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티큘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티큘러는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기술로, 초기에는 '타불라 스칼라타'와 같은 형태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렌티큘러 시트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3D 효과를 위한 시차 배리어와 적분 사진술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후 광고, 예술, 장난감,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변환, 애니메이션, 입체 효과 등 여러 유형으로 구분된다. 렌티큘러 인쇄는 이미지 생성, 인터레이싱, 인쇄 및 조립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디자인 결함, 프리프레스 및 인쇄 결함, 절단 결함 등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레오스코피 - 입체시
입체시는 양안시차와 단안 단서를 이용해 깊이를 인지하는 능력으로, 조거리 및 미세 입체시로 나뉘며, 뇌는 다양한 단서를 결합하여 3차원 위치를 감지하고, 개인차가 존재하며 시각 훈련으로 개선될 수 있고 여러 동물에게서도 관찰된다. - 스테레오스코피 - 3차원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는 인간 시각 원리를 활용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기술로, 양쪽 눈에 다른 이미지를 보여 뇌에서 3D 깊이를 인지하게 하는 방식이며,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나뉘어 영화, 게임, 증강 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인쇄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인쇄 - 복사기
복사기는 문서나 이미지를 복제하는 기계로, 전기 사진술의 발전을 통해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 스캐너 및 레이저 프린터로 발전했고, 저작권 침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광학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광학 - 굴절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속도 변화로 인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이며, 렌즈, 프리즘, 광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렌티큘러 |
---|
2. 역사
렌티큘러 기술의 역사는 19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1896년 5월, 프랑스 과학 잡지 "르 코스모스"에 오토스테레오그램을 만들기 위해 선 시트를 시차 배리어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오귀스트 베르티에의 기사가 실렸다.[9] 베르티에의 아이디어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1901년부터 미국의 발명가 프레데릭 유진 아이브스는 유사한 ''시차 입체 사진''으로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08년 3월 2일,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 가브리엘 리프만은 곤충의 눈을 기반으로 한 "적분 사진술"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그는 작은 렌즈 스크린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당시의 기술로는 리프만이 원하는 정밀한 렌즈를 만들기가 어려웠다.[11]
1928년, 이스만 코닥은 렌티큘러 기술을 상업적으로 처음 적용한 코다컬러 필름을 출시했다. 이 필름은 16mm 흑백 감광 필름에 1제곱인치당 600개의 렌즈를 엠보싱하여 제작되었다.[1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3D 영상 기술이 군사적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되었다. 전쟁 이후 플라스틱 대량 생산과 사출 성형 기술이 발전하면서 렌티큘러 시트의 상업적 생산이 가능해졌고, 이는 장난감 및 광고 분야에 활용되었다.[19]
1952년, 빅터 G. 앤더슨은 "변형 가능한 사진 표시 장치 조립 과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여 1957년에 승인받았다(미국 특허 2,815,310).[19] 앤더슨의 회사 Pictorial Productions Inc.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선거 운동 버튼 "I Like Ike"를 제작하여 렌티큘러 이미지를 대중화시켰다.[20]
1964년, ''룩'' 잡지는 '시차 파노라마그램' 기술을 소개하며 3D 흑백 사진을 800만 부 발행했고, 이후 다양한 잡지와 야구 카드 등에 렌티큘러 이미지가 사용되었다.[24][25]
1970년, 미국 텍사스주 그랜드 프레리에 OptiGraphics Corporation[27]이 설립되어 렌티큘러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1980년대에는 크래커 잭의 렌티큘러 경품, 세븐일레븐 슬러피 렌티큘러 스포츠 코인 등을 생산했다.[29]
21세기에는 렌티큘러 인쇄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모션 프린트"라고 불리는 렌티큘러 풀 모션 비디오 효과를 통해 하나의 인쇄물에서 최대 60프레임의 비디오를 볼 수 있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타불라 스칼라타)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물결무늬 이미지는 렌티큘러 인쇄 기술보다 앞서 개발되었다. 프랑스 동굴에서 구석기 시대의 몇 가지 사례가 존재한다.[2][3] 타불라 스칼라타(Tabula scalata) 또는 "회전 그림"은 16세기부터 영국에서 인기를 끌었다.[4] 물결무늬 패널에 두 개의 뚜렷한 이미지가 있는 현존하는 이중 그림은 17세기에 알려졌다.[5][6]H.C.J. 디크스(H.C.J. Deeks)는 사진 용지에 미세한 수직 물결무늬를 눌러 두 개의 다른 각도에서 두 개의 다른 이미지를 노출하는 유사한 기술을 사용했다.[7] 1906년 특허에 따라 H.C.J. 디크스 & Co.(H.C.J. Deeks & Co)는 ''퍼즐 엽서''(Puzzle Post Card) 또는 ''포토체인지 엽서''(Photochange Post Card)를 판매했다. 1907년에는 물결무늬의 양쪽에 동일한 그림이 있는 ''컬러체인지 엽서''(Colorchange Post Card)가 출시되었으며, 각 면(일부)에 서로 다른 "액체 안료 또는 착색제"를 뿌렸다.[8]
2. 2. 배리어 그리드 오토스테레오그램 및 애니메이션
오토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선 시트를 시차 배리어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가장 오래된 출판물은 1896년 5월 프랑스 과학 잡지 "르 코스모스"에 실린 오귀스트 베르티에의 기사이다.[9] 베르티에의 아이디어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미국의 발명가 프레데릭 유진 아이브스는 1901년부터 그의 유사한 ''시차 입체 사진''으로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아이브스는 1903년에 다양한 각도에서 다른 그림을 보여주는 "변경 가능한 표지, 그림 등"에 대한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올바른 각도와 거리에서 하나의 입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대신). 레옹 고몽은 프랑스에서 아이브스의 그림을 소개하고 외젠 에스타네브가 그 기술을 연구하도록 장려했다. 에스타네브는 애니메이션 오토스테레오그램을 위한 배리어 그리드 기술 특허를 받았다. 선 시트를 사용한 애니메이션 초상 사진은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주로 판매되었다. 미국에서는 간단한 3단계 애니메이션 또는 변경 가능한 그림이 있는 "매직 무빙 픽처" 엽서가 1906년 이후 판매되었다. 모리스 보넷은 1930년대에 그의 릴리에포그래피 기술과 스캔 카메라를 사용하여 배리어 그리드 오토스테레오그래피를 개선했다.
