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드 보프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드 보프롱은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트이자 이도 옹호자였다. 본명은 루이외젠알베르 슈브뢰로, 1888년 에스페란토를 접하고 에스페란토 보급에 기여했으며, 《에스페란토 문법 해설》을 저술했다. 이후 이도 운동에 참여하여 이도를 지지하며, 1925년에는 이도 문법인 《상세 완전 문법》을 출판했다. 그는 에스페란토 진영에서는 배신자로, 이도 진영에서는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자칭 후작이라는 주장을 했으나 증거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도 - 이도 (언어)
이도는 1907년 언어학자들이 에스페란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인공 언어로, 국제어 채택 논의 중 익명으로 제출된 수정안이 채택되어 탄생했으며, 현재도 소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위키백과 이도어판도 운영되고 있다. -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앙리 바르뷔스
프랑스 소설가이자 시인, 언론인, 평화 운동가, 공산주의 운동가인 앙리 바르뷔스는 자연주의와 염세주의에 기반한 초기 작품 활동 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반전주의와 평화주의를 옹호하며 《화염 속으로》를 발표,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소련을 지지했으나 프롤레타리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레몽 슈바르츠
레몽 슈바르츠는 프랑스의 에스페란토 작가이자 카바레 운영자로, 언어 유희와 풍자를 활용한 독특한 스타일로 에스페란토 문학에 기여했으며 파리에서 에스페란토 카바레를 운영하며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썼다. - 1855년 출생 - 우겐 도르지
우겐 도르지는 부탄의 명문가 출신 정치인으로, 20세기 초 왕실 정부에서 요직을 겸임하며 영국 및 티베트와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부탄 근대화에 기여했다. - 1855년 출생 - 에드윈 홀
에드윈 허버트 홀은 홀 효과를 발견하고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물리학 교과서를 저술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루이 드 보프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루이 드 보프롱 |
원어 이름 | Louis de Beaufront |
로마자 표기 | Lui de Bopeurong |
에스페란토 이름 | Bofronto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844년 10월 3일 |
출생지 | 파리 |
사망일 | 1935년 1월 8일 |
사망지 | 솜주 테지글리몽 |
국적 | |
국적 | 프랑스 |
![]() |
2. 생애
보프롱은 1888년에 에스페란토를 처음 접했고, 1898년에 에스페란토 보급 협회(SPPE)를 설립했으며, 1900년에는 "에스페란토 문법 해설"을 저술했다.
1907년 국제 보조어 채택 대표단 회의에 수정되지 않은 에스페란토 대표로 참석했으나, 실제로는 루이 쿠튀라와 함께 최초의 이도 프로젝트의 공동 저자였다. 비엔나의 계획 언어 및 에스페란토 박물관에 보관된 서신에서 그는 이도의 공동 저작을 부인했다. 이후 이도 옹호자로 남아 1925년 이도 문법 "상세 완전 문법"(Kompleta Gramatiko Detaloza)을 저술했다.
그는 후작이라고 주장하는 등 특이한 성격을 가졌으나,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는 없다. 조셉 스키벨의 2010년 소설 "치유 가능한 로맨티스트"에 등장한다.
2. 1. 유년 시절
본명은 '''루이외젠알베르 슈브뢰'''(Louis Eugène Albert Chevreux프랑스어)이다. 1844년 10월 3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루이즈 아르망드 슈브뢰(Louise Armande Chevreux프랑스어)는 프랑스 블랑디레투르(Blandy-les-Tours) 출신이었고, 아버지 이름은 전해지지 않았다.보프롱이 12세일 때 어머니가 사망하였고, 모친상 이후 고아로 자랐다. 보프롱의 유년기는 확실치 않다. 이후 보프롱은 이름을 "슈브뢰"에서 귀족식인 "드 보프롱"으로 바꾸고, 자신이 벨기에의 왕으로부터 보프롱 후작이라는 작위를 수여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2. 2. 에스페란토 운동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에스페란토를 발표한 뒤, 보프롱은 1888년 봄에 에스페란토를 배웠고, 프랑스 최초의 에스페란티스토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이후 툴루즈와 알비 등지에서 에스페란토를 홍보하였다. 1892년 1월에는 프랑스어로 쓰인 최초의 에스페란토 교재인 《국제어 에스페란토 완전 교재》(Langue universelle Esperanto. Manuel complet프랑스어)를 출판하였다. 