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어는 모국어를 공유하지 않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의미하며, 상업, 외교,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고대부터 라틴어, 그리스어 등이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었으며, 21세기에는 영어가 가장 대표적인 국제어이다. 인공어는 자연어의 불규칙성을 해결하고 특정 문화적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볼라퓌크, 에스페란토, 이도 등이 개발되었다. 에스페란토는 가장 성공적인 인공어로 평가받지만, 이도, 인터링구에 등 다양한 경쟁 언어가 등장했다. 국제어의 보급 방식에는 자유 방임, 제도적 지원, 국가 및 국제 입법 등이 있으며, 그림 언어와 국제 수화도 국제적 소통 수단으로 활용된다. 국제어에 대한 비판으로는 인위성, 자연어와의 경쟁, 소수 언어 소멸 가능성, 유럽 중심성 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언어 -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는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발표한 국제 보조어로, 언어 장벽 해소와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쉬운 문법과 유럽어 기반 어휘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계획어이다.
  • 다중언어 - 외국어
    외국어는 자국 공용어가 아니거나 교육과정 외의 언어를 의미하며, 넓게는 모국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포함하고, 외국어 교육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실제 구사 능력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으며, 컴퓨터 보조 학습 등 다양한 학습 도구가 활용되고 뇌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다.
  • 국제어 - 솔레솔
    솔레솔은 19세기 초 프랑수아 쉬드르가 고안한 7음계 기반의 인공어로, 소리, 기호, 색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며 음절 조합과 어순으로 의미를 구분하는 문법 체계를 갖는다.
  • 국제어 - 인테르링구아
    인테르링구아는 굴절 없는 라틴어에서 비롯되어 알렉산더 고데에 의해 재정립되고 국제과학협회의 지원을 받아 발전한 국제 보조어이며, 로망스어군과의 유사성으로 이해하기 쉬운 특징을 가진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국제어
국제어 정보
유형계획 언어
목적국제 의사소통 촉진
특징단순한 문법
쉬운 학습
문화적 중립성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주요 창시자L.L. 자멘호프 (에스페란토 창시자)
초기 시도볼라퓌크
주요 국제어
관련 개념
언어 정책언어 계획
세계어세계 공용어
보조 언어보조 언어
인공어인공어
언어학언어학

2. 역사

모국어가 다른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중간 언어, 즉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2] 고대에는 라틴어그리스어(코이네 그리스어)가 지중해 전역에서 이러한 역할을 했으며, 아카드어아람어서아시아의 여러 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3] 이러한 자연적인 중간 언어는 상업, 외교, 행정, 학술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등장했다.

'링구아 프랑카'라는 용어 자체는 11세기부터 19세기까지 지중해 지역에서 교역어로 사용된 피진 언어인 지중해 링구아 프랑카에서 유래했다. 오늘날에도 링구아 프랑카는 세계 곳곳에 존재하며, 21세기 초 가장 대표적인 예는 단연 영어이다. 영어의 특별한 형태로는 베이직 잉글리시가 있는데, 이는 문법을 단순화하고 어휘를 1,000단어로 제한하여 기본적인 영어 지식만으로도 복잡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자연어 중에서는 사용 인구나 사용 빈도에 따라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이 지역적인 국제 보조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는 유럽 일부와 과거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스페인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들 언어는 해당 지역을 벗어나면 사용 빈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영어는 대영 제국의 역사적 영향력과 현대 미국의 국제적 지위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압도적인 사용 빈도를 보인다.

이러한 자연어 기반의 링구아 프랑카 외에도, 처음부터 국제적인 소통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어들도 존재한다. '보조어'라는 명칭은 특정 민족의 모국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인들이 소통을 위해 추가적으로 배우는 언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에스페란토, 이도어, 인테르링구아, 볼라퓌크 등이 대표적인 인공 국제 보조어에 해당한다.

2. 1. 인공어의 등장

모든 자연어는 문법이 불규칙하고 배우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정 국가의 문화적 영향력과 연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2] 이러한 자연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중립적이고 배우기 쉬운 소통 수단을 만들려는 노력 속에서 인공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기존 언어를 단순화하여 보조 언어로 사용하려는 생각은 18세기 프랑스의 ''백과전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아생 페이게 드 빌뇌브는 "Langue"(언어) 항목에서 프랑스어 문법을 더 간결하게 만들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또한, 17세기와 18세기에 등장했던 일부 철학적 언어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소통을 돕고 생각을 명확히 하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점에서 초기 형태의 보조 언어(프로토 보조어)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시 기록으로 남아있는 철학적 언어들은 대부분 실제 의사소통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완전했다.

완전하게 개발되어 국제적인 소통을 목표로 한 최초의 인공어들은 19세기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프랑수아 쉬드르가 음악의 음계를 기반으로 만든 솔레솔이 있으며, 비록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지만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초기 시도들은 이후 다양한 국제 보조 언어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보조"라는 말은 특정 민족의 모국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이 소통을 위해 추가적으로 배우는 언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제적인 소통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에스페란토, 이도어, 인테르링구아, 볼라퓌크 같은 인공어를 주로 가리키지만, 국제적인 합의를 통해 사용되는 자연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1. 1. 볼라퓌크

19세기에는 수많은 인공 국제 보조어(IAL)가 제안되었다. 그중 볼라퓌크는 요한 마르틴 슐라이어가 1879년 기사로 처음 소개하고 이듬해 책으로 출판한 언어로, 광범위한 국제 화자 공동체를 확보한 최초의 사례였다.

