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런츠 메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런츠 메달은 네덜란드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이론 물리학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1927년부터 수여되었으며, 막스 플랑크, 볼프강 파울리, 라스 온사게르, 존 밴 블렉,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피에르질 드 젠, 칼 와이먼, 에릭 코넬, 프랭크 윌첵, 에드워드 위튼, 후안 말다세나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이 수상했다. 수상자들은 양자역학, 열역학, 자기 이론, 액정 물리학,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게이지 이론, 점근적 자유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헨드릭 로런츠 - 로런츠 힘
    로렌츠 힘은 전기장과 자기장 내에서 움직이는 하전 입자에 작용하는 힘으로, 전기력과 자기력의 합으로 표현되며, 전동기, 발전기, 입자 가속기 등 다양한 장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맥스웰 방정식과 함께 전자기 현상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 헨드릭 로런츠 - 길이 수축
    길이 수축은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길이가 정지한 관찰자에게는 더 짧게 측정되는 현상으로, 운동 방향으로만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나타나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로런츠 메달

2. 수상자

wikitable

연도수상자
1927막스 플랑크
1931볼프강 파울리[18]
1935페터 데바이[17]
1939아르놀트 조머펠트
1947헨드릭 A. 크라머르스
1953프리츠 런던
1958라스 온사게르[16]
1962루돌프 파이얼스
1966프리먼 다이슨
1970조지 어렌벡
1974존 밴 블렉[15]
1978니콜라스 블룸버겐[14]
1982아나톨 아브라감
1986헤라르뒤스 엇호프트
1990피에르질 드 젠[13]
1994알렉산더 폴리야코프
1998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
2002프랭크 윌첵[12]
2006레오 카다노프[10][11]
2010에드워드 위튼[8][9]
2014마이클 베리[6][7]
2018후안 말다세나[4][5]
2022단 프렌켈[3]


2. 1. 전체 수상자 명단 (1927년 ~ 현재)

연도수상자
1927막스 플랑크
1931볼프강 파울리[18]
1935페터 데바이[17]
1939아르놀트 조머펠트
1947헨드릭 A. 크라머르스
1953프리츠 런던
1958라스 온사게르[16]
1962루돌프 파이얼스
1966프리먼 다이슨
1970조지 어렌벡
1974존 밴 블렉[15]
1978니콜라스 블룸버겐[14]
1982아나톨 아브라감
1986헤라르뒤스 엇호프트
1990피에르질 드 젠[13]
1994알렉산더 폴리야코프
1998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
2002프랭크 윌첵[12]
2006레오 카다노프[10][11]
2010에드워드 위튼[8][9]
2014마이클 베리[6][7]
2018후안 말다세나[4][5]
2022단 프렌켈[3]


2. 1. 1. 1920년대

1927년에는 막스 플랑크가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2. 1. 2. 1930년대

1931년에는 볼프강 파울리[18]가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1935년에는 페터 데바이[17]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1939년에는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다.

2. 1. 3. 1940년대

wikitable

연도수상자
1947헨드릭 A. 크라머르스


2. 1. 4. 1950년대

wikitext

연도수상자
1953년프리츠 런던
1958년라스 온사게르[16]


2. 1. 5. 1960년대

1962년에 루돌프 파이얼스가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고, 1966년에는 프리먼 다이슨이 수상하였다.

2. 1. 6. 1970년대

1970년 조지 어렌벡이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다.[15] 1974년에는 존 밴 블렉이 수상하였다.[14] 1978년에는 니콜라스 블룸버겐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 1. 7. 1980년대

wikitable

연도수상자
1982아나톨 아브라감
1986헤라르뒤스 엇호프트


2. 1. 8. 1990년대

1990년에는 피에르질 드 젠이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13] 1994년에는 알렉산더 폴리야코프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1998년에는 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이 공동 수상하였다. 이들은 뛰어난 연구 업적으로 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은 노벨 물리학상까지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 1. 9. 2000년대

2002년에는 프랭크 윌첵이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12] 2006년에는 레오 카다노프가 수상하였고[10][11], 2010년에는 에드워드 위튼이 수상하였다.[8][9]

