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가는 신약성서의 복음서 저자이자 사도행전의 저자로, 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이교도 출신 개종자이며 의사이자 화가로 여겨진다. 그는 시리아 안티오키아 출신으로, 바울의 동료로 활동하며 그의 서신에 언급되기도 한다. 루가는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을 저술했으며, 이 두 책은 신약성서의 27.5%를 차지한다. 루가는 종종 날개 달린 소의 상징과 함께 묘사되며,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에서는 10월 18일을 성 루카 축일로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 시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세르지오 1세
교황 세르지오 1세는 687년부터 701년까지 재임한 84대 교황으로, 시리아계 혈통으로 로마 교회의 독립성을 주장하고 교회 내 변화를 주도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시리아 속주 - 안타키아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에 위치한 안타키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자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지진 피해 복구를 노력 중이다. - 시리아 속주 - 팔미라 제국
팔미라 제국은 3세기 로마 제국의 혼란기에 팔미라를 중심으로 오다에나투스가 세력을 확장하고 그의 아내 제노비아가 영토를 넓혔으나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에게 정복당해 멸망한 국가이다.
루가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성인 |
이름 | 루카 복음사가 |
출생일 | 기원후 1년과 16년 사이 |
출생지 | 로마 제국 안티오키아 (현재의 튀르키예 하타이 주 안타키아) |
사망지 | 로마 제국 아카이아 보이오티아 테베 (현재의 그리스 테베) |
사망일 | 기원후 84년과 100년 사이 (전통적으로 84세) |
축일 | 10월 18일 10월 31일 (율리우스력 날짜가 준수될 때의 그레고리력) |
숭배하는 교회 | 성인을 숭배하는 대부분의 모든 기독교 교회, 그리고 드루즈교 |
칭호 | 사도, 복음사가, 순교자 |
주요 성지 | 이탈리아 파도바 |
상징 | 복음사가, 의사, 책 또는 펜, 날개 달린 황소 또는 송아지, 성모 마리아의 이콘을 그리는 모습, 붓 또는 팔레트 |
수호 대상 | 예술가, 공증인, 독신자, 의사, 금세공인, 정육점 주인, 양조업자, 유리 세공인 등 |
주요 작품 | 루카 복음서, 사도행전 |
작가 정보 | |
이름 | 루카 (안티오키아 출신) |
직업 | 기독교 선교사 및 역사가 |
언어 | 코이네 그리스어 |
주요 작품 | 루카 복음서 및 사도행전 |
다른 이름 | |
라틴어 | 루카스 |
그리스어 | 루카스 |
히브리어 | 루카스 |
아람어 | 루카 |
암하라어 | 루카스 |
추가 정보 | |
관련 성경 구절 | 골로새서 4:14 |
순교 여부 | | 순교자로 추정 |}} |
2. 생애
루가는 복음사가 중 유일하게 이교도 출신 개종자로 알려져 있다. 시리아 속주의 안티오키아 출신으로, 의사였으며, 84세에 비티니아 혹은 이집트에서 사망했고, 유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다.[9][10][11] 일부 신학자들은 루가를 노예 출신으로 보기도 한다.
사도행전에서 바울로의 두 번째 전교 여행 중에 나오는 루가는 바울로의 인간적인 모습에 매료되어 그를 깊이 존경하고 따랐다. 바울로가 세 번째 전교 여행에서 돌아올 때까지 몇 년 동안 필리피에 머물렀으며, 이후 바울로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갔다. 바울로가 카에사리아에 2년간 수감되었을 때에도 그의 곁을 지켰다. 이때 루가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루가복음서를 썼다고 추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성서학자들은 Q문서와 마르코 복음서를 자료로 사용했다고 추정한다.