1884년, 1887년, 1889년에 세 차례의 주요 볼라퓌크 대회가 열렸다. 특히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세 번째 대회에는 여러 나라에서 약 200명이 참석했으며, 이전 대회들과 달리 오직 볼라퓌크만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이는 에스페란토 세계 대회보다 16년 앞서 국제 언어로 국제 대회가 진행된 첫 사례로 기록된다.[4]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볼라퓌크 사용 공동체는 창시자인 슐라이어와 다른 주요 사용자들 사이의 의견 대립, 그리고 배우기 더 쉬운 새로운 인공어에스페란토의 등장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쇠퇴했다.

2. 1. 2. 이디옴 뉴트럴과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

볼라퓌크의 성공에 힘입어, 지지자들은 언어를 관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에 따라 1887년 8월 뮌헨에서 열린 제2차 볼라퓌크 회의에서 국제 볼라퓌크 아카데미(''Kadem bevünetik volapüka'')가 설립되었다.[5][6] 이 아카데미의 초기 목표는 볼라퓌크를 보존하고 개선하는 것이었으나, 곧 내부적인 의견 대립에 직면했다. 한쪽에는 볼라퓌크의 창시자인 슐라이어의 원래 형태를 지키려는 보수적인 지지자들이 있었고, 다른 한쪽에는 볼라퓌크를 주요 세계 언어의 문법과 어휘에 더 가깝게 개혁하여 자연스러운 언어로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1890년, 슐라이어는 기존 아카데미를 떠나 자신에게 충성하는 이들로 구성된 새로운 볼라퓌크 아카데미를 같은 이름으로 설립했다. 이 새로운 아카데미는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원래의 아카데미는 1892년 발데마르 로젠베르거가 원장이 되면서 큰 변화를 맞이했다. 로젠베르거의 지도 아래 아카데미는 볼라퓌크의 문법과 어휘를 대대적으로 수정하기 시작했다. 특히 서유럽인들에게 생소한 어휘와 문법 요소들을 과감히 제거했는데, 이러한 개혁은 사실상 새로운 언어인 이디옴 뉴트럴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변화를 반영하여 아카데미는 1898년에 이름을 ''아카데미 인터내셔널 드 링구 유니버셜''(Akademi Internasional de Lingu Universal)로 변경했고, 그 해부터 아카데미의 공식 문서들은 이디옴 뉴트럴로 작성되었다.

1903년에는 수학자 주세페 페아노가 국제어 설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그는 철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아, 완전히 새로운 언어를 만드는 대신 기존에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던 라틴어를 단순화하는 방식을 택했다. 문법적 굴절을 없앤 이 단순화된 라틴어를 페아노는 인테르링구아(Interlingua)라고 불렀으나, 일반적으로는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Latino sine flexione, '굴절 없는 라틴어'라는 뜻)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페아노의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는 ''아카데미 인터내셔널 드 링구 유니버셜''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결국 1908년, 아카데미는 기존에 지지하던 이디옴 뉴트럴을 포기하고 페아노의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페아노를 아카데미의 새로운 원장으로 선출하고, 단체 이름도 ''아카데미아 프로 인테르링구아''(Academia pro Interlingua, '인테르링구아를 위한 아카데미'라는 뜻)로 변경했다. 여기서 '인테르링구아'는 페아노가 만든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를 지칭한다. ''아카데미아 프로 인테르링구아''는 1939년경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이후 1951년 국제 보조 언어 협회(IALA)가 발표하여 더 널리 알려진 인테르링구아는 페아노의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로부터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2. 1. 3. 에스페란토

볼라퓌크가 등장한 이후, 1880년대부터 1900년대 사이에 다양한 국제 보조 언어들이 제안되었으나, 에스페란토를 제외하고는 의미 있는 사용 공동체를 형성한 언어는 거의 없었다. 에스페란토는 L. L. 자멘호프가 1873년경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1887년에 처음 발표한 언어이다. 1878년에는 초기 버전인 'Lingwe uniwersala'가 완성되기도 했다. 에스페란토는 주로 도식적인 구조를 가지며, 어휘의 어간은 로망스어, 서게르만어, 슬라브어 등 유럽의 주요 언어들에서 가져왔다.

에스페란토가 상대적으로 성공을 거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매우 생산적이고 유연한 단어 형성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하나의 어근만 배우면 수백 개의 다른 단어를 파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스페란토는 다른 언어에 비해 학습 속도가 빠르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언어 학습 시간의 3분의 1에서 5분의 1 정도면 습득할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초기부터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고유한 문화를 만들어 나갔고, 이는 언어 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표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 에스페란토는 주로 동유럽을 중심으로 수천 명의 유창한 사용자를 확보했다. 1905년에는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첫 번째 세계 대회가 열렸으며, 이후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제외하고는 매년 다른 나라에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에스페란토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인공어"이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공 국제 보조 언어로 평가받는다.[7]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중 상위 50개 안에 들 가능성이 있다.[8]

