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롯데마트는 1998년 롯데쇼핑의 할인점 사업부문으로 시작하여, 200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부터 해외 사업을 시작하여, 한때 한국 유통업체 중 가장 많은 점포 수를 운영했으나,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와 동남아시아 사업 집중을 위해 중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현재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완구 전문점 토이저러스, 자체 브랜드 통큰 등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슈퍼마켓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대한민국의 슈퍼마켓 - 킴스클럽마트
킴스클럽마트는 1974년 코스코로 시작하여 해태유통을 거쳐 2006년 이랜드그룹에 인수되며 변경된 이름으로, 이랜드그룹의 유통 사업 확장으로 운영되었으나 2011년 이마트에 인수되어 이마트 에브리데이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할인점 - 테스코
테스코는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다국적 식료품 소매업체로, 성장과 인수합병을 통해 세계적인 유통업체가 되었으나, 논란과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매장 형태와 온라인 서비스, 자회사 운영을 통해 사업을 다각화하며 지속적인 비판과 경쟁에 직면해 있다. - 할인점 - 홈플러스
홈플러스는 1997년 삼성물산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브랜드로, 테스코와의 합작 및 MBK파트너스 인수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형태의 매장 운영과 온라인 사업 강화에 힘쓰고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롯데마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98년 |
창립자 | 신격호 |
서비스 지역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
매장 수 | 175개 (2023년) |
산업 | 소매업 |
제품 | 신선 식품, 가공 식품, 가정용품, 의류 및 기타 잡화 |
소유주 | 롯데쇼핑 |
회사 정보 (롯데쇼핑) | |
회사명 | 롯데쇼핑(주) 롯데마트사업본부 |
영문 회사명 | LOTTE SHOPPING CO., LTD. |
설립일 | 1979년 11월 15일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81 |
사업 내용 | 백화점, 통신 판매 |
자본금 | 141,443,775,000원 (2018년) |
매출액 | 17,820,781,434,515원 (2018년) |
영업이익 | 597,003,598,572원 (2018년) |
총 자산 | 26,259,308,858,206원 (2018년) |
주요 주주 | 롯데지주 주식회사 외 특수 관계: 60.67%, 국민연금공단: 5.42% |
직원 수 | 25,083명 (2018년 12월) |
웹사이트 | 롯데쇼핑 회사 사이트 |
창립일 | 1998년 4월 1일 |
법인 형태 | 법인 사업체의 지점 |
시장 정보 | 비상장 |
최고 경영자 | 강성현 (2022년 5월 10일 ~) |
자본금 | 145,217,000,000원 (2010년) |
매출액 | 16,010,344,000,000원 (2010년) |
자산 총액 | 18,658,356,000,000원 (2010년) |
주주 | 롯데백화점 100% |
계열사 | 롯데백화점 |
직원 수 | 9,793명 (2010년 9월) |
웹사이트 | 롯데마트 |
기타 |
2. 역사
1998년 4월 1일 롯데쇼핑 할인점 사업부문이 '''롯데마그넷'''이라는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테크노마트 지하 2층에 1호점인 강변점을 개점하였다. 1993년 12월 롯데쇼핑이 해당 이름을 통해 편의점 체인을 다시 시작했으나[11] 다음해 코리아세븐을 인수하면서 점포가 역으로 흡수됐다. 2002년 6월부터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롯데마트는 2000년 12월 출점 최단 기간 1조원 매출을 돌파했으며, 2006년 12월 부평점 개점으로 대형 할인점 업계 사상 최단 기간인 8년 8개월 만에 50호점을 출점하였다. 2015년 10월 기준으로 279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6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해외 사업을 시작하였다. 2010년 6월 1일에는 GS마트의 14개점과 GS스퀘어의 3개점을 인수하였고, 2012년 12월 15일 기준 대한민국 104개, 중국 83개, 인도네시아 23개, 베트남 2개 등 국내외에서 210개 점포를 운영하며 한국 유통업체 중 운영 점포수 1위에 올라섰다.