1898년 4월 11일, 존 제이콥슨은 엇갈린 입체 사진과 "골판지 또는 채널 표면을 갖는 상기 사진의 투명 마운트"에 대한 미국 특허 624,043호(1899년 5월 2일 허가)를 신청했다.[10] 골판지 선 또는 채널은 아직 렌티큘러는 아니었지만, 이는 대부분의 배리어 그리드 입체 사진의 불투명 선 대신 골판지 투명 표면을 사용한 최초의 알려진 오토스테레오그램이다.
2. 3. 가브리엘 리프만의 적분 사진술
프랑스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 가브리엘 리프만은 1908년 3월 2일, 곤충의 눈을 기반으로 한 "적분 사진술"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그는 작은 렌즈 스크린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구형 분할체는 다른 쪽에 사진 유제가 있는 일종의 필름에 압착해야 했다. 이 스크린은 방수 처리된 홀더 안에 넣고 삼각대에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했다. 노출되면 각 작은 렌즈는 카메라 역할을 하며 인접한 렌즈와 약간 다른 각도에서 주변 환경을 기록한다. 현상 후 렌즈 뒤에서 빛을 비추면 기록된 피사체의 실물 크기 이미지를 공간에 투사해야 했다. 그는 1908년 3월에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했지만, 1908년 말까지 몇 장의 적분 사진 판을 노출하고 "결과적으로 얻은 단일 실물 크기 이미지"를 보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어떠한 재료나 기술도 원하는 광학적 품질을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기술은 실험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1921년 사망 당시 리프만은 12개의 렌즈만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1]2. 4. 초기 렌티큘러 방법
1898년 4월 11일, 존 제이콥슨은 엇갈린 입체 사진과 "골지거나 홈이 파인 표면을 가진 해당 사진의 투명한 마운트"에 대한 '입체 사진'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10]1912년, 루이 셰론은 프랑스 특허에서 긴 수직 렌즈가 있는 스크린을 설명했다.[11] 같은 해 6월, 스위스의 생리학자 발터 루돌프 헤스는 "원통형 렌즈 요소로 구성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이드 덮개"를 가진 '입체 사진'에 대한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12] 1914년과 1915년에 취리히에 등록된 Stereo-Photographie A.G. 회사는 헤스의 공정을 통해 투명 필름에 사진을 제작했으며, 이 사진들 중 몇 안 되는 사례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1]
1920년대에 허버트 E. 아이브스는 렌티큘러 시트를 연구한 여러 연구원 중 한 명이었다.[15]
렌티큘러 기술의 첫 번째 성공적인 상업적 응용은 이스만 코닥의 1928년 코다컬러 필름이었다. 이 필름은 평방 인치당 600개의 렌즈가 엠보싱된 16mm 흑백 감광 필름을 사용했다.[16] 1930년대에는 렌티큘러 기술과 관련된 여러 미국 특허가 주로 컬러 필름에 대해 허가되었다.[17]
1936년 12월 15일, 더글러스 F. 위넥 코피는 "복합 입체 사진 제작 장치"에 대한 미국 특허를 받았다.[18]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3D 영상에 대한 군사적 목적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플라스틱 대량 생산과 사출 성형 기술이 발전하면서 렌티큘러 시트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는 장난감 및 광고 분야에 활용되었다.[19]스페리사에서 근무하던 빅터 G. 앤더슨(Victor G. Anderson)은 3D 이미징 기술을 폭격 조준기 사용법과 같은 군사용 교육 제품에 활용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앤더슨은 자신의 회사인 'Pictorial Productions Inc.'를 설립하였다. 1952년 3월 1일, "변형 가능한 사진 표시 장치 조립 과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여 1957년 12월 3일에 승인받았다(미국 특허 2,815,310). 앤더슨은 1996년에 회사의 첫 제품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선거 운동 버튼 "I Like Ike"였다고 밝혔다.[19] 이 버튼은 보는 각도에 따라 "I Like Ike"라는 슬로건과 아이젠하워의 흑백 사진이 번갈아 나타났다.[20] 이 이미지는 1952년 5월 14일에 저작권이 등록되었다.[21] 1953년 12월, 회사는 "Vari-Vue"라는 상표를 등록했다.[22] Vari-Vue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렌티큘러 이미지를 대중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60년대 말, Vari-Vue는 움직이는 패턴 및 색상 시트, 대형 이미지(특히 종교적 이미지), 광고판, 참신한 장난감 등 약 2,000개의 제품을 판매했다. 그러나 회사는 1986년에 파산했다.[23]
1964년 2월 25일, ''룩'' 잡지는 '시차 파노라마그램' 기술을 소개하며, 에디슨 흉상과 발명품들이 담긴 3D 흑백 사진(10x12 cm 크기)을 800만 부 발행했다. 4월 7일에는 코델 광고 모델의 컬러 사진(10 x 12 cm)이 뒤를 이었다. 이 기술은 곧 Cowles의 자회사인 Visual Panographics Inc.에 의해 "xograph"로 상표 등록되었다. ''룩''과 ''벤처'' 등의 잡지들은 1970년대 중반까지 xograph를 게재했으며, 일부 야구 카드도 xograph로 제작되었다.[24][25] 이 회사에서 제작한 이미지의 크기는 몇 밀리미터에서 28by까지 다양했다.
1960년대에는 홀마크 카드(1964년에 ''매직 모션'' 상표 등록[26]), 독일 뉘른베르크의 Reflexa, 일본의 톱판과 다이닛폰 등 여러 회사들이 렌티큘러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15]
1970년, 미국 텍사스주 그랜드 프레리에 OptiGraphics Corporation[27]이 설립되었고, 빅터 앤더슨의 지휘 아래 1976년에 ''매직 모션'' 상표를 등록했다.[28] Optigraphics는 1980년대에 크래커 잭의 렌티큘러 경품을 생산하고,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세븐일레븐 슬러피 렌티큘러 스포츠 코인을 생산했다.[29] 1986년에는 스포츠플릭스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3D 야구 카드 세트를 제작하여 피나클 브랜드의 설립으로 이어졌다.[30] 1999년, 퍼포먼스 컴퍼니스는 1998년 파산한 피나클 트레이딩 카드 컴퍼니로부터 OptiGraphics를 인수했다.[27]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렌티큘러 이미지가 인기를 얻었지만, 1980년대에는 OptiGraphics가 미국 내 유일한 주요 제조업체로 남았다.[15]
21세기에는 렌티큘러 인쇄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모션 프린트"라고 불리는 렌티큘러 풀 모션 비디오 효과를 통해 하나의 인쇄물에서 최대 60프레임의 비디오를 볼 수 있게 되었다.