그러나 에스페란토의 보급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1922년, 국제 연맹에서 이란과 다른 여러 국가들이 회원국 학교에서 에스페란토 교육을 도입하자는 제안을 했으나, 프랑스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다.[9][10] 또한, 여러 국가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탄압받기도 했다. 스탈린 치하의 소련, 히틀러 치하의 독일,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약 10년간), 살라자르 치하의 포르투갈, 차우셰스쿠 치하의 루마니아 및 일부 동유럽 국가들에서는 에스페란토 관련 활동이나 협회 결성이 금지되기도 했다.[11]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에스페란토는 꾸준히 사용자층을 넓혀갔으며, 특히 세계 대전 사이와 전후 기간 동안에는 에스페란토로 쓰인 중요한 문학 작품(시와 소설 포함)들이 등장했다.[12]

오늘날 에스페란토는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모국어 화자도 생겨났지만, 여전히 주로 제2 언어로 사용된다. 다양한 인공 언어 프로젝트 중에서 에스페란토는 공식적인 국제 보조 언어 지위에 가장 근접했으며, 중국은 매일 에스페란토로 뉴스를 발행하고 있다.[13]

국제 보조어는 영어프랑스어 같은 기존의 자연어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본래의 의미는 에스페란토처럼 처음부터 국제적인 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어에 더 가깝다. '보조'라는 말은 특정 민족의 모국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인들이 소통을 위해 추가로 배우는 언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에스페란토 외에도 이도어, 인테르링구아, 볼라퓌크 등이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자연어 중에서는 사용 인구가 많은 중국어나 국제적 사용 빈도가 높은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이 국제 보조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영어대영 제국의 영향과 미국의 국제적 지위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프랑스어는 유럽 일부와 과거 프랑스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스페인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독일어는 중앙 유럽 일부 국가에서, 러시아어동구권 국가들에서, 아랍어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이슬람 문화권에서 주로 사용되며 지역적 국제어 역할을 하지만, 해당 지역을 벗어나면 사용 빈도가 낮다.

국제 연합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 스페인어, 아랍어 6개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회원국의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하여 여러 언어가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영어의 영향력이 커져 사실상의 공통어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강력한 자연어들에 비해, 19세기 이후 등장한 에스페란토와 같은 인공 보조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어떤 언어를 국제 보조어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언어별 지지자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 하나의 국제 보조어를 공식적으로 정하기 위해, 전문가와 각국 대표자들의 합의를 통해 후보 언어(자연어 또는 인공어) 중에서 선택하자는 제안도 있다.

반대로 공식적인 지정 없이도 국제 교류 등에서 널리 사용되어 사실상의 표준(데 팍토 스탠다드)이 되도록 하는 전략도 있다. 일본의 일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민제어(民際語)'라 부르며 에스페란토를 이러한 지위로 만들려는 운동을 펼치기도 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국제 보조 언어뿐만 아니라, 제스튜노와 같이 청각 장애인을 위한 국제 보조 수화도 제안되었다. 이는 각기 다른 수화 사용자 간의 소통을 돕기 위한 것으로, 수화는 음성 언어나 문자 언어와는 독립적인 언어 체계이므로 별도의 국제 보조어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다.

결론적으로 에스페란토를 비롯한 인공어들은 국제 보조어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영어와 같은 주요 자연어에 비해 실제 기능과 보급은 아직 제한적이다. 인공어의 보급과 교육을 위해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국제 보조어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공존한다.

2. 1. 4. 이도와 에스페란티도

1900년 루이 쿠투라 등에 의해 국제 보조어 채택 대표단이 설립되었다. 이 대표단은 국제 학술원 연합에 국제 보조어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 언어들을 연구하여 하나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언어를 설계하고자 했다. 그러나 국제 학술원 연합이 이를 거부하자, 대표단은 자체적으로 이 과제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14]

당시 에스페란토는 상당한 규모의 화자 커뮤니티를 가진 유일한 보조어였기 때문에,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대표단이 당연히 에스페란토를 선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1907년, 대표단은 자체적으로 개혁한 에스페란토 버전인 이도를 제시했고, 이는 많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주었다.[15]

이도는 단기적으로 상당수의 화자를 에스페란토로부터 끌어들였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들 대부분이 다시 에스페란토로 돌아가거나 다른 새로운 보조어로 옮겨갔다. 이도 외에도 여러 간소화된 형태의 에스페란토, 즉 에스페란티도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널리 사용되는 보조어 중 하나로 남아 있다.

2. 1. 5. 인터링구에 (옥시덴탈)

에드가 드 바알은 1922년에 옥시덴탈(Occidental)을 발표했다. 이 언어는 에스페란토와 같은 초기 인공어들이 가진 인위적인 특성에 대한 반작용으로 만들어졌다. 드 바알은 이디옴 뉴트럴과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에서 영감을 받아, 로망스어를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이 복합어를 포함한 단어들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옥시덴탈을 설계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계 방식은 말을 하면서 즉석에서 새로운 복합어나 파생어를 만드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단점이 있었다. 옥시덴탈은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으며, 1930년대에는 약 80종의 관련 출판물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949년에는 공식 명칭을 인터링구에(Interlingue)로 변경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인터링구에 사용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2. 1. 6. 노비알

1928년, 이도의 주요 지지자였던 덴마크의 언어학자 오토 예스페르센은 이도를 포기하고 자신의 계획어인 노비알을 발표했다.[18] 노비알은 주로 이디엄 뉴트럴과 옥시덴탈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에스페란토와 이도가 추구했던 파생 형식주의와 도식주의를 일부 수용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예스페르센의 명성은 이 보조 언어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으나, 그가 1934년에 언어 개혁을 제안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럽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돌입했다. 결국 예스페르센은 유럽이 다시 평화를 되찾기 전인 1943년에 사망하면서 노비알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 1. 7. 인터링구아

