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도갈라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론도갈라고는 탄자니아 해안의 숲에서 발견되는 작은 영장류이다. 곤충, 과일, 꽃을 먹는 야행성 동물이며, 숲의 수관에서 잠을 잔다. 론도갈라고는 긴 꼬리, 크고 둥근 귀와 눈을 가지고 있으며, 병 모양의 솔 꼬리로 다른 갈라고와 구별된다. 론도갈라고는 탄자니아 해안을 따라 50~900m 사이의 지역에서 서식하며, 8개의 고립된 숲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대왕판다
대왕판다는 곰과에 속하며, 검은색과 흰색 털을 가진 포유류로, 대나무를 주식으로 하며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증가하여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벌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는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팔굽혀매달리기를 하고 과일을 주로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 1997년 기재된 포유류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약 250만 년 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는 450cc 정도의 뇌 용적과 큰 어금니, 소구치를 가지며, 초기 도구 사용 흔적과 함께 발견되어 도구 사용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종명은 아파르어로 "놀라움"을 뜻한다. - 1997년 기재된 포유류 - 올리버워티피그
- 탄자니아의 고유종 동물 - 산제이망가베이
산제이망가베이는 탄자니아의 숲에서 발견되는 중간 크기의 주행성 영장류로, 과일, 씨앗 등을 먹고 살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위기종으로 평가받는다. - 탄자니아의 고유종 동물 - 잔지바르표범
잔지바르표범은 잔지바르 섬에 서식했던 표범의 아종으로, 존재 및 멸종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주민들에 의해 '악마의 동물'로 여겨져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으나, 이후 목격담과 영상이 공개되며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론도갈라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속 | 동부난쟁이갈라고속 |
학명 | Paragalago rondoensis |
명명자 | Honess, 1997 |
이명 | Galago rondoensis Honess in Kingdon, 1997 |
보전 상태 | |
IUCN | EN - 멸종 위기 |
IUCN 3.1 | Paragalago rondoensis |
2. 생태
론도난쟁이갈라고는 주로 곤충을 먹으며, 과일과 꽃도 섭취한다. 숲 속에서 나무에 매달리거나 뛰어다니며, 땅에 떨어진 낙엽이나 덤불 속에서도 먹이를 찾는다.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낮에는 나무 꼭대기 부분(수관)에 둥지를 만들어 잠을 잔다.[4] 1년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으로 추정된다.[2]
2. 1. 울음소리
독특한 '이중 단위 구르는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소리는 두 개의 부드러운 단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위는 더 높은 음조의 소리로, 일정한 속도로 최대 6번까지 반복되어 하나의 구절을 형성한다.[4]3. 서식지
론도 난쟁이갈라고는 일반적으로 동쪽 경사면과 절벽에 있는 숲 패치의 해안 건조림과 관목 숲에서 발견된다.[2]
4. 분포
론도갈라고는 일반적으로 탄자니아 해안가의 동쪽 경사면이나 절벽에 있는 숲 조각, 해안 건조림 및 관목 숲에서 발견된다.[2] 서식 고도는 해발 50m에서 900m 사이이다.[2]
구체적으로 사다니 국립공원의 프와니 지역, 판데 게임 보호구역, 다르에스살람 지역의 킨돈도니 구에 위치한 푸구/카짐줌브웨, 그리고 론도, 리티포, 치토아, 루아와, 지와니 산림 보호구역 등 총 8개의 고립되고 위협받는 숲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 알려진 전체 분포 지역은 약 92km2에 이른다.[2]
이 8개의 아집단은 크게 두 개체군으로 나뉜다. 하나는 탄자니아 남서부에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이 지역에서 북쪽으로 약 400km 떨어진 다르에스살람 주변에 분포한다.[2]
5. 형태
갈라고는 긴 꼬리와 크고 둥근 귀와 눈을 가진 작은 영장류이다. 모든 갈라고는 그루밍 발톱, 치아 빗, 그리고 가짜 혀를 가지고 있다.[4] 론도갈라고는 병 모양의 솔 꼬리로 다른 난쟁이 갈라고와 구별된다. 이 꼬리는 어릴 때는 붉은색을 띠지만 나이가 들면서 어두워진다.[4] 또한 독특한 "이중 단위 구르는 소리"를 내는데, 이는 두 개의 부드러운 단위로 구성된 소리이다. 첫 번째 단위는 더 높은 음조의 소리로, 일정한 속도로 최대 6번까지 반복될 수 있으며 이 반복이 하나의 구절을 형성한다.[4]
참조
[1]
서적
MSW3 Groves
[2]
간행물
"''Paragalago rondoensis''"
2020
[3]
논문
A new genus for the eastern dwarf galagos (Primates: Galagidae)
[4]
웹사이트
Rondo dwarf galago
http://www.edgeofexi[...]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5-11-03
[5]
웹사이트
Strange endangered primates you may have never heard of - Rondo dwarf galago (''Galago rondoensis'')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1-25
[6]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7]
간행물
Paragalago rondoensi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8]
서적
MSW3 Gro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