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란트베어 운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트베어 운하는 독일 베를린을 통과하는 운하로, 슈프레강과 텔토 운하를 연결한다. 1845년부터 1850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1883년부터 1890년, 1936년부터 1941년 두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쳐 폭 22m, 깊이 2m로 확장되었다. 현재는 관광 유람선과 유람선이 주로 이용하며, 총 36개의 교량이 운하를 가로지른다. 운하는 역사적으로 로자 룩셈부르크의 시신 유기, 애나 앤더슨의 자살 시도, 제2차 세계 대전 중 터널 폭파, 동독 난민 탈출 사건 등 다양한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운하 - 킬 운하
    킬 운하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를 가로지르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인공 수로 중 하나로, 과거 "빌헬름 황제 운하"로 불렸으며 현재 독일의 행정하에 관리되고 있다.
  • 독일의 운하 - 마인-다뉴브 운하
    마인-다뉴브 운하는 독일의 마인강과 다뉴브강을 잇는 171km 길이의 운하로, 1921년에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92년에 완공되었으며 유럽 주요 수로망의 일부이다.
  • 선박 운하 -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이집트를 통과하여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193.3km의 인공 수로로, 세계 무역의 핵심 항로이지만, 건설 과정의 환경 및 인권 문제, 그리고 사고 발생 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며 이집트 경제에 중요한 수입원이다.
  • 선박 운하 - 대운하
    대운하는 기원전 486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수나라 때 완성되었으며, 중국 남북을 연결하는 주요 수로로 활용되다가 현대에는 수자원 관리 및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구의 건축물 -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한 지그재그 형태의 건물로, 독일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구의 건축물 - 체크포인트 찰리 박물관
    체크포인트 찰리 박물관은 베를린 장벽과 냉전 시대의 분단 현실을 전시하는 곳으로, 인권 운동가의 의해 설립되어 동독 주민들의 탈출을 지원했으며, 현재는 베를린의 주요 관광 명소로서 자유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국제 인권 투쟁 관련 전시도 제공한다.
란트베어 운하
개요
티어가르텐의 란트베어 운하에 있는 하우스보트
티어가르텐의 란트베어 운하에 있는 하우스보트
위치베를린
시작점오스타펜 (베를린)
종료점샤를로텐부르크
길이10.7km
건설 시작1845년
완공1850년
수로 정보
연결 수로
독일어 명칭
명칭Landwehrkanal
약칭LWK

2. 역사

레네는 경사진 벽을 가진 운하를 설계했고, 양쪽 끝에 수문을 설치하여 수심을 조절했다.

2. 1. 확장 공사

레네는 경사진 벽을 가진 운하를 설계했는데, 표면 너비는 평균 20m이고 양쪽 끝에 수문이 있어 수심을 조절했다. 1883년부터 1890년, 1936년부터 1941년까지 두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쳐 폭은 22m, 깊이는 2m에 달했다. 오늘날 이 수로는 주로 관광 유람선과 유람선에 사용된다.

3. 시설

란트베어 운하는 건설 당시부터 좁은 폭 때문에 선박의 교행이나 추월 과정에서 선박 및 운하가 손상되기 쉬웠고, 모래 유입으로 운항에 지장을 주는 등 기능에 제약이 있었다. 1880년에는 일방 통행만 가능하도록 규정되었고, 1883년부터 1890년까지 첫 확장 공사가 진행되어 폭이 22m로 넓어지고 좌우 유역이 깎아내린 형태로 변경되었다. 확장 공사 이후 수심은 1.75m로 깊어졌으며, 과거 도개교는 높이를 높여 고정형 교량으로 변경되었다. 1936년부터 1941년까지 두 번째 확장 공사로 갑문이 확대되고 운하 중심부 수심이 2m로 더 깊어졌다.

운하 설계 당시 운하 유역을 따라 수변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당시 베를린에는 별도의 하수도망이 없어 하수가 운하로 유입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공원화의 효용성이 부족했다.