2. 1. 10. 2010년대

wikitable


2. 1. 11. 2020년대

단 프렌켈[3]

2. 2. 주요 수상자 및 업적

연도수상자주요 업적
1927막스 플랑크양자역학의 기초 확립, 플랑크 상수 도입.
1931볼프강 파울리[18]파울리 배타 원리 제안.
1935페터 데바이[17]분자 구조 및 쌍극자 모멘트 연구.
1939아르놀트 조머펠트
1947헨드릭 크라머르스
1953프리츠 론돈
1958라스 온사게르[16]비가역 과정의 열역학 연구.
1962루돌프 파이얼스
1966프리먼 다이슨
1970조지 윌렌벅(George Uhlenbecknl)
1974존 밴 블렉[15]현대 자기 이론의 기초 확립.
1978니콜라스 블룸베르헌[14]비선형 광학 및 레이저 분광학 연구.
1982아나톨 아브라강(Anatole Abragam프랑스어)
1986헤라르뒤스 엇호프트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 가능성 증명.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90피에르질 드 젠[13]액정 및 고분자 물리학 연구.
1994알렉산드르 폴랴코프
1998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
2002프랭크 윌첵[12]점근적 자유성 발견.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
2006레오 카다노프
2010에드워드 위튼
2014마이클 베리
2018후안 말다세나
2022단 프렌켈


2. 2. 1. 막스 플랑크 (1927년 수상)

막스 플랑크는 양자역학의 기초를 확립한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플랑크 상수를 도입하였다.

2. 2. 2. 볼프강 파울리 (1931년 수상)

볼프강 파울리는 1931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다.[18] 그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제안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2. 2. 3. 페터 데바이 (1935년 수상)

페터 데바이는 1935년에 분자 구조 및 쌍극자 모멘트 연구에 대한 공헌으로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다.[17]

2. 2. 4. 라르스 온사게르 (1958년 수상)

라스 온사게르[16]는 비가역 과정의 열역학 연구에 대한 공헌으로 1958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2. 2. 5. 존 해즈브룩 밴블렉 (1974년 수상)

존 밴 블렉[15]은 현대 자기 이론의 기초를 확립한 공로로 1974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2. 2. 6.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1978년 수상)

니콜라스 블룸베르헌[14]은 비선형 광학 및 레이저 분광학 연구에 기여했다.

2. 2. 7.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1986년 수상)

헤라르뒤스 엇호프트는 1986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 가능성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엇호프트는 이후 노벨 물리학상도 수상하여, 로런츠 메달과 노벨 물리학상을 모두 수상한 인물이 되었다.

2. 2. 8. 피에르질 드 젠 (1990년 수상)

피에르질 드 젠은 1990년에 액정 및 고분자 물리학 연구로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13]

2. 2. 9. 칼 위먼 & 에릭 앨린 코넬 (1998년 수상)

칼 와이먼과 에릭 코넬은 1998년에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로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 이들은 훗날 노벨 물리학상도 수상하게 된다.

2. 2. 10. 프랭크 윌첵 (2002년 수상)

프랭크 윌첵은 2002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다.[12] 윌첵은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했다. 윌첵은 이후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다.

참조

[1] 서적 Lorentz, Gevierd Wetenschapper, Geboren Verzoener Prometheus 2019
[2] 논문 Highly prestigious international academic awards and their impact on university rankings
[3]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www.knaw.nl/[...]
[4]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knaw.nl/en/n[...]
[5] 간행물 IAS press release https://www.ias.edu/[...] 2018-03-28
[6]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www.knaw.nl/[...]
[7] 간행물 Bristol University press release http://www.bris.ac.u[...]
[8]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knaw.nl/en/n[...]
[9] 간행물 IAS press release https://www.ias.edu/[...] 2010-06-29
[10]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www.knaw.nl/[...]
[11] 간행물 APS press release https://www.aps.org/[...]
[12] 간행물 KNAW press release https://www.knaw.nl/[...]
[13]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4]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5]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6]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7]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8] 간행물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