3. 작동 원리 및 구조
렌티큘러 인쇄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최소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렌티큘러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렌티큘러 렌즈 뒤에 배치한다.
각 이미지는 가늘게 슬라이스(slicing)되어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 다음, 하나 이상의 유사하게 배열된 이미지와 인터레이스(interlace, 스플라이싱(splicing))된다. 이렇게 인터레이스된 이미지는 플라스틱 조각의 뒷면에 인쇄되거나, 종이에 인쇄된 후 플라스틱에 접착된다. 이때 플라스틱 조각의 반대편에는 일련의 얇은 렌즈들이 성형되어 있다.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렌즈를 평평한 투명 재료 시트의 양쪽 또는 종이 시트의 동일한 면에 인터레이스된 이미지와 함께 인쇄할 수 있다. 이미지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또는 투명 레이어로 덮여 있으며, 여러 층의 바니시(varnish)로 인쇄되어 렌즈를 생성한다.
렌즈는 이미지의 인터레이스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이렇게 정렬된 렌즈는 각 스트립에서 반사된 빛을 약간 다른 방향으로 굴절시키지만, 동일한 원본 이미지에서 시작된 모든 픽셀의 빛은 동일한 방향으로 보낸다. 그 결과, 인쇄물을 바라보는 한쪽 눈은 하나의 전체 이미지를 보지만, 두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어 입체 3D 인식이 가능해진다.
렌티큘러의 구조는 렌티큘러 이미지라고 불리는 이미지 위에, 표면에 미세하고 가늘고 긴 어묵 모양의 볼록 렌즈가 무수히 배열된 시트(렌티큘러 렌즈)가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 시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물 위에 시트를 붙이거나, 시트 뒷면에 직접 이미지를 인쇄하여 제작한다. 렌티큘러 이미지는 2개 이상의 이미지를 가늘고 좁은 조각으로 잘라, 자른 이미지를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순서대로 배열하여 한 장의 이미지로 만든다. 이때 이미지의 한 조각마다 하나의 볼록 렌즈가 얹히도록 붙이거나 인쇄해야 한다. 위치가 어긋나면 깨끗하게 볼 수 없다.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는 픽셀의 열과 렌티큘러의 배열을 일치시켜 한 줄씩 건너뛰어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4. 유형
렌티큘러 인쇄는 시야각 변화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변환 인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사진을 사용하며,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기 위해 비교적 큰 시야각 변화가 필요하도록 렌즈가 설계된다.
- 애니메이션 인쇄: 두 개 이상의 순차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모션 효과"를 내거나, 이미지 일부가 확대되거나 모양이 바뀌는 "줌" 또는 "모프" 효과를 만든다. 이때 서로 다른 시야각 사이 거리는 "중간" 정도이다.
- 입체 효과: 각 눈이 약간 다른 시야를 보게 되는데, 이미지를 변경하는 데 필요한 시야각 변화가 작다.
4. 1. 변환 인쇄 (Transforming Prints)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완전히 바뀌는 "플립 효과"를 내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이미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 알마의 마리오 트렘블레이 센터에는 마리오 트렘블레이의 렌티큘러 인쇄물이 있는데, 이 인쇄물에서는 그가 알마 이글스 소속 마이너 하키 선수에서 4년 후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소속 프로 하키 선수로 변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4. 2. 애니메이션 인쇄 (Animated Prints)
여러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듯한 효과("모션 효과")를 낸다. 이미지의 일부가 확대되거나 모양이 변하는 "줌" 또는 "모프" 효과를 만들 수도 있다. 영화 스피시즈 2의 영화 포스터가 이 기술의 예시이다.[1]4. 3. 입체 효과 (Stereoscopic Prints)
렌티큘러 인쇄에서 입체 효과는 이미지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시야각의 변화가 작은 경우다. 각 눈이 약간 다른 시야를 보게 되어,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해 특수 안경 없이 3D 효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돌비-필립스 렌티큘러 3D 디스플레이는 28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를 생성한다.[1]3D 효과는 측면(나란히) 방향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입체 효과를 얻으려면 각 눈이 약간 다른 각도에서 이미지를 봐야 하기 때문이다. 렌티큘러를 통해 3D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시차가 생기는 두 장의 이미지를 조합한다(스테레오 쌍). 이 경우, 한 지점에서 보기만 해도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1]
5. 제작 과정
렌티큘러 인쇄는 최소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렌티큘러 렌즈 뒤에 배치하는 여러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65] 각 이미지는 스트립(strip) 형태로 배열(슬라이싱)된 다음, 하나 이상의 유사하게 배열된 이미지와 인터레이스(interlace,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들은 플라스틱 조각의 뒷면에 인쇄되며, 반대편에는 일련의 얇은 렌즈가 성형되어 있다. 또는 이미지를 종이에 인쇄한 다음 플라스틱에 접착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을 통해 렌즈는 평평한 투명 재료 시트의 양쪽 또는 종이 시트의 동일한 면에 인터레이스된 이미지와 동일한 인쇄 작업으로 인쇄된다. 이후 이미지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또는 투명 레이어로 덮고, 여러 층의 바니시(varnish)를 덧발라 렌즈를 생성한다.
렌즈는 이미지의 인터레이스와 정확하게 정렬되어 각 스트립에서 반사된 빛이 약간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지만, 동일한 원본 이미지에서 시작된 모든 픽셀의 빛은 동일한 방향으로 전송된다. 그 결과, 인쇄물을 바라보는 한쪽 눈은 하나의 전체 이미지를 보지만, 양쪽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어 입체 3D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5. 1. 이미지 생성 및 인터레이싱
렌티큘러 인쇄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먼저 최소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렌티큘러 렌즈 뒤에 배치하여 렌티큘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가 수집되면 개별 프레임 파일로 정렬한 후, 인터레이싱 과정을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단일 파일로 결합한다. 인터레이싱은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를 사용하거나, 전용 인터레이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각 이미지는 가늘게 슬라이싱되어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 다음, 하나 이상의 유사하게 배열된 이미지와 엇갈리게(인터레이스) 배치된다. 이렇게 엇갈리게 배치된 이미지는 플라스틱 조각의 뒷면에 인쇄하거나, 종이에 인쇄한 다음 플라스틱에 접착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조각의 반대편에는 일련의 얇은 렌즈들이 성형되어 있다.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렌즈를 평평한 투명 재료 시트의 양쪽이나 종이 시트의 같은 면에 인터레이스된 이미지와 함께 한 번의 인쇄 작업으로 인쇄할 수도 있다. 이미지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나 투명 레이어로 덮고, 여러 층의 바니시를 덧발라 렌즈를 만든다.