세계적인 완구 유통 전문업체인 토이저러스와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2007년 12월, 한국에서 토이저러스 매장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이후 계속해서 매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08년말 S-OIL과 주유소 사업 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수지·구미·충주·여수·서대전·서청주에 '행복드림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 6월 28일 롯데마트 빅마켓이 창고형 할인마트로 금천점에 첫 개점하였다.[12]
2013년 4월 25일 현금카드 결제가 도입되었다.
모든지점에는 롯데ATM이 있으며 부산은행, 경남은행,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유안타증권의 카드로 입금 및 출금 그리고 이체가 가능하며 캐시비와 한페이는 충전과 사용이 가능하며 레일플러스는 충전만 할 수 있다.
2. 1. 대한민국
1998년 4월 1일 롯데쇼핑 할인점 사업부문이 '''롯데마그넷'''이라는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테크노마트 지하 2층에 1호점인 강변점을 개점하였다.[11] 2002년 6월부터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11]롯데마트는 2000년 12월 출점 최단 기간 1조원 매출을 돌파했으며, 2006년 12월 부평점 개점으로 대형 할인점 업계 사상 최단 기간인 8년 8개월 만에 50호점을 출점하였다. 2010년 6월 1일에는 GS마트의 14개점과 GS스퀘어의 3개점을 인수하였다.
세계적인 완구 유통 전문업체인 토이저러스와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2007년 12월, 토이저러스 한국 1호점을 롯데마트 구로점에 개점하였으며,[2][7] 이후 계속해서 매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08년말 S-OIL과 주유소 사업 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행복드림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 6월 28일 창고형 할인마트인 롯데마트 빅마켓 금천점을 개점하였다.[12] 2022년 1월, 빅마켓은 맥스로 전환되었다.
2013년 4월 25일 현금카드 결제가 도입되었다.
모든지점에는 롯데ATM이 있으며 부산은행, 경남은행,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유안타증권의 카드로 입금 및 출금 그리고 이체가 가능하다.
2. 2. 해외 진출
롯데마트는 해외 사업을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4] 2007년 12월, 네덜란드의 슈퍼마켓 체인인 마크로(Makro)를 인수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는데, 이는 한국 소매업체가 중국 시장에 처음 진출한 사례였다.[4] 2008년 10월에는 마크로(Makro) 매장을 운영했던 PT 마크로 인도네시아를 인수하면서 인도네시아 시장에도 진출하였다.[4] 이는 한국 유통업체가 인도네시아 시장에 처음 진출한 사례이기도 하다.[4]2008년 12월 18일, 호찌민 7군에 베트남 1호점을 개설했다.[4]
2016년,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중국 측의 보복 조치로 인해 많은 매장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고 휴업 상태에 들어갔다.[8] 2017년에는 골드만삭스를 통해 매각을 추진했으나 무산되었고, 2018년 99개 매장 중 87개 매장이 휴업 상태를 지속했다.[8] 2018년 4월, 베이징 매장 21곳을 중국 슈퍼마켓 운영업체인 우메이홀딩스(Wumei Holdings Inc.)에 매각하며 베이징 사업 철수를 확정지었다.[5] 2018년 5월 11일, 상하이 지역 매장을 중국 유통업체 "리쿤(利群)"에 매각하는 것을 발표했다.[9]
롯데마트는 동남아시아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2022년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했다.[6]
3. 점포 현황
롯데마트는 2022년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기 전까지 116개의 점포를 운영했다.[6] 2007년 12월 네덜란드의 슈퍼마켓 체인인 마크로(Makro)를 인수하면서 중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는 한국 소매업체 최초의 중국 시장 진출이었다.[4] 2018년 4월, 베이징 매장 21곳을 중국 슈퍼마켓 운영업체인 우메이홀딩스(Wumei Holdings Inc.)에 매각하며 베이징 사업 철수를 확정했다.[5] 2016년에는 중국의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인해 많은 매장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8] 2018년 5월 11일, 상하이 지역 매장을 중국 유통업체 "리쿤(利群)"에 매각했다.[9]
인도네시아에서는 41개의 롯데마트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10월, PT 마크로 인도네시아(PT Makro Indonesia)를 인수하면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으며,[4] 이는 한국 유통업체 최초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이었다.
