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이지 코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지 코믹은 2007년 이미지 게시판 사이트 4chan에서 시작되어 레딧 등 여러 웹사이트로 확산된 인터넷 밈이다. 분노하는 표정의 '레이지 가이'를 활용하여 불만을 표현하는 2x2 형식의 만화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구성과 캐릭터가 등장했다. 2009년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트롤페이스, "Y U NO" guy와 같은 파생 캐릭터도 생겨났다. 2010년 핫 토픽 셔츠 판매 중단 사건과 일본의 건강 관련 사례 등 사회적 영향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인터넷 밈 - 동방홍마향 ~ the Embodiment of Scarlet Devil
    《동방홍마향 ~ the Embodiment of Scarlet Devil》은 ZUN이 개발한 2002년 윈도우용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붉은 안개 이변을 해결하기 위해 하쿠레이 레이무 또는 키리사메 마리사를 선택하여 플레이하며, 스펠 카드 시스템과 독특한 분위기, 음악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미국의 웹 만화 - 딜버트
    스콧 애덤스가 창작한 미국의 신문 연재 만화 딜버트는 엔지니어 딜버트와 그의 애완견 도그버트의 일상 및 직장 생활을 통해 기업 문화와 관료주의, 경영진의 무능함을 풍자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작가의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연재 중단 후 구독 웹사이트에서 연재를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웹 만화 - 페페 더 프로그
    페페 더 프로그는 2005년 맷 퓨리가 창조한 캐릭터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고, 2015년부터 얼터너티브 우익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논란이 되었지만,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에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되었으며, NFT로 제작되거나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4chan - 니시무라 히로유키
    니시무라 히로유키는 일본의 2ch(현 5ch) 게시판 개설자이자 4chan 소유주로, 일본 인터넷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법적 분쟁과 운영권 분쟁을 겪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방송과 저술 활동을 하는 인플루언서이다.
  • 4chan - 롤캣
    롤캣은 엉터리 영어 캡션이 달린 고양이 사진으로 유머를 유발하는 2000년대 중반 4chan에서 시작된 인터넷 밈이며, I Can Has Cheezburger? 웹사이트를 통해 확산되어 파생 상품과 패러디를 만들고 대중 문화와 인터넷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레이지 코믹

2. 역사

레이지 코믹은 2007년 이미지 게시판 사이트인 4chan에서 처음 등장하여[19] 인터넷 포럼 사이트 레딧 등으로 퍼져나갔다. 2009년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20] 2011년 1월에는 레이지 코믹 관련 태그 "fffffffuuuuuuuuuuuu-"가 레딧에서 많이 읽힌 유머 태그 20위 안에 들기도 했다.[21]

초기에는 주로 '레이지 가이(Rage Guy)' 얼굴을 사용하여 분노나 불만을 표현하는 4컷 만화 형식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캐릭터와 형식이 파생되었다. 이러한 표준화되고 식별하기 쉬운 얼굴 표현들은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과 같은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6]

레이지 코믹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2010년에는 의류 체인점 핫 토픽(Hot Topic)에서 관련 상품을 판매하기도 했으나, 4chan 사용자들의 반발로 판매가 중단되는 사건이 있었다.[22][23] 또한, 일본에서는 레이지 코믹 게시물을 통해 고환암을 발견하게 된 사례가 알려지기도 했다.[24]

2. 1. 기원

레이지 코믹은 2007년경 이미지 게시판 사이트인 4chan에서 시작되어[19] 인터넷 포럼 사이트 레딧 등으로 퍼져나갔다. 레이지 코믹의 구체적인 기원은 2008년 중반 4chan으로 여겨지는데, 최초의 레이지 코믹은 2008년 4chan의 /b/ "Random" 게시판에 게시되었다. 이 코믹은 변기에 앉아 있을 때 물이 튀어 분노하는 작가의 경험을 그린 4컷 만화였으며, 마지막 컷에는 후에 '레이지 가이(Rage Guy)'로 알려지게 된 확대된 얼굴과 함께 "FFFFFFFFFFFFFFFFFFFFFFFUUUUUUUUUUUUUUUUUUUU-"라는 의성어가 등장했다.[5]

2012년 애니메이션 로스앤젤레스에서 레이지 가이로 코스프레한 남성


이 만화는 빠르게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재게시되고 수정되었으며, 새로운 시나리오와 캐릭터들이 만들어지면서 확산되었다.[5] 레딧, 치즈버거, ESS.MX, 레게스타체(Ragestache), 9GAG 등 수많은 웹사이트에서 사용되었다. 레이지 코믹은 2009년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20]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rage guy"라는 용어는 2009년 4월에, "rage comics"와 "troll face"라는 용어는 모두 2009년 3월에 검색량이 최고점을 기록했다.[2] 2011년 1월에는 레이지 코믹 관련 태그 "fffffffuuuuuuuuuuuu-"가 레딧에서 많이 읽힌 유머 20위에 오르기도 했다.[21]

초기 레이지 코믹은 주로 분노나 불만을 표현하기 위해 '레이지 가이' 얼굴을 사용한 2x2 프레임의 코믹 스트립 형식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캐릭터와 형식이 사용되었다.

