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레인 뵈트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레인 뵈트너(Loraine Boettner, 1901년 3월 7일 ~ ?)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작가이다. 뵈트너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파이크빌 칼리지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칼뱅주의 예정론을 다룬 『개혁주의 예정론』을 비롯하여 다양한 신학 서적을 저술했으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서 《로마 가톨릭교》로 논란을 일으켰다. 뵈트너의 저서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20세기 미국 소설가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20세기 미국 소설가 - 조앤 디디온
    조앤 디디온은 미국의 저널리스트, 소설가, 에세이스트, 시나리오 작가로, 뉴 저널리즘의 대표 작가로 꼽히며 수필집과 소설, 회고록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미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시했다.
  • 1990년 사망 - 조영래
    조영래는 한국의 인권변호사이자 민주화운동가, 문필가로서,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 변호사 활동과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으며,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등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90년 사망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로레인 뵈트너
기본 정보
로레인 뵈트너
로레인 뵈트너
출생명로레인 뵈트너
출생일1901년 3월 7일
출생지린든, 미주리 주
사망일1990년 1월 3일
국적미국
언어영어
직업 및 활동
직업신학자
신학적 관점
주요 관심사가톨릭 논쟁
주요 저서예정론에 관한 개혁주의 교리
로마 가톨릭교
영향을 준 인물(정보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정보 없음)
기타
활동 기간1933년-1990년
종교적 전통 및 운동개혁주의

2. 생애

로레인 뵈트너는 1901년 3월 7일 미주리주에서 태어나 미주리 대학교, 타키오 장로교 대학,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공부했다. 1929년부터 켄터키주 파이크빌 칼리지에서 가르쳤으며, 이후 워싱턴 D.C.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생활하다 1958년 아내가 사망한 후 미주리주 록포트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

정통 장로교회 교인이었던 뵈트너는 신학이나 성경 연구를 직업으로 삼지는 않았지만, ''예정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리''와 ''로마 가톨릭교'' 등의 책을 저술했다.[4] 그의 저서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뵈트너는 1901년 3월 7일 미주리주 린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뵈트너는 기독교 학교의 교장이었으며, 독일 슈바르첸하젤에서 태어났다.[2] 뵈트너는 18세까지 아버지의 교회를 다녔고, 그 후 어머니의 교회인 센테니얼 감리교회에 다녔다. 론 시더 초등학교와 페어뷰 초등학교를 거쳐 타키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17년에는 컬럼비아에 있는 미주리 대학교에서 농업을 공부했다.[3] 1년 후, 타키오 장로교 대학으로 옮겨 1925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25년 가을, 프린스턴 신학교에 입학하여 1928년 신학사(Th.B.) 학위를, 이듬해 신학 석사(Th.M.) 학위를 받았다. 그의 석사 논문은 ''예정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리''의 토대가 되었다.[3] 1933년과 1957년에는 타키오 칼리지에서 각각 명예 신학 박사와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신학 연구 및 교수 활동

뵈트너는 1925년 가을 프린스턴 신학교에 입학하여 1928년 신학사(Th.B.) 학위를 받았다. 이듬해 신학 석사(Th.M.) 학위를 받았다. 그의 석사 논문은 ''예정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리''의 토대가 되었다.[3] 1929년부터 1937년까지 켄터키주 동부의 파이크빌 칼리지(파이크빌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그곳에서 역시 교사였던 아내를 만났다. 1933년 타키오 칼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2. 3. 워싱턴 D.C. 및 캘리포니아 시절

1937년, 뵈트너 부부는 파이크빌을 떠나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국회 도서관에서 일했다. 1942년부터 1947년까지는 국세청에서 근무했다.[3]

1948년, 뵈트너 부부는 건강이 악화된 아내를 간호하기 위해 아내의 자매들이 있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3] 1957년, 타키오 칼리지는 그에게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958년 아내가 사망한 후, 뵈트너는 고향인 미주리주 록포트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3]

2. 4. 말년

1958년 아내가 사망한 후, 뵈트너는 고향인 미주리주 록포트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3]

그는 정통 장로교회의 교인이었다.

