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8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8강전은 2023년 11월 2일부터 5일까지 대한민국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LCK, LPL, LCS에서 총 8팀이 진출했으며, LCK와 LPL의 강세가 이어졌다. 8강 대진 추첨 결과 NRG e스포츠, 웨이보 게이밍, Gen.G, 비리비리 게이밍, 징동 게이밍, KT 롤스터, LNG e스포츠, T1이 맞붙게 되었다. 경기 결과 웨이보 게이밍, 비리비리 게이밍, 징동 게이밍, T1이 승리하여 4강에 진출했다.
2023 월드 챔피언십 8강에는 LCK, LPL, LCS에서 총 8팀이 진출했다. LCK에서는 Gen.G, T1, KT 롤스터 3팀, LPL에서는 징동 게이밍, 비리비리 게이밍, LNG e스포츠, 웨이보 게이밍 4팀, LCS에서는 NRG e스포츠 1팀이 8강에 진출했다.
스위스 스테이지 5라운드가 종료된 이후 8강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 3승 0패로 8강에 진출한 Gen.G와 징동 게이밍은 3승 2패의 성적을 기록한 두 팀과 대결하며 두 팀은 결승전에 오를 때까지 만나지 않는다. 또한 3승 2패를 기록한 남은 1팀과 3승 1패를 기록한 3팀이 추첨을 진행하여 남은 2개의 대진을 구성한다. 추첨은 DRX의 베릴 선수가 진행하였다.[1]
2023년 11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에서 8강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2. 8강 진출팀
2. 1. LCK (대한민국)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LCK와 LPL의 강세가 이어졌다. LCK에서는 4시드인 디플러스 기아를 제외한 나머지 3팀이 8강 진출에 성공했다. LPL은 1시드부터 4시드까지 모든 팀들이 8강에 진출하였다. 반면 서양권 팀 중에서는 LCS의 NRG e스포츠만이 8강전에 진출했다. LEC와 베트남 챔피언십 시리즈 팀은 모두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탈락하였다.[1]
2. 2. LPL (중국)
LPL의 징동 게이밍, 비리비리 게이밍, LNG e스포츠, 웨이보 게이밍이 8강에 진출했다.
지난 해와 마찬가지로 LCK와 LPL의 강세가 이어졌다. LPL은 1시드부터 4시드까지 모든 팀들이 8강에 진출하였다.[1]
2. 3. LCS (북미)
NRG e스포츠는 LCS에서 8강에 진출한 유일한 팀이다.[1]
3. 대진 추첨
8강 대진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경기 결과
4. 1. NRG (NRG) VS 웨이보 게이밍 (WBG)
웨이보 게이밍이 NRG를 3: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특히, TheShy 선수는 3경기 모두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1]
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
NRG | 밴: 레나타 글라스크, 럼블, 아지르, 녹턴, 나르 | 밴: 레나타 글라스크, 럼블, 아지르, 나르, 비에고 | 밴: 레나타 글라스크, 아지르, 아펠리오스, 크산테, 트리스타나 |
웨이보 게이밍 | 밴: 자야, 자르반 4세, 마오카이, 바이, 잭스 | 밴: 자야, 자르반 4세, 마오카이, 세나, 직스 | 밴: 자야, 니코, 오리아나, 자르반 4세, 뽀삐 |
경기 시간 | 39:12 | 33:23 | 26:23 |
승리 | 패 | 패 | 패 |
승리 | 승 | 승 | 승 |
4. 1. 1. 1세트
NRG는 레넥톤, 비에고, 오리아나, 세나, 탐 켄치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크산테, 렐, 니코, 아펠리오스, 밀리오를 선택했다. 경기 시간은 39분 12초였으며, 웨이보 게이밍이 승리했다.[1]NRG | 웨이보 게이밍 |
---|---|
Dhokla (레넥톤) | (크산테) TheShy |
Contractz (비에고) | (렐) Weiwei |
Palafox (오리아나) | (니코) Xiaohu |
FBI (세나) | (아펠리오스) Light |
IgNar (탐 켄치) | (밀리오) Crisp |
밴 | |
레나타 글라스크, 럼블, 아지르, 녹턴, 나르 | 자야, 자르반 4세, 마오카이, 바이, 잭스 |
4. 1. 2. 2세트
NRG e스포츠는 크산테, 바이, 오리아나, 카이사, 알리스타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아트록스, 렐, 니코, 아펠리오스, 밀리오를 선택했다. 경기는 33분 23초 동안 진행되었으며, 웨이보 게이밍이 승리했다.4. 1. 3. 3세트
NRG는 럼블, 세주아니, 요네, 이즈리얼, 카르마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나르, 마오카이, 제이스, 케이틀린, 하이머딩거를 선택했다. 경기는 26분 23초 동안 진행되었으며, 웨이보 게이밍이 승리했다.4. 2. Gen.G (젠지) VS 비리비리 게이밍 (BLG)
2023년 11월 3일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열린 8강전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이 Gen.G를 상대로 3:2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1]5번의 경기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1, 4, 5세트를, Gen.G는 2, 3세트를 가져갔다. 특히 5세트에서는 Bin 선수의 럼블이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4. 2. 1. 1세트