3. 1. 운하 제원

운하의 최소 수심은 1.57m, 최대 폭은 22.6m이지만 최소 폭은 10m이며, 운하 좌우 부분에는 급경사가 있어서 선박이 직접적으로 정박할 수 없다. 운하 양쪽의 수문은 운하 내 수위 통제 기능도 담당하며, 슈프레강의 수심과는 관계없이 운하 내 수위는 1.5m 이상으로 유지된다. 운하 설계 당시에는 경사진 벽을 가진 운하를 설계했는데, 표면 너비는 평균 20m이고 양쪽 끝에 수문이 있어 수심을 조절했다. 1883년부터 1890년까지, 그리고 1936년부터 1941년까지 두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쳐 폭은 22m, 깊이는 2m에 달했다. 오늘날 이 수로는 주로 관광 유람선과 유람선에 사용된다.

운하를 가로지르는 교량은 총 36개이며, 대부분은 도로교이다. 이 중에는 베를린 U반의 철교가 2곳 포함되어 있다. 운하 위를 지나는 교량은 변경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서 통행 가능한 선박 높이가 제한되어 있다.

3. 2. 수문

운하의 최소 수심은 1.57m, 최대 폭은 22.6m이지만 최소 폭은 10m이다. 운하 좌우 부분에는 급경사가 있어서 선박이 직접 정박할 수 없다. 운하 양쪽의 수문은 운하 내 수위 통제 기능도 담당하며, 슈프레강의 수심과는 관계 없이 운하 내 수위는 1.5m 이상으로 유지된다.[2] 운하는 상류 수문(Schleusenuferde)을 지나 남서쪽으로 곧게 뻗는다.[2] 티어가르텐에 진입한 후, 운하는 그로세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흐르며, 하류 수문(Unterschleusede)을 통과한다.[2]

3. 3. 항구

운하의 최소 수심은 1.57m, 최대 폭은 22.60m이지만 최소 폭은 10m이며, 운하 좌우 부분에는 급경사가 있어서 선박이 직접적으로 정박할 수 없다. 운하 양쪽의 수문은 운하 내 수위 통제 기능도 담당하며, 슈프레강의 수심과는 관계 없이 운하 내 수위는 1.50m 이상으로 유지된다. 운하 건설 당시에는 크로이츠베르크의 도심항(Urbanhafen)과 쇠네베르크항이 있었으나 이후에 폐쇄되었다. 쇠네베르크항의 부지는 폐쇄 이후 공원화되어 멘델스존 바르톨디 공원이 조성되었다. 도심항은 루이젠슈타트 운하를 통해서 북쪽으로 슈프레강과 연결되었으나, 1926년/1927년에 폐쇄되었고 과거의 수로 부지에는 녹지 공원이 조성되었다.[2]

3. 4. 교량

란트베어 운하를 가로지르는 교량은 총 36개이며, 대부분 도로교이다. 이 중에는 베를린 U반의 철교가 2곳 포함되어 있다. 크로이츠베르크 서쪽에서 운하는 약 1km 동안 U1 노선과 나란히 이어지며, 이 구간은 고가 철도로 운행된다. Möckernbrücke와 Hallesches Tor 역을 지나면, U1은 한때 지금은 철거된 안할터 반호프로 연결되었던 철도 교량을 가로지르는 높은 다리 위에서 운하를 건넌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가 U2 노선이 운하를 건넌다.

티어가르텐에 진입하면 운하는 그로세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흐른다. 여기서 운하는 하류 수문(Unterschleusede)을 지나고 베를린 슈타트반에 의해 가로질러진다. 이 역사적인 고가 철도는 S-반, 레기오날 익스프레스, 인터시티 열차를 운송한다.

4. 경로

란트베어 운하는 시내 동쪽에 있는 프리드리히스하인의 동쪽 항구에서 슈프레강을 따라 흐른다. 운하는 즉시 상류 수문(Schleusenuferde)을 통과하며 남서쪽으로 곧게 뻗어 노이쾰른 선박 운하와 합류하는데, 이 운하는 텔토 운하로 연결된다. 여기서 란트베어 운하는 크로이츠베르크를 지나 파울-린케-우퍼를 따라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2]

크로이츠베르크에서 운하는 1852년에서 1926년 사이에 슈프레 강으로의 추가 연결을 제공했던 이전 루이젠슈타트 운하의 입구를 지나간다. 이 운하는 이후 메워지고 부분적으로 공공 정원으로 바뀌었지만, 그 경로는 독특한 dammde 접미사가 붙은 평행한 인접 거리를 통해 여전히 추적할 수 있다.[3]

크로이츠베르크 서쪽에서, 운하는 약 1km 동안 베를린 U-반의 U1 노선과 나란히 흐르는데, 이곳에서는 고가 철도로 운행된다. 고가 Möckernbrücke와 Hallesches Tor 역을 지나면, U1은 한때 지금은 철거된 안할터 반호프로의 접근을 제공했던 철도 교량을 가로지르는 높은 수준의 다리 위에서 운하를 건너간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가 U2 노선이 운하를 건너간다.

