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쾨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트비히 쾨헬은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식물학자, 음악학자, 저술가, 출판업자이며, 특히 모차르트 작품 목록(쾨헬 목록)을 정리한 것으로 유명하다. 1824년 피아노 연주자로 데뷔한 그는 빈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카를 대공의 자녀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로 일했다. 쾨헬은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쾨헬 목록을 출판하여, 모차르트 작품에 쾨헬 번호를 부여하는 데 기여했다. 이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으며, 모차르트 작품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쾨헬은 요한 푸크스의 작품 목록화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 - 그레고어 멘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사이자 생물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 현상을 연구하여 멘델의 유전 법칙을 발견했으며, 그의 연구는 20세기 초 재발견되어 현대 유전학의 기초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음악학자 -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에두아르트 한슬리크는 음악 평론가로, 《음악미학론》을 통해 음악 형식주의 미학을 주창하고 바그너를 비판하며 브람스를 옹호하는 등 음악 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루트비히 쾨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루트비히 리터 폰 쾨헬 |
원어 이름 | Ludwig Alois Ferdinand Ritter von Köchel |
출생 | 1800년 1월 14일 |
출생지 | 합스부르크 군주국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슈타인 |
사망 | 1877년 6월 3일 |
사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 |
국적 | 오스트리아 |
직업 | 음악학자, 작가, 작곡가, 식물학자, 출판업자 |
주요 업적 | 쾨헬 목록 |
학력 | |
대학 | 빈 대학교 |
전공 | 법학 |
학위 | 박사 |
경력 | |
교수 | 前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명예교수 |
기타 | |
활동 기간 | 1824년 ~ 1877년 |
2. 생애
1824년 피아노 연주자로 처음 데뷔하였고, 1827년 빈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법학자, 식물학자, 음악학자, 저술가, 출판업자로 활동하였다.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82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15년 동안 오스트리아의 대공 카를의 네 아들의 가정교사로 일했으며, 기사 작위[2]와 넉넉한 재정적 보상을 받아 남은 생을 개인 학자로 보낼 수 있었다. 그는 식물학 외에도 지질학 및 광물학에도 관심을 가졌지만 음악을 좋아했으며 모차르테움 잘츠부르크의 회원이었다.
1842년, 카를 대공의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가정교사직을 사임하고 레오폴트 기사단 훈장을 받아 귀족으로 서임되었다. 이듬해에는 빈 음악 협회의 부총재로 선출되었다. 1848년 혁명으로 혼란스러운 빈을 떠나 테셴으로 이사했고, 2년 후 잘츠부르크로 이주하여 10년 이상 살면서,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 작성에 매달렸다. 또한 광석학에도 계속 관심을 갖고, 『잘츠부르크 공국의 광석』 (1859년)을 출판하기도 했다.
1851년, 친구 프란츠 로렌츠로부터 모차르트의 작품이 흩어져 없어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담긴 저서 『모차르트에 대해』를 받았다. 이에 자극받은 쾨헬은 1862년 브라이트코프사에서 『모차르트 전 음악 작품의 연대별 주제별 목록』을 출판하였다.