레이지 코믹의 인기가 높아지자 2010년에는 의류 체인점 핫 토픽(Hot Topic)에서 관련 패턴이 그려진 셔츠를 판매하기도 했다.[22] 하지만 4chan 사용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레이지 가이'를 '레이스 가이(Race Guy)'로 부르며 핫 토픽이 인종차별을 조장한다는 소문을 퍼뜨렸고, 결국 해당 상품은 판매가 중단되었다.[23]

일본에서는 헤어진 연인이 두고 간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해 양성 반응이 나온 남성이 레이지 코믹 형식으로 레딧에 글을 올렸다가,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고환암 가능성을 지적받고 검사를 통해 실제로 암을 발견한 사례도 있었다.[24]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표준화되고 식별하기 쉬운 얼굴 캐릭터들은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과 같은 분야에서도 활용되기도 했다.[6]

2. 2. 확산과 인기

레이지 코믹은 2007년 이미지 게시판 사이트 4chan에서 처음 만들어져 인터넷 포럼 사이트인 레딧으로 퍼져나갔다.[19] 이후 레딧, 치즈버거, ESS.MX, 레게스타체(Ragestache), 9GAG 등 여러 웹사이트로 확산되었다. 레이지 코믹의 정확한 기원은 2008년 중반 4chan으로 여겨지는데, 최초의 레이지 코믹은 2008년 4chan의 /b/ "Random" 게시판에 올라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만화는 변기에 앉아 있을 때 물이 튀어 분노하는 내용을 4컷으로 담았으며, 마지막 컷에는 특유의 확대된 얼굴과 함께 "FFFFFFFFFFFFFFFFFFFFFFFUUUUUUUUUUUUUUUUUUUU-"라는 외침이 있었다. 이 형식은 빠르게 다른 사용자들에게 퍼져나가 새로운 이야기와 캐릭터들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5]

2009년에 레이지 코믹은 큰 인기를 얻었다.[20]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rage guy"라는 검색어는 2009년 4월에, "rage comics"와 "troll face"는 2009년 3월에 검색량이 최고조에 달했다.[2] 인기가 계속되면서 2011년 1월에는 레이지 코믹 관련 태그인 "fffffffuuuuuuuuuuuu-"가 레딧에서 가장 많이 읽힌 유머 태그 20위 안에 들었다.[21]

레이지 코믹의 다양한 표정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표준화된 얼굴 디자인은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과 같은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6]

한편, 2010년에는 미국의 의류 판매점 Hot Topic에서 레이지 코믹 캐릭터가 그려진 셔츠를 판매하기도 했다.[22] 그러나 4chan 사용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캐릭터 이름을 "레이스 가이(Race Guy)"로 바꾸고 Hot Topic이 인종차별을 조장한다는 소문을 퍼뜨렸고, 결국 해당 상품은 판매가 중단되었다.[23]

일본에서는 헤어진 연인이 두고 간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해 본 남성이 양성 반응이 나오자 레이지 코믹 형식으로 레딧에 글을 올렸는데, 이를 본 다른 사용자들이 고환암 가능성을 제기했고 실제로 검사 결과 암으로 진단받은 사례가 알려지기도 했다.[24]

2. 3. 파생 캐릭터

레이지 코믹에는 인터넷 문화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파생 캐릭터들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트롤페이스나 "Y U NO" guy와 같이 독특한 특징과 유래를 가진 캐릭터들이 대표적이며, 여러 맥락에서 활용되고 있다.

2. 3. 1. 트롤페이스 (Trollface)

가장 널리 사용되는 레이지 코믹 얼굴 중 하나는 2008년 오클랜드 출신 아티스트 카를로스 라미레즈(Carlos Ramirez)가 그린 트롤페이스이다.[7] 이 그림은 원래 인터넷 트롤링에 관한 만화로, 라미레즈가 자신의 DeviantArt 계정 Whynne에 게시하였고 4chan 등에서 널리 퍼졌다.[8] 트롤페이스는 인터넷 밈과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라미레즈는 2009년 미국 저작권청에 트롤페이스를 등록했으며, 이를 통해 라이선스 수수료, 합의금 등으로 1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얻었다.[7] 닌텐도Wii U 콘솔용 비디오 게임 ''밈 런''은 트롤페이스를 주인공 캐릭터로 사용했으나, 저작권 문제로 인해 결국 판매가 중단되었다.[7][9][10]