로마로 향하는 바울로의 위험한 여행에 동반한 루가는 바울로의 충실한 동료였다. 바울로는 디모데후서 4장 11절에서 "루가만이 나와 함께 있습니다."라고 기록했다.[11]
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 4장 14절에서 바울로는 루가를 "사랑하는 의사"라고 불렀으며,[10] 루가복음서에는 많은 의학 용어가 등장한다. 공관복음 중 루가복음서에만 혈루병을 앓는 여인을 기록하면서 "용하다는 의원들은 다 찾아보았으나 돈만 날리고 말았다"는 서술이 없다. 이는 의사로서 자신의 직업을 옹호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70년에서 85년 사이에 루가는 신약성서의 중요한 부분인 루가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을 저술하였다. 이 두 책에서 그는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나란히 보여준다. 그리스의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노력했으며, 루가 복음서를 보면 고전 그리스 문체에 매우 뛰어났고 유대교 원전에 대한 지식도 탁월했다. 하지만 루가는 예수 그리스도와 바울로에 대한 전승을 수집하여 편집했기 때문에, 루가 복음서는 신학 문서로 간주된다.
전승에 따르면 루가는 성모 마리아를 처음 그린 사람이라고 한다. 루가가 그린 최초의 성모화는 폴란드 쳉스토호바의 야스나고라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다고 하며,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는 루가가 직접 그렸다는 전설의 ‘로마 백성의 구원’이라는 성모 이콘이 있다. 몇몇 역사 기록에 따르면 590년 로마에 흑사병이 창궐했을 때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역병을 물리치려고 행렬을 하였는데, 그때 모시고 간 성화가 바로 이 이콘이었다고 한다.
많은 학자들은 누가가 고대 시리아의 헬레니즘 도시인 안티오크에 살았던 그리스 가정 출신의 의사였다고 믿는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누가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이었다고 생각한다.[7] 누가복음-사도행전의 신학이 이방인 독자를 위한 이방인 그리스도인의 저술을 가리킨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누가복음-사도행전이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으로 구성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결론을 내린 학자들도 있다. 기독교 전통에서 그의 유해로 여겨지는 것에 대한 DNA 검사 결과 시리아계 혈통으로 밝혀졌다.[7]
누가가 유대인이었는지 이방인이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저자는 신약 성경 저자 중 가장 높은 교육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고대 고전 및 헬레니즘 그리스 저자들에 대한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암시, 언급 및 인용을 통해 실제 그리스 문학 텍스트에 익숙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친숙함은 동부 지중해 전역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고 계속 사용될 매우 동질적인 헬레니즘 교육 과정(ἐνκύκλιος παιδεία|enkyklios paideia|label=nonegrc)을 청소년기에 경험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8]
누가에 대한 가장 초기 언급은 빌레몬서 1장 24절,[9] 골로새서 4장 14절,[10] 디모데후서 4장 11절[11]에 나타난다.
에피파니우스는 누가가 70인의 사도 중 한 명이라고 말하며, 요한 크리소스톰은 고린도후서 8장 18절[12]에서 바울이 언급하는 "형제"가 누가 또는 바나바임을 지적한다.
누가가 실제로 그의 이름을 딴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저자였다면, 그는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선교를 묘사할 때 반복적으로 "우리"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그 당시에 그곳에 직접 있었음을 나타낸다.[14]
저술의 구성과 사용된 어휘의 범위는 저자가 교육받은 사람임을 나타낸다. 골로새서의 인용구는 누가와 다른 동료들을 "할례"의 사람들과 구별한다.