1863년 다시 빈으로 이주하여 브라이트코프사에 모차르트 전집 출판을 요청하였다(쾨헬 사후 1877년에야 간행 시작). 한편 모차르트 관련 소론을 발표하거나, 베토벤의 서간집을 편찬하거나, 오스트리아 궁정 음악의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했다. 1871년, 요한 요제프 푸크스 연구 공적을 기려 빈 음악 협회 명예 회원이 되었다. 이듬해 작품 목록을 부록으로 하는 푸크스 전기를 간행했다. 1877년, 빈에서 암으로 사망했고, 추도식에서는 모차르트의 레퀴엠이 연주되었다. 중앙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800년 1월 14일,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슈타인에서 아버지는 슈타인에 있던 파사우 주교 궁전의 관리인 요한 게오르크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와 삼촌은 시장을 역임한 명문가 출신이었다. 1810년대 후반 대학에 다니기 위해 빈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고향 슈타인에서 자랐으며, 옆 마을 크렘스의 김나지움에서 공부했고, 1816년에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카를 대공의 재산 관리인을 맡은 귀족 가문의 가정교사가 되었고, 이후 그 귀족의 지인인 백작 가문의 가정교사로 출세했다. 1827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해 카를 대공 일가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2. 2. 가정교사 및 학자로서의 삶
1800년 1월 14일,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주의 슈타인에서 태어났다. 1810년대 후반 대학에 다니기 위해 빈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고향 슈타인에서 자랐다. 옆 마을 크렘스의 김나지움에서 공부했고, 1816년에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2]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827년에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5년 동안 오스트리아의 대공 카를의 네 아들의 가정교사였다. 쾨헬은 기사 작위[2]와 넉넉한 재정적 보상을 받아 남은 생을 개인 학자로 보낼 수 있었다. 1828년부터 2년에 걸쳐, 광물학자 프리드리히 모스가 빈의 제국 광물 표본관에 초청되어 행한 강의를 청강, 어린 시절부터의 광석 수집에 더욱 열을 올렸다. 식물학에 대한 공헌도 높았으며, 만년에는 빈의 제국 동식물 협회의 종신 회원으로 추대되기도 했다.[2]
1842년, 카를 대공의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가정교사직을 사임했다. 그때 레오폴트 기사단 훈장을 수여받아 귀족으로 서임되었다. 이듬해에는 빈 음악 협회의 부총재로 선출되었다. 1848년 혁명으로 혼란스러운 빈을 떠나 테셴으로 이사했고, 그 2년 후 잘츠부르크로 이주했다.[2]
2. 3. 잘츠부르크 시절과 쾨헬 목록 편찬
1848년 혁명으로 혼란스러운 빈을 떠나 테셴으로 이사했고, 2년 후 모차르트의 고향인 잘츠부르크로 이주했다.[3] 1850년부터 1863년까지 10년 이상 잘츠부르크에 살면서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 작성에 매달렸다.[3] 광석학에도 계속 관심을 갖고, 『잘츠부르크 공국의 광석』 (1859년)을 출판하기도 했다.1851년, 쾨헬의 친구 프란츠 로렌츠로부터 저서 『모차르트에 대해』가 보내져 왔는데, 거기에는 모차르트의 작품이 흩어져 없어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표명되어 있었다.[3] 이에 자극받은 쾨헬은 작품 목록 작성을 시작했다.[3] 1862년에 브라이트코프사에서 『모차르트 전 음악 작품의 연대별 주제별 목록 Chronologisch-thematisches Verzeichniss sämmtlicher Tonwerke Wolfgang Amade Mozart's』을 출판했다.[3]