1893년에는 랭스 대주교의 승인(임프리마투르) 아래 《가톨릭 소(小)기도집》(Preĝareto por Katolikoj영어)을 편찬하였다.1898년에는 잡지 《에스페란티스토》(L’Esperantiste프랑스어) 및 프랑스 에스페란토 협회를 창립하였고, 1908년에 퇴출당할 때까지 협회장을 맡았다. 1900년에는 《에스페란토 문법 주해》(Commentaire sur la grammaire de la Langue internationale «Esperanto»프랑스어)를 출판하였고, 한때 (에스페란토 창제자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 다음으로) "에스페란토 제2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또한, 적어도 1894년까지는 에스페란토의 개선안들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2. 3. 이도 운동
1907년 루이 쿠튀라는 "국제 보조어 채택 위원회"(Délégation pour l'Adoption d'une Langue Auxiliaire Internationale프랑스어)를 창설하였다. 이 위원회는 여러 인공 국제어들 중 가장 실용적인 것을 평가하고 채택하기 위한 단체였다. 쿠튀라는 위원회의 회장이었지만, 비밀리에 ‘이도’라는 자신의 인공어를 만들어 위원회에 제출하였다. 이후 쿠튀라는 보프롱의 지지를 얻어, 보프롱은 자신이 이도를 창제하였다고 위원회에 거짓 발표를 하였다. 이로써 쿠튀라는 자신의 중립성을 외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보프롱과 쿠튀라의 거짓말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밝혀졌다.보프롱은 국제 보조어 채택 대표단 위원회 회의에 수정되지 않은 에스페란토를 대표하여 참석했지만, 실제로는 루이 쿠튀라와 함께 최초의 이도 프로젝트의 공동 저자였다. 그는 위원회를 감명시키고 에스페란토 개혁으로 이어지게 했다. 비엔나의 계획 언어 및 에스페란토 박물관에 보관된 서신에 따르면, 그는 이도의 공동 저작을 부인했다.
이후 보프롱은 에스페란토 관련 단체들에서 퇴출되었고, 이도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1925년 이도의 공식 문법 《국제어 이도 상세 완전 문법》(Kompleta Gramatiko Detaloza di la Linguo Internaciona Idoio)을 출판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보프롱은 이도 운동에 대한 희망을 점차 잃고, 이도 운동에서 은퇴하였다.
2. 4. 말년
보프롱의 이후 행적은 확실하지 않다. 1935년 1월 8일 솜주 아미앵 근처의 작은 마을 테지글리몽에서 사망하였다. 아미앵 남쪽의 작은 마을 마레몽티에(Marestmontiers프랑스어)에서 묘비 없는 무덤에 묻혀 있다.3. 주요 저작
보프롱은 에스페란토와 이도 관련 저작을 남겼다. 1888년 에스페란토를 처음 접한 후, 1898년에는 에스페란토 보급 협회(Société Pour la Propagation de l'Espéranto, SPPE)를 설립했다.
그는 국제 보조어 채택 대표단 위원회에서 에스페란토를 대표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루이 쿠투라와 함께 이도 프로젝트의 초기 공동 저자였다. 이후에도 이도를 옹호하며 관련 저작을 남겼다.
3. 1. 에스페란토 관련 저작
1892년 1월에 에스페란토에 대한 책 《국제어 에스페란토 완전 교재》(Langue universelle Esperanto. Manuel complet프랑스어)를 출판하였다. 이는 프랑스어로 쓰인 최초의 에스페란토 교재이다. 1893년에는 랭스 대주교의 승인(임프리마투르) 아래 《가톨릭 소(小)기도집》(Preĝareto por Katolikoj영어)을 편찬하였다. 1900년에는 《에스페란토 문법 주해》(Commentaire sur la grammaire de la Langue internationale «Esperanto»프랑스어)를 출판하였다.3. 2. 이도 관련 저작
보프롱은 1925년 이도의 공식 문법 《국제어 이도 상세 완전 문법》(Kompleta Gramatiko Detaloza di la Linguo Internaciona Idoio)을 출판하였다. 1900년에는 "에스페란토 문법 해설"을 저술했다.4. 평가
보프롱에 대한 평가는 에스페란토 진영과 이도 진영에서 크게 엇갈린다. 에스페란토 진영에서는 그를 배신자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그는 1907년 국제 보조어 채택 대표단 위원회에 에스페란토 대표로 참석했으나, 비밀리에 루이 쿠투라와 함께 에스페란토를 개혁한 이도 프로젝트의 공동 저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위원회 앞에서 에스페란토를 옹호하는 척했지만, 실제로는 이도를 지지했다.
반면, 이도 진영에서는 보프롱을 선구자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는 이도 옹호자로 활동하며 1925년 이도 문법서인 "상세 완전 문법"(Kompleta Gramatiko Detaloza)을 저술하는 등 이도 발전에 기여했다.
보프롱의 성격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는 스스로를 후작이라고 칭하고, 영국인 할머니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없다.
5. 대중문화
조셉 스키벨의 2010년 소설 "치유 가능한 로맨티스트"에 보프롱이 등장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