베트남에서는 15개의 롯데마트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12월 18일, 호찌민 7군에 베트남 1호점을 개설했다.[4]
3. 1.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13개)
강변점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 / 잠실점 (송파구 올림픽로 240)[13] / 중계점 (노원구 노원로 330) / 서울역점[14] (중구 청파로 426) / 행당역점 (성동구 행당로 84)[15]/ 송파점 (송파구 중대로 80)[15]/ 청량리점 (동대문구 왕산로 214) / 삼양점 (강북구 삼양로 247) / 김포공항점 (서울시 강서구 하늘길 77) / 월드타워점 (송파구 올림픽로 300)[16] / 은평점 (은평구 통일로 1050) / 양평점 (영등포구 선유로 138) /서초점 (서초구 서초대로38길 12)
- '''부산광역시''' (8개)
사하점 (사하구 을숙도대로 610) / 화명점 (북구 화명대로 47) / 사상점 (사상구 낙동대로 733) / 동래점 (동래구 중앙대로 1393)[17][15]/ 부산점 (부산진구 신천대로 241 롯데키즈마트) / 광복점 (중구 중앙대로 2)[18] / 동부산점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147)
- '''인천광역시''' (9개)
부평역점 (부평구 광장로 24) / 연수점 (연수구 청능대로 87)[19] / 영종도점 (중구 흰바위로 51) / 부평점 (부평구 마장로 296) / 삼산점 (부평구 길주로 623) / 검단점 (서구 원당대로 581) / 계양점 (계양구 장재로 822) / 청라점 (서구 청라커넬로 252) / 송도점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77)
- '''대구광역시''' (1개)
대구율하점 (동구 안심로 80)[20][21]
- '''대전광역시''' (3개)
서대전점 (유성구 유성대로 26-37) / 대덕점 (유성구 테크노중앙로 14) / 노은점 (유성구 북유성대로 206)
- '''광주광역시''' (4개)
첨단점 (광산구 첨단강변로99번길 22) / 월드컵점 (서구 금화로 240) / 수완점 (광산구 장신로 98)
- '''울산광역시''' (2개)
울산점 (남구 삼산로 74) / 진장점 (북구 진장유통로 64)
- '''경기도''' (33개)
주엽점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96)[22] / 화정점 (고양시 덕양구 화중로 66) / 의왕점 (의왕시 계원대학로 7) / 오산점 (오산시 경기대로 271)[23] / 천천점 (수원시 장안구 만석로19번길 25-10) / 양주점 (양주시 평화로 1547) / 안산점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27) / 안성점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4478) / 장암점 (의정부시 장곡로 224) / 평택점 (평택시 평택5로 30) / 동두천점 (동두천시 송내로 22) / 고양점 (고양시 덕양구 충장로 150)[15] / 시화점 (시흥시 마유로238번길 26) / 덕소점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천로 33)[15] / 권선점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32)[15] / 시흥점 (시흥시 비둘기공원로 28)[15] / 마석점 (남양주시 화도읍 경춘로 1992) / 영통점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579) / 상록점 (안산시 상록구 반석로 8) / 판교점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06번길 58) / 선부점 (안산시 단원구 달미로 64) / 신갈점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375) / 수원점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124) / 광교점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 85) / 시흥배곧점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67) / 김포한강점 (김포시 김포한강2로 41) / 이천점 (이천시 구만리로 191) / 경기양평점 (양평군 양평읍 남북로 76)
- '''강원특별자치도''' (3개)
춘천점 (춘천시 방송길 84) / 석사점 (춘천시 세실로 108)[15] / 원주점 (원주시 봉화로 1)
- '''충청북도''' (5개)
청주점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15) / 상당점 (청주시 상당구 용암북로160번길 80)[15] / 충주점 (충주시 봉계1길 49) / 제천점 (제천시 용두대로11길 10) / 서청주점 (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004)[24]