국제 보조어 협회(IALA)는 1924년 앨리스 밴더빌트 모리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IALA의 초기 임무는 언어 문제와 기존의 보조어들을 연구하고 다양한 보조어 지지자들 사이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었으나, 결국 자체적인 보조어를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1951년에 발표된 인터링구아는 주로 알렉산더 고데의 작업 결과였지만, 앙드레 마르티네를 포함한 이전 IALA 언어학자들의 예비 연구와 페아노의 인테르링구아(Latino sine flexione), 예스페르센의 노비알, 드 발의 인테르링게, 그리고 아카데미의 이디옴 네우트랄과 같은 이전의 자연주의적 보조어 프로젝트들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인테르링게와 마찬가지로 인터링구아는 로망스어나, 로망스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한 영어와 같은 언어를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단어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IALA는 에스페란토나 인테르링게보다는 다소 복잡하지만 자연어보다는 덜 복잡한 수준의 문법적 및 철자적 복잡성을 수용했다.

인터링구아의 이론은 여러 언어에 걸쳐 존재하는 방대한 수의 단어와 접미사로 구성된 '국제 어휘'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국제 어휘는 사회적 힘, 과학 및 기술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국제 보조어 협회의 목표는 인터링구아에 가능한 한 가장 널리 퍼진 국제 단어들을 받아들이는 것이었다.[19] 그들은 "가능한 가장 일반적인 국제 어휘"를 식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언어의 통일성을 유지하고자 했다.[20] 선택된 소스 언어(소위 '제어 언어')로부터 언어를 생성하는 이러한 과학적 접근 방식은 주요 유럽 언어들의 가장 높은 공통분모라고 할 수 있는 어휘와 문법을 만들어냈다.

인터링구아는 상당한 규모의 화자 커뮤니티를 확보했으며, 이는 아마도 이도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다(에스페란토보다는 훨씬 적다). 인터링구아의 성공 요인 중 하나는 그 자연주의적인(도식적이지 않은) 문법과 어휘 덕분에 가장 널리 '이해될 수 있는' 국제 보조어라는 점이다. 로망스어를 알고 있는 사람이나 영어를 교육받은 화자는 별도의 사전 학습 없이도 인터링구아를 읽고 이해할 수 있다.[21] 현재 인터링구아는 모든 대륙에 활동적인 화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 Interlingua 연합(UMI)에 의해 언어가 전파되고 있고, CD, 라디오, 텔레비전 등에서도 소개되고 있다.[22]

인터링구아가 만들어진 이후,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에는 인공어에 대한 열정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2. 2. 인터넷 시대

화자 공동체가 있는 모든 보조어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혜택을 보았으며, 특히 에스페란토가 가장 큰 혜택을 받았다. 1991년 설립된 [http://listserv.brown.edu/archives/conlang.html CONLANG 메일링 리스트]는 초기에 국제 보조어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는 곳이었다. 그러나 점차 인공어공학 언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리스트의 다수를 차지하고 특정 보조어 지지자들 간의 논쟁이 잦아지자, 1997년에는 별도의 [http://listserv.brown.edu/archives/auxlang.html AUXLANG 메일링 리스트]가 만들어져 이후 보조어 논의의 주요 장소가 되었다. 인터넷은 기존 보조어 사용자들이 우편이나 드문 만남을 통해 느리게 소통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온라인에서 빠르게 상호 작용할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보조어 프로젝트를 홍보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이 중 일부는 소규모 화자 공동체를 얻었는데, 예를 들어 코타바(1978년 출판), 링구아 프랑카 노바(1998), 슬라비오(1999), 인터슬라브어(2006), 판두니아(2007), 삼바사(2007), 링과 드 플라네타(2010), 글로바사(2019) 등이 있다.[23]

2. 3. 지역 보조어

모든 국제 보조어가 반드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될 의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특정 언어 사용자 그룹, 특히 관련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언어들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 보조어의 가장 오래된 예는 1665년 크로아티아의 사제 유라이 크리자니치가 만든 범슬라브어이다. 크리자니치는 이 언어를 '루스키 예지크'(Ruski jezik|루스키 예지크hr, "러시아어")라고 불렀지만, 실제로는 교회 슬라브어의 러시아어판, 그 자신의 모어인 세르보크로아트어의 남부 차카비아 방언, 그리고 일부 폴란드어를 혼합한 것이었다.[24]

대부분의 지역 보조어는 19세기 말 낭만주의 민족주의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그 이후에도 일부가 등장했다. 특히 슬라브어파 사용자들을 위한 범슬라브어 프로젝트가 많이 시도되었다.[25] 하지만 다른 언어 계열에서도 유사한 노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군을 통합하려는 시도로 투토니시(Tutonish, 1902), 폴크스프라크(Folkspraak, 1995)와 같은 범게르만어 프로젝트가 있었고, 로망어군을 위해서는 로마니드(Romanid, 1956)를 비롯한 여러 범로망스어가 만들어졌다. 또한 아프리카 대륙 전체를 대상으로 한 아프리힐리(Afrihili, 1973) 같은 시도도 있었다.

