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은 나폴레옹 1세의 의붓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가 1817년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 막시밀리안 1세의 딸과 결혼하면서 시작된 작위이다. 외젠 드 보아르네는 이탈리아 부왕, 프랑크푸르트 대공 등을 역임했으며, 그의 후손들이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위를 계승했다. 이 가문은 러시아 황실, 포르투갈 왕실 등 유럽의 여러 왕가와 혼인 관계를 맺었으며, 현재까지도 명목상의 작위가 유지되고 있다.

2. 바이에른의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1817-1918)

(1817~1824)1781년 9월 3일 ~ 1824년 2월 21일이탈리아 부왕(1805~1814), 프랑크푸르트 대공국 대공(1813)아우구스테

오귀스트
(1824~1835)1810년 12월 9일 ~ 1835년 3월 28일초대 공작 외젠의 장남, 마리아 2세와 결혼, 포르투갈 왕의 배우자(1835)마리아 2세
막시밀리앙
(1835~1852)1817년 10월 2일 ~ 1852년 11월 1일초대 공작 외젠의 차남, 러시아 제국 황실과 인척 관계마리야 니콜라예브나
니콜라이
(1852~1891)1843년 8월 7일 ~ 1891년 1월 6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장남, 로마노프스키 공작 작위 수여나데즈다 세르게예브나 안넨코바
에브게니
(1891~1901)1847년 2월 8일 ~ 1901년 8월 31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차남다리아 오포치니나, 지나이다 스코벨레바
게오르기
(1901~1912)1852년 2월 29일 ~ 1912년 5월 16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넷째 아들올덴부르크의 테레즈 페트로브나 공작부인, 아나스타시아
알렉산드르
(1912~1918, 명목상 1918~1942)1881년 11월 13일 ~ 1942년 9월 26일제6대 공작 게오르기의 장남, 독일 혁명으로 공국 소멸나데즈다 니콜라예브나 카랄리
세르게이
(명목상 1942~1974)1890년 7월 16일 ~ 1974년 1월 7일제6대 공작 게오르기의 차남미혼


2. 1. 외젠 드 보아르네 (1817-1824)



'''외젠 드 보아르네''' (1781년 9월 3일 ~ 1824년 2월 21일)는 나폴레옹 1세의 의붓아들로, 이탈리아 부왕(1805~1814) 및 프랑크푸르트 대공국 대공(1813)을 역임했다. 1806년 1월 14일 바이에른 왕국 국왕 막시밀리안 1세의 딸 아우구스테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2. 2.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 (1824-1835)



'''오귀스트'''(1810년 12월 9일 ~ 1835년 3월 28일)는 초대 공작 외젠 드 보아르네의 장남이다. 1835년 마리아 2세와 결혼하여 포르투갈 왕의 배우자가 되었다.[2] 1829년에는 산타 크루즈 공작 작위를 받았다.[2]

2. 3. 막시밀리안 드 보아르네 (1835-1852)

'''막시밀리안 드 보아르네'''(1817년 10월 2일 ~ 1852년 11월 1일)는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자 외젠 드 보아르네의 차남이었다.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1세의 딸 마리야 니콜라예브나와 1839년 7월 2일에 결혼하여 러시아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3] 슬하에 7명의 자녀를 두었다.[3]

2. 4.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 (1852-1891)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1843년 8월 4일 ~ 1891년 1월 6일)는 막시밀리앙의 장남으로, 러시아 제국 황실로부터 '로마노프스키 공작' 작위를 받았다.[3] 1852년부터 1891년까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가졌다.[3]

막시밀리안 드 보아르네와 러시아의 마리아 니콜라예브나 대공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나데즈다 세르게예브나 안넨코바와 결혼하여 두 명의 아들을 두었다.[3]

2. 5. 에브게니 막시밀리아노비치 (1891-1901)



'''에브게니 막시밀리아노비치'''(1847년 2월 8일 ~ 1901년 8월 31일)는 막시밀리앙의 차남으로, 1891년부터 1901년까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소유했다. Евгений Максимилианович, 5-й герцог Лейхтенбергский|예브게니 막시밀리아노비치 (제5대 로이히텐베르크 공)|외젠ru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그는 1869년 1월 20일에 다리아 오포치니나와 결혼하여 딸 1명을 두었으며, 1878년 7월 14일에 지나이다 스코벨레바와 재혼하였으나 자녀는 없었다.

2. 6.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 (1901-1912)



'''게오르기'''(1852년 2월 29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 - 1912년 5월 16일 프랑스 파리 사망)는 막시밀리앙의 넷째 아들로, 1901년부터 1912년까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었다.

1879년 5월 12일 올덴부르크의 테레즈 페트로브나 공작부인과 결혼하여 아들 알렉산드르를 낳았다. 1889년 4월 16일 몬테네그로의 아나스타시아 공주와 재혼하여 두 자녀를 더 두었다.[1]

2. 7. 알렉산드르 게오르기예비치 (1912-1918, 명목상 1918-1942)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의 장남으로, 1881년 11월 1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1912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 되었으나, 1918년 독일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멸망하면서 공국도 함께 소멸하였다. 이후 명목상의 작위만 유지하다가 1942년 9월 26일 프랑스 살리에 드 베아른에서 사망하였다.