- '''충청남도''' (7개)
서산점 (서산시 충의로 27) / 성정점 (천안시 서북구 성정두정로 1) / 당진점 (당진시 정안로 20) / 홍성점 (홍성군 홍성읍 조양로247번길 9) / 아산터미널점 (아산시 번영로 225)
- '''경상북도''' (3개)
구미점 (구미시 구미대로22길 11) / 포항점 (포항시 남구 지곡로 237)[25] / 김천점 (김천시 시청로 80)[26]
- '''경상남도''' (12개)
거제점 (거제시 서간도길 9-9) / 마산점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마산시장길 33) / 진해점 (창원시 진해구 진해대로 762) / 통영점 (통영시 무전대로 65) / 장유점 (김해시 번화1로56번길 15) / 양덕점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80)[27]/ 웅상점 (양산시 삼호1길 34) / 시티세븐점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20)[28] / 삼계점 (창원시 마산합포구 내서읍 경남대로 927)[15] / 김해점 (김해시 김해대로 2330)[29] / 진주점 (진주시 동진로 440) / 거창점 (미정)
- '''전라북도''' (7개)
익산점 (익산시 무왕로 1053)[30] / 군산점 (군산시 수송로 185) / 전주점 (전주시 완산구 우전로 240) / 덕진점 (전주시 덕진구 가련산로 26-3)[15] / 정읍점 (정읍시 벚꽃로 85) / 남원점 (남원시 춘향로 96)
- '''전라남도''' (5개)
목포점 (목포시 원형서로 15) / 남악점 (무안군 남악로162번길 80) / 여천점 (여수시 무선로 187) / 여수점 (여수시 국포1로 36) / 나주점 (나주시 내동길 15)
- '''제주특별자치도''' (1개)
제주점 (제주시 연북로 1)
롯데마트 스마트스토어
- 서울특별시 (1개): 금천점 (금천구 시흥대로 291)
- 경기도 (1개): 이천점
3. 1. 1. 지역별 점포 목록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등)
- '''서울특별시''' (13개)
강변점(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 잠실점(송파구 올림픽로 240)[13], 중계점(노원구 노원로 330), 서울역점(중구 청파로 426)[14], 행당역점(성동구 행당로 84)[15], 송파점(송파구 중대로 80)[15], 청량리점(동대문구 왕산로 214), 삼양점(강북구 삼양로 247), 김포공항점(서울시 강서구 하늘길 77), 월드타워점(송파구 올림픽로 300)[16], 은평점(은평구 통일로 1050), 양평점(영등포구 선유로 138), 서초점(서초구 서초대로38길 12)
- '''부산광역시''' (8개)
사하점(사하구 을숙도대로 610), 화명점(북구 화명대로 47), 사상점(사상구 낙동대로 733), 동래점(동래구 중앙대로 1393)[17][15], 부산점(부산진구 신천대로 241 롯데키즈마트), 광복점(중구 중앙대로 2)[18], 동부산점(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147)
- '''인천광역시''' (9개)
부평역점(부평구 광장로 24), 연수점(연수구 청능대로 87)[19], 영종도점(중구 흰바위로 51), 부평점(부평구 마장로 296), 삼산점(부평구 길주로 623), 검단점(서구 원당대로 581), 계양점(계양구 장재로 822), 청라점(서구 청라커넬로 252), 송도점(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77)
- '''대구광역시''' (1개)
대구율하점(동구 안심로 80)[20][21]
- '''대전광역시''' (3개)
서대전점(유성구 유성대로 26-37), 대덕점(유성구 테크노중앙로 14), 노은점(유성구 북유성대로 206)
- '''광주광역시''' (4개)
첨단점(광산구 첨단강변로99번길 22), 월드컵점(서구 금화로 240), 수완점(광산구 장신로 98)
- '''울산광역시''' (2개)
울산점(남구 삼산로 74), 진장점(북구 진장유통로 64)
- '''경기도''' (33개)
주엽점(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96)[22], 화정점(고양시 덕양구 화중로 66), 의왕점(의왕시 계원대학로 7), 오산점(오산시 경기대로 271)[23], 천천점(수원시 장안구 만석로19번길 25-10), 양주점(양주시 평화로 1547), 안산점(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27), 안성점(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4478), 장암점(의정부시 장곡로 224), 평택점(평택시 평택5로 30), 동두천점(동두천시 송내로 22), 고양점(고양시 덕양구 충장로 150)[15], 시화점(시흥시 마유로238번길 