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덴부르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덴부르크가는 11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 여러 지역을 통치했던 왕가이다. 1091년 엘리마르 1세가 처음 언급되었으며, 올덴부르크 성을 기원으로 한다. 12세기에는 라스테데 수도원이 가문의 수도원이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왕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며, 15세기에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위를 모두 차지했다. 1683년에는 영국의 왕위를 잠시 차지할 뻔했으나, 자녀들의 사망으로 하노버가에 왕위를 넘겨주었다. 1863년 올덴부르크 본가가 단절된 후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문이, 1931년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문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직을 계승했다. 현재는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덴부르크가 -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는 프레데리크 왕자와 조피 프리데리케 사이에서 태어나 헤센카셀 방백 빌헬름과 결혼하여 1남 5녀를 두었고, 예술과 시에 관심을 보이며 왕위 계승 문제에 관여하다가 사위에게 유리하게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후 크리스티안스보르 궁전에서 사망했다. - 올덴부르크가 - 크리스티안 4세
크리스티안 4세는 1588년부터 1648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방 및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해외 진출을 시도했으나 30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에서 패배하여 발트 해에서의 세력을 상실했으며, 르네상스 군주로서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다가 1648년 사망했다. - 유럽의 왕가 - 스포르차가
스포르차 가문은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밀라노 공국을 지배한 이탈리아 귀족 가문으로, 용병대장 무치오 스포르차를 시조로 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하고 유럽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었으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전쟁으로 몰락했다. - 유럽의 왕가 - 오스만 왕조
오스만 왕조는 1299년 오스만 1세가 건국한 술탄 통치 튀르크계 왕조로, 600년 이상 존속하며 넓은 영토를 지배했으나 1922년 멸망 후 오스만 가문은 튀르키예에서 추방되었고 장자 상속 제도를 유지하며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올덴부르크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러시아 제국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그리스 왕국 올덴부르크 (영방)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 슐레스비히 공국 홀슈타인 공국 |
창건 연도 | 1101년 |
설립자 | 올덴부르크 백작 엘리마르 1세 |
현 수장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통치 가문 | |
현존 | 덴마크 노르웨이 영국 |
단절 | 러시아 제국 스웨덴 그리스 왕국 아이슬란드 왕국 올덴부르크 (영방) 슐레스비히 공국 홀슈타인 공국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 |
마지막 통치자 | |
러시아 | 니콜라이 2세 (1894년–1917년) |
스웨덴 | 칼 13세 (1809년–1818년) |
그리스 | 콘스탄티노스 2세 (1964년–1973년) |
올덴부르크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1900년–1918년) |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작센라우엔부르크 | 크리스티안 9세 (1863년–1864년) |
덴마크 | 마르그레테 2세 (1972년–2024년) |
몰락 | |
러시아 | 2월 혁명 (1917년), 1917년 |
그리스 | 1974년 그리스 공화국 국민투표, 1974년 |
올덴부르크 | 독일 혁명, 1918년 |
작센라우엔부르크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1864년 |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1864년 |
분가 | |
분가 목록 | 올덴부르크 백작가 (단절)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가 아우구스텐부르크가 (단절) 글뤽스부르크가 홀슈타인고토르프가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가 스웨덴 왕가 (단절) 올덴부르크 대공가 단네스키올드가 (사생아 가문) 단네스키올드뢰벤달가 (단절) 단네스키올드라우르비히가 (단절) 단네스키올드삼쇠가 |
2. 역사
올덴부르크 가문은 중세 올덴부르크 백작들의 혼인을 통해 그 후손들이 여러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왕이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스웨덴 왕 발데마르와 덴마크 왕 에리크 4세의 후손들 간의 혼인을 통해, 1350년 이래로 스웨덴과 덴마크의 권리가 합쳐졌다.
당시 왕위 경쟁자들은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1세의 후계자들이었다. 15세기에 올덴부르크 가문의 후계자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에우페미아 에릭스도테르의 후손이자 덴마크 왕 에리크 5세와 덴마크 왕 아벨의 후손인 샤움부르크의 하일비크와 혼인했다. 계보상 더 나은 위치에 있던 후손들이 사망하면서, 그들의 아들 크리스티안이 칼마르 동맹의 세 왕국 모두의 왕이 되었다. 메클렌부르크 가문은 북유럽 왕위에 대한 주요 경쟁자였고, 라우렌부르크 공작 등을 포함한 다른 경쟁자들도 있었다.