현대의 지역 보조어 중 주목할 만한 예로는 인터슬라브어(Interslavic)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06년 '슬로비안스키'(Slovianski)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고, 이후 여러 유사 프로젝트와의 통합을 거쳐 2011년에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2012년 기준으로 수백 명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6]

3. 학술 연구

1900년대 초, 보조 언어는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루이 쿠투라 등[27]은 저서 ''국제 언어와 과학'' 서문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소위 세계 언어, 또는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국제 보조 언어에 대한 문제는, 볼라퓌크 시대에는 물론 현재의 에스페란토 운동에서도 유토피아주의자, 광신자, 열광자들의 손에 너무 많이 맡겨져 있어, 좋은 아이디어가 그 바탕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편견 없는 의견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1910, v쪽).

레오폴트 파운들러 역시 과학자들 간의 효율적인 소통을 위해 국제 보조 언어(IAL)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 과학 문헌을 읽거나 쓰는 데 종사하는 모든 사람은 틀림없이 공통 과학 언어의 필요성을 종종 느꼈을 것이며, 과학 문헌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과 노력의 큰 손실을 유감스럽게 생각했을 것이다.

쿠투라 등은 볼라퓌크에스페란토 지지자들이 언어학적 문제와 다른 부수적인 문제들을 혼동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이것이 국제 보조 언어 논의가 비현실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주된 이유라고 생각했다.

한편, 쿠투라와 동시대 학자였던 에드워드 사피어[28][29] 등 일부 학자들은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 이들은 보조 언어 문제를 단순히 문법이나 어휘 같은 기술적 해답을 찾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대신, 지속적인 국제적 이해를 위한 언어적 기반(플랫폼)의 개념을 확산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20세기 들어 학자들, 특히 언어학자들의 관심은 크게 줄어들었지만,[30] 이러한 접근 방식의 차이는 여전히 남아있다. 일부 학자나 관심 있는 일반인들은[31] 구체적인 언어 형태를 제안하는 데 집중한다. 반면, 마리오 페이[32]나 다른 학자들은[33] 더 넓은 사회적 문제를 우선시하기도 하며, 특정 언어를 실제로 사용하도록 지지하고 사회적으로 통합시키려는 움직임도 있다.[34]

4. 표기 체계

대부분의 국제 보조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만, 일부는 키릴 문자를 대체 표기법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대다수의 국제 보조어(IAL)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n/, /m/, /t/, /f/와 같은 몇몇 소리는 국제 음성 기호(IPA)와 동일한 문자로 표기된다.

몇몇 로마자 기반 국제 보조어 알파벳에서 발견되는 자음 소리는 IPA에서 ISO 646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다. 3개는 IPA에서 단일 문자를 가지며, 하나는 ISO 646에서 유래된 널리 사용되는 대체 문자를 가지고 있다.


  • /ʃ/ (U+0283, IPA 134)
  • /ʒ/ (U+0292, IPA 135)
  • /ɡ/ (U+0261, IPA 110, 단일층 g) = g (U+0067, 이중층 g)


4개는 파찰음으로, 각각 IPA에서 두 글자와 결합 마커로 표현된다. 이들은 종종 분해되어 쓰인다.

  • /t͡s/ = /ts/
  • /t͡ʃ/ = /tʃ/; 참고: 폴란드어는 이 둘을 구분한다.
  • /d͡z/ = /dz/
  • /d͡ʒ/ = /dʒ/


즉, IPA에서 한 문자로 표현되지만 ISO 646에 없는 두 소리 ʃ, ʒ는 ISO 646에서 흔한 대체 문자도 없다.

ISO 639-3 코드알파벳 이름비 ISO 646 문자분음 부호다중 문자IPA에서 ISO 646 문자로 묘사되는 소리가 다른 문자로 묘사되는 경우IPA에서 비 ISO 646 문자로 묘사되는 소리가 다른 문자로 묘사되는 경우
vol볼라퓌크예 (ꞛ, ꞝ, ꞟ)예 (ä, ö, ü)아니요예 (x /ks/, z /ts~dz/)예 (c /tʃ~dʒ/, j /ʃ~ʒ/)
lfn링구아 프랑카 노바아니요아니요아니요예 (c /k/)예 (j /ʒ/, x /ʃ/)
rmv로마노바 알파벳아니요아니요아니요예 (c /k/)예 (j /ʃ/)
ina인테르링구아아니요아니요예 (ch /ʃ/ 또는 /k/ 또는 /tʃ/, qu /kw/ 또는 /k/)예 (c /k/)예 (g /ʒ/, j /ʒ/)
ido이도어아니요아니요예 (ch /tʃ/, qu /kw/, sh /ʃ/)예 (c /ts/, q /k/, x /ks/ 또는 /ɡz/)예 (j /ʒ/, sh /ʃ/)
nov노비알어아니요아니요예 (ch /tʃ/, sh /ʃ/, y /j/)예 (q /k/, x /ks/)예 (j /ʒ/, sh /ʃ/)
igs인테르글로사아니요아니요예 (ph /f/, th /t/, ch /k/, rh /r/)예 (c /k/, q /k/, x /ks/, z /ts/)아니요
avk코타바아니요아니요아니요예 (y /j/)예 (c /ʃ/, j /ʒ/)
epo에스페란토아니요예 (ĉ, ĝ, ĥ, ĵ, ŝ, ŭ)아니요예 (c /ts/)아니요
문돌린코아니요아니요아니요예 (c /k/)아니요
글로사아니요아니요예 (sc /ʃ/)예 (q /kw/, x /ks/)예 (c /tʃ/, sc /ʃ/)
삼바사[35]아니요아니요예 (ch /tʃ/, sch /ʃ/, and more)예 (y, as a semi-vowel /j/, x /ks, gz/, and more)예 (j /ʒ/, ch /tʃ/, sh /ʃ/, sh /ç/, and more)
이디엄 뉴트럴아니요아니요예 (sh /ʃ/)예 (y /j/)예 (c /tʃ/, j /ʒ/, sh /ʃ/)
링구아 드 플라네타아니요아니요예 (ch /tʃ/, sh /ʃ/)예 (x /gz/, z /dz/)예 (c in ch /tʃ/, j /dʒ/)
ile인테르링구에아니요아니요
라티노 시네 플렉시오네아니요아니요
isv인테르슬라브어아니요예 (č, ě, š, ž)dž, but similar to or same as d+ž예 (c /ts/, y /i ~ ɪ/)예 (č /tʃ/, š /ʃ/, ž /ʒ/)
우로피예 (ʒ /ʒ/)아니요아니요아니요예 (c /ʃ/)