26), 덕소점(남양주시 와부읍 월문천로 33)[15], 권선점(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32)[15], 시흥점(시흥시 비둘기공원로 28)[15], 마석점(남양주시 화도읍 경춘로 1992), 영통점(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579), 상록점(안산시 상록구 반석로 8), 판교점(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06번길 58), 선부점(안산시 단원구 달미로 64), 신갈점(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375), 수원점(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124), 광교점(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 85), 시흥배곧점(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67), 김포한강점(김포시 김포한강2로 41), 이천점(이천시 구만리로 191), 경기양평점(양평군 양평읍 남북로 76)
- '''강원특별자치도''' (3개)
춘천점(춘천시 방송길 84), 석사점(춘천시 세실로 108)[15], 원주점(원주시 봉화로 1)
- '''충청북도''' (5개)
청주점(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15), 상당점(청주시 상당구 용암북로160번길 80)[15], 충주점(충주시 봉계1길 49), 제천점(제천시 용두대로11길 10), 서청주점(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004)[24]
- '''충청남도''' (7개)
서산점(서산시 충의로 27), 성정점(천안시 서북구 성정두정로 1), 당진점(당진시 정안로 20), 홍성점(홍성군 홍성읍 조양로247번길 9), 아산터미널점(아산시 번영로 225)
- '''경상북도''' (3개)
구미점(구미시 구미대로22길 11), 포항점(포항시 남구 지곡로 237)[25], 김천점(김천시 시청로 80)[26]
- '''경상남도''' (12개)
거제점(거제시 서간도길 9-9), 마산점(창원시 마산합포구 신마산시장길 33), 진해점(창원시 진해구 진해대로 762), 통영점(통영시 무전대로 65), 장유점(김해시 번화1로56번길 15), 양덕점(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80)[27], 웅상점(양산시 삼호1길 34), 시티세븐점(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20)[28], 삼계점(창원시 마산합포구 내서읍 경남대로 927)[15], 김해점(김해시 김해대로 2330)[29], 진주점(진주시 동진로 440), 거창점(미정)
- '''전라북도''' (7개)
익산점(익산시 무왕로 1053)[30], 군산점(군산시 수송로 185), 전주점(전주시 완산구 우전로 240), 덕진점(전주시 덕진구 가련산로 26-3)[15], 정읍점(정읍시 벚꽃로 85), 남원점(남원시 춘향로 96)
- '''전라남도''' (5개)
목포점(목포시 원형서로 15), 남악점(무안군 남악로162번길 80), 여천점(여수시 무선로 187), 여수점(여수시 국포1로 36), 나주점(나주시 내동길 15)
- '''제주특별자치도''' (1개)
제주점(제주시 연북로 1)
'''롯데마트 스마트스토어'''
- 서울특별시 (1개): 금천점 (금천구 시흥대로 291)
- 경기도 (1개): 이천점
3. 2. 해외
롯데마트는 2022년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기 전까지 116개의 점포를 운영했다.[6] 2007년 12월 네덜란드의 슈퍼마켓 체인인 마크로(Makro)를 인수하면서 중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는 한국 소매업체 최초의 중국 시장 진출이었다.[4] 2018년 4월, 베이징 매장 21곳을 중국 슈퍼마켓 운영업체인 우메이홀딩스(Wumei Holdings Inc.)에 매각하며 베이징 사업 철수를 확정했다.[5] 2016년에는 중국의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인해 많은 매장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8] 2018년 5월 11일, 상하이 지역 매장을 중국 유통업체 "리쿤(利群)"에 매각했다.[9]인도네시아에서는 41개의 롯데마트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10월, PT 마크로 인도네시아(PT Makro Indonesia)를 인수하면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으며,[4] 이는 한국 유통업체 최초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이었다.