렌즈는 이미지의 인터레이스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각 스트립에서 반사된 빛은 약간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지만, 동일한 원본 이미지에서 시작된 모든 픽셀의 빛은 같은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하면 인쇄물을 보는 한쪽 눈은 하나의 전체 이미지를 보지만, 양쪽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어 입체 3D 효과를 낼 수 있다.
렌티큘러 이미지는 2개 이상의 이미지를 가늘고 좁은 조각으로 잘라, 자른 이미지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한 장의 이미지로 만든 것이다. 이때 이미지의 한 조각마다 하나의 볼록 렌즈가 얹히도록 붙이거나 인쇄해야 하며, 위치가 어긋나면 깨끗하게 보이지 않는다.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는 픽셀의 열과 렌티큘러의 배열을 일치시켜 한 줄씩 건너뛰어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렌티큘러의 구조는 렌티큘러 이미지 위에 미세하고 가늘고 긴 어묵 모양의 볼록 렌즈가 여러 개 늘어선 시트(렌티큘러 렌즈)가 배치된 형태이며, 이 시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물 위에 시트를 붙이거나, 시트 뒷면에 직접 이미지를 인쇄하여 렌티큘러를 제작한다.
여러 장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렌티큘러를 제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렌티큘러 제작 키트를 이용해 컴퓨터로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
5. 2. 인쇄 및 조립
렌티큘러 인쇄는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먼저, 최소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준비하여 인터레이싱(interlac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파일로 합친다. 인터레이싱은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를 사용하거나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루어진다.이렇게 만들어진 인터레이스된 이미지는 렌티큘러 렌즈의 뒷면(매끄러운 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별도의 기판(substrate, 주로 합성지)에 인쇄한 후 렌즈에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렌티큘러 이미지로 만든다. 렌즈 뒷면에 직접 인쇄할 때는 석판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하며, 이때 이미지의 각 부분이 렌즈와 정확하게 맞춰지도록(registration)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유령 현상"이나 이미지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65]
각 이미지는 가느다란 조각(strip) 형태로 배열(slicing)된 후, 다른 이미지의 조각들과 번갈아 배치(interlacing, splicing)된다. 이렇게 배열된 이미지는 플라스틱 시트의 뒷면에 인쇄되고, 반대편에는 얇은 렌즈들이 형성된다. 또는 이미지를 종이에 인쇄한 후 플라스틱에 접착할 수도 있다.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렌즈와 인터레이스된 이미지를 평평한 투명 재료 시트의 양쪽 면이나 종이 시트의 같은 면에 한 번의 인쇄 작업으로 인쇄할 수 있다. 이미지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나 투명 레이어로 덮고, 여러 층의 바니시(varnish)를 덧발라 렌즈를 만든다.
렌즈는 이미지의 인터레이스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각 조각에서 반사된 빛은 약간씩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지만, 같은 원본 이미지에서 나온 빛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결과, 보는 각도에 따라 한쪽 눈은 하나의 이미지만 보게 되지만, 양쪽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어 입체적인 3D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정용 컴퓨터 인쇄를 위한 렌티큘러 앞면 시트와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도 판매되고 있다. 인터레이스된 이미지 뒷면은 사진 해상도로 잉크젯 인쇄하여 렌티큘러 시트 뒤에 부착한다.
상업적인 렌티큘러 이미지 제작에는 민감한 열가소성 수지에 인쇄할 수 있도록 개조된 인쇄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평판 인쇄의 오프셋 인쇄가 사용되며, 렌티큘러용 인쇄기는 이미지 위치를 단위로 조정하여 렌즈 배열에 이미지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주로 자외선 경화 잉크가 사용되는데, 이 잉크는 액체 용매가 증발하는 대신 액체 상태에서 바로 고체 형태로 변환되어 빠르게 건조된다. 강력한 자외선(UV) 램프(400W/sqin)를 사용하여 잉크를 빠르게 경화시켜 렌티큘러 이미지를 고속으로 인쇄한다.
경우에 따라 전자빔 리소그래피가 사용되기도 한다. 전자빔을 표면에 주사하여 잉크 경화를 직접 유도한다.
렌티큘러의 구조는 이미지(렌티큘러 이미지) 위에 미세하고 가느다란 어묵 모양의 볼록 렌즈가 늘어선 시트(렌티큘러 렌즈)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시트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이미지 인쇄물 위에 시트를 붙이거나 시트 뒷면에 직접 이미지를 인쇄하여 제작한다. 렌티큘러 이미지는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가늘게 잘라 번갈아 배열하는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미지의 각 조각마다 하나의 볼록 렌즈가 얹히도록 정확하게 붙이거나 인쇄해야 하며, 위치가 어긋나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는 픽셀의 열과 렌티큘러 배열을 일치시켜 한 줄씩 건너뛰어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러 장의 이미지로 렌티큘러를 제작해 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렌티큘러 제작 키트를 이용해 개인용 컴퓨터로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
5. 3. 재료
렌티큘러 이미지는 PVC, APET, 아크릴, PETG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기프트 카드와 같이 렌티큘러 이미지가 많이 사용되면서, 야외 사용이나 특수 제작을 위한 다른 재료들도 인기를 얻고 있다.6. 응용 분야
렌티큘러 인쇄는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바뀌거나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내는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광고 및 판촉물: 시선을 사로잡는 효과 덕분에 포스터, 엽서, 카드 등 다양한 광고 및 판촉물에 사용된다. 아이젠하워 대통령 선거 운동 버튼(1952년), Cheerios 시리얼 상자 부착 애니메이션 카드(1950년대)처럼 초창기부터 활용되었다.[19] 최근에는 DVD, 만화책 표지, 스페인 ANAR 재단의 아동 학대 방지 포스터(2013년) 등에도 쓰인다.[57]
- 예술 작품: 3D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예술 작품에도 활용된다. 롤링 스톤스의 앨범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1967) 커버[36], Pet Shop Boys의 ''Alternative''(1995) CD 커버[41] 등이 그 예시이다. 댄 케이넨의 "포티큘러" 책 시리즈(2012년~)는 페이지를 넘길 때 렌티큘러 렌즈가 움직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낸다.[56]
- 장난감 및 완구: 인형의 깜빡이는 눈, 뽑기 기계 경품 등 장난감에도 사용된다. 1960년 타카라에서 만든 닥코짱 인형은 렌티큘러 눈을 가진 골리와그 장난감으로, 일본 십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35]
- 출판 및 인쇄물: 21세기 초부터 ''롤링 스톤'' 표지, 트레이딩 카드 등에 활용되었다.[19] 1990년대부터는 한정판 CD 커버, 만화책 수집용 커버에도 사용되었다.