여러 올덴부르크 가문의 분파들이 여러 나라를 다스렸다. 올덴부르크 가문은 앤 여왕과 덴마크의 요르겐 왕자의 혼인을 통해 잠시 영국을 소유했지만, 그들의 자녀들이 일찍 사망하면서 왕위는 하노버 가문에게 넘어갔다.
올덴부르크 가는 다음과 같은 나라들을 통치했다.
국가 | 기간 |
---|---|
올덴부르크 백작 | 1101-1448, 1667-1773 |
덴마크 국왕 | 1448-1863 |
노르웨이 국왕 | 1450-1814 |
스웨덴 국왕 | 1457-1464, 1497-1501, 1520-1521 |
슐레스비히 공작 | 1460-1864 (1544-1721년 여러 통치자에게 분할) |
홀슈타인 백작 (1460–1574) 및 공작 (1574-1864) | (1544-1773년 여러 통치자에게 분할) |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 1815-1863 |
칼마르 동맹의 군주로 즉위한 이후 1863년까지 올덴부르크 가문의 본가 수장인 덴마크 왕이 올덴부르크 가문의 수장이었지만, 1863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의 수장이 올덴부르크 가문의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1931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의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 가문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그의 후손들이 올덴부르크 가문의 수장을 이어받고 있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Oldenburgde 가문의 기원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091년 엘리마르 1세가 처음 언급되었으며, 가문의 조상은 올덴부르크 성이다.[4] 12세기에 라스테데 수도원은 올덴부르크 가문의 가문 수도원이 되었고, 이후 오늘날까지 그들의 영지가 되었다.[4]중세 올덴부르크 백작들의 결혼은 후손들이 여러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왕이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스웨덴의 발데마르 1세와 덴마크의 에릭 4세 후손과의 결혼을 통해 1350년 이전에 스웨덴과 덴마크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4]
15세기에 올덴부르크 가문의 상속자는 스웨덴의 마그누스 3세(스웨덴의 유페미아)의 손녀의 후손이자 덴마크의 에릭 5세와 덴마크의 아벨의 후손인 샤우엔부르크의 헤드비히와 결혼했다. 족보에서 더 유리한 위치에 있던 후손들이 사망하면서, 그들의 아들 크리스티안 1세는 칼마르 동맹의 세 왕국 전체의 왕이 되었다.[4] 메클렌부르크 가문은 북부 왕좌와 관련하여 주요 경쟁자였으며, 라우엔부르크 공작을 비롯한 다른 경쟁자들도 있었다.[4]
2. 2. 칼마르 동맹과 북유럽 지배
스웨덴 왕 발데마르와 덴마크 왕 에리크 4세의 후손들끼리 혼인하여, 스웨덴과 덴마크의 권리는 1350년 이래로 합쳐졌다.당시 왕위 경쟁자들은 마르그레테 1세의 후계자들이었다. 15세기 올덴부르크가의 후계자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에우페미아 에릭스도테르의 후손이자 덴마크 왕 에리크 5세와 덴마크 왕 아벨의 후손 샤움부르크의 하일비크와 혼인했다. 계보에서 나은 위치에 있던 후손들이 죽으면서, 그들의 아들 크리스티안 1세가 칼마르 동맹의 세 왕국 모두의 왕이 되었다. 메클렌부르크가는 북유럽 왕위의 주요 경쟁자였고, 라우렌부르크 공작 등이 다른 경쟁자들에 포함되었다.[4]
2. 3.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덴마크 왕조의 위기
1448년, 어머니 헤드비히를 통해 덴마크 왕 에리크 5세의 여자 계승자였던 올덴부르크 백작 크리스티안 7세가 크리스티안 1세로 덴마크 왕으로 선출되면서 올덴부르크 왕가가 시작되었다. 왕조 시작 당시 칼마르 동맹을 계승하여 북유럽 최대의 영토와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1523년 스웨덴의 독립을 허용했다. 하지만 노르웨이 지배는 1814년의 빈 회의까지 유지했다 (덴마크-노르웨이).[4]
이후 두 차례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1차, 2차) 결과로, 오랫동안 지배해 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은 프로이센 왕국에 빼앗겼다. 이러한 폐쇄적인 상황 속에서 올덴부르크 왕가는 단절되었다.