베트남에서는 15개의 롯데마트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12월 18일, 호찌민 7군에 베트남 1호점을 개설했다.[4]
4. 주요 사업 및 브랜드
4. 1. 토이저러스
롯데마트는 2007년 12월 토이저러스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7] 2007년 12월 8일, 한국 최초의 토이저러스 매장이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롯데마트 구로점에 3,437 m2 규모로 문을 열었다.[2] 이후 구리, 인천, 삼산, 잠실 등에 추가 매장이 개설되었다. 롯데마트는 2012년까지 토이저러스 매장 20개를 추가로 오픈할 계획이었다.[2]4. 2. 통큰 브랜드
통큰은 2010년 '''통큰치킨'''으로 시작된 롯데마트의 브랜드이다. 롯데마트는 12월 17일 ‘통큰’에 대한 상표 출원을 신청하였다.[31]2010년 12월 9일에 롯데마트는 전국 82개 점포에서 900g 내외의 프라이드치킨을 마리당 5,000원에 판매하는 '통큰치킨'의 판매를 개시했다. 이 치킨의 가격은 일반적인 치킨 전문점 판매가의 3분의 1 수준이며, 기존 대형마트 판매가보다도 30 ~ 40% 저렴하여 기존의 영세상인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32]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치킨의 가격이 너무 비쌌다는 지적이 있어 환영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가운데 출시 직후부터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33] 인터넷 상에는 '통큰치킨'을 반기는 패러디물들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져 확대재생산되기도 하였다.[34] 지난 10월에도 이마트에서 피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시작한 바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마트와 기존 상인들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35]
이 외에도 통큰치킨은 소비자들을 롯데마트로 끌어들이기 위한 미끼상품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며,[36] 원가가 저렴해서 역마진 상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들어가려고 하기도 했다.[37] 또한 출시가 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맛이 없다'는 내용의 후기가 올라와 기존 치킨과 관련된 사람이 올린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며 온라인에서의 갈등의 불씨가 되기도 했다.[38]
부당 염매 여부에 관하여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지금까지로서는 원가 이하로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데다 이로 인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롯데마트의 가격인하로 인해 오히려 업계내 경쟁이 촉진된다고 보여진다"며 "지금까지는 부당 염매로 볼 정황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39] 그러나 영세 상인들에 피해를 끼친다는 지적에 계속 제기되던 가운데 정진석 당시 이명박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도 트위터를 통해 통큰치킨을 비판하였다.[40] 이는 당시 보수 정권의 친서민 정책 기조와 어긋나는 결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일부 치킨 업자들에 의해 롯데마트가 '적자 영업'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41]
결국 통큰치킨에 대한 논란은 롯데마트가 스스로 12월 16일부터 판매를 중단한다고 공지하면서 일단락되었다.[42] 롯데마트는 공지문을 통해 주변 치킨가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한 결과로 판매 중단을 결정했으며 닭의 재고분은 불우 이웃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혔다.[43] 그러나 판매가 중단된 이후로도 BBQ를 비롯한 기존 치킨 가격들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논란이 지속되면서 후폭풍이 일었다.[44] 판매 중단 이후로도 기존 치킨 체인점들의 판매량이 크게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거대 이익집단(프랜차이즈협회)에 의해 '선택권이 제한받았다'는 상실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45]
롯데마트에서는 통큰치킨의 판매를 중단한 직후, 이어서 절반 가격의 '''통큰넷북'''을 판매하였다.[46] 엄밀히 말하면 '통큰넷북'이라는 용어는 언론과 인터넷 상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롯데마트는 '통큰치킨' 이후 '통큰'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가 2011년 4월 6일 '통큰', '손큰' 브랜드 전략을 수립을 발표하고 본격적으로 통큰 마케팅을 도입했다. 그 이후에는 통큰과 손큰이라는 말이 널리 쓰여 현재 초밥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 2011년 1월 6일 LA식 갈비를 판매한 이후 언론과 인터넷 상에 '통큰갈비'라는 이름으로 화제가 되기 시작했으며, 1월 9일 준비한 물량을 모두 완판하였다.