- 우표: 1967년 부탄에서 처음 3D 렌티큘러 우표를 발행한 이후,[50] 여러 국가에서 렌티큘러 우표를 발행했다. 2004년 뉴질랜드에서 풀 모션 렌티큘러 우표가 발행된 후, 스포츠 행사 등을 묘사한 유사한 우표들이 제작되었다.[52]
- 기타: 전동 렌티큘러는 모터를 사용해 렌즈 뒤 그래픽을 움직여 효과를 낸다.[47] 렌티큘러는 3D 안경 없이 3D 효과를 내는 자동 입체 텔레비전에도 사용된다. Apple Vision Pro(2024)는 착용자 눈 영상을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했다.[68]
6. 1. 광고 및 판촉물
렌티큘러는 포스터, 엽서, 배지, 카드, 스티커 등 다양한 광고 및 판촉물에 사용되어 시선을 사로잡는 효과를 통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다.구분 | 내용 |
---|---|
초기 활용 | |
발전 | |
현대적 활용 | |
정치/선거 관련 |
6. 2. 예술 작품
렌티큘러 인쇄는 보는 각도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보여주거나, 짧은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렌티큘러 이미지는 3D 효과나 여러 색상 변화를 통해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1966년경부터 여러 회사들이 렌티큘러 엽서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흔한 주제로는 윙크하는 소녀, 종교적인 장면, 동물, 관광지, 핀업 모델 등이 있었다.[36]
롤링 스톤스의 1967년 앨범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의 앨범 커버에 렌티큘러 사진이 사용되었다.[36] 이 외에도 조니 캐쉬의 ''The Holy Land'' (1969),[37] The Stranglers의 ''The Raven''[38] 등의 앨범 커버에도 렌티큘러가 사용되었다. 2010년대에는 렌티큘러 LP 커버가 디럭스 재발매판을 중심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다.[39]
1973년에는 Saturnalia 밴드가 ''Magical Love'' picture disc LP에 렌티큘러 라벨을 사용했다.[40]
1990년대 중반부터는 렌티큘러 CD 커버도 제작되었다. Pet Shop Boys의 ''Alternative'' (1995),[41] the Supersuckers의 ''The Sacrilicious Sounds of the Supersuckers'' (1995),[42] Tool의 ''Ænima'' (1996) 등이 대표적이다. Ministry의 ''The Last Sucker'' 앨범 (2007)에는 조지 W. 부시가 괴물로 변하는 이미지가 사용되었다.[45]
2010년대에는 DVD 및 블루레이 영화의 렌티큘러 커버가 널리 사용되었다. 1990년대부터 만화책의 수집용 커버로도 활용되었으며, 마블, DC 등에서 3D 효과를 가진 커버를 제작했다.[46]
1967년 8월, 빅터 앤더슨 3D 스튜디오는 '렌토그래프(Lentograph)'라는 렌티큘러 판을 판매했다.[47][48] 렌토그래프는 주로 폴 커닝햄의 성경적 묘사를 3D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 많았으며, 가정적인 장면을 연출한 테디 베어 가족 등의 작품도 있었다.[49]
2012년에는 댄 케이넨의 "포티큘러" 책인 《사파리(Safari)》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스캐니메이션 방식과 유사하게 페이지를 넘길 때 렌즈 시트가 움직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냈다.[56] 이후 《오션(Ocean)》(2014), 《폴라(Polar)》(2015) 등이 출판되었다.
2013년, 스페인 ANAR 재단은 렌티큘러 포스터를 통해 아동 학대 방지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포스터는 어린이의 시선에서만 학대받는 아이의 이미지와 도움 요청 문구가 보이도록 제작되었다.[57][58]
6. 3. 장난감 및 완구
1958년 빅터 앤더슨은 렌티큘러 눈이 깜빡이는 안경 마운트인 '안구 장난감'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34] 렌티큘러 이미지는 뽑기 기계 경품과 같이 작고 저렴한 플라스틱 장난감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렌티큘러 화면이 있는 소형 장난감 텔레비전, 렌티큘러 얼굴을 가진 동물 모양의 장식, "플리커 링" 등이 있다.1960년 타카라에서 만든 렌티큘러 눈을 가진 작은 플라스틱 골리와그 장난감인 닥코짱은 원래 유아용으로 제작되었지만, 팔에 착용하는 패션 액세서리로 일본 십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35] 같은 해, 일본에서는 아기 인형의 눈에 렌티큘러가 사용되어 각도에 따라 윙크하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66][67]
Cracker Jack 상자에서는 다양한 렌티큘러 "틸트 카드"가 경품으로 제작되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Vari-Vue (1950년대~1970년대), 나중에는 Toppan Printing, Ltd. (1980년대)와 Optigraphics Corporation (1980년대~1990년대)에서 제작되었다.[33] 1950년대에 픽토리얼 프로덕션스/Vari-Vue는 Cheerios를 위해 작은 애니메이션 그림 카드를 제작했으며, 설립자 빅터 앤더슨은 4천만 개를 생산했다고 주장했다.[19]
6. 4. 출판 및 인쇄물
21세기 초, 렌티큘러 이미지는 ''롤링 스톤'' 표지, 트레이딩 카드, 스포츠 포스터 등에 활용되며 인기를 얻었다.[19] 1950년대에는 Cheerios의 작은 애니메이션 그림 카드와 Cracker Jack 상자의 "틸트 카드" 경품이 제작되었다.[33]롤링 스톤스의 1967년 LP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앨범 커버에 렌티큘러 사진이 사용되었고,[36] 조니 캐쉬의 ''The Holy Land'' (1969),[37] The Stranglers의 ''The Raven''[38] LP 커버에도 사용되었다. 1973년, Saturnalia 밴드는 ''Magical Love'' picture disc LP에 렌티큘러 라벨을 적용했다.[40] 2010년대에는 디럭스 재발매판 LP 커버에 렌티큘러가 다소 흔하게 사용되었다.[39]
1990년대 중반부터는 Pet Shop Boys의 ''Alternative'' (1995),[41] the Supersuckers의 ''The Sacrilicious Sounds of the Supersuckers'' (1995),[42] Ministry의 ''The Last Sucker'' (2007)[45] 등 한정판 CD 커버에 렌티큘러가 사용되었다. 2010년대에는 DVD 및 블루레이 영화 커버에도 렌티큘러가 많이 사용되었다.