뵈트너는 신학이나 성경 연구를 직업으로 삼지는 않았지만, 죽기 직전까지 꾸준히 책을 쓰고 출판했다. 그의 가장 성공적인 책은 ''예정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리''와 로마 가톨릭교 신앙에 대한 비판적인 해설인 ''로마 가톨릭교''였다.[4] ''로마 가톨릭교''는 가톨릭 교회를 적대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가톨릭 학자들은 이 책이 뵈트너의 "지적 객관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평가했다.[5] 최근의 가톨릭 박사 학위 연구에서는 뵈트너가 ''로마 가톨릭교''에서 수행한 연구가 "단순히 부실하며", 오래되고 반박된 반가톨릭적 표현을 사용한다고 주장한다.[6]

''예정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리''와 ''불멸''은 차오 허 차오(1952, 1962)에 의해 중국어로, 이보 카로비오에 의해 독일어로, 그리고 일본어로 번역되었다.[7]

3. 신학 및 사상

로레인 뵈트너는 기독교 신학, 특히 개혁주의 신학에 깊이 헌신한 인물로, 그의 신학적 관점과 사상은 여러 저술을 통해 나타난다.

3. 1. 기타 저술 활동

뵈트너는 신학과 기독교 관련 주제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개혁주의 예정론』 (The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1932년
『복음서의 조화』 (Harmony of the Gospels)1933년 (1976년)
『복음서 요약』 (A Summary of the Gospels)1934년
『성경의 영감』 (The Inspiration of the Scriptures)1940년
『전쟁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 (The Christian Attitude Towards War)1940년 (3판 1985년)
『속죄』 (The Atonement)1941년
『그리스도의 인격』 (The Person of Christ)1943년
『신학 연구』 (Studies in Theology)1947년
A history of the Boettner family1954년
『불멸』 (Immortality)1956년
『천년왕국』 (The Millennium)1957년 (개정판 1984년)
『이혼』 (Divorce)1960년
『로마 가톨릭교』 (Roman Catholicism)1962년 (개정판 1966년)
『미사』 (The Mass)1966년
『개혁 신앙』 (The Reformed Faith)1983년



일본어로 번역된 저서로는 『불사 - 사후 문제의 해명』(오야마 레이니 역, 신교출판사), 『예정론』 (고토 미츠조 역, 생명의 말씀사, 1967년), 『칼뱅주의 예정론』 (다나카 고지 역, 나가사키 서점) 등이 있다.

4. 저서 목록

출판 연도제목
1932『개혁주의 예정론』 (The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영어) [1]
1933『복음서의 조화』 (Harmony of the Gospels영어) [2]
1934『복음서 요약』 (A Summary of the Gospels영어) [3]
1940『성경의 영감』 (The Inspiration of the Scriptures영어) [4]
1941『속죄』(The Atonement영어)
1943『그리스도의 인격』 (The Person of Christ영어) [5]
1947『신학 연구』 (Studies in Theology영어) [6]
1954『뵈트너 가문의 역사』 (A history of the Boettner family영어) [7]
1956『불멸』 (Immortality영어) [8]
1957『천년왕국』 (The Millennium영어)
1960『이혼』 (Divorce영어)
1962『로마 가톨릭교』 (Roman Catholicism영어)
1966『미사』 (The Mass영어)
1983『개혁 신앙』 (The Reformed Faith영어)
1985『전쟁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 (The Christian Attitude Towards War영어)
?『불사 - 사후 문제의 해명』 (오야마 레이니 역, 신교출판사)
1967『예정론』 (고토 미츠조 역, 생명의 말씀사)
?『칼뱅주의 예정론』 (다나카 고지 역, 나가사키 서점)


참조

[1] 웹사이트 Loraine Boettner Papers http://www.pcahistor[...] Historical Center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2016-09-28
[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Boettner family https://content.byui[...] 2015-11-02
[3] 웹사이트 "Loraine Boettner Papers", PCA Historical Center https://web.archive.[...] 2009-05-04
[4] 웹사이트 The Reformed Theologian, Loraine Boettner https://web.archive.[...] A Puritan's Mind 2007-02-01
[5] 웹사이트 The Anti-Catholic Bible http://www.catholic.[...] Catholic Answers 2012-10-27
[6] 서적 The Origin, Prolif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Anti-Catholicism in America, and its Impact on Modern Christian Apologetics GRIN Verlag
[7] 문서 『不死:死後の問題の解明』 http://opac.ndl.go.j[...]
[8] 웹사이트 The Reformed Theologian, Loraine Boettner https://web.archive.[...] A Puritan's Mind 200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