이러한 논평은 전통적으로 주석가들이 누가가 이방인이라고 결론짓게 했지만, 누가는 이방인 그리스도인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이었다고 믿는다.[7]
바울의 생애 말기에 사도 바울과 함께 로마에 있었던 누가의 존재는 디모데후서 4장 11절: "나와 함께 있는 자는 누가뿐이라"에서 증명된다. 누가에게 널리 기인하는 사도행전의 마지막 장에는 사도행전 28장 16절을 포함하여 누가의 로마 체류를 확인하는 1인칭 서술이 여러 개 있다.[14]
"매우 초기이고 널리 퍼진 전통"에 따르면 누가는 보이오티아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4세기 그리스 역사가 니케포로스 칼리스토스 크산토풀로스에 따르면, 누가의 무덤은 테베에 있었고, 그의 유물은 357년에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
4세기, 또는 한 설에는 2세기 것으로 여겨지는 문서 『루가가 쓴 복음서에 대한 반마르키온적 서문』에 루가는 시리아 안티오키아 출신의 시리아인으로, 직업은 의사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이 문서는 또한 루가는 평생 독신으로 84세에 사망했다고 전한다. 일부 사본에는 루가가 보이오티아 테바이에서 죽었다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후대의 전승에서는 루가의 전기가 더욱 명확해졌다. 에피파니우스는 칠십인역의 제자 중 한 명으로 루가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는 『고린도후서』 8:18에 나오는 "나의 형제"는 바나바 또는 루가를 가리킨다고 생각했다.
또한 루가에게는 그림 솜씨가 뛰어나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렸다는 전승도 있어 중세의 회화 작품 등에는 성모자상을 그리는 루가의 모습이 즐겨 그려졌다. 이 때문에 중세 유럽의 화가·약제사 길드는 대부분 루가를 수호 성인으로 삼았다. 또한 네덜란드 등 여러 도시의 화가 길드는 공통적으로 "성 루가 조합"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2. 1. 출신과 직업
전승에 따르면 루가는 시리아 속주의 안티오키아 출신으로, 헬레니즘화된 유대인 또는 이방인 출신으로 추정된다.[7] 골로새서 4장 14절에 "사랑하는 의사 누가"[10]라는 언급이 있어, 전통적으로 의사로 여겨진다.[13] 루가의 복음서에는 다른 복음서에 비해 의학 용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누가의 직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바울로는 골로새서에서 누가를 "사랑하는 의사"라고 불렀으며,[10] 루가복음서에는 많은 의학 용어가 등장한다. 공관복음 중 루가복음서에만 혈루병을 앓는 여인을 기록하면서 "용하다는 의원들은 다 찾아보았으나 돈만 날리고 말았다"는 서술이 없다. 이는 의사로서 자신의 직업을 옹호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많은 학자들은 누가가 고대 시리아의 헬레니즘 도시인 안티오크에 살았던 그리스 가정 출신의 의사였다고 믿는다. 다만, 일부 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누가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이었다고 생각한다.[7]
2. 2. 바울로와의 관계
누가는 사도행전에서 바울로의 선교 여행에 동행한 것으로 묘사된다. 사도행전에는 바울의 여러 차례 전도 여행에 "우리"라는 표현이 있으며, 누가가 저자라면 누가는 바울의 첫 번째 마케도니아 선교와 마케도니아에서 예루살렘으로의 여행, 그리고 예루살렘에서 로마로의 호송에 동행했을 것이다.[14] 또한 이 기록으로부터 누가는 소아시아의 드로아와 어떤 식으로든 깊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4장 11절에는 "루가만이 나와 함께 있다"라는 구절이 있어,[11] 바울로의 말년까지 동행했음을 알 수 있다.2. 3. 사망과 유해
전승에 따르면 누가는 84세에 테베에서 사망했으며, 유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다.[30][31] 14세기 그리스 역사가 니케포로스 칼리스토스 크산토풀로스는 누가의 무덤이 테베에 있었고, 유물은 357년에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고 기록했다.[30][31]현재 누가의 유해로 여겨지는 시신은 이탈리아 파도바의 산타 지우스트이나 수도원에 안치되어 있으며,[30][31] 두개골은 프라하의 성 비투스 대성당에, 갈비뼈 일부는 테베의 누가 무덤에 보관되어 있다.
1992년, 그리스 정교회 테베와 리바데이아 대주교 이에로니모스는 파도바의 주교에게 유해 반환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파도바에서 유해에 대한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 다양한 검사 결과, 이 유해는 기원후 72년에서 416년 사이에 사망한 시리아인의 것으로 확인되었다.[7] 이후 파도바 주교는 누가의 심장과 가장 가까운 갈비뼈를 테베의 무덤에 보관하도록 전달했다.