2. 3. 2. "Y U NO" guy

레이지 코믹에 자주 사용되는 또 다른 캐릭터는 "Y U NO" guy이다. 이는 "why you no"의 줄임말이다.[11] 이 캐릭터는 크고 둥근 머리, 깊은 주름, 가느다란 팔, 그리고 격렬한 짜증을 나타내는 표정을 가지고 있다. "Y U NO" guy는 종종 이미지 매크로 형태로 사용된다.[12] 2011년에는 채팅 플랫폼 광고를 위해 미국 101번 국도의 광고판에 등장했으며,[13] 2012년에는 The Gap 표지에 사용되기도 했다.[14][15]

2. 4. 논란과 사회적 영향

2010년에는 체인 스토어 Hot Topic이 레이지 코믹 패턴이 그려진 셔츠를 판매했다.[22] 이에 4chan의 참여자들은 "레이지 가이"를 "레이스 가이(Race Guy)"로 이름을 바꾸고 핫 토픽이 인종차별을 퍼뜨리고 있다고 소문을 내며 대항했고, 결국 해당 셔츠는 곧 판매가 중단되었다.[23]

일본에서도 화제가 된 사례가 있다. 헤어진 연인이 두고 간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해 양성 반응이 나온 한 남성이 이 경험을 레이지 코믹 형식으로 레딧(Reddit)에 게시물을 올렸다. 이를 본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고환암의 가능성을 지적받았고, 실제로 검사를 받은 결과 암이 발견된 사례였다.[24]

참조

[1] 간행물 Put Your Rage Into a Cartoon and Exit Laughing https://www.nytimes.[...] 2012-05-09
[2] 웹사이트 Google Trends https://trends.googl[...] 2017-10-01
[3] 웹사이트 Fuuuuuuu: The Internet anthropologist's field guide to "rage faces"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2-03-11
[4] 뉴스 The Know Your Meme team gets all scientific on the intarwebs http://geekout.blogs[...] CNN 2011-10-11
[5] 웹사이트 Our 8 Favorite Rage Comic Characters: a Case Study http://www.weirdworm[...] www.weirdworm.com 2012-03-28
[6] 웹사이트 Teaching The English Language With Rage (Comics) http://www.webpronew[...] WebProNews 2011-11-02
[7] 뉴스 The Maker Of The Trollface Meme Is Counting His Money https://kotaku.com/t[...] 2017-10-01
[8] 웹사이트 Comic - Trolls https://whynne.devia[...] 2017-10-01
[9] 뉴스 Here's Why Meme Run Was Taken Down From the eShop - Nintendo Enthusiast http://nintendoenthu[...] 2015-03-04
[10] 뉴스 Meme Run Disappears from the Wii U eShop http://www.nintendol[...] 2015-03-03
[11] 웹사이트 Y U NO Meme {{!}} Meaning & History https://www.dictiona[...] 2018-03-01
[12] 웹사이트 New iPad, Y U no have name? The Ars Open Forum discusses Apple's iPad event https://arstechnica.[...] 2012-03-10
[13] 웹사이트 Y U NO HAVE LAME BILLBOARD HIPCHAT? https://techcrunch.c[...] 2011-04-23
[14] 간행물 Memes Y U NO coverstory yet?! https://issuu.com/th[...] 2012-07
[15] 웹사이트 Y U No Go Viral: The New Science of Memes https://finance.yaho[...] 2013-06-28
[16] 웹사이트 Fuuuuuuu: The Internet anthropologist's field guide to "rage faces" http://arstechnica.c[...] Ars Technica 2012-03-11
[17] 뉴스 The Know Your Meme team gets all scientific on teh intarwebs http://geekout.blogs[...] CNN 2011-10-11
[18] 웹사이트 Teaching The English Language With Rage(Comics) http://www.webpronew[...] WebProNews 2011-11-02
[19] 뉴스 Rage Comics http://www.viddler.c[...] Cheezburger Network 2011-06-14
[20] 뉴스 Geekin’ It: Rage Guy Faces http://www.statepres[...] 2011-03-07
[21] 뉴스 reddits listed by size http://redditlist.co[...] 2013-02-16
[22] 뉴스 Hot Topic Pulls FFFUUUUUUU T-Shirts Following Devious 4chan Ploy(Update) http://www.geekosyst[...] 2010-11-18
[23] 뉴스 Big Business: Comic books and fantasy emerge as the pop culture epicenter of the internet age http://www.ecolleget[...] 2011-05-27
[24] 뉴스 元カノが置いていった妊娠検査薬をシャレで使ってみた→男なのに陽性デタ(笑)→精巣ガンだった!! http://rocketnews24.[...] 2012-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