4. 2. 1. 통큰치킨 논란
2010년 12월 9일, 롯데마트는 전국 82개 점포에서 900g 내외의 프라이드치킨을 마리당 5,000원에 판매하는 '통큰치킨' 판매를 시작했다. 이 치킨의 가격은 일반적인 치킨 전문점 판매가의 3분의 1 수준이며, 기존 대형마트 판매가보다도 30 ~ 40% 저렴하여 기존의 영세상인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32]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치킨의 가격이 너무 비쌌다는 지적이 있어 환영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출시 직후부터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33] 인터넷 상에는 '통큰치킨'을 반기는 패러디물들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져 확대재생산되기도 하였다.[34] 지난 10월에도 이마트에서 피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시작한 바 있어, 대형마트와 기존 상인들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35] 이 외에도 통큰치킨은 소비자들을 롯데마트로 끌어들이기 위한 미끼상품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며,[36] 원가가 저렴해서 역마진 상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들어가려고 하기도 했다.[37] 또한 출시가 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맛이 없다'는 내용의 후기가 올라와 기존 치킨과 관련된 사람이 올린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며 온라인에서의 갈등의 불씨가 되기도 했다.[38]부당 염매 여부에 관하여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지금까지로서는 원가 이하로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데다 이로 인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롯데마트의 가격인하로 인해 오히려 업계내 경쟁이 촉진된다고 보여진다"며 "지금까지는 부당 염매로 볼 정황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39] 그러나 영세 상인들에 피해를 끼친다는 지적은 계속 제기되었고,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도 트위터를 통해 통큰치킨을 비판하였다.[40] 또한 일부 치킨 업자들에 의해 롯데마트가 '적자 영업'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41] 결국 통큰치킨에 대한 논란은 롯데마트가 스스로 12월 16일부터 판매를 중단한다고 공지하면서 일단락되었다.[42] 롯데마트는 공지문을 통해 주변 치킨가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한 결과로 판매 중단을 결정했으며 닭의 재고분은 불우 이웃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혔다.[43] 그러나 판매가 중단된 이후로도 BBQ를 비롯한 기존 치킨 가격들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논란이 지속되면서 후폭풍이 일었다.[44] 판매 중단 이후로도 기존 치킨 체인점들의 판매량이 크게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거대 이익집단(프랜차이즈협회)에 의해 '선택권이 제한받았다'는 상실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45]
4. 3. 기타 사업
5. 사회적 책임 및 논란
5. 1. 골목상권 침해 논란
5. 2. 사드 보복 조치
6. 같이 보기
참조
[1]
위키
Lotte (conglomerate)
[2]
웹사이트
LOTTE
http://www.lotte.co.[...]
2015-07-01
[3]
웹사이트
mk 뉴스 Lotte Mart to Relocate to China Once Overseas Sales Surpass Domestic Performance
http://news.mk.co.kr[...]
News.mk.co.kr
2013-03-21
[4]
웹사이트
LOTTE
http://www.lotte.co.[...]
2015-07-01
[5]
웹사이트
Lotte Mart to sell Chinese biz to Wumart for US$230m
http://www.theinvest[...]
2019-10-27
[6]
웹사이트
Lotte to pull out of China, focus on Southeast Asia
https://www.koreatim[...]
2023-10-15
[7]
웹사이트
Marketplace - "The largest toy store in the world" - Toys "R" Us Times Square - Ralph Greene - 81/254
http://worldwidepano[...]
World Wide Panorama
2013-03-21
[8]
웹사이트
韓経:「THAAD雪解け」本当に来るのか…ロッテ、中国テーマパーク工事再開に期待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4-06
[9]
뉴스
롯데마트 상하이 50여개 점포 매각…11년 만에 중국서 철수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8-05-11
[10]
일반
[11]
뉴스인용
백화점,편의점.외식업 신규진출 잇따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4-03-04
[12]
뉴스
롯데마트, 창고형 할인점 '빅마켓'으로 확정…6월 금천점 오픈
http://media.daum.ne[...]