누가의 유해는 다음과 같이 나뉘어져 있다.
유해 | 위치 |
---|---|
시신 | 산타 지우스트이나 수도원 (파도바) |
두개골 | 성 비투스 대성당 (프라하) |
갈비뼈 | 테베의 루카 복음사가 성당 |
전승에 따르면 루가는 복음사가 중에서 유일한 이교도 출신 개종자였다. 시리아 속주의 안티오키아 출신이며, 의사였고, 84살에 비티니아 혹은 이집트에서 죽었고, 유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다고 한다. 사도행전에서 바울로의 두 번째 전교 여행 중에 나오며, 루가는 바울로의 인간적 인품에 매료되어 깊이 존경하고 따랐다. 바울로가 세 번째 전교 여행에서 돌아올 때까지 몇 해 동안 필리피에 머물렀다고 한다.
3. 저술 활동
루가는 바울로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가서 로마 제국이 바울로를 카에사리아에 수감해 2년간 미결수였을 때 그의 곁에 있었다. 이때 그는 예수 그리스도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루가의 복음서를 썼다고 추정하는 이들도 있으나, 성서학자들은 Q문서와 마르코의 복음서를 자료로 사용했다고 추정한다. 그는 로마로 향하는 바울로의 위험한 여행에 동반했으며 바울로의 충실한 동료가 되었다. 바울로는 "루가만이 나와 함께 있습니다. 마르코는 내가 하는 일에 꼭 필요한 사람이니 그를 데리고 오시오,"(2디모 4:11)라고 기록했다.
루가의 직업은 의사였다고 여겨진다. 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4장 14절)에 보면 바울로가 그를 "사랑하는 의사 루가"라고 불렀으며, 루가복음서에는 많은 의학용어가 등장한다. 공관복음에서 혈루병에 걸린 여인을 기록한 부분중에 루가복음서만 "용하다는 의원들은 다 찾아보았으나 돈만 날리고 말았다"는 서술이 없다. 이는 의사로서 자신의 직업을 옹호하려는 의도라고 풀이된다.
서기 70년과 85년 사이에 루가는 신약성서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는 루가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을 저술하였다. 그는 이 두 책에서 이방인 출신의 그리스도인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나란히 보여준다. 그는 그리스의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를 이해하도록 시도했다. 루가의 복음서을 보면 루가가 고전 그리스 문체에 매우 뛰어났으며 유대교의 원전에 대한 지식도 탁월했다. 하지만 루가 복음서에 기록한 모든 일에 참여하지 못했으므로 루가 복음서는 예수 그리스도와 바울로에 대한 전승을 수집하여 편집한 신학 문서들이다.
전승에 따르면 루가는 맨 처음 성모 마리아를 그린 사람이라고 한다. 루가가 그린 최초의 성모화는 폴란드 체스트호바의 야스나고라 수도원에 보관했다고 한다. 또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는 루가가 직접 그렸다는 전설의 ‘로마 백성의 구원(Salus Populi Romani)’이라는 성모 마리아 이콘이 있다. 몇몇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서기 590년에 로마에 흑사병이 창궐했던 시기에 역병을 물리치려고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행렬을 하였다. 그때 모시고 간 성화가 바로 이 이콘이었다고 한다.
