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흐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흐어군은 폴란드어, 실레시아어, 포메라니아어(카슈브어 포함) 등을 포함하는 서슬라브어군의 하위 그룹이다. 이 언어들은 폴란드, 체코, 독일 등지에서 사용되었으며, 고유한 언어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레흐어군이라는 명칭은 폴란드의 전설적인 조상인 레흐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언어들을 사용하는 슬라브 민족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슬라브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 서슬라브어군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레흐어군
언어 정보
언어 이름레흐어군
다른 이름해당 없음
사용 지역폴란드
어족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하위 언어동레흐어
폴란드어
실레시아어
서레흐어 (사멸)
마르코-마그데부르크 방언
라니 방언
폴라브어로 진화
포메라니아어/중레흐어 (사멸)
카슈브어 및 슬로빈시아어 (사멸)로 진화
Glotto 코드lech1241
Glottolog 참조레흐어군

2. 언어

폴란드 최초의 문장으로 여겨지는 내용을 담고 있는 헨리쿠프의 책


레흐어군은 다음과 같은 언어로 구성된다.

  • 폴란드어는 폴란드에서 약 3,800만 명의 원어민이 사용하며, 그 외 지역에서도 수백만 명이 사용한다. 대폴란드 방언, 소폴란드 방언, 마조비아 방언 등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다.
  • 포메라니아어는 슬라브 포메라니아인이 사용했다.
  • 폴라비아어는 18세기 중반 이후 소멸되었으며, 현재 독일 북동부에 해당하는 엘베 강 주변 지역에서 슬라브 민족이 사용했던 서레흐 방언 언어이다.

2. 1. 현존하는 언어


2005년 워바에서 열린 카슈브어 축제 - 카르투지 군의 카슈브어 명칭이 적힌 현수막

2. 2. 사멸한 언어


  • 슬로빈시아어†: 과거 스웁스크 일대에서 사용되었다. 20세기에 사멸했다.
  • 서부 레흐어†: 오늘날 독일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용되던 여러 레흐계 방언. 근대 이전에 독일인에 동화되어 사멸했다.
  • * 폴라브어†: 엘베강 유역의 슬라브족이 사용하던 서부 레흐어. 18세기 중반에 사멸했다.

3. 특징

레흐어군은 다음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갖는다.[6]


  • 비모음이 남아있다.
  • 슬라브조어의 *ě, *e, *ę가 치경음 앞에서 a, o, ą로 변화했다.
  • 다른 슬라브어에서 일어난 *g→h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 슬라브조어의 *dj, *gě, *gi가 dz, dze, dzy로 변화했다.


또한, 레흐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서슬라브어 특징이 나타난다.[3]

  • χ́ > š́는 ě2, i2 앞에서 나타난다.
  • sk, zɡ > š́č́, ž́ǯ́는 ě2, i2 앞에서 나타난다.
  • χ́ > š́는 i, ь, ę, ŕ̥ 뒤에서 나타난다.
  • 연음 자음 뒤에서 단어 첫머리에만 삽입 l이 나타난다.
  • 주격/대격 복수와 속격 단수에서 -ě3(duš́ě3)를 사용하고, kon’ě3의 대격 복수에서는 -ę 대신에 사용한다.
  • 도구격 단수 어미 -omъ을 -ъmъ로 대체한다.
  • 남성/중성 단수 주격 어미/능동 과거 분사 어미 -a의 생성 (reka, nesa는 reky, nesy 대신에 사용)
  • õrt-, õlt- > rot-, lot- (rola, radło)
  • (ti̯, di̯ >) t́̄, d́̄; kt́ > ć, ʒ́
  • 대명사 tъ > tъnъ로 확장
  • č́ьto를 속격 단수 č́ьso를 통해 co로 대체
  • jego, jemu와의 유추를 통해 복합 형용사 속격 및 여격 남성/중성 단수 어미 -ego 및 -emu 사용
  • -da 대신에 -dy로 끝나는 시간 부사 사용
  • 의도 접속사 aby 생성
  • 비이동성 악센트 확립 경향
  • 장모음 상승 경향


일반적인 레흐어 특징은 다음과 같다.[6]

  • *telt의 순음화 (하지만 폴라비아어 ''mlåkə'' 및 카슈브어/슬로빈치아어 ''młȯko''; 또한 ''czółn''과 비교)
  • *tort, tolt, tert, telt의 대체
  • 강조된 음절과 강조 전 음절(즉, 상승조)에서: tórᵒt > tᵒrot > trot
  • 굴곡조 및 강조 후 음절(즉, 하강조)에서 *tolt > tòlᵒt or ‘tolòt > talt
  • 전설 모음 앞에서 자음의 연성화
  • ŕ̥의 연구개음화
  • 자음(유성 자음)이 모음과 자음 r, l의 복합 그룹으로 발전
  • 서부 및 중부 ĺ̥ l̥ > oł > åu̯; Pĺ̥T (비후설 경자음 앞에서_ 북동부에서 > ‘el, 남부에서 > ‘il; TČKP 및 Pĺ̥T 뒤 북동부에서 ĺ̥ l̥ > oł
  • ŕ̥T, r̥ > ar (그리고 폴라비아어에서 > or); ŕ̥T́ > ir (폴라비아어) > er >ar, or > (폴란드어) ir, iř > er, eř (순음과 ch 앞에서 경음화)
  • r̥ < ŕ̥T 앞에서 자음 경음화
  • *ěT > ‘a (레흐어군 아블라우트)
  • *ęT > ǫ
  • eT >’o

4. 명칭

레흐어군(Lechitic)이라는 용어는 이 그룹의 언어와 이 언어를 사용하는 슬라브 민족(레흐족) 모두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전설적인 폴란드 조상인 레흐와 폴란드가 이전에는 때때로 알려졌던 레히아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다.

"레흐트(Lecht)"라는 명칭은 폴란드 서슬라브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레흐(Lech)"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레흐(Lech)는 레흐트족영어 부족과 폴란드족이 건국한 피아스트 왕조의 구성원들이 선호하여 지은 남자 이름이었다.

5. 예시

다음은 여러 레흐어군 언어로 된 주기도문이다.[7][8][9]


참조

[1] 웹사이트 Lekhitic languages http://www.britannic[...] 2008-07
[2] 간행물 Narodowy Spis Powszechny Ludności i Mieszkań 2011. Raport z wyników http://www.stat.gov.[...] Central Statistical Office of Poland 2012-12-21
[3] 서적 Dialekty polskie
[4] 서적 Dialekty polskie
[5] 서적 Dialekty polskie
[6] 서적 Dialekty polskie
[7]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Project – Upper Silesian – Ôjcze nasz https://www.endanger[...] 2021-04-20
[8] 파일 Jerozolëma, kòscel Pater noster, "Òjcze nasz" pò kaszëbskù.JPG
[9] 웹사이트 Das polabische Vaterunser / "Our Father" in Polabian http://titus.uni-f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