쾨헬이 편찬한 쾨헬 목록은 1761년에 작곡된 '클라비어(피아노)를 위한 미뉴에트 사장조'부터 유작인 '레퀴엠'까지 626곡을 작곡 시대순으로 배열한 목록이다. 악보 예시, 마디 수, 자필 악보, 필사본, 출판 악보의 유무, 보관처 등의 데이터를 기재하고 각 곡에 일련번호를 붙였는데, 이것이 현재의 쾨헬 번호가 된다.[3] 이 시대순 목록 앞에 데이터를 간소화한 장르별 전 작품 목록을 두었다. 브라이트코프사의 모차르트 전집에서는 이 장르 구분이 사용되었다.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쾨헬 이전에도 존재했다. 모차르트 자신이 1784년 이후 사망 직전까지의 176곡을 수록한 목록을 만들었고, 유년기의 작품에 대해서는 아버지 레오폴트도 목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두 작품 목록에는 15년의 공백 기간이 있었다. 알로이스 푹스나 레오폴트 폰 존라이트너도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을 작성했지만, 전 작품을 망라하려는 의지는 없었다. 쾨헬의 목록은 그 질을 달리하는 것으로, 만약 이 목록이 없었다면 모차르트 작품의 많은 부분이 산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연구에 의해 작품의 성립 시기가 재검토되거나 작품이 새롭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쾨헬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최신판은 제8판).[3] 특히 알프레트 아인슈타인의 제3판(1937년)과 프란츠 기글링, 게르트 지버스, 알렉산더 바인만에 의한 제6판(1964년)에서는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졌다.[3]
2. 4. 빈 시절과 말년
1824년 피아노 연주자로 첫 데뷔하였고, 1827년 빈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법학자, 식물학자, 음악학자, 저술가, 출판업자로 활동하였다.[2]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카를 대공의 재산 관리인을 맡은 귀족 가문의 가정교사가 되었고, 이후 그 귀족의 지인인 백작 가문의 가정교사로도 일했다. 1827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함과 동시에 카를 대공 일가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쾨헬은 대공의 궁전(현재의 알베르티나 미술관) 내에 거주했다. 동료로는 필립 마이어(1798년-1828년)와 프란츠 샤르슈미트(1800년-1887년) 등이 있었다. 1828년부터 2년간 광물학자 프리드리히 모스가 빈의 제국 광물 표본관에 초청되어 진행한 강의를 들으며, 어린 시절부터의 광석 수집에 더욱 열중했다. 식물학에도 공헌하여 만년에는 빈의 제국 동식물 협회의 종신 회원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1842년, 카를 대공의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가정교사직을 사임하고 레오폴트 기사단 훈장을 받으며 귀족으로 서임되었다. 이듬해 빈 음악 협회의 부총재로 선출되었다. 1848년 혁명으로 혼란스러운 빈을 떠나 테셴으로 이사했고, 2년 후 잘츠부르크로 이주했다.
1863년 다시 빈으로 이주하여 브라이트코프사에 모차르트 전집 출판을 요청했다(쾨헬 사후 1877년에야 간행 시작). 한편 모차르트 관련 소론을 발표하거나, 베토벤의 서간집을 편찬하거나, 오스트리아 궁정 음악의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했다. 1871년, 요한 요제프 푸크스 연구 공적을 기려 빈 음악 협회 명예 회원이 되었다. 이듬해 작품 목록을 부록으로 하는 푸크스 전기를 간행했다. 1877년 빈에서 사망했으며, 추도식에서는 모차르트의 레퀴엠이 연주되었다. 중앙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쾨헬 목록
1862년에 루트비히 쾨헬은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대순 및 주제별로 정리한 쾨헬 목록을 출판했는데, 이는 이 정도 규모와 학문적 깊이를 가진 최초의 목록이었다.[3] 이후 목록은 여러 차례 수정 작업을 거쳤다. 모차르트의 작품은 종종 KV 번호(''참조.'' 작품 번호)로 참조되는데, 예를 들어 "주피터" 교향곡은 ''교향곡 41번''(KV. 551)과 같이 표기한다.
쾨헬이 목록을 작성하는 동안 오토 얀은 모차르트 작품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그의 학술적인 전기를 쓰고 있었다.[3] 얀은 쾨헬의 작업에 대해 알게 되자 자신의 수집품을 그에게 넘겼고, 쾨헬은 자신의 목록을 얀에게 헌정했다.[4]
쾨헬이 편집한 모차르트 작품 목록은 1761년 '클라비어(피아노)를 위한 미뉴에트 사장조'부터 유작인 레퀴엠까지 626곡을 작곡 시대순으로 배열하고, 악보 예시, 마디 수, 자필 악보, 필사본, 출판 악보 유무, 보관처 등 상세 정보를 담았다. 각 곡에 붙은 일련번호는 현재의 쾨헬 번호가 되었다.