3. 분가
엘리마르 1세는 1091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 가문의 조상은 올덴부르크 성이다. 12세기에 올덴부르크 근처의 라스테데 수도원은 그들의 가문 수도원이 되었고, 이후 오늘날까지 그들의 영지가 되었다. 중세 올덴부르크 백작들의 결혼은 그들의 상속자들이 다양한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왕이 되는 길을 열었다. 스웨덴의 발데마르 1세와 덴마크의 에릭 4세의 후손과의 결혼을 통해 1350년 이전에 스웨덴과 덴마크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당시 경쟁자는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1세의 후계자들이었다. 15세기에 올덴부르크 가문의 상속자는 샤우엔부르크의 헤드비히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스웨덴의 마그누스 3세(스웨덴의 유페미아)의 손녀의 후손이자 덴마크의 에릭 5세와 덴마크의 아벨의 후손이기도 했다. 족보에서 더 유리한 위치에 있던 후손들이 죽어감에 따라, 그들의 아들 크리스티안 1세는 세 왕국 전체의 왕이 되었다. 메클렌부르크 가문은 북부 왕좌와 관련하여 주요 경쟁자였으며, 라우엔부르크 공작을 비롯한 다른 경쟁자들도 있었다.
다양한 올덴부르크 분파가 여러 국가에서 통치했다. 올덴부르크 가문은 1683년 앤 여왕과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조지 왕자의 결혼을 통해 잠시 영국 왕좌를 차지할 뻔했지만, 그들의 모든 자녀가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왕관은 하노버 가문으로 넘어갔으며, 올덴부르크 가문은 2022년까지 그 왕관을 얻지 못했다.[4]
올덴부르크가의 주요 분가는 다음과 같다.
- '''올덴부르크 백작가''' (1667년 단절)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가'''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 (1931년 단절)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 (1825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가에서 가문명 변경)
- '''홀슈타인고토르프가'''
- '''단네스키올드가''' (사생아 가문)
3. 1.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가문
올덴부르크가의 분가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가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3세의 막내 아들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한스로부터 시작되었다.[9] 이 가문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문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문으로 분가되었다.[9]3. 1. 1.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는 1931년에 단절되었다.[9] 이 가문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작위를 주장했는데, 1863년부터 1931년까지 명목상 공작이었다.[9]3. 1. 2. 글뤽스부르크 가문
글뤽스부르크 가문(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은 1825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가문에서 변경된 가문명을 사용하였다.글뤽스부르크 가문은 다음의 작위를 보유했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1931년 이래로 명목상 공작)
- 덴마크 왕 (1863-2024)
-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1863-1864)
- 아이슬란드 왕 (1918-1944)
- 노르웨이 왕 (1905-)
- 그리스인의 왕 (1863-1924, 1935-1973)
- 영국 왕: 에든버러 공작 필립과 그의 자녀, 손주들은 이 방계 가문의 부계쪽 후손들이다. 그의 남계 후손들은 영국 군주 선언에 따라 명목상으로는 윈저가이다.[9]
3. 2.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1544-1739)은 홀슈타인고토르프가에서 통치했다.3. 2. 1. 로마노프 가문
홀슈타인고토르프가의 분가인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가는 보통 로마노프 가문으로 불린다. 이 가문은 1739년부터 1773년까지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작위를 보유했으며, 1762년과 1796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황제를 배출했다.[9]3. 2. 2. 스웨덴 왕가
홀슈타인고토르프가의 분가인 스웨덴 왕가는 1751년부터 1818년까지 스웨덴 왕을, 1814년부터 1818년까지 노르웨이 왕을 배출했다. 1818년 왕조 교체 후 1877년에 단절되었다.3. 2. 3. 올덴부르크 대공가
{| class="wikitable"|-
! 올덴부르크 백작
|-
|
|}
3. 3. 단네스키올드가
Danæskioldda 가문은 올덴부르크가의 사생아 가문으로, 단네스키올드뢰벤달가(1829년 단절), 단네스키올드라우르비히가(1783년 단절), 단네스키올드삼쇠가가 있다.3. 3. 1. 단네스키올드뢰벤달 가
Danæskjold-Løvendalda 가문은 덴마크 왕 프레데리크 3세와 그의 정부 마르가레테 파페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 울리크 프레데리크 귈덴뢰베의 사생아 후손으로, 1829년에 단절되었다.[9]3. 3. 2. 단네스키올드라우르비히 가
Danneskiold-Laurvigda 가문은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5세의 서자였던 울리크 프레데리크 귈덴뢰베의 후손으로, 1783년에 단절되었다.3. 3. 3. 단네스키올드삼쇠 가
'''단네스키올드삼쇠가'''는 덴마크 귀족 가문으로, 올덴부르크가의 사생아 분가이다.4. 역대 수장
칼마르 연합의 군주로 즉위한 이후 1863년까지 올덴부르크가 본가의 수장인 덴마크 왕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었지만 1863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의 수장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1931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의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그의 후손들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을 이어받게 된다.[3]