나데즈다 니콜라예브나 카랄리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6]

2. 8. 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명목상 1942-1974)

게오르기의 차남으로, 1890년 7월 16일 러시아 제국 페테르호프에서 태어났다. 1942년부터 1974년까지 명목상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주장했다. 1974년 1월 7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했다. 결혼은 하지 않았다.

3. 러시아의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1890-1917)

1890년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는 막시밀리안 드 보아르네의 후손들에게 전하 칭호와 함께 러시아의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 이들은 외젠 드 보아르네의 후손으로, 마리아 니콜라예브나와 결혼하여 러시아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1890년부터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정이 붕괴하기 전까지 러시아의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받은 인물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재위 1891년 - 1917년)이다. 혁명 이후에는 명목상의 작위만 유지했다.

초상화이름 및 생애재위 기간 및 비고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1868년 ~ 1928년)
1890년 ~ 1928년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의 아들)


3. 1.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 (1890-1891)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는 1890년부터 1891년까지 바이에른의 제4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었다.

3. 2.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1891-1917, 명목상 1917-1928)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은 니콜라이 막시밀리아노비치의 아들이다. 1891년부터 1917년까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었으며,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정이 붕괴하면서 1917년부터 1928년까지는 명목상의 작위만 유지했다.

3. 3.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1896년생, 명목상 1928-1937)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명목상 1928년 - 1937년)는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의 장남이다.[1]

3. 4.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1933년생, 명목상 1937-)

니콜라이의 아들로, 1937년부터 명목상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위를 계승하였다.[4]

4. 로이히텐베르크 가문의 계보

로이히텐베르크 가문은 외젠 드 보아르네를 초대 공작으로 하여 시작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혼인을 통해 유럽의 여러 왕가 및 귀족 가문과 연결되었다. 다음은 로이히텐베르크 가문의 주요 계보이다.

초상화이름생몰년비고배우자
외젠 드 보아르네1781년 9월 3일 ~ 1824년 2월 21일이탈리아 부왕(1805~1814), 프랑크푸르트 대공(1813)바이에른의 아우구스타 공주
오귀스트1810년 12월 9일 ~ 1835년 3월 28일초대 공작 외젠의 장남, 마리아 2세의 부군(1835)포르투갈의 마리아 2세
막시밀리앙1817년 10월 2일 ~ 1852년 11월 1일초대 공작 외젠의 차남, 마리야 니콜라예브나의 남편마리야 니콜라예브나
니콜라이1843년 8월 7일 ~ 1891년 1월 6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장남나데즈다 세르게예브나 안넨코바
에브게니1847년 2월 8일 ~ 1901년 8월 31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차남다리아 오포치니나, 지나이다 스코벨레바
게오르기1852년 2월 29일 ~ 1912년 5월 16일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의 사남올덴부르크의 테레즈 페트로브나 공작부인, 몬테네그로의 아나스타시아 공주
알렉산드르1881년 11월 13일 ~ 1942년 9월 26일제6대 공작 게오르기의 장남나데즈다 니콜라예브나 카랄리
세르게이1890년 7월 16일 ~ 1974년 1월 7일제6대 공작 게오르기의 차남



4대 공작 니콜라이의 아들 니콜라이(1868-1928)와 그의 후손들도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작위를 주장했다.

4. 1. 주요 혼인 관계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가문은 여러 왕가 및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주요 혼인 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문혼인 관계
바이에른 왕가초대 공작 외젠 드 보아르네가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타 공주와 결혼
포르투갈 왕가제2대 공작 오귀스트가 마리아 2세 여왕과 결혼
러시아 황실 (로마노프 가문)제3대 공작 막시밀리앙이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과 결혼[1]
바덴 대공가마리아 막시밀리아노브나(막시밀리앙의 딸)가 바덴의 빌헬름 공자와 결혼
올덴부르크 가문에우제니아 막시밀리아노브나(막시밀리앙의 딸)가 올덴부르크의 알렉산드르 페트로비치 공작과 결혼[1]제6대 공작 게오르기가 올덴부르크의 테레즈 페트로브나 공작부인과 결혼[1]
몬테네그로 왕가제6대 공작 게오르기가 몬테네그로의 아나스타시아 공주와 재혼[1]


4. 2. 현대의 후손

러시아 혁명독일 제국 붕괴 이후, 로이히텐베르크 가문의 후손들은 여러 나라로 흩어져 살고 있다. 일부 후손들은 러시아 연대주의 국민 동맹 등 정치, 사회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IV -- Wittelsbach Laballery
[2] 서적 Confidential Correspondence of The Emperor Napoleon and the Empress Josephine: Including Letters from the Time of their Marriage until the Death of Josephine and also Several Private Letters from the Emperor to his Brother Joseph, and other Important Personages. Mason Brothers
[3] 서적 Eugène de Beauharnais, Fils et vice-roi de Napoléon Tallandier 2021-01
[4] 간행물 The Napoleonic Kingdom of Italy www.jstor.org/stable[...] 1967
[5] 서적 Les rois fous de Bavière Robert Laffont
[6] 서적 Heritage Auction of Russian & British Royal Objects "The James C. Russo Collection" https://books.google[...] Heritage Capital Corporation
[7] 뉴스 Hoher Besuch in Kipfenberg https://www.donaukur[...] Donaukurier 2016-07-09
[8] 서적 Honour and fidelity: the Russian Dukes of Leuchtenberg Logos Publish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