5. 분류

다음은 1993년 피에르 장통(Pierre Janton)이 개발한 보조 언어 분류이다.[36]


  • '''선험 언어'''(a priori languages)는 주로 인공적인 형태소(자연어에서 차용하지 않음), 개략적인 파생, 단순한 음운론, 문법, 형태론을 특징으로 가진다. 일부 선험 언어는 철학적 언어라고 불리며, 사고와 언어에 대한 철학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 여기에는 17세기에 시도된 초기 보조 언어 중 일부가 포함된다. 몇 가지 더 구체적인 하위 범주는 다음과 같다.
  • '''분류 언어'''는 단어를 분류 계층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단어의 각 음소는 일종의 의미론적 계층 내에서 위치를 지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솔레솔이 있다.
  • '''파시그래피'''(Pasigraphies)는 구어 형태가 없거나, 독자의 재량에 따라 구어 형태가 남겨진 순수하게 쓰여진 언어이다. 많은 17~18세기 철학적 언어와 보조 언어가 파시그래피였다. 이 세트는 역사적으로 분류 언어와 겹치는 경향이 있지만, 파시그래피가 반드시 분류적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 '''후험 언어'''(a posteriori languages)는 기존 자연어를 기반으로 한다. 유창한 화자가 있는 거의 모든 보조 언어는 이 범주에 속한다.[37] 대부분의 후험 보조 언어는 주로 또는 전적으로 유럽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문법을 어느 정도 유럽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때로는 이러한 유럽 기반 언어를 "유로클론"이라고 부르지만, 이 용어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으며 학술 문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테르링구아는 원래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 과학 어휘에서 파생되었다.[38] 글로사도 마찬가지였으며, 그리스어 어근에 더 강하게 의존했다. 후험 언어는 대부분의 유럽 언어족을 기반으로 했지만, 가장 성공적인 언어(특히 에스페란토,[39] 이도, 인테르링구아)는 로망스어 요소를 기반으로 했다.
  • '''개략적'''(또는 "혼합") '''언어'''는 일부 선험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민족적인 형태소를 가지고 있지만, 단순화된 음운론적 패턴(예: 볼라퓌크) 또는 인공적이고 자연적인 형태소(예: 페리오)에 맞게 크게 변경한다.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언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이고 부분적으로 자연주의적인 파생을 가지고 있다(예: 에스페란토이도). 이 그룹의 언어에 있는 자연적인 형태소는 소스 언어 형태에서 크게 변경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복합어와 파생어는 소스 언어를 잘 아는 사람들에게 한눈에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 '''자연주의 언어'''는 기존 자연어를 닮았다. 예를 들어, 인테르링구에, 인테르링구아, 링구아 프랑카 노바는 어근뿐만 아니라 복합어와 파생어가 많은 사람들에게 즉시 인식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일부 자연주의 언어는 제한된 수의 인공적인 형태소 또는 발명된 문법 장치를 가지고 있다(예: 노비알).
  • '''단순화'''되거나 '''통제된 자연 언어'''의 버전은 자연 언어의 어휘 범위를 줄이고 문법을 부분적으로 정규화한다(예: 베이직 잉글리시 및 스페셜 잉글리시).

6. 보급 방법

국제어 문제는 어떤 언어를 선택하느냐보다 어떻게 보급하고 사용하느냐의 문제로 볼 수 있다.[40] 국제 보조 언어(IAL)가 널리 사용되기 위한 몇 가지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 자유 방임: 특별한 조치 없이 자연스럽게 하나의 언어가 국제 보조어의 지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관점이다. 현재 국제 영어가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제도적 후원 및 풀뿌리 홍보: 정부 차원의 특정 언어 홍보, 개인 간의 언어 학습 권장,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 언어의 보급을 지원하는 접근 방식이다.

# 국가 입법: 개별 국가나 지역에서 특정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거나, 국제적인 언어 관련 입법을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 국제 입법: 국제 연합(UN)이나 국제 의회 연맹(IPU) 같은 국제기구의 주도로 공식적인 국제 보조 언어를 선정하고, 전 세계 학교에서 해당 언어를 가르치도록 하는 국제 협약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이는 바하이 신앙의 공식 원칙이기도 하며, 국제 여론, 언어학적 전문성, 법률을 동원하여 선택된 언어를 공식적인 세계 언어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41] 이 방식은 이미 널리 쓰이는 자연어(예: 영어가 선택된 경우)에 더 큰 정당성을 부여하거나, 에스페란토와 같은 인공어가 자리 잡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인공어 지지자들은 이 방법이 실용성에 대한 회의론을 극복하고 언어 보급을 촉진하는 가장 유망한 길이라고 보기도 한다.

