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코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코트는 무게 107톤, 길이 29m, 직경 2.5m의 3단 액체연료 로켓 발사체이다. 1단과 2단은 소련의 SS-19 ICBM을 기반으로 하며, 3단은 Briz-KM을 사용한다. UDMH를 연료로, 사산화이질소를 산화제로 사용한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발사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아리랑 2호 발사에 사용되기도 했다. 2019년 마지막 발사 이후, 우크라이나산 부품 공급 중단으로 인해 운용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산 부품을 사용한 로콧-M이 개발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우주발사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 러시아의 우주발사체 - Start-1
    Start-1은 러시아의 RT-2PM 토폴 ICBM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START I 조약에 따라 폐기될 토폴 미사일을 재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우주 발사체로,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상업 및 시험 발사를 진행했으며, 대한민국 국정원의 부품 밀반입 의혹과 한국의 고체 로켓 개발에 대한 미국의 간섭 논란 등 대한민국과의 관계에서도 이야기가 있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N-1
    N-1은 소련에서 달, 화성 유인 탐사, 우주 정거장 건설 등을 목표로 개발된 대형 발사체였으나, 유인 달 착륙 계획 변경 후 예산 및 기술 문제로 4번의 시험 비행 실패 끝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로코트
로켓 정보
이름로콧
로콧 발사체
로콧 발사체
기능궤도 발사체
제작사흐루니체프 국가 연구 생산 우주 센터
원산지소비에트 연방
가격4,180만 미국 달러
높이29 미터
지름2.5 미터
질량107,000 킬로그램
3단
저궤도 수송 능력1,950 킬로그램
태양 동기 궤도 수송 능력1,200 킬로그램
상태퇴역
발사 장소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175/1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133/3
최초 발사1990년 11월 20일
1994년 12월 26일 (궤도)
마지막 발사2019년 12월 26일
발사 횟수34회
성공 횟수31회
부분적 성공1회
실패 횟수2회
1단
종류1단
높이17.2 미터
지름2.5 미터
엔진3 x RD-0233 (15D95)
1 x RD-0234 (15D96)
추력2,080 kN
비추력310 isp
연소 시간120 초
연료사산화 이질소 / UDMH
2단
종류2단
높이2.8 미터
지름2.5 미터
엔진1 x RD-0235 (15D113)
1 x RD-0236 (15D114)
추력255.76 kN
비추력310 isp
연소 시간180 초
연료사산화 이질소 / UDMH
3단
종류3단
이름브리즈-KM
엔진1 x S5.98M
추력19.6 kN
비추력326 isp
연소 시간3,000 초
연료사산화 이질소 / UDMH
기타 정보
원형유니버설 로켓 UR-100N (SS-19)
공식 웹사이트유로콧사의 해설

2. 기술 제원

로코트는 무게 107톤, 길이 29m, 직경 2.5m의 3단 액체연료 로켓이다. 1단과 2단은 SS-19 ICBM을 사용하며, 3단은 Briz-KM을 사용한다. 모든 단은 UDMH(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연료와 사산화이질소 산화제를 사용한다.[2] 스트렐라 로켓도 SS-19 ICBM을 우주발사체로 개량한 것이다.

SS-19 ICBM은 4.35톤의 핵탄두를 사거리 11,000km까지 운반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핵탄두를 제거하고 6톤의 Briz-KM 3단 로켓을 장착했다. 그리고 1.95톤의 인공위성을 장착한 것이 로콧 우주발사체다.

2. 1. 1, 2단

로코트의 1단은 SS-19 ICBM을 기반으로 하며, RD-0233 / RD-0234 엔진 복합체를 사용한다. 2단은 RD-0235 엔진을 사용한다.[2]

2. 2. 3단

Briz-KM(개량형: 브리즈-KM)은 연료 주입 시 무게 6톤, 연소시간 3000초, 비행 시간 7시간이다. 비행 중에 6번 재점화가 가능하여 여러 위성을 다른 궤도에 배치할 수 있다.[2] 1단과 2단과는 별도로 개발되었으며, 궤도 변경 기능과 우주 공간에서의 엔진 재점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복수의 위성을 서로 다른 궤도에 투입할 수 있다. 5호기 이후에는 개량형 브리즈-KM을 사용하고 있다. 3단은 브리즈-K(브리즈-K)이다.

