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경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경수는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다. 1915년 함경남도 신흥군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제105전차사단 사단장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서울 점령에 기여하여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사단이 괴멸되었다. 이후 제3군단장, 제2집단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1958년 뇌질환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차대 지휘관 - 니시 다케이치
    니시 다케이치는 일본 군인이자 장애물 경마 선수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승마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오지마 전투에서 전차 연대장으로 전사했으며, '니시 남작'이라는 이름으로 서구, 특히 미국에서 인기가 높았다.
  • 전차대 지휘관 - 니시즈미 고지로
    니시즈미 고지로는 쇼와 시대의 일본군 육군 군인으로, 만주사변과 제2차 상해 사변 등에 참전하여 서주회전에서 전사 후 군신으로 추앙받았으며, 특히 군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군신으로 지정된 첫 사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 - 박금희
    박금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평양교원대학 학장을 거쳐 현재 총장직을 맡고 있으며 최고인민회의 부의원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 - 박창옥
    박창옥은 함경북도 출신으로 소련 유학 후 조선노동당에서 활동하며 고위직을 역임했으나, 김일성의 권력 강화 과정에서 '8월 종파 사건'에 연루되어 숙청 후 총살당한 북한 정치인으로, 그의 몰락은 북한 내 소련파 숙청과 김일성 독재 체제 공고화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류경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류경수
원어명柳京洙 (류경수)
다른 사람배우
별명본명은 류삼손(柳三孫)
출생일1915년 9월 9일
사망일1958년 11월 19일 (향년 43세)
출생지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신흥군
사망지(불명)
정치
정당조선로동당
직책로동당 중앙위원
국가북조선
주석김두봉
임기1953년 4월 25일 ~ 1956년 6월 25일
총리김일성
가족 관계
배우자김영숙(사별), 황순희(재혼)
자녀류춘옥(딸)
친인척김순옥(초배 처형), 김정숙(초배 처형), 김일성(초배 처형부), 김용순(초배 처남), 김창선(사위)
군사 경력
소속 조직동북항일연군
소련군
조선인민군
군 복무조선인민혁명군
동북항일연군
조선인민군
복무 기간1932년 4월 25일 ~ 1936년 7월 31일 (조선인민혁명군)
1936년 8월 1일 ~ 1945년 9월 1일 (동북항일련군)
1946년 2월 ~ 1958년 11월 19일 (조선인민군)
최종 계급소련 육군 중위
조선인민군 육군 상장
근무소련군 88극동여단
조선인민군 육군
지휘조선인민군 제105전차여단
조선인민군 제3사단
조선인민군 제3군단
조선인민군 제5군단
조선인민군 제1군단
조선인민군 제2군단
참전한국 전쟁
서훈공화국영웅, 국기훈장, 자유독립훈장, 전사의 영예 훈장, 군공메달, 소련 대일본승리메달

2. 생애

1915년 함경남도 신흥군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1년 봄 기근 투쟁에 참가했고, 1932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 같은 해 8월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에서 활동했다.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40년 11월 소련으로 건너가 제88특별여단에서 중위로 복무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 제4연대장, 제105전차여단장(소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서울 점령의 공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와 국기훈장 제1급을 수여받았다.[1] 제105전차사단은 초기 대한민국 육군과 미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으나, 미국 공군 참전과 슈퍼 바주카 도입으로 위력이 약화되었다.

1950년 9월, 유엔군 반격으로 류경수의 부대는 괴멸, 전차는 한 대도 귀환하지 못했다. 당시 제105전차사단 정치군관 오기완은 류경수가 사복 차림으로 후퇴했다고 증언했다.[1] 1951년 1월, 부상당한 김광협을 대신하여 제3군단장이 되었다.

1956년 제3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이 되었고, 1958년 제2집단군 사령관(대장)으로 승진했다.

2. 1. 초기 활동

1915년 9월 9일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면의 가난한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집안 형편이 어려워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4] 1931년 조선공산주의청년동맹에 가입하여 돌문안공청조직 책임자 겸 소년선봉대 소대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사격술에 뛰어났는데, 특히 경기관총권총을 잘 사용하여 백발백중이었고, 이후 주로 경기관총 사수로 활동하게 된다. 1931년 김일성의 지휘하에 추수투쟁과 1932년 춘황투쟁에 참가했다.[4] 1932년 봄, 일본군에 체포되어 룡정 감옥에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그의 첫 부인은 김일성의 부인 김정숙의 여동생이었으나 일찍 사망했다. 이후 류경수는 김일성의 주선으로 만주 빨치산 동지이자 간호원이었던 황순희와 재혼하였다.

2. 2. 항일 독립 운동

1915년 함경남도 신흥군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1년 봄 기근 투쟁에 참가했다. 1932년 초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고, 같은 해 8월 연길 유격대에 입대하여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에서 활동했다.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0년 11월 소련으로 건너가 제88특별여단 제1대대 제1중대 제1소대장(중위)을 역임했다.[2]

2. 2. 1. 만주 빨치산 경력

1932년 초,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가입하였다. 같은 해 반일인민유격대에 입대하여 훗날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2군 6사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하였다.[5] 1933년 봄 노두구(老頭溝), 해랑구(海浪溝) 일대에서 공산주의 관련 대중선전활동에 참여하였다. 1933년 9월 소왕청 마촌에서 김일성을 만나 어린 혁명가라며 칭송받고, 그의 눈에 띄어 발탁되었다.