SBS CNBC
2012-04-13
[13]
위키
롯데마트 월드타워점
[14]
일반
[15]
위키
GS마트
[16]
위키
롯데마트 잠실점
[17]
위키
롯데마트 광복점, 홈플러스 동래점
[18]
위키
롯데마트 동래점, 홈플러스 동래점
[19]
위키
홈플러스 인천논현점, 홈플러스 연수점
[20]
위키
이마트 반야월점
[21]
일반
[22]
위키
이마트 일산점, 홈플러스 고양터미널점
[23]
위키
이마트 오산점, 홈플러스 병점점, 홈플러스 송탄점
[24]
일반
[25]
일반
[26]
위키
이마트 김천점
[27]
위키
홈플러스 마산점
[28]
위키
이마트 창원점
[29]
위키
이마트 김해점, 홈플러스 김해점
[30]
위키
홈플러스 익산점
[31]
뉴스
롯데마트, "품질 대비 가격 저렴한 상품" `통큰` 상표출원 독점!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32]
뉴스
정진석 청와대수석 "롯데마트 치킨에 영세상인들 울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12-09
[33]
뉴스
롯데마트 '통큰 치킨' 인기..치킨 전문점은 반발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0-12-10
[34]
뉴스
'통큰치킨 장례식' 등 통큰치킨 판매중단 애도 패러디 봇물
http://ntn.seoul.co.[...]
서울신문
2010-12-15
[35]
뉴스
이마트피자, 동네 상권 '꿀꺽'?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10-20
[36]
뉴스
롯데마트 '통큰 치킨' 이마트 '피자', "다른 상품까지 구매...'미끼 상품'?"
http://www.kgbnews.k[...]
경기북부일보
2010-12-10
[37]
뉴스
롯데마트 '5000원 치킨'에 원가 논란 확산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0-12-10
[38]
뉴스
통큰치킨 후기 논란..출시도 전에 "맛없다" 비난?
https://news.naver.c[...]
TV리포트
2010-12-10
[39]
뉴스
롯데마트 치킨 불공정행위 해당 어려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12-10
[40]
뉴스
정진석 "`롯데마트 치킨'에 영세상인 울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12-09
[41]
뉴스
백기 든 롯데마트 ‘통큰치킨’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0-12-13
[42]
뉴스인용
롯데마트 5000원 치킨…16일부터 판매 중단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12-13
[43]
웹사이트
롯데마트의 ‘통큰치킨’을 사랑해주신 고객 여러분께
http://www.lottemart[...]
[44]
뉴스
치킨 1마리 팔때마다 프랜차이즈 본사 3000원 챙겨
http://news.nate.com[...]
파이넨셜뉴스
2010-12-15
[45]
뉴스
통큰 치킨’ 후폭풍, 치킨이 안팔린다
http://news.nate.com[...]
파이넨셜뉴스
2010-12-21
[46]
뉴스
`통큰 넷북`도 대박..5시간만에 1000대 품절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0-12-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형마트 “9월에도 초특가 먹거리 할인 경쟁 펼친다”
유통업계는 지금 ‘코리아 관광객 헌터스’로 변신 중
내수 부진에 돌파구 될까···‘외국인 공략’ 공들이는 유통업계
롯데마트, 인도네시아 신사업모델 속도낸다
금어기 끝난 꽃게 '만선'…대형마트 가격 전쟁
금어기 끝나자 꽃게잡이 '만선'…대형마트들 '가격 전쟁'
롯데 유통군, 제1회 AI 콘퍼런스 “인공지능 기반 유통 혁신 재도약”
롯데마트 구독형 온라인 배송 ‘제타패스’ 론칭
롯데마트 제타, 온라인 구독형 배송 서비스 ‘제타패스’ 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친절한경제] 어획량 늘었다…내일부터 '햇꽃게 대전'
꽃게 금어기 해제…대형마트, '100g당 700원대' 초저가 경쟁 재점화
트리플 역세권, 평지 입지…부산 ‘서면 어반센트 데시앙’에 쏠리는 기대감
“광복절 연휴, 어느 대형마트서 먹거리 살까”
“추석 물가 비상…올해는 사전예약으로 선물 가격 줄여볼까”
중국인 단체관광객 잡아라…유통·관광업계, ‘무비자’ 대비 분주
남양주 왕숙·진접·구리 이번 주 2643가구 분양
대형마트 “말복(8월9일) 원기회복 하세요”
롯데쇼핑 2분기 영업이익 406억원…전년 대비 27.5% 감소 – 바이라인네트워크
롯데마트, 장바구니 부담 줄이기 위해 ‘직진가격’으로 돌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