3. 개발 및 운영 역사

SS-19 ICBM은 1975년부터 실전배치되어 2020년까지 러시아 전략 로켓군에서 사용되었다.[2] 최초의 준궤도 시험발사는 1990년 11월 20일에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실시되었고,[2] 1994년 12월 26일에는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했다.[2]

1995년 흐루니체프사는 독일 다임러벤츠 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로콧 판매를 위한 합작 회사 유로콧을 설립했다.[2] 유로코트는 러시아 전략 로켓군에서 45발의 로콧을 구매했으며, 2000년 아리안스페이스의 자회사인 독일 아스트리움이 유로콧의 주식 51%를 인수, 흐루니체프는 49%를 보유하게 되었다.[2]

초기에는 로콧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ICBM 사일로에서 발사했으나, 이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의 지상 발사대로 변경되었다. 이는 지하 사일로에서 발사할 경우 발사소음이 너무 커서 인공위성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2] 새로운 발사장에서 로코트는 세워진 체로 이동해서 발사 타워에 고정되며, 인공위성은 크레인으로 올려서 2단 로켓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이는 러시아 발사체들의 일반적인 조립 방식과 다르다.

로코트 발사체를 발사 준비 중. 플레세츠 우주 기지


2005년 10월 8일에는 발사 실패로 유럽 우주국의 크리오샛 우주선이 손실되었다. JSC "하르트론"의 브리즈-KM 프로그래밍 오류가 원인이었다.[2] 이 실패로 흐루니체프는 주요 개혁을 겪었으며, 2006년 7월 28일 대한민국아리랑 2호(KOMPSAT-2) 지구 관측 위성 발사를 성공하며 비행이 재개되었다.[2]

2011년 2월에는 브리즈-KM의 오작동으로 Geo-IK-2 No.11 (코스모스-2470) 위성이 계획보다 낮은 궤도에 진입하는 발사 실패가 발생했다.[5]

2014년 크림 위기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관계가 악화되면서, 2019년 우크라이나산 제어 시스템 공급이 중단되었다.[6] 이에 따라 로코트는 2019년 12월 26일 마지막 발사를 했다.[7] 러시아산 부품으로 대체된 '''로콧-M'''이 개발 중이며, 2024년 내에 첫 발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8] 로콧-M 발사체는 러시아 국방부를 위한 것이다.[9]

4. 발사 실패 사례

2005년 10월 8일, 유럽 우주국의 크리오샛 위성을 실은 로코트가 발사되었으나, 2단 엔진 제어 시스템 문제로 정지하지 않고 계속 연소하여 상단 분리에 실패, 추락하면서 위성을 잃었다. 이 사고로 모든 로코트 발사는 실패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중단되었다.[2] 이후 2006년 7월 28일, 대한민국의 지구 관측 위성 아리랑 2호(KOMPSAT-2) 발사 성공으로 로코트는 사업에 복귀했다.[2]

2011년 2월에는 브리즈-KM의 오작동[5]으로 Geo-IK-2 No.11 (코스모스-2470) 위성이 계획보다 낮은 궤도에 진입하는 실패가 발생했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8년 국정원은 러시아 캄차카에서 로콧을 고철로 분해해 수입하여 재조립하는 데 성공했다. 2006년 7월 28일에는 아리랑 2호를 로콧으로 발사했다.[2] 국가정보원은 로콧 도입을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발사체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연관성