1990년대부터 만화책 수집용 커버에도 렌티큘러가 사용되었다.[46]
2012년에는 댄 케이넨의 "포티큘러" 책 《사파리(Safari)》가 출판되었는데, 페이지를 넘길 때 렌즈 시트가 움직여 비디오 이미지가 애니메이션화되는 스캐니메이션 방식과 유사하다.[56] 이후 《오션(Ocean)》(2014), 《폴라(Polar)》(2015), 《정글(Jungle)》(2016), 《와일드(Wild)》(2017), 《다이노소어(Dinosaur)》(2018), 《아웃백(Outback)》(2019)이 출판되었다.
6. 5. 우표
1967년 부탄에서 처음으로 렌티큘러 3D 우표를 도입했다. 이는 미국 사업가 버트 커 토드(Burt Kerr Todd)가 설립한 부탄 우표 대행사의 여러 독특한 우표 디자인 중 하나였다.[50][51] 이후 예멘, 마나마, 움 알 쿠와인, 북한 등에서도 1970년대에 렌티큘러 우표를 발행했다. 1980년대 초부터는 북한 등에서 애니메이션 렌티큘러 우표가 발행되기 시작했다.[52]2004년 뉴질랜드에서 풀 모션 렌티큘러 우표가 발행된 이후, 여러 국가에서 스포츠 행사 등을 묘사한 유사한 렌티큘러 풀 모션 효과를 가진 우표를 제작했다.[52] 2010년에는 네덜란드에서 안톤 코르빈(Anton Corbijn) 감독, 배우 카리스 판 하우턴(Carice van Houten) 출연의 "가장 작고 짧은 영화"가 우표로 제작되기도 했다.[53]
2012년 영국에서는 디자인 컨설턴시 GBH.London이 제리 앤더슨(Gerry Anderson)과 실비아 앤더슨(Sylvia Anderson)의 TV 시리즈 ''썬더버드''를 기반으로 한 4개의 완전 렌티큘러 우표를 포함한 미니시트를 제작, 영국 최초의 '모션 우표'를 선보였다. 이 우표와 배경 테두리는 뉴질랜드 Outer Aspect에서 제작한 48프레임 '모션프린트' 기술을 사용했다.
2018년 8월, 미국 우편 서비스는 "마술의 예술" 렌티큘러 우표를 세 개의 기념 시트로 판매했다. 이 우표는 마술을 기념하기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각 우표를 돌리면 검은색 탑 hat에서 흰 토끼가 튀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54]
2019년 8월, 미국 우편 서비스는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 렉스를 특징으로 하는 두 번째 렌티큘러 우표를 도입했다. 이 우표는 "4가지 디자인 중 2가지가 돌리면 움직임을 보여준다. 살이 없는 뼈의 잔해와 다가오는 티라노사우루스가 갑자기 앞으로 돌진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설명되었다.[55]
6. 6. 기타
전동 렌티큘러는 모터를 사용하여 렌즈 뒤의 그래픽을 움직여 시청자와 디스플레이가 모두 고정된 상태에서도 그래픽 효과를 낼 수 있다.[47][48]1930년대 초부터 많은 연구자들이 렌티큘러 시네마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허버트 E. 아이브스(Herbert E. Ives)는 1930년 10월 31일에 소규모 그룹만 볼 수 있는 작은 자동 입체 영화 장치를 선보였다. 아이브스는 수년에 걸쳐 그의 시스템을 계속 개선했지만, 자동 입체 영화를 제작하는 것은 상업적 목적으로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고 여겨졌다.[61]
렌티큘러 배열은 3D 안경 없이 3D 시각 효과를 만들어내는 자동 입체 텔레비전에도 사용되었다. 2010년이 되어서야 다양한 3D 텔레비전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는 수직에서 기울어진 원통형 렌즈 또는 벌집 패턴으로 배열된 구형 렌즈를 사용하여 더 나은 해상도를 제공했다. 2012년에는 4천만 대 이상의 3D 텔레비전이 판매되었지만(안경이 필요한 시스템 포함),[63] 2016년까지 3D 콘텐츠는 희귀해졌고 제조업체는 3D TV 세트 생산을 중단했다. 더 저렴한 시스템에서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필요성은 고객에게 실망감을 준 것으로 보이지만, 저렴한 자동 입체 텔레비전은 미래의 해결책으로 여겨졌다.[64]
렌티큘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림이 바뀌는 효과.
- 애니메이션 효과.
- 3D 효과 (\[\[스테레오그램#스테레오 쌍|스테레오 쌍]]).
일본에서는 1960년에 발매된 아기 인형의 눈에 렌티큘러가 사용되어 각도에 따라 윙크하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66][67]
2024년에 출시된 Apple Vision Pro에서는 착용자의 눈 영상을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렌티큘러 렌즈가 사용되었다.[68]
7. 문제점 및 해결 과제
렌티큘러 기술은 여러 장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문제점과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다.
디자인 결함
- 입체 및 깊이의 이중 이미지: 3D 효과가 과장되거나 프레임 수가 부족하면 이중 이미지가 발생한다. 이는 입체적인 물체에서 이중화, 작은 점프, 흐릿한 이미지 등을 유발한다.
- 이미지 고스팅: 소스 이미지를 부적절하게 처리하거나,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는 효과를 요구하면 고스팅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사라져야 할 이미지가 계속 보이는 현상이다.
프리프레스(Prepress) 결함
- 밴딩: 피치와 인쇄(마스터)의 동기화 문제, 즉 재료 보정이 불량하면 이미지 전환이 인쇄물 전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마치 베일이나 커튼이 시각을 가로지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1]
- 불협화음: 지지체의 잘못된 보정이나 사전 인쇄 작업의 잘못된 매개변수화로 인해 발생하며, 렌티큘러에 평행하게 나타나는 줄무늬로 나타난다.[2]
인쇄 결함
- 색상 동기화 문제: 가소성 재료, 잘못된 인쇄 조건 및 조정, 색상별 오프셋 플레이트 조각의 치수 차이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미지 중복, 선명도 부족, 줄무늬 또는 물결 모양 색상 등의 결함으로 나타난다.