국제 보조어는 모국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인 소통을 돕기 위한 추가적인 언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에스페란토, 이도어, 인테르링구아, 볼라퓌크 같은 인공어가 대표적이지만, 국제적 합의를 통해 사용되는 자연어도 포함될 수 있다.

자연어 중에서는 사용 인구나 사용 빈도 면에서 특정 언어들이 국제 보조어 역할을 하고 있다. 영어대영 제국의 영향과 현대 미국의 영향력 아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영어 제국주의). 프랑스어는 유럽과 아프리카의 구 프랑스 식민지 지역에서, 스페인어는 중남미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독일어는 중앙 유럽, 러시아어는 구 소련 구성국 및 동구권, 아랍어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이슬람 문화권에서 국제적인 소통에 활용되지만, 이들 지역 외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다. 국제 연합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 스페인어, 아랍어 6개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회원국의 언어 다수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영어의 영향력이 커져 사실상의 공통어처럼 기능하고 있다.

이에 비해 19세기 이후 만들어진 에스페란토와 같은 인공 보조 언어들은 아직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어떤 언어를 국제 보조어로 삼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전문가 협의와 세계 시민 대표들의 합의를 통해 하나의 언어(자연어 또는 인공어)를 공식적으로 선택하자는 상의하달식 제안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언어는 각국의 모국어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

반대로, 공식적인 인정 없이도 국제 교류 등에서 실제로 널리 사용되어 사실상의 표준(데 팍토 스탠다드)이 되도록 하는 하의상달식 전략도 시도되고 있다. 일본의 일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에스페란토를 보급하려는 운동을 펼치며 이를 '민제어'(民際語)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국제 보조 점자나, 청각 장애인을 위한 국제 보조 수화(제스튜노 등)도 제안되었다. 이는 각기 다른 수화 사용자 간의 소통을 돕기 위한 것으로, 구어나 문어 기반의 국제 보조어와는 별개로 발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에스페란토를 비롯한 인공어들은 아직 국제 보조어로서 제한적인 역할만 하고 있으며, 영어와 같은 자연어에 비해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 인공어의 보급과 교육에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그 필요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한편, 특정 언어권에 없는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가 다른 언어에 존재할 경우, 해당 단어가 외래어 형태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일본어 '닌자'(忍者)는 영어권에서도 널리 쓰이는 단어가 되었다. 또한 유럽 언어들 사이에는 공통 어원에서 파생된 유사한 어휘가 많아 국제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7. 그림 언어

그림, 상형 문자, 다이어그램 및 기타 그림 표현을 국제 통신에 사용하려는 제안이 많이 있었다. 예시는 17세기에 철학자 라이프니츠가 제안한 Characteristica Universalis에서부터 중국어 채택 제안, 그리고 1949년에 처음 출판된 블리스 심볼과 같은 최근 발명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42]

과학계 내에서는 회로도, 화학 기호, 수학 기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도식과 시스템 생태학의 에너지 시스템 언어 형태로 이미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또한 교통 규제를 위해 사용되는 기호, 관광객을 위한 자원 표시, 그리고 지도 기호에서 기호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을 볼 수 있다. 일부 기호는 컴퓨터와 인터넷에서 일관되게 사용되어 거의 보편적이 되었다.

8. 수화

국제 보조 수화는 스포츠 행사나 정치 단체와 같은 국제적인 모임에서 정기적으로 만나는 청각 장애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전에는 제스투노[43]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일반적으로 '국제 수화'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1973년에 처음으로 기호들이 표준화된 이후 계속 발전해 왔으며, 지금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제 수화는 말로 하는 국제 보조어(IAL,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많은 기호들이 상징적이며, 수화 사용자들은 이 기호들을 자신의 모국 수화 문법에 넣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몸짓과 마임을 중요하게 여긴다. 과거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평원 인디언 수화도 이와 유사한 간단한 형태의 수화였다.

한편, 제스투노는 시그누노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시그누노는 에스페란토를 그대로 수화로 옮긴 것으로, 제스투노와는 별개의 관련 없는 수화이다. 시그누노는 실제로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국제 청각 장애인 공동체보다는 에스페란토 사용자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다.

9. 비판

국제 보조어에 대한 비판은 개별 제안, 제안 유형, 그리고 보다 일반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주요 비판점 중 하나는 국제 보조어의 인위성이다.[9] 또한, 지지자들이 서로 다른 제안을 두고 논쟁하며 하나의 언어에 합의하지 못하는 점, 그리고 어떤 언어가 더 우수한지를 판단할 객관적인 기준이 부족하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 된다.[44]

그러나 가장 널리 퍼진 비판은 영어와 같은 특정 자연어가 이미 국제적인 소통에서 보조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보조어는 불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9세기 후반부터 꾸준히 제기된 또 다른 우려는 국제어가 언어 소멸을 가속화하여 소수 언어의 멸종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이다.[45][46]