2006년 7월 5일 최초 발사된 북한 대포동 2호는 로코트와 무게가 비슷하며, 1단 엔진이 4개이고, UDMH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등에서 유사점을 보인다.[1]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의 대포동 2호 개발에 로콧 기술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

7. 발사 기록

구성발사 기지탑재체탑재체 질량궤도고객발사 결과11990년 11월 20일
04:00로코트/브리즈-K바이코누르 131/29번 발사대실험 탑재체성공21991년 12월 20일
21:31로코트/브리즈-K바이코누르 175/58번 발사대실험 탑재체성공31994년 12월 26일
03:01로코트/브리즈-K바이코누르 175/58번 발사대라디오-로스토성공N/A1999년 12월 22일로코트/브리즈-K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RSVN-40
(발사 전 실패)42000년 5월 16일
08:2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SimSat-1 및 2성공52002년 3월 17일
09:21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GRACE-1 및 2성공62002년 6월 20일
09:33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이리듐-97 및 98성공72003년 6월 30일
14:15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MIMOSA
DTUsat
MOST
큐트-I
QuakeSat
AAU CubeSat
CANX-1
큐브샛 Xi-IV
모니터-E 모형성공82003년 10월 30일
13:43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SERVIS-1성공92005년 8월 26일
18:34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모니터-E1성공102005년 10월 8일
15:02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CryoSat실패112006년 7월 28일
07:05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KOMPSAT-2성공122008년 5월 23일
15:2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437
코스모스 2438
코스모스 2439
(3X 스트렐라-3)
유빌레이니성공132009년 3월 17일
14:21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GOCE성공142009년 7월 6일
01:26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451
코스모스 2452
코스모스 2453
(3X 스트렐라-3)성공152009년 11월 2일
01:5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SMOS
PROBA-2성공162010년 6월 2일
01:59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SERVIS-2성공172010년 9월 8일
03:3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2
코스모스 2467
코스모스 2468
(2X 스트렐라-3)성공182011년 2월 1일
14:0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지오-IK-2 No.11실패192012년 7월 28일
01:35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3
고네츠-M-4
코스모스 2481 (스트렐라-3)
MiR성공202013년 1월 15일
16:25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482
코스모스 2483
코스모스 2484
(3X 스트렐라-3M)부분 실패212013년 9월 11일
23:23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5
고네츠-M-6
고네츠-M-7성공222013년 11월 22일
12:02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Swarm A/B/C성공232013년 12월 25일
00:31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488
코스모스 2489
코스모스 2490
(3X 스트렐라-3M)성공242014년 5월 23일
05:2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496
코스모스 2497
코스모스 2498
(3X 스트렐라-3M)
코스모스 2499성공252014년 7월 3일
12:43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8
고네츠-M-9
고네츠-M-10성공262015년 3월 31일
13:4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11
고네츠-M-12
고네츠-M-13
코스모스 2504성공272015년 9월 23일
22:0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507
코스모스 2508
코스모스 2509
(3X 스트렐라-3M)성공282016년 2월 16일
17:5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센티넬-3A성공292016년 6월 4일
14:0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517 (지오-IK-2 No.12)성공302017년 10월 13일
09:2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센티넬-5 프리커서성공312018년 4월 25일
17:5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센티넬-3B성공322018년 11월 30일
02:27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530
코스모스 2531
코스모스 2532
(3X 스트렐라-3M)성공332019년 8월 30일
14:00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코스모스 2540 (지오-IK-2 No.13)성공342019년 12월 26일
23:11로코트/브리즈-KM플레세츠크 133/3번 발사대고네츠-M-14
고네츠-M-15
고네츠-M-16
BLITS-M성공



발사 횟수는 탄도 비행과 발사 전 실패를 포함하지 않는다.[33]

