른 편집자들과 함께 검으로 해석했으며, 헨릭 슈크는 특히 거인 수르트의 불타는 검과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앨버트 모리 스터테번트는 헤바테인(Hævateinn) 또는 뢰바테인(Lævateinn)이 로키가 만든 마법 지팡이였을 것이라고 추정했으며, 루돌프 시멕을 인용한 ''세이드'' 마법 지팡이에 대한 논문이 있다.[11]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는 ''뢰바테인''(Lævateinn)을 '상처를 입히는 지팡이'로 풀이했지만, ''미스틸테인''(mistilteinn) 또는 "발드르가 죽임을 당한 겨우살이"와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7] 리 M. 홀란더는 뢰바테인은 문자적으로 "파괴의 지팡이"로 번역될 수 있지만 어원적으로 검의 켄닝으로 간주된다고 주장한다.

아돌포 자보로니와 레지오 에밀리아가 쓴 시의 개념에서 뢰바테인(Lævateinn)은 곤봉("악의 곤봉")인 반면, 비드오프니르가 낫을 보관하는 막대기(점치는 막대)들을 소유하고 있다. 텍스트에서 ''vǫlr''은 문자적으로 "둥근 막대"를 의미하지만,[12] 번역가들은 비유적으로 그 단어를 수탉의 깃털로 해석했다.

스웨덴작가 빅토르 뤼드베리는 저서 『Undersökningar i germanisk mythologi』[33][34] (1886년-1889년, 2권)에서 레바테인과 프레이의 검 (그는 이것을 "승리의 검"이라고 부르고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여러 무기들이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뤼드베리에 따르면, 북유럽 신화에서 대장장이로 명성이 높은 벨룬트는 이발디의 아들들 중 한 명이며, 로키와 브로크·에이트리 형제의 내기[35]에서 아들들이 만든 보물 (궁니르 등)이 형제가 만든 보물 (묠니르 등)에 패배한 것을 계기로, 묠니르를 능가하는 레바테인을 만들었다. 스비프다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로프토르는 로키가 아닌 볼룬트이며, 스비프다글의 삼촌이다.

멩그로드는 프레이야, 푤스비드는 오딘, 그들이 있던 요새는 아스가르드를 가리킨다. 스비프다글이 입성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이미 레바테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며, 프레이야와 결혼한 후 검을 의형제 프레이에게 넘겨주면서 레바테인이 프레이의 승리의 검이 된다. 다른 설에서는 스비프다글은 토르의 피를 이은 영웅 하딩에게 살해당하고, 승리의 검은 우여곡절을 거쳐 프레이의 손에 들어간다.

thumb 그림 (1895년).]]

스비프다글은 스키르니르와 동일시될 수 있으며, 그가 게르드를 위협하는 데 사용한 마법 지팡이 "Gambanteinn|감반테인non" 또한 레바테인과 동일하다고 한다. 멩그로스가 프레이야이기 때문에 그녀의 남편인 오드와 스비프다글은 동일 인물이며, 오드는 『데인인의 사적』에 등장하는 호더스와 동일시될 수 있고, 호더스는 북유럽 신화의 헤드르에 해당하므로, 헤드르가 발드를 죽인 겨우살이 "미스틸테인"(mistilteinn) 또한 레바테인이 아니었을까 하는 논의까지 이어진다. 뤼드베리는 이러한 검들의 공통점으로, 각각 신이나 그에 가까운 존재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여겨진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그의 저서는 발표 당시 찬반양론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참조

[1] 서적 The Fable of Fiolsuid https://books.google[...] 1797
[2] 웹사이트 Cleasby=Vigfusson's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874
[3] 논문 2019
[4] 서적 Fiöl-svinns mál https://books.google[...] 1787
[5] 서적 The Lay of Filolsvith https://books.google[...] 1907
[6] 서적 1787
[7] 서적 Svipdagsmol (II Fjolsvinnsmol) 1923
[8] 서적 Mimetræts hane https://books.google[...] 1894
[9] 서적 Svipdagsmál II: Fjölsvinnsmál https://books.google[...] 1867
[10] 서적 Svipdagsmol (II Fjolsvinnsmol) https://archive.org/[...] 1923
[11] 논문 2009
[12] 서적 Svipdagsmol (II Fjolsvinnsmol) https://archive.org/[...] 1923
[13] 문서 この詩は、北欧神話の原典の一つである『[[古エッダ]]』の流布本「[[王の写本]]」には収録されていなかったが、のちに別の写本から発見され、その形式や成立年代から一般に『古エッダ』の一部とみなされている。また[[ソーフス・ブッゲ]]らにより、別の詩『[[グローアの呪文歌]]』と一繋がりの話であると判明し、『[[スヴィプダグルの言葉]]』として一つにまとめられた。
[14] 문서 スヴィプダグルが名乗った偽名。
[15] 문서 [[ヘルヘイム]]のことか。あるいは単に「死者の国へ送る」、すなわち「殺す」という意味の文学的表現か。
[16] 서적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lexicon.ff.cu[...] 1874
[17] 서적 The Poetic Edda http://www.sacred-te[...] 1936
[18] 문서 『フョルスヴィーズルの言葉』の中では「[[ミーミル|ミーマメイズル]]」(Mímameiðr) と呼ばれているが、一般にユグドラシルに同一視される。
[19] 문서 なお、その詳細は不明だが、同詩中でヴィゾーヴニルは[[スルト]]とシンモラに大きな悲しみをもたらすとされている。
[20] 서적 北欧神話物語
[21] 서적 北欧神話物語
[22] 서적 古代北欧の宗教と神話
[23]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24] 서적 Icelandic poetry or The Edda of Sæmund http://www.northvegr[...] 1797
[25] 서적 The Edda Of Sæmund The Learned http://www.northvegr[...] 1866
[26] 서적 Norrœn Fornkvæði http://etext.old.no/[...] 1867
[27] 서적 Eddukvæði http://www.heimskrin[...] 1949
[28] 논문 Forbindelsen mellem de norrøne Digte Grógaldr og Fjölsvinnsmál oplyst ved Sammenligning med den dansk-svenske Folkevise om Sveidal. https://books.google[...] 1860
[29] 웹사이트 Jörmungrund: SVIPDAGSMÁL http://notendur.hi.i[...]
[30] 사전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http://www.northvegr[...] 1910
[31] 사전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http://www.northvegr[...] 1910
[32]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33]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1993
[34] 문서 未邦訳。日本語で手に入る文献のうち、[[ドナルド・A・マッケンジー]]『北欧のロマン ゲルマン神話』(ISBN 4469244198)が当該著作に沿った再話であるとされている。
[35] 문서 『[[詩語法]]』で語られている神話。詳細は[[ブロックとエイトリ]]、[[イーヴァルディ]]などを参照。
[36] 서적 Bellows 2004
[37] 서적 Thorpe 1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