역사적으로 많은 국제 보조어들이 주로 서유럽 언어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는 점도 비판받는다. 에스페란토, 인테르링구아, 이도어 등은 지나치게 유럽 중심적이며 진정한 의미의 '국제적' 언어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다.[47] 이러한 언어들을 Euroclone|유로클론eng이라고 부르며, 전 세계의 다양한 어휘를 반영하려는 worldlang|월드랭eng과 구분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에스페란토를 비롯한 여러 인공어들은 국제 보조어로서 널리 보급되지 못했으며, 그 기능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영어처럼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자연어와 비교할 때, 인공 보조어의 아이디어는 아직 충분히 확산되지 못했다고 평가받는다. 일부에서는 보급과 교육을 위해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국제 보조어 자체의 필요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The loom of language and Pei, Mario. One language for the world
[2] 간행물 The problem of the Caucasian Sprachbund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2008
[3] 문서 Ostler, 2005 pp. 38–40
[4] 문서 Foreword to Konciza Gramatiko de Volapuko Courgenard 1995
[5] 문서 Jenotem valemapüka Volapük Amsterdam: Volapükagased 1964
[6] 서적 Historio de la universala lingvo Volapuko Courgenard: La Blanchetière 1996
[7] 간행물 Discouraging Words http://failuremag.co[...] 2009-07-20
[8] 문서 Estimation of English and non-English Language Use on the WWW https://arxiv.org/ab[...] 2000
[9] 서적 Le Défi des Langues L'Harmattan 1994
[10] 웹사이트 Chapter 7: History in Fine http://donh.best.vwh[...] The Esperanto Book 1995
[11] 서적 La Danĝera Lingvo Bleicher Eldonejo, Gerlingen, Germany 1988
[12] 웹사이트 Chapter 9: "The Literary Scene" http://donh.best.vwh[...] The Esperanto Book 1995
[13] 웹사이트 china.org.cn http://esperanto.chi[...]
[14] 웹사이트 The Delegation. Ido. https://web.archive.[...] An International Language 1928
[15] 웹사이트 How to Build a Language http://donh.best.vwh[...] The Esperanto Book
[16] 웹사이트 Cosmoglotta B, 1936, p. 17 http://anno.onb.ac.a[...]
[17] 웹사이트 Cosmoglotta B, 1936, p. 38 http://anno.onb.ac.a[...]
[18] 웹사이트 Novial http://donh.best.vwh[...] How to Build a Language 2012-02-12
[19] 서적 Interlingua: A Dictionary of the International Language Frederick Unga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71
[20] 서적 Interlingua: A Dictionary of the International Language Frederick Unga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71
[21] 간행물 Le problema del linguas international auxiliari Philosophia del Cognoscentia e del Scientia, Rome, Italy: Pontificia Universitas Lateranensis, Pontificia Universitas Urbaniana 1989
[22] 간행물 Radioemissiones in e re Interlingua Panorama in Interlingua 2006
[23] 백과사전 Artificial Languages 2018-06-25
[24] 웹사이트 ИЗ ИСТОРИИ ИНТЕРЛИНГВИСТИЧЕСКОЙ МЫСЛИ В РОССИИ http://miresperanto.[...] Miresperanto.com 2015-01-11
[25] 웹사이트 Constructed Slavic Languages http://steen.free.fr[...] Steen.free.fr 2015-01-11
[26] 문서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http://www.ijors.net[...] Plovdiv 2012
[27] 서적 International Language and Science: Considerations on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tional Language into Science 1910
[28] 간행물 The function of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Romanic Review 1931
[29] 간행물 Memorandum on the problem of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Romanic Review 1925
[30] 서적 The choice of an auxiliary language for the world. Perspectives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linguistics GRIN Verlag, Germany 2015
[31] 서적 Lango, a fully democratic approach towards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based on reformed English n.p., Isle of Man 1996
[32] 서적 One Language for the World Devin-Adair, New York 1961
[33] 간행물 Language and World Order in Bahá'í Perspective: a New Paradigm Revealed Explorations in the Sociology of Language and Religion, John Benjamins, Amsterdam 2006
[34] 간행물 Esperanto and language policy: Exploring the issues Journal of Language Problems and Language Planning 1997
[35] 웹사이트 Sambahsa pronunciation in English http://sambahsa.pbwo[...]
[36] 서적 Esperanto: Language, Literature, and Commun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37] 웹사이트 Essay (hopefully long) https://web.archive.[...] 2006-01-07
[38] 웹사이트 Interlingua https://www.britanni[...] 2023-07-15
[39] 웹사이트 Discouraging Words – Invented languages and their long history of failure https://web.archive.[...] 2013-01-22
[40] 서적 One language for the world 1958
[41] 문서 The Greatest Instrument for Promoting Harmony and Civilization: Excerpts from the Baháʼí Writings and Related Sources on the Question of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George Ronald 2015
[42] 문서 Semantography (Blissymbolics)
[43] 문서 Gestuno: International sign language of the deaf.
[44] 웹사이트 Farewell to auxiliary languages http://www.rickharri[...] 2012-07-16
[45] 문서 "Esenco kaj Estonteco de la Ideo de Lingvo Internacia" 1900
[46] 간행물 "Ĉu Zamenhof Pravis?" 2005-02
[47] 웹사이트 "Types of neutrality, and central concerns for an IAL" http://listserv.brow[...] 2005-12-02
[48] 논문 Words without grammar: Linguists and the international languag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