쾨헬 이전에도 모차르트 작품 목록은 존재했다. 모차르트 자신이 1784년 이후 사망 직전까지 176곡을 수록한 목록을 만들었고, 아버지 레오폴트도 유년기 작품 목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두 목록에는 15년의 공백 기간이 있었다. 알로이스 푹스나 레오폴트 폰 존라이트너도 모차르트 작품 목록을 작성했지만, 전 작품을 망라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이후 연구에 의해 작품 성립 시기가 재검토되거나 새로운 작품이 발견되면서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최신판은 제8판).
3. 1. 쾨헬 목록의 구성
1862년에 쾨헬은 쾨헬 목록을 출판했는데, 이는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대순 및 주제별로 정리한 목록이다. 이 목록은 이 규모와 학문적 깊이를 가진 최초의 것이었으며, 이후 수정 작업을 거쳤다.[3] 모차르트의 작품은 종종 KV 번호(''참조.'' 작품 번호)로 참조되는데, 예를 들어 "주피터" 교향곡, ''교향곡 41번'', KV. 551과 같이 표기한다. 쾨헬이 목록을 작성하는 동안 오토 얀은 모차르트 작품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모차르트의 학술적인 전기를 쓰고 있었다.[3] 얀은 쾨헬의 작업에 대해 알게 되자 자신의 수집품을 그에게 넘겼고, 쾨헬은 자신의 목록을 얀에게 헌정했다.[4]쾨헬이 편집한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1761년에 작곡된 '클라비어(피아노)를 위한 미뉴에트 사장조'부터 유작인 '레퀴엠'까지 626곡을 작곡 시대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악보 예시, 마디 수, 자필 악보, 필사본, 출판 악보의 유무, 보관처 등의 데이터를 기재하고, 각 곡에 일련번호를 붙였는데 이것이 현재의 쾨헬 번호가 된다. 이 시대순 목록 앞에 데이터를 간소화한 장르별 전 작품 목록을 두었으며, 브라이트코프사의 모차르트 전집에서는 이 장르 구분을 사용하였다.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쾨헬 이전에도 존재했다. 모차르트 자신이 만든 목록에는 1784년 이후 사망 직전까지의 176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유년기의 작품에 대해서는 아버지 레오폴트도 목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두 작품 목록에는 15년의 공백 기간이 있었다. 알로이스 푹스나 레오폴트 폰 존라이트너도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을 작성했지만, 전 작품을 망라하려는 의지는 처음부터 없었다. 쾨헬의 목록은 그 질을 달리하는 것으로, 만약 이 목록이 없었다면 모차르트 작품의 많은 부분이 산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연구에 의해 작품의 성립 시기가 재검토되거나 작품이 새롭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쾨헬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최신판은 제8판). 특히 알프레트 아인슈타인의 제3판(1937년)과 프란츠 기글링, 게르트 지버스, 알렉산더 바인만에 의한 제6판(1964년)에서는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졌다.
3. 2. 쾨헬 목록의 중요성과 의의
쾨헬 번호 창안은 루트비히 쾨헬의 주요 공적이다.1862년에 그는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대순 및 주제별로 정리한 쾨헬 목록을 출판했다. 이 목록은 이 정도 규모와 학문적 깊이를 가진 최초의 목록이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모차르트의 작품은 종종 KV 번호(작품 번호 참조)로 참조된다. 예를 들어 "주피터" 교향곡은 교향곡 41번 KV. 551과 같이 표기된다. 쾨헬이 목록을 작성하는 동안 오토 얀은 모차르트 작품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모차르트의 학술적인 전기를 쓰고 있었다.[3] 얀은 쾨헬의 작업에 대해 알게 되자 자신의 수집품을 그에게 넘겼다. 쾨헬은 자신의 목록을 얀에게 헌정했다.[4]
쾨헬이 편집한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1761년에 작곡된 '클라비어(피아노)를 위한 미뉴에트 사장조'부터 유작인 레퀴엠'까지 626곡을 작곡 시대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악보 예시, 마디 수, 자필 악보, 필사본, 출판 악보의 유무, 보관처 등의 자료를 기재하고, 각 곡에 일련번호를 붙였다. 이것이 현재의 쾨헬 번호가 된다. 이 시대순 목록 앞에 자료를 간소화한 장르별 전 작품 목록을 두었는데, 앞서 언급한 브라이트코프사의 모차르트 전집에서는 이 장르 구분을 사용했다.