올덴부르크 본가는 1101년부터 1863년까지 존속했으며, 초기에는 올덴부르크 백작(1101년-1448년) 가문이었다가 이후 덴마크 왕(1448년-1863년) 가문이 되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가는 1863년부터 현재까지 올덴부르크 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오고 있다. 1863년부터 1931년까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가, 1931년부터 현재까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가 그 지위를 계승하고 있다.
4. 1. 올덴부르크 본가 (1101년-1863년)
칼마르 연합의 군주로 즉위한 이후 1863년까지 올덴부르크가 본가의 수장인 덴마크 왕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었지만 1863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의 수장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1931년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의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그의 후손들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을 이어받게 된다.[3]엘리마르 1세는 1091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 가문의 조상은 올덴부르크 성이다. 12세기에 올덴부르크 근처의 라스테데 수도원은 그들의 가문 수도원이 되었고, 이후 오늘날까지 그들의 영지가 되었다. 중세 올덴부르크 백작들의 결혼은 그들의 상속자들이 다양한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왕이 되는 길을 열었다. 스웨덴의 발데마르 1세와 덴마크의 에릭 4세의 후손과의 결혼을 통해 1350년 이전에 스웨덴과 덴마크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당시 경쟁자는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1세의 후계자들이었다. 15세기에 올덴부르크 가문의 상속자는 샤우엔부르크의 헤드비히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스웨덴의 마그누스 3세(스웨덴의 유페미아)의 손녀의 후손이자 덴마크의 에릭 5세와 덴마크의 아벨의 후손이기도 했다. 족보에서 더 유리한 위치에 있던 후손들이 죽어감에 따라, 그들의 아들 크리스티안은 세 왕국 전체의 왕이 되었다. 메클렌부르크 가문은 북부 왕좌와 관련하여 주요 경쟁자였으며, 라우엔부르크 공작을 비롯한 다른 경쟁자들도 있었다. 다양한 올덴부르크 분파가 여러 국가에서 통치했다. 올덴부르크 가문은 1683년 앤 여왕과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조지 왕자의 결혼을 통해 잠시 영국 왕좌를 차지할 뻔했지만, 그들의 모든 자녀가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왕관은 하노버 가문으로 넘어갔으며, 올덴부르크 가문은 2022년까지 그 왕관을 얻지 못했다.[4]
이름 | 출생-사망 | 재위 기간 | 비고 |
---|---|---|---|
엘리마르 1세 | 1040년-1112년 | 1091년-1108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엘리마르 2세 | 1070년-1142년 | 1108년-1142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1세 | 1123년-1167년 | 1142년-1167년 | 올덴부르크 백작 |
모리스 | 1145년-1209년 | 1167년-1209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오토 1세 | 1175년-1251년 | 1209년-1251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2세 | 1184년-1233년 | 1209년-1233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요한 1세 | 1204년-1270년 | 1233년-1270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3세 | ?-1285년 | 1270년-1285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오토 2세 | ?-1112년 | 1272년-1278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요한 2세 | ?-1315년 | 1285년-1315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4세 | ?-1323년 | 1315년-1323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요한 3세 | 1295년-1345년 | 1315년-1345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콘라트 1세 | ?-1347년 | 1324년-1347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요한 4세 | ?-1356년 | 1345년-1356년 | 올덴부르크 백작 |
콘라트 2세 | ?-1401년 | 1347년-1401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5세 | 1342년-1399년 | 1368년-1398년 | 올덴부르크 백작 |
모리스 2세 | 1381년-1420년 | 1401년-1420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6세 | 1394년-1421년 | 1403년-1421년 | 올덴부르크 백작 |
디트리히 | 1390년-1440년 | 1403년-1440년 | 올덴부르크 백작 |
크리스티안 1세 | 1426년-1481년 | 1440년-1481년 | 올덴부르크 백작(1440년-1448년), 덴마크 국왕(1448년-1481년) |
