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데스하이머 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데스하이머 플라츠역은 빌머스도르프-달렘 도시철도 U3 노선에 있는 역으로, 1913년 개통했다. 빌헬름 라이트게벨이 설계했으며, 인근의 브라이텐바흐플라츠역, 하이델베르거 플라츠역과 유사한 양식으로 건설되었고, 포도 재배를 테마로 디자인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198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9년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인접한 역으로는 브라이텐바흐플라츠역과 하이델베르거 플라츠역이 있으며, 베를린 버스 186번과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 및 U반 환승역으로, S반 역은 1884년, U반 역은 1902년에 개통되었으며, 전쟁과 분단 시기를 거쳐 통일 후 복원되어 현재는 주요 교통 허브이자 주변 명소와 유흥 시설의 중심지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발트뷔네
발트뷔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22,000명 이상을 수용 가능한 야외 원형 극장으로,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나치 시대 선전 장소로 사용되다, 이후 다양한 문화 행사와 록 공연장으로 명성을 얻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 및 베를린 필하모닉 여름 콘서트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란트베어 운하
란트베어 운하는 페터 요제프 렌네가 설계한 베를린의 운하로, 슈프레 강에서 텔토 운하로 이어지며 36개의 교량이 있고, 관광 유람선이 이용되며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지나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장소이다. - 1913년 개업한 철도역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1913년 개업한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뤼데스하이머 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명 | 뤼데스하이머 플라츠 |
역명2 | Rüdesheimer Platz |
![]() | |
역 코드 | Rd |
소재지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
승강장 | 1면 2선(섬식) |
노선 정보 | |
노선1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영업 거리1 | 비텐베르크플라츠 기점 4.5 km |
전역1 | 하이델베르거 플라츠 |
전거리1 | 0.8 |
후역1 | 브라이텐바흐플라츠 |
후거리1 | 0.8 |
언어 정보 | |
독일어 역명 | U-Bahnhof Rüdesheimer Platz |
2. 역사
빌머스도르프-달렘 도시철도(Wilmersdorf-Dahlemer-Untergrundbahn)의 비텐베르크플라츠-틸플라츠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뤼데스하이머 플라츠역은 빌헬름 라이트게벨이 설계를 맡았다. 이 역은 브라이텐바흐플라츠역, 하이델베르거 플라츠역과 비슷한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포도 재배를 주제로 한 디자인이 특징이다.[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역과 역 출입구가 파괴되었으나, 1945년 이후 간단한 형태로 재건축되었다. 1987-1988년, 2006-2007년 두 차례의 개보수 공사를 거쳐 원래 모습을 되찾았지만, 포도 재배 사진은 그래피티 예술로 대체되었다. 2006-2007년 공사에는 약 100만유로가 투입되었으며, 승강장 바닥 교체, 점자 블록 설치, 차장실 마감 변경 등이 이루어졌다.[4][5]
2018년 5월에는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시작되어 2019년 6월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설치 예산은 약 120만유로였다.[6]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13년 개통)
빌머스도르프-달렘 도시철도(Wilmersdorf-Dahlemer-Untergrundbahn)의 비텐베르크플라츠-틸플라츠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사 설계는 빌헬름 라이트게벨(Wilhelm Leitgebel)이 담당했다. 브라이텐바흐플라츠역 및 하이델베르거 플라츠역과 유사한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지하 역사의 테마를 포도 재배로 삼았다. 일대 지역의 도로명 역시 독일의 포도 재배 지역과 유사하다.[2] 승강장 중앙에는 화강암으로 마감된 8각형 기둥과 원형 지지대가 있으며, 사각형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 천장을 지지한다. 각 사각형 구역 중앙에는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외벽은 광고판 설치를 염두에 둔 사각형 구역과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는 반원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각 구역 사이와 승강장 위쪽으로는 포도잎과 포도송이, 곤충, 파충류를 주제로 한 부조가 설치되어 있다.출입구 두 곳은 뤼데스하이머 슈트라세 중앙의 교통섬으로 이어지며, 위쪽에 조명등이 장착된 석재 기둥이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금속 재질의 역사 차단문에는 포도, 성 안드레아 십자, 로제트가 장식되어 있다.[3] 역 건설과 동시기에 지상 광장 일대의 재조성 공사가 진행되어, 3-4층 규모 주택이 광장 일대에 조성되었다.
2. 2. 역의 디자인과 테마: 포도 재배
빌헬름 라이트게벨이 역 설계를 담당했다. 인접한 역인 브라이텐바흐플라츠역 및 하이델베르거 플라츠역과 유사한 양식으로 건설되었고, 지하 역사의 테마를 포도 재배로 삼았다. 일대 지역의 도로명 역시 독일의 포도 재배 지역과 유사하다.[2] 승강장 중앙에는 화강암으로 마감된 8각형 기둥과 원형 지지대가 있으며, 사각형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 천장을 지지한다. 각각 사각형 구역 중앙에는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외벽은 광고판 설치를 염두에 둔 사각형 구역과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는 반원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각 구역 사이와 승강장 위쪽으로는 포도잎과 포도송이, 곤충, 파충류를 주제로 한 부조가 설치되어 있다.출입구 두 곳은 뤼데스하이머 슈트라세 중앙의 교통섬으로 이어지며, 위쪽에 조명등이 장착된 석재 기둥이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금속 재질의 역사 차단문에는 포도, 성 안드레아 십자, 로제트가 장식되어 있다.[3] 1987년부터 1988년까지의 개보수 공사에서는 포도 재배 사진이 그래피티 예술로 대체되었다.
2. 3. 2차 세계 대전 피해와 재건축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역과 역 출입구가 파괴되었다. 1945년 이후 역 출입구는 간단한 형태로 재건축되었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개보수 공사에서 역을 원래 상태로 복원했으나, 포도 재배 사진은 그래피티 예술로 대체되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개보수 공사 때[4] 승강장 바닥을 아스팔트에서 밝은 화강암 재질로 교체하고 점자 블록을 설치했다. 모자이크 타일, 도색 작업 등을 포함한 전체 공사 예산은 약 100만유로였다.[5] 역 중앙의 차장실은 반달리즘 방지용으로 에나멜 코팅 패널로 마감되었다. 목재 벤치 3개와 남부 출입구 일부는 역 건설 당시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2018년 5월에 엘리베이터를 착공하여 2019년 6월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설치 예산은 약 120만유로이다.[6]
2. 4. 1980년대 및 2000년대 개보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역과 역 출입구가 파괴되었다. 역 출입구는 1945년 이후 간단한 형태로 다시 지어졌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개보수 공사를 하면서 역을 원래 상태로 복원했으나, 포도 재배 사진은 그래피티 예술로 대체되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다시 개보수 공사를 하면서[4] 승강장 바닥을 아스팔트에서 밝은 화강암 재질로 교체하고 점자 블록을 설치했다. 모자이크 타일, 도색 작업 등을 포함한 전체 공사 예산은 약 100만유로였다.[5] 역 중앙의 차장실은 반달리즘 방지용으로 에나멜 코팅 패널로 마감했다. 목재 벤치 3개와 남부 출입구 일부는 역 건설 당시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2018년 5월에 엘리베이터를 착공하여 2019년 6월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설치 예산은 약 120만유로이다.[6]
2. 5. 엘리베이터 설치 (2019년)
2018년 5월에 엘리베이터를 착공하여 2019년 6월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설치 예산은 120만 유로이다.[6]3. 인접 교통
베를린 버스 186번과 환승할 수 있다.
3. 1. 인접 철도역
(크루메 랑케 방면)(바르샤우어 슈트라세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