- 위상 결함: 렌티큘에 대한 인쇄의 평행성이 맞지 않으면 발생한다. 이미지 전환이 대각선 방향으로 지연되어, 이미지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에서 다른 효과가 나타난다.
절단 결함렌티큘러 렌즈의 절단 방식 결함은 렌즈와 이미지 사이에 위상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다음은 동일한 생산 배치에서 가져온 두 가지 절단 결함 예시이다.
첫 번째 이미지 | 두 번째 이미지 |
---|---|
![]() | ![]() |
첫 번째 이미지는 렌티큘러 렌즈의 불규칙한 절단을 보여주며, 두 번째 이미지는 첫 번째 렌즈의 일부가 제거된 절단을 보여준다. 이러한 절단 결함은 심각한 위상 문제를 야기한다.
7. 1. 디자인 결함

- '''입체 및 깊이의 이중 이미지'''
이중 이미지는 주로 특정 시점에서 3D 효과가 과장되거나 프레임 수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디자인 결함은 특히 입체적이거나 깊이 있는 물체에서 이중화, 작은 점프, 또는 흐릿한 이미지를 유발할 수 있다. 전경과 배경이 흐릿하거나 음영 처리된 일부 시각 자료에서는 이러한 과장이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필요한 세부 묘사와 정밀도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허용되지 않는다.
- '''이미지 고스팅'''
고스팅은 소스 이미지를 부적절하게 처리하고, 시스템의 한계 및 기술적 가능성을 넘어서는 효과를 요구하는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사라져야 할 이미지가 계속 보이게 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효과는 렌티큘러 프린트의 조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7. 2. 프리프레스(Prepress) 결함
피치와 인쇄(마스터)의 동기화 문제는 "밴딩"이라고도 불리며, 재료 보정이 불량하면 이미지 전환이 인쇄물 전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 전환은 인쇄물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진행되어 마치 베일이나 커튼이 시각을 가로지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현상은 3D 효과에서는 덜 느껴지지만, 가로 이미지에서는 점프 현상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전환이 여러 곳에서 시작되어 각 시작점에서 다음 지점으로 진행되면서, 여러 개의 커튼이 시각을 가로지르는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1]불협화음은 지지체의 잘못된 보정이나 사전 인쇄 작업의 잘못된 매개변수화로 인해 발생하며, 렌티큘러에 평행하게 나타나는 줄무늬로 나타난다. 특히 하나의 시각에서 다른 시각으로 전환되는 동안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2]
7. 3. 인쇄 결함
렌티큘러 인쇄에서 색상 동기화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이는 가소성이 있는 재료, 잘못된 인쇄 조건 및 조정, 각 색상별 오프셋 플레이트 조각의 치수 차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시각적 결함으로 나타난다.
- 이미지 중복
- 선명도 부족
- 줄무늬 또는 물결 모양 색상 (특히 4색 음영의 경우)
렌티큘에 대한 인쇄의 평행성이 맞지 않으면 위상 결함이 발생한다. 이는 인쇄 오류로 인해 발생하며, 한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전환될 때 전체적으로 동시에 전환되지 않고 대각선 방향으로 지연되는 현상이다. 결과적으로 이미지의 한쪽 대각선 끝에서는 한 가지 효과가 나타나고, 다른 쪽 끝에서는 다른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대부분의 위상 문제는 재료가 부정확하게 절단되어 발생한다. 하지만 열악한 인쇄 및 정정 조건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특정 시야각에서 전체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시각적 이미지가 나타나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시야각은 약 45°이며, 마스터에서 제공하는 시퀀스와 일치해야 한다. 만약 이미지가 수직으로 겹쳐 보이거나(3D의 경우), 왼쪽에서 보아야 할 이미지가 오른쪽(또는 위/아래)에 나타난다면 위상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7. 4. 절단 결함
렌티큘러 렌즈의 절단 방식 결함은 렌즈와 이미지 사이에 위상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동일한 생산 배치에서 가져온 두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미지 | 두 번째 이미지 |
---|---|
첫 번째 이미지는 첫 번째 렌즈의 약 150μm를 제거한 절단을 보여주며, 렌티큘러 렌즈의 불규칙한 절단을 보여준다. 두 번째 이미지는 첫 번째 렌즈의 약 30μm를 제거한 절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절단 결함은 심각한 위상 문제를 야기한다. 인쇄기에서 인쇄되는 이미지는 재료 시트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정렬된다. 시트가 첫 번째 렌티큘과 관련하여 항상 같은 위치에서 절단되지 않으면 렌즈와 이미지 조각 사이에 위상 오류가 발생한다.
8. 관련 기술
로럭스(Rowlux)는 뉴저지주의 한 소규모 회사에서 생산한 관련 제품이다. Vari-Vue 제품과 달리, 로럭스는 1972년에 특허를 받은 공정을 통해 제작된 마이크로 프리즘 렌즈 구조를 사용했으며,[59] 종이 인쇄는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 유연한 PVC, 이후 PETG)을 반투명 색상으로 염색했으며, 필름은 일반적으로 얇고 유연했다(두께는 약 0.01cm 또는 그 이상).
듀펙스 공정(Dufex Process)(F.J. Warren Ltd.에서 제조)[60]은 이미지를 금속 포일에 인쇄한 후 왁스 층으로 코팅된 카드 종이에 적층하고, 엠보싱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렌즈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가열된 라미네이션 프레스는 상부 플래튼에 듀펙스 엠보싱 플레이트가 있으며, 이 플레이트에는 작품과 일치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각도의 '렌즈'가 새겨져 있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강도로 빛을 반사한다.
참조
[1]
뉴스
The Lenticular Print at Centre Mario-Tremblay {{!}} Re-Surfacing
https://re-surfacing[...]
2018-01-18
[2]
웹사이트
Art, Science, Technology
http://csis.pace.edu[...]
[3]
간행물
The First Picture Show: Cinematic Aspects of Cave Art
https://muse.jhu.edu[...]
[4]
간행물
'"Turning Pictures" in Shakespeare\'s England'
1977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obertsim[...]
2017-03-10
[6]
간행물
Optical Art
[7]
웹사이트
US834048.pdf
https://docs.google.[...]
[8]
웹사이트
US856519.pdf
https://docs.google.[...]
[9]
문서
Images stéréoscopiques de grand format
Cosmos
1896-05-16
[10]
웹사이트
US624043.pdf
https://docs.google.[...]