티어가르텐에 진입한 후, 운하는 그로세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흐른다. 여기에서 운하는 하류 수문(Unterschleusede)을 통과하고 베를린 슈타트반에 의해 가로질러진다. 이 역사적인 고가 철도는 S-반, 레기오날 익스프레스 및 인터시티 열차를 운송한다. 란트베어 운하는 샬로텐부르크 운하 입구와 바로 마주보고 있는, Spreekreuzde로 알려진 수로 교차로에서 샤를로텐부르크에 있는 슈프레 강과 다시 합류한다.

5. 사건 사고

1919년 1월 15일 로자 룩셈부르크 피살 사건, 1920년 애나 앤더슨 자살 미수 사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터널 폭파 사건, 1962년 동독 난민 탈출 사건 등이 란트베어 운하에서 발생했다.

5. 1. 로자 룩셈부르크 피살 사건 (1919)

1919년 1월 15일, 로자 룩셈부르크가 살해된 후 그의 시체는 란트베어 운하의 리히텐슈타인교(Lichtensteinbrücke)와 코넬리우스교(Corneliusbrücke) 사이에 던져졌다.[12] 시체는 1919년 5월 말, 혹은 6월 1일에 발견되었다. 로자 룩셈부르크의 시신이 발견된 장소에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5. 2. 애나 앤더슨 자살 시도 (1920)

1920년 2월 17일 밤, 애나 앤더슨은 벤틀러교(Bendlerbrücke)에서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2]

5. 3. 제2차 세계 대전 중 터널 폭파 (1945)

1945년 4월 27일, 붉은 군대베를린 티어가르텐 지역에 있는 독일군의 마지막 방어 거점에 접근하고 있었다. 일부 소련 군대가 U-반 터널을 전진로로 사용하면서, 독일군 공병들은 아돌프 히틀러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운하에 인접한 철도 터널의 옹벽을 폭파했다. 이로 인해 터널에 피신해 있던 많은 민간인과 대피한 군인 부상자(병원 열차)들이 익사했다.[1]

5. 4. 동독 난민 탈출 사건 (1962)

1962년 6월 8일, 동독 난민 14명이 증기선 ''프리드리히 볼프''를 탈취하여 조타실 주변에 강철판을 설치하고 슈프레강에서 란트베어 운하로 항해했다. 동독 순찰정이 이들을 저지하며 발포했지만, 서독 경찰이 응사하여 난민들은 모두 서독 측 운하 둑에 안전하게 상륙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Landwehrkanal http://www.berlin.de[...] 2007-08-05
[2] 서적 Inland Waterways of Germany Imray Laurie Norie & Wilson
[3] 웹사이트 Monuments in Berlin – Luisenstädtischer Kanal http://www.stadtentw[...]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2011-01-25
[4] 서적 Berlin battlefield guide : Third Reich & Cold War Pen & Sword Military 2008
[5] 서적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A Critical Assessment Berghahn 1996
[6] 간행물 Escape By River Steamer Under Fire From Shore. 1962-06-09
[7] 웹사이트 Gelungene Flucht mit dem Fahrgastschiff "Friedrich Wolf" am Osthafen, 8. Juni 1962 https://www.chronik-[...] 2022-09-27
[8] 뉴스 Fluchtweg des Fahrgastschiffs 'Friedrich Wolf' https://www.ardmedia[...] 2022-09-27
[9] 웨이백 http://www.wsv.de/wa[...]
[10] 웨이백 http://www.wsv.de/wa[...]
[11] 문서 Schifffahrtspolizeiliche Anordnung Nr. 115/2013 https://www.elwis.de[...] 2021-07-03
[12] 문서 Anastasia, die letzte Zarentochter Bergisch Gladbach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