많은 학자들은 누가가 고대 시리아의 헬레니즘 도시인 안티오크에 살았던 그리스 가정 출신의 의사였다고 믿는다. 일부 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누가가 헬레니즘 유대인이었다고 생각한다. 누가복음-사도행전의 신학이 이방인 독자를 위한 이방인 그리스도인의 저술을 가리킨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누가복음-사도행전이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으로 구성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더 그럴듯하다는 결론을 내린 학자들도 있다. 기독교 전통에서 그의 유해로 여겨지는 것에 대한 DNA 검사 결과 시리아계 혈통으로 밝혀졌다.[7]
누가가 유대인이었는지 이방인이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저자는 신약 성경 저자 중 가장 높은 교육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었다. 호머, 이솝, 에피메니데스, 에우리피데스, 플라톤, 아라투스와 같은 고대 고전 및 헬레니즘 그리스 저자들에 대한 저자의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암시는 그가 실제 그리스 문학 텍스트에 익숙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친숙함은 동부 지중해 전역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된 헬레니즘 교육 과정()을 청소년기에 경험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8]
누가에 대한 가장 초기 언급은 빌레몬서 1장 2절에 나온다.[9] 그는 또한 골로새서 4장 14절[10]과 디모데후서 4장 11절[11]에도 언급되는데, 이 두 구절은 전통적으로 바울 서신으로 여겨진다.
에피파니우스는 누가가 70인의 사도 중 한 명이라고 말하며, 요한 크리소스톰은 고린도후서 8장 18절[12]에서 바울이 언급하는 "형제"가 누가 또는 바나바임을 언급한다.
누가가 실제로 그의 이름을 딴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저자였다고 받아들인다면, 그의 개인적인 삶의 특정 세부 사항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을 예수의 사역을 직접 목격한 사람들에서 제외하지만,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선교를 묘사할 때 반복적으로 "우리"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그 당시 그곳에 직접 있었음을 나타낸다.
저술의 구성과 사용된 어휘의 범위는 저자가 교육받은 사람임을 나타낸다. 골로새서의 인용구는 누가와 다른 동료들을 "할례"의 사람들과 구별한다.
누가가 이방인이라고 결론짓는 것은 전통적인 해석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누가는 유대인이 아닌 것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신약 성경의 유일한 저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누가는 이방인 그리스도인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이었다고 믿는다. 그 문구는 유대교 의식을 엄격하게 지킨 그리스도인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구별하는 데에도 똑같이 사용될 수 있다.
바울의 생애 말기에 사도 바울과 함께 로마에 있었던 누가의 존재는 디모데후서 4장 11절("나와 함께 있는 자는 누가뿐이라")에서 증명된다. 누가에게 널리 기인하는 사도행전의 마지막 장에는 사도행전 28장 16절을 포함하여 누가의 로마 체류를 확인하는 1인칭 서술이 여러 개 있다.[14] ("우리가 로마에 이르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누가는 히브리서의 저자에도 기여했다.
"매우 초기이고 널리 퍼진 전통"에 따르면 누가는 보이오티아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4세기 그리스 역사가 니케포로스 칼리스토스 크산토풀로스에 따르면, 누가의 무덤은 테베에 있었고, 그의 유물은 357년에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
3. 1.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루가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은 누가의 저술로 여겨져 "누가 문서"라고 불린다. 루가의 복음서는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사도행전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헬라어 원본으로 기록되었으며, 문체와 어휘 면에서 높은 수준의 헬라어 구사 능력을 보여준다.[8] 무라토리 단편, 이레네우스 등 초기 교부들의 증언은 누가의 저작설을 뒷받침한다.[7]
루가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은 학자들이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이라고 부르는 두 권으로 된 저작이다. 이 두 책은 신약 성서의 27.5%를 차지하며, 단일 저자의 가장 큰 기여이다.[14] 그러나, 루가의 복음서는 저자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15] 이 복음서는 사도행전 16장부터 시작되는 부분과 달리, 기록된 사건의 직접 목격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주장하지도 않고 그렇게 쓰여지지도 않았다.[16]
3. 2. 역사적 신뢰성 논쟁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역사적 신뢰성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쟁이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루가의 저술 (누가-사도행전)을 그리스 역사서술의 전통으로 이해한다. 루카 1:1-4에서 루카는 역사적 조사에 근거하여 독자들에게 이 저술이 역사 장르에 속한다는 것을 밝혔다. 루카의 저술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며, 어떤 역사가들은 루카를 매우 정확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더 비판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고고학자 윌리엄 미첼 램지는 루카가 도시, 마을, 섬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공직 명칭을 정확하게 언급한 것을 근거로 "루카는 일류 역사가입니다. 그의 사실 진술이 신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는 역사가 중 가장 위대한 사람들과 함께 놓여야 합니다."라고 썼다. 오클랜드 대학교 고전학 교수인 에드워드 머스그레이브 블레이클록은 다음과 같이 썼다. "세부 사항의 정확성과 분위기의 환기 면에서 루카는 사실상 투키디데스와 어깨를 나란히 합니다. 사도행전은 경건한 상상의 조잡한 산물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기록입니다… 고고학의 삽질이 처음으로 진실을 드러냈습니다." 신약학자 콜린 헤머는 루카의 저술의 역사적 성격과 정확성에 대한 이해에 여러 가지 발전을 가져왔다.