참조

[1] 웹사이트 Surplus Missile Motors: Sale Price Drives Potential Effects on DOD and Commercial Launch Providers https://www.gao.gov/[...] 2024-07-05
[2] 서적 The Rebirth of the Russian Space Program Springer
[3] 웹사이트 Rokot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3-09-16
[4] 웹사이트 Rockot launch clears way for long-delayed ESA missio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3-09-12
[5] 웹사이트 Военный спутник, запущенный на "Рокоте", скорее всего, утрачен https://web.archive.[...] 2011-02-01
[6] 뉴스 Последний запуск ракет "Рокот" с украинской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состоится до 2020 года https://www.interfax[...] 2018-08-23
[7] 웹사이트 Rokot conducts final launch – carries three Gonets-M satellites to orbit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9-12-26
[8] 웹사이트 Russia's Rokot-M carrier rocket to be launched in 2024 — Khrunichev Center https://tass.com/sci[...] 2022-05-03
[9] 웹사이트 Запуск ракеты "Рокот" без украинских деталей запланировали на 2022 год https://ria.ru/20200[...] 2020-06-15
[10] 웹사이트 Russia launches relay craft, commemorative satellite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11] 웹사이트 ESA launches Earth Explorer mission GOCE http://www.esa.int/O[...] ESA 2009-03-17
[12] 웹아카이브 Eurockot Launch Service Provider https://web.archive.[...] 2009-01-26
[13] 논문 Successful launch of Strela-3 and Gonets-M communication satellites http://russianforces[...] 2012-07-28
[14] 웹사이트 Russia's Rokot Launch Vehicle Also Readying for Return to Flight https://spacepolicyo[...] 2013-08-06
[15] 웹사이트 Russian Rokot launch vehicle lofts three Gonets-M satellites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3-09-12
[16] 웹사이트 Esa's satellite Swarm launch to map Earth's magnetism https://www.bbc.co.u[...] BBC News 2013-11-22
[17] 웹사이트 Russian Rokot lofts three Rodnik satellites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3-12-25
[18] 웹사이트 Launch Log http://planet4589.or[...]
[19] 웹사이트 Russian Rokot lofts another Gonets-M trio https://www.nasaspac[...] 2015-03-31
[20] 웹사이트 Russia's Rokot launches with three Rodnik satellites http://www.nasaspace[...] 2015-09-23
[21] 웹사이트 Third Sentinel satellite launched for Copernicus http://www.esa.int/O[...] ESA 2016-02-16
[22] 뉴스 Russian Rokot launches Geo-IK-2 – annoys environmentalists https://www.nasaspac[...] 2016-06-04
[23] 웹사이트 Sentinel-5p launches on Russia's Rokot launch system https://www.nasaspac[...]
[24] 웹사이트 Rockot launches Russian military satellites – Spaceflight Now https://spaceflightn[...]
[25] 웹사이트 Russian military launches a fresh satellite cluster http://www.russiansp[...]
[26] 웹사이트 Russia's Rokot vehicle successfully launches Geo-IK-2 satellite https://www.nasaspac[...] 2019-08-30
[27] 웹사이트 Rokot conducts final launch – carries three Gonets-M satellites to orbit https://www.nasaspac[...] 2019-12-26
[28] 웹사이트 Russia's Rokot-M carrier rocket to be launched in 2024 — Khrunichev Center https://tass.com/sci[...] 2022-05-04
[29] 웹사이트 Rockot launch clears way for long-delayed ESA missio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com 2013-09-12
[30] 웹사이트 Rokot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31] 뉴스 Russian Defense Ministry to withdraw from use Rokot boosters in 2016 http://itar-tass.com[...] ITAR-TASS 2014-08-27
[32] 웹사이트 Rokot conducts final launch – carries three Gonets-M satellites to orbit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9-12-26
[33] 웹사이트 文部科学省における宇宙分野の推進方策について 平成24年12月 参考資料(その4) https://www.mext.go.[...]
[34] 뉴스 ロコットの打ち上げ、完遂できなかった可能性 https://sorae.info/0[...] sorae.jp 2013-01-18
[35] 서적 The Rebirth of the Russian Space Program Springer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