1933년1934년 민생단원 혐의로 두 차례 구금되었다가 풀려났다. 1934년 6월 항일 무장 투쟁에 참가하고 1936년 중국공산당에 조선인 당원으로 입당하였다.

1937년 랴오닝성 무산지구 국내진공작전에 참여하였으나 실패했고, 간삼봉 전투에서 일본군 소규모 부대를 격퇴했다. 1937년 8월 무송 현 묘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궤멸, 70여 명을 사살하고 400여 명을 포로로 하였으며, 40여 명의 일본군 병사 귀순을 받아들여 유격대에 편입하였다. 박격포 1문, 중기 1문, 경기관총 3정, 보총 200여 정, 밀가루 3,000여 마대 등 전리품을 획득했다. 장백 현 간삼봉에서도 일본군과 교전하여 승리하였다. 1938년 만주 천보산(天寶山)전투, 한총령(寒總嶺)전투에 참여하였다. 1938년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1영 제1련대 제1중대 제1배장에 임명되었다. 1939년 여름 연길현 천보산전투, 돈화현 요차전투에서 일본 관동군과 교전, 가을 안도현 한총구전투에서 관동군 소부대를 궤멸시켰다.

2. 2. 2. 소련 88여단 활동

1940년 만주 동만항일연군 2유격대원으로 활동하였다. 이때 전사한 김철운의 묘에 강위룡과 함께 남긴 편지가 2015년 11월에 발견되기도 했다.[6]

1940년 말 연해주의 하바로프스크를 거쳐 소련으로 건너가 소련군 간부학교에서 정식 군사훈련을 받고, 소련군 소위로 임관되어 제88 국제극동여단의 제1대대 1중대의 부소대장과 1중대 1소대장을 역임했다. 1942년 동북항일연군 교도여단에 배속 후 정찰대원에 임명되고, 소련 제88특별여단에 편입되자 88여단 교도대대 정찰대원이 되었다.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귀국하였다.

2. 3. 해방 이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였다.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조선인민군 제4연대장, 제105전차여단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초기, 류경수가 지휘하는 제105전차사단은 대한민국 육군과 스미스 부대를 상대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미국 공군의 참전과 슈퍼 바주카 도입으로 전력이 약화되었다. 특히, 항공 공격에 취약하여 "비행기 사냥"이라는 자폭 전술까지 시도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1950년 9월, 유엔군의 반격으로 류경수의 부대는 괴멸되었고, 보유한 전차는 모두 파괴되었다. 당시 제105전차사단 정치군관이었던 오기완은 류경수 사단장이 후퇴 과정에서 군복을 벗고 사복 차림으로 도주했다고 증언했다.[1]

1951년 1월, 류경수는 부상당한 김광협을 대신하여 제3군단장에 임명되었다. 1956년에는 제3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58년에는 제2집단군 사령관 및 대장으로 승진하였다.

2. 3. 1. 조선인민군 창군 참여

1945년 10월 21일 조선인민혁명군 등을 개조하여 조선인민군의 전신인 보안대 창설에 참여하였다.[2] 1946년 8월 15일 보안대가 인민집단군으로 개편되면서 인민집단군 중좌가 되고, 나남 훈련소 4대대장이 되었다.[2] 1946년 12월 인민집단군 제2사단 제4연대장 겸 연대장 강건의 부관이 되었다.[2] 1947년 5월 16일 북조선 최초의 전차 부대인 제115여단을 창설하고 여단장이 되었다.[2] 1948년 2월 조선인민군 창군에 참여하였다.[2]

1948년 6월부터 8월까지 인민집단군 115려단에서 전차부대(땅크부대) 창설 명령을 받고 전차연대(땅크련대) 창설에 착수했다.[2] 3개월간 병사들에게 전차 운전 기술을 가르쳐 그해 11월 정식으로 조선인민군 전차연대를 조직했다.[2] 1948년 9월 2일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에 선출되었다.[2] 1949년 2월 조선인민군 창군 1돌 기념일에 국기훈장 제2급을 수여받고, 소장으로 진급하였다.[2]

2. 3. 2. 한국전쟁 참전

1950년 6월 25일 새벽, 류경수는 제105전차여단장으로서 조선인민군 제1군단 휘하 부대를 이끌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00호 전차를 타고 동두천의정부를 거쳐 서울특별시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국군 부대를 격파하고, 의정부를 함락시킨 후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했다.[1]

1950년 6월 28일, 류경수는 서울대학교 대학 병원과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있던 국군 부상병들과 우익 인사들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

1950년 7월 5일,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은 류경수가 지휘하는 부대에 '서울' 명예칭호를 수여하고 사단으로 승격시켰으며, 류경수는 소장에서 중장으로 진급했다. 1950년 7월 18일, 평택에서 미 공군의 공격으로 류경수 부대는 상당한 피해를 입었지만, 대전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1]