사도행전의 목적에 대해 신약학자 루크 티모시 존슨은 "루카의 기록은 고대 역사서술의 표준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역사서술의 표준에 따라 그의 변론적 관심에 맞게 선택되고 형성되었습니다."라고 지적했다. 리처드 허드는 역사적 결함이 "저술의 특별한 목적과 정보 출처의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견해를 공유한다.
현대에 와서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사전적인 견해에 따라 루카의 역사가로서의 능력에 의문이 제기된다. 계몽주의 이후의 역사가들은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러한 역사가들은 천사, 악마 등의 초자연적이고 환상적인 일을 이야기하는 서술을 역사적 자료로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마크 파월은 "역사를 쓰는 것이 루카의 의도였는지 의심스럽습니다. 루카는 선포하고, 설득하고, 해석하기 위해 썼지, 후세를 위해 기록을 보존하기 위해 쓴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인식은 많은 사람들에게 루카라는 역사가의 관에 마지막 못을 박은 것입니다."라고 주장한다.
로버트 M. 그랜트는 루카가 스스로를 역사적 전통 안에 있다고 보았지만, 그의 저술에는 사도행전 4:4에서 베드로가 연설한 대규모 군중과 같은 여러 가지 통계적 비현실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또한 루카가 "가말리엘이 테우다스와 유다를 잘못된 순서로 언급하고, 실제로 테우다스는 가말리엘이 말한 지 약 10년 후에 반란을 일으켰다(5:36-7)"는 연대기적 어려움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 보고서가 연대기적 어려움으로 여겨지는 것은 격렬하게 논쟁의 여지가 있다.[15][16]
브렌트 랜다우는 다음과 같이 썼다.
4. 예술가로서의 누가
기독교 전통에서 누가는 최초의 이콘 화가로 여겨진다. 특히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의 이콘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폴란드 체스토호바의 천주교 체스토호바 흑색 마리아상 등이 누가의 작품으로 전해진다.[28] 성 루카 길드는 중세 시대 화가들의 조합이었으며, 누가를 수호성인으로 삼았다.
전승에 따르면 루가는 맨 처음 성모 마리아를 그린 사람이라고 한다. 루가가 그린 최초의 성모화는 폴란드 체스트호바의 야스나고라 수도원에 보관했다고 한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는 루가가 직접 그렸다는 전설의 ‘로마 백성의 구원(Salus Populi Romani)’이라는 성모 마리아 이콘이 있다. 몇몇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서기 590년에 로마에 흑사병이 창궐했던 시기에 역병을 물리치려고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행렬을 하였는데, 그때 모시고 간 성화가 바로 '로마 백성의 구원' 성모 성화상이었다고 한다.
또한 루가는 그림 솜씨가 뛰어나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렸다는 전승도 있어, 중세 회화 작품 등에는 성모자상을 그리는 루가의 모습이 자주 그려졌다. 이 때문에 중세 유럽의 화가·약제사 길드는 대부분 누가를 수호 성인으로 삼았다. 네덜란드 등 여러 도시의 화가 길드는 공통적으로 "성 루카 조합"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5. 상징
누가는 종종 날개 달린 소나 황소와 함께 묘사된다. 이는 에제키엘서 1장 10절과 요한 묵시록 4장 7절에 나오는 네 생물 중 하나로, 희생과 봉사를 상징한다.[18] 특히 네 복음서 저자의 상징을 함께 표현할 때 상징만 표현되기도 한다.