쾨헬 이전에 존재한 모차르트 작품 목록으로는 모차르트 자신이 1784년 이후 사망 직전까지의 176곡을 수록한 목록과, 그의 아버지 레오폴트가 작성한 유년기 작품 목록이 있다. 그러나 이 두 작품 목록에는 15년의 공백 기간이 있었다. 또한 알로이스 푹스나 레오폴트 폰 존라이트너도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을 작성했지만, 전 작품을 망라하려는 의지는 처음부터 없었다. 쾨헬의 목록은 그 질을 달리하는 것으로, 만약 이 목록이 없었다면 모차르트 작품의 많은 부분이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연구에 의해 작품의 성립 시기가 재검토되거나 작품이 새롭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쾨헬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최신판은 제8판). 특히 알프레트 아인슈타인의 제3판(1937년)과 프란츠 기글링, 게르트 지버스, 알렉산더 바인만에 의한 제6판(1964년)에서는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졌다.
3. 3. 쾨헬 목록의 개정
쾨헬은 쾨헬 번호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1862년에 그는 쾨헬 목록을 출판했는데, 이는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대순 및 주제별로 정리한 최초의 목록이었다. 이 목록은 이후에도 계속 수정되었다.[3] 모차르트의 작품은 종종 KV 번호(''참조.'' 작품 번호)로 참조되는데, 예를 들어 "주피터" 교향곡은 ''교향곡 41번''(KV. 551)이다. 쾨헬이 목록을 작성할 당시 오토 얀은 모차르트 작품을 모으고 그의 전기를 쓰고 있었다.[3] 얀은 쾨헬의 작업을 알고 자신의 수집품을 넘겼으며, 쾨헬은 자신의 목록을 얀에게 헌정했다.[4]
쾨헬이 편집한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1761년에 작곡된 '클라비어(피아노)를 위한 미뉴에트 사장조'부터 유작인 '레퀴엠'까지 626곡을 작곡 시대순으로 배열하고, 악보 예시, 마디 수, 자필 악보, 필사본, 출판 악보의 유무, 보관처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각 곡에 붙은 일련번호는 현재의 쾨헬 번호가 되었다.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은 쾨헬 이전에도 존재했다. 모차르트 자신이 1784년부터 사망 직전까지 176곡을 수록한 목록을 만들었고, 아버지 레오폴트도 유년기 작품 목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두 목록에는 15년의 공백이 있었다. 알로이스 푹스나 레오폴트 폰 존라이트너도 모차르트 작품 목록을 만들었지만, 전 작품을 다루려는 시도는 아니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작품의 성립 시기가 수정되거나 새로운 작품이 발견되면서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최신판은 제8판). 특히 알프레트 아인슈타인의 제3판(1937년)과 프란츠 기글링, 게르트 지버스, 알렉산더 바인만의 제6판(1964년)에서는 큰 수정이 있었다.
4. 기타 업적
쾨헬은 모차르트의 작품을 24개의 범주로 분류했으며, 이는 쾨헬이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이 1877년부터 1910년까지 모차르트 작품의 최초 전집을 출판하는 데 사용되었다.[5][6]
그는 또한 요한 푸크스의 작품을 목록화했다.[5][6]
5. 학력
참조
[1]
문서
[2]
문서
Ritter
[3]
서적
Life of Mozart– tr P. D. Townsend Cooper Square Publishers Inc
[4]
서적
Who Wrote the Mozart Four-Wind Concertante pp15-16
[5]
서적
Thematisches Verzeichniss der Compositioner von Johann Josef Fux
A. Hölder
[6]
간행물
Thematic Catalogues in Music: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Pendrag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