[11]
서적
3D and Animated Lenticular Photography : Between Utopia and Entertainment
De Gruyter
2015
[12]
웹사이트
1475574845645401268-01128979
https://patentimages[...]
2018-08-11
[13]
서적
Fotografie und Raum
https://books.google[...]
Waxmann Verlag
[14]
웹사이트
3 x 3D Lenticular Picture by W.R. Hess, c. 1912 "Stereo-Photo nach W.R. Hess - Stereo-Photographie
https://www.the-sale[...]
2017-03-25
[15]
서적
History of Lenticular and related Autostereoscopic Methods
http://www.microlens[...]
[16]
웹사이트
History of Lenticular-Book.idd
http://archiviostere[...]
2018-08-11
[17]
웹사이트
lenticular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18]
웹사이트
US2063985.pdf
https://docs.google.[...]
[19]
서적
What is the attraction of a slice of life we can hold in our hand?
[20]
웹사이트
VINTAGE DWIGHT DAVID EISENHOWER I LIKE IKE FLASHER POLITICAL PIN - Vintage-Toys-For-Sale.com (item 669)
http://vintage-toys-[...]
2017-03-23
[21]
웹사이트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Third series
https://books.google[...]
2018-08-11
[22]
웹사이트
VARI-VUE Trademark - Registration Number 0606428 - Serial Number 71657794 :: Justia Trademarks
https://trademarks.j[...]
[23]
웹사이트
Flicker Ring Information
http://www.toyring.c[...]
2017-03-24
[24]
서적
The Xograph®: An Investigation of Parallax Panoramagrams and Earlier Autostereoscopic Techniques
[25]
웹사이트
Living in a parallax panoramagram universe
http://tatteredandlo[...]
[26]
웹사이트
MAGIC MOTION Trademark - Registration Number 0792957 - Serial Number 72204940 :: Justia Trademarks
https://trademarks.j[...]
[27]
웹사이트
Performance Buys Lenticular Leader, Optigraphics
http://www.piworld.c[...]
1999-05
[28]
웹사이트
Trademark: MAGIC MOTION (Serial no. 73081051)
http://www.tmfile.co[...]
2017-04-10
[29]
웹사이트
CARDS: Slurpee "coins" provide some sweet memories
http://www.bristolpr[...]
2011-09-13
[30]
웹사이트
Lenticular Printing - BaseballCardPedia.com
http://baseballcardp[...]
[31]
웹사이트
Pictorial Productions Inc. - Busy Beaver Button Museum
http://www.buttonmus[...]
[32]
웹사이트
Billboar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56-12-22
[33]
웹사이트
The Alphabet26 Dictionary of Cracker Jack Prize Collecting Terms
http://www.crackerja[...]
[34]
웹사이트
US2832593.pdf
https://docs.google.[...]
[35]
잡지
JAPAN: Dakkochan Delirium
http://content.time.[...]
1960-08-29
[36]
웹사이트
http://en.allexperts[...]
[37]
웹사이트
Johnny Cash - The Holy Land
https://www.discogs.[...]
[38]
웹사이트
The Stranglers - The Raven
https://www.discogs.[...]
[39]
웹사이트
Optical: Lenticulars
https://www.discogs.[...]
[40]
웹사이트
Saturnalia (2) - Magical Love
https://www.discogs.[...]
[41]
웹사이트
Pet Shop Boys - Alternative
https://www.discogs.[...]
[42]
웹사이트
Supersuckers - The Sacrilicious Sounds of the Supersuckers
https://www.discogs.[...]
[43]
웹사이트
The Velvet Underground - Loaded
https://www.discogs.[...]
[44]
웹사이트
David Bowie - Hours...
https://www.discogs.[...]
[45]
웹사이트
Ministry - The Last Sucker
https://www.discogs.[...]
[46]
웹사이트
Take a Look at the Full Marvel Legacy Lenticular Cover Variant Complete 54 Comic Set!
https://legacycomics[...]
[47]
웹사이트
VICTOR ANDERSON 3 D STUDIOS, INC. :: Business Lookup
https://web.archive.[...]
2017-03-27
[48]
웹사이트
Apply for a Trademark. Search a Trademark
http://www.trademark[...]
[49]
웹사이트
lentograph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n[...]
[50]
웹사이트
Little Ambassadors of the Country
https://worksthatwor[...]
[51]
웹사이트
Space travel - 1967
https://www.catawiki[...]
[52]
웹사이트
Postage Stamp Chat Board & Stamp Bulletin Board Forum • View topic - UNUSUAL stamps of the world - add scans of yours
https://web.archive.[...]
2022-01-17
[53]
웹사이트
1 second film on Dutch stamp by Anton Corbijn
https://vimeo.com/15[...]
KesselsKramer
2010-09-30
[54]
웹사이트
The Art of Magic Souvenir Sheet Stamp
https://store.usps.c[...]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20-04-23
[55]
웹사이트
Fearsome Dinosaur Immortalized on Forever Stamps
https://about.usps.c[...]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9-08-29
[56]
Youtube
Dan Kainen's Photicular™ Technology: How it Works
https://www.youtube.[...]
Workman Publishing
2014-10-29
[57]
뉴스
Abuse awareness poster is 'only fully visible to children'
http://bbc.com/news/[...]
2013-05-06
[58]
웹사이트
ANAR Foundation create a powerful High-Tech Lenticular Poster campaign - FESPA | Screen, Digital, Textile Printing Exhibitions, Events and Associations
http://fespa.com/en/[...]
[59]
특허
Method for producing retroreflective material
1972-09-05
[60]
웹사이트
F.J. Warren Ltd
http://www.kompass.c[...]
2008-06-04
[61]
서적
Stereoscopic Cinema and the Origins of 3-D Film, 1838-195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01-29
[62]
웹사이트
Stereoscopic television means
https://patents.goog[...]
[63]
뉴스
3D TV-sales growth
https://web.archive.[...]
2013-03-18
[64]
뉴스
3D television is dead: Samsung and LG cut back on 3D TV production
http://www.ibtimes.c[...]
2016-02-08
[65]
웹사이트
3D Lenticular Printing Using Photoshop and Inkjet Printer
https://www.instruct[...]
[66]
웹사이트
JAPAN: Dakkochan Delirium
https://content.time[...]
2022-12-10
[67]
서적
アレの名前大百科
PHP研究所
2010-10-05
[68]
웹사이트
"Apple Vision Pro"をiFixitがさっそく解剖 EyeSightのしくみを探る - ITmedia NEWS
https://www.itmedia.[...]
2024-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