요한 | 1455년-1513년 | 1481년-1513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2세 | 1481년-1559년 | 1513년-1523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1세 | 1471년-1533년 | 1523년-1533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3세 | 1503년-1559년 | 1534년-1559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2세 | 1534년-1588년 | 1559년-1588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4세 | 1577년-1648년 | 1588년-1648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3세 | 1609년-1670년 | 1648년-1670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5세 | 1646년-1699년 | 1670년-1699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4세 | 1671년-1730년 | 1699년-1730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6세 | 1699년-1746년 | 1730년-1746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5세 | 1723년-1766년 | 1746년-1766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7세 | 1749년-1808년 | 1766년-1808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6세 | 1768년-1839년 | 1808년-1839년 | 덴마크 국왕 |
크리스티안 8세 | 1786년-1848년 | 1839년-1848년 | 덴마크 국왕 |
프레데리크 7세 | 1808년-1863년 | 1848년-1863년 | 덴마크 국왕 |
1448년, 어머니 헤드비히를 통해 덴마크 왕에리크 5세의 여자 계승자였던 올덴부르크 백작 크리스티안 7세가 크리스티안 1세로 덴마크 왕으로 선출되면서 올덴부르크 왕가가 시작되었다. 왕조가 시작될 당시 칼마르 동맹을 계승하여 북유럽 최대의 영토와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1523년 스웨덴의 독립을 허용했다. 하지만 노르웨이 지배는 1814년의 빈 회의까지 유지했다 (덴마크-노르웨이).
이후 두 차례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1차, 2차)의 결과로, 오랫동안 지배해 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은 프로이센 왕국에 빼앗겼다. 이러한 폐쇄적인 상황 속에서 올덴부르크 왕가는 단절되었다.
4. 2.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가 (1863년-현재)
1863년 올덴부르크가 본가가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의 수장이 올덴부르크 가의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1931년 이 가문마저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의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 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그의 후손들이 그 지위를 계승하고 있다.4. 2. 1.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 (1863년-1931년)
1863년 덴마크 왕을 수장으로 하는 올덴부르크가 본가가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의 수장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이 되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2세 (1798년-1869년, 재위: 1863년-1869년)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공작
- 프리드리히 8세 (1829년-1880년, 재위: 1869년-1880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에른스트 귄터 2세 (1863년-1921년, 재위: 1880년-1921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알베르트 (1869년-1931년, 재위: 1921년-1931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1931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가가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의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았다.
4. 2. 2. 글뤽스부르크 왕조 (1931년-현재)
1931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 가문이 단절되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가의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올덴부르크가의 수장 지위를 이어받았다. 현재까지 그의 후손들이 올덴부르크가의 수장을 맡고 있다.이름 | 재위 기간 | 생몰년 | 비고 |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1931년-1934년 | 1855년-1934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빌헬름 프리드리히 | 1934년-1965년 | 1891년-1965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페터 | 1965년-1980년 | 1922년-1980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크리스토프 | 1980년-2023년 | 1949년-2023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2023년-현재 | 1985년- | (명목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
5. 가문 전체 구성원 및 계승 순위
6. 갤러리
참조
[1]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C.A. Starke Verlag
2004
[2]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Burke's Peerage
[3]
웹사이트
pieces23580
https://en.numista.c[...]
[4]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5]
문서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6]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C.A. Starke Verlag
2001
[7]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C.A. Starke Verlag
2004
[8]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Burke's Peerage
[9]
웹사이트
Royal Styles and Titles – 1960 Letters Patent
http://www.heraldica[...]
[10]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C.A. Starke Verlag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