1950년 7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는 류경수 부대에 '근위대' 칭호를 수여하고 "근위 서울제105땅크사단"으로 승격시켰다. 1950년 8월, 류경수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1]

1950년 8월 13일, 류경수는 조선인민군 제3사단장으로 교체되어 대구로 이동했다. 1950년 9월, 미국 군에 포위되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14일간 버텼으나, 최고사령부와의 연락은 두절되었다.[1]

1951년 1월, 류경수는 조선인민군 제3군단장이 되었다.[1]

2001년 5월 23일,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명령에 따라 한국 전쟁 당시 그의 공적을 기려 "근위 서울류경수제105땅크사단"으로 최종 명명되었다.[1]

2. 4. 생애 후반

1953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휴전 이후 조선인민군 제5군단장, 인민군 제1집단군사령부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1955년 7월 네덜란드 해방 기념식에 참석차 네덜란드를 방문하고 돌아왔으며,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에서 다시 당 중앙위원에 재선거되었다. 1957년 2월 인민군 제2집단군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에 당선되었다. 1958년 제2집단군 사령관 재직 중 조선인민군 상장으로 진급한 후 1958년 11월 제1집단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58년 11월 19일 뇌질환으로 사망했다. 일설에는 1961년 11월 18일 사냥을 나갔다가 부하가 쏜 카빈 소총의 오발 사격을 받고 죽었다는 설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1년 무렵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2. 5. 사후

1968년 9월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읍 고향에 동상이 세워졌고, 1968년 10월 조선로동당 창건 30돐 기념일에 대성산 혁명렬사릉에 그의 반신상이 세워졌다.

3. 평가

야전 지휘관으로서의 능력은 인민군 군단장 중 최하위권으로 평가받는다.[3] 러시아어를 읽고 쓰고 유창하게 말할 수 있었으며,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고, 일본어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도 갖추고 있었다.[3] "이 ××" "× 같은 ××"가 입버릇이었다고 한다.[3]

제3군단장이었을 때 작전회의 후, 한 사단장이 임무에 대해 질문하자 "무슨 말을 하는 거야, 사람이 말하는데 잘 듣지도 않고. 나도 몰라. × 같은 ××가. 내가 뭘 안다고 그런 걸 물어? 쳇! 참모장한테 가서 물어봐"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3]

1953년 늦가을, 전군 문예 서클 경연 대회를 앞두고 제1집단군 병사들이 만든 악기로 소형 교향곡을 시연할 때, 류경수는 연주 중 쉬는 악사가 있다는 이유로 정치부 부부장 박표섭 대좌를 호통치고 나가버렸다. 류경수는 "군말 말고. 이런 규율도 뭣도 없는 상태로 어디 나가서 연주하겠다는 거야. 본선에서는 어떤 놈도 쉬지 못하게 해라"라고 말했다.[3]

집단군 예하 장교 가족회에서는 "나 같은 높은 인간을 처음 보겠지?"라고 말하며, 장교들의 복장을 지적하고 부인들을 비난하는 훈시를 했다.[3]

4. 상훈

5. 가족 관계

배우자황순희 (1919년 5월 3일 - ): 조선혁명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류춘옥 (1934년 12월 18일 - 2003년 4월 2일[9]): 인민배우, 조선로동당 중앙위 과장, 력포목장 지배인을 역임했다.
사위김창선 (1944년 - )
외손자김광일: 인민군 총정치국 근로단체부 책임부원을 역임했다.
아들3명



류경수는 김일성의 부인 김정숙의 여동생과 첫 번째 결혼을 하였으나, 일찍 사망하여 김일성의 주선으로 만주 빨치산 동지이자 김일성 유격대 간호원으로 활동하던 황순희와 재혼하였다.[4]

6. 기타

그의 부인 황순희김정숙 사후 어린 김정일, 김경희를 보살폈고, 김정일은 이후 황순희를 극진히 대우하였다. "이 ××" "× 같은 ××"가 입버릇이었다고 한다.[3]

참조

[1] 학술지 1945~1950 년 재북 소련계 조선인의 활동과 성격 http://s-space.snu.a[...] ソウル大学校大学院 2019-06-03
[2] 간행물 6.25전쟁기 북한군 총정치국의 위상과 역할 https://www.kci.go.k[...]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05-29
[3] 웹사이트 RG 319, Assistant Chief of Staff, G-2 (Intelligence), Intelligence Document File Publication 1947-62, Entry # 1004H (UD), ID 950054 : ATIS-FEC Interrogation Report, Box No. 335, 950054 KG 1226 - KG 1250, etc.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19-12-10
[4] 서적 조선향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2006
[5] 서적 조선향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2006
[6] 뉴스 김철운항일투사 묘에 묻은 편지, 60년만에 발견 http://www.ohmynews.[...]
[7] 서적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8] 문서 김창선의 전처이다. 김창선은 류춘옥 사후 재혼하였다.
[9] 웨이백 류춘옥 인민배우 별세 http://www.minjok.co[...] 2018-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