6. 기념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에서는 10월 18일을 성 루카 축일로 기념한다.[24]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18일 외에도 여러 날에 누가를 기념한다.[19] 콥트 정교회에서는 파오피 22일에 누가의 순교를 기념한다.
동방 정교회에서 고정된 축일로 누가를 기념하는 날은 다음과 같다.[19]
이동 축일로 루가를 기념하는 날은 다음과 같다.[19]
잉글랜드 교회는 10월 18일에 누가 복음 사가를 기념한다.[29]
참조
[1]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2]
성경
Colossians 4:14
[3]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4]
웹사이트
St. Luke
https://www.catholic[...]
2023-08-10
[5]
웹사이트
BIOGRAPHY OF ST. LUKE
https://stlukes-pari[...]
St. Luke the Evangelist Parish
2023-08-10
[6]
웹사이트
St Luke the Evangelist – Saint of the Day – 18th October
https://www.ctsbooks[...]
2022-10-17
[7]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body attributed to the evangelist Luke
2001-11-06
[8]
서적
The Formal Education of the Author of Luke-Acts
T&T Clark
2022
[9]
성경
Philemon 1:24
[10]
성경
Colossians 4:14
[11]
성경
2 Timothy 4:11
[12]
성경
2 Corinthians 8:18
[13]
성경
Colossians 4:10–11, Colossians 4:14
[14]
성경
Acts 28:16
[15]
웹사이트
Acts 5:36 Commentaries: "For some time ago Theudas rose up, claiming to be somebody, and a group of about four hundred men joined up with him. But he was killed, and all who followed him were dispersed and came to nothing
https://biblehub.com[...]
[16]
웹사이트
Good Question…
https://www.christia[...]
Christian thinktank
2022-03-08
[17]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Успенский. 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евангелиста Луки : I, II. Ев. Лука как иконописец. Ев. Лука как резчик : Реф., чит. 8 нояб. 1900 г. в заседании Церк.-археол. отд. при Общ. люб. духов. просвещения тов. пред. Отд. А.И. Успенским. - Москва : типо-лит. И. Ефимова, 1901. - 12 с.; 27.
https://azbyka.ru/ot[...]
[18]
웹사이트
The Symbols of the Evangelists
https://fitzmuseum.c[...]
[19]
웹사이트
Лука, Апостол
http://drevo-info.ru[...]
2022-07-16
[20]
웹사이트
Synaxis of the Seventy Apostles
https://www.oca.org/[...]
2023-04-30
[21]
웹사이트
Apostle and Evangelist Luke of the Seventy
https://www.oca.org/[...]
2023-04-30
[22]
웹사이트
Holy Apostles of the 70 Apelles, Luke (Loukios), and Clement
https://www.oca.org/[...]
2023-04-30
[23]
웹사이트
June 20, 2023. + Orthodox Calendar
https://orthochristi[...]
2023-04-30
[24]
웹사이트
Apostle and Evangelist Luke
https://www.oca.org/[...]
2023-04-30
[25]
웹사이트
Synaxis of the Achaean Saints
https://www.johnsani[...]
2023-04-30
[26]
웹사이트
Synaxis of All Saints of Boeotia
https://www.johnsani[...]
2023-04-30
[27]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Vatican Publishing House
[28]
웹사이트
Commemorations for Baba 22
https://www.copticch[...]
2023-10-27
[29]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3-10-27
[30]
웹사이트
Curiosités des traditions, des mœurs et des légendes, 1847. / р. 148
https://commons.wiki[...]
[31]
웹사이트
Dictionnaire critique des reliques et des images miraculeuses, T. 2. 1827 / р. 131
https://commons.wiki[...]
[32]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body attributed to the evangelist Luke
2001-11-06
[33]
웹사이트
Catholic Online
https://www.catholic[...]
[34]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