비리비리 게이밍이 Gen.G를 상대로 승리했다. 경기는 29분 41초 동안 진행되었다. Gen.G는 잭스, 렐, 아지르, 아펠리오스, 탐 켄치를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아트록스, 자르반 4세, 오리아나, 칼리스타,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다.포지션 | Gen.G | 비리비리 게이밍 |
---|---|---|
탑 | Doran (잭스) | Bin (아트록스) |
정글 | Peanut (렐) | XUN (자르반 4세) |
미드 | Chovy (아지르) | Yagao (오리아나) |
바텀 | Peyz (아펠리오스) | Elk (칼리스타) |
서포터 | Delight (탐 켄치) | ON (레나타 글라스크) |
Gen.G는 니코, 레넥톤, 자야, 럼블, 크산테를 밴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라칸, 마오카이, 사일러스, 뽀삐, 세주아니를 밴했다.[1]
4. 2. 2. 2세트
2023년 11월 3일에 진행된 2세트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럼블, 자르반 4세, 오리아나, 자야,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고, Gen.G는 아트록스, 마오카이, 아지르, 아펠리오스, 밀리오를 선택했다. 이 경기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이 승리했으며, 경기 시간은 28분 00초였다.비리비리 게이밍 | Gen.G |
---|---|
Bin (럼블) XUN (자르반 4세) Yagao (오리아나) Elk (자야) ON (레나타 글라스크) | Doran (아트록스) Peanut (마오카이) Chovy (아지르) Peyz (아펠리오스) Delight (밀리오) |
4. 2. 3. 3세트
3세트에서 Gen.G는 아트록스, 마오카이, 요네, 카이사, 노틸러스를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레넥톤, 자르반 4세, 오리아나, 케이틀린, 브라움을 선택했다. 경기 시간은 46분 10초였으며, Gen.G가 승리했다.팀 | 밴 | 픽 |
---|---|---|
Gen.G | 잭스, 자야, 레나타 글라스크, 아펠리오스, 칼리스타 | Doran (아트록스) Peanut (마오카이) Chovy (요네) Peyz (카이사) Delight (노틸러스) |
비리비리 게이밍 | 라칸, 사일러스, 럼블, 제리, 드레이븐 | Bin (레넥톤) XUN (자르반 4세) Yagao (오리아나) Elk (케이틀린) ON (브라움) |
4. 2. 4. 4세트
2023년 11월 3일에 진행된 4세트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크산테, 자르반 4세, 니코, 에쉬, 탐 켄치를 선택했고, Gen.G는 럼블, 바이, 아칼리, 칼리스타, 렐을 선택했다. 경기는 35분 50초 동안 진행되었으며, Gen.G가 승리했다.밴픽은 다음과 같다.
4. 2. 5. 5세트
2023년 11월 3일에 진행된 5세트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럼블, 자르반 4세, 오리아나, 세나, 탐 켄치를 선택했고, Gen.G는 나르, 바이, 아칼리, 카이사, 렐을 선택했다. 경기 결과 비리비리 게이밍이 승리했으며, 경기 시간은 33분 42초였다.밴픽은 비리비리 게이밍이 사일러스, 라칸, 아트록스, 노틸러스, 칼리스타를, Gen.G가 자야, 레나타 글라스크, 잭스, 케이틀린, 아펠리오스를 금지했다.
4. 3. 징동 게이밍 (JDG) VS KT 롤스터 (KT)
2023년 11월 4일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전에서 징동 게이밍(JDG)이 KT 롤스터(KT)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며 4강에 진출했다.[1] 특히, 징동 게이밍의 Ruler 선수의 활약이 돋보였다.1세트는 KT 롤스터가 가져갔지만, 이후 2, 3, 4세트를 연달아 징동 게이밍이 승리하면서 4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경기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
승리팀 | KT 롤스터 | 징동 게이밍 | 징동 게이밍 | 징동 게이밍 |
경기 시간 | 29:39[1] | 25:51 | 27:21 | 33:39 |
4. 3. 1. 1세트
(JDG)은 레넥톤, 렐, 오리아나, 제리, 라칸을 선택했고, KT 롤스터(kt)는 잭스, 세주아니, 아칼리, 아펠리오스, 룰루를 선택했다. 경기는 29분 39초 동안 진행되었으며, KT 롤스터가 승리했다.[1]밴 | KT 롤스터 밴 |
---|---|
럼블, 니코, 아지르, 노틸러스, 탈리야 | 자야, 칼리스타, 자르반 4세, 바이, 오공 |
4. 3. 2. 2세트
징동 게이밍은 2세트에서 아트록스, 바이, 니코, 징크스, 라칸을 선택했고, KT 롤스터는 레넥톤, 비에고, 오리아나, 아펠리오스,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다. 경기 시간은 25분 51초였으며, 징동 게이밍이 승리했다.4. 3. 3. 3세트
KT 롤스터는 잭스, 렐, 아지르, 자야, 노틸러스를 선택했고, 징동 게이밍은 아트록스, 오공, 오리아나, 시비르, 라칸을 선택했다. 징동 게이밍이 승리했다. 경기는 27분 21초 동안 진행되었다.팀 | 탑 (TOP영어) | 정글 (JGL영어) | 미드 (MID영어) | 바텀 (BOT영어) | 서포터 (SUP영어) |
---|---|---|---|---|---|
KT 롤스터 | Kiin (잭스) | Cuzz (렐) | Bdd (아지르) | Aiming (자야) | Lehends (노틸러스) |
징동 게이밍 | 369 (아트록스) | Kanavi (오공) | Knight (오리아나) | Ruler (시비르) | MISSING (라칸) |
4. 3. 4. 4세트
KT 롤스터는 잭스, 바이, 신드라, 자야, 룰루를 선택했고, 징동 게이밍은 그라가스, 리 신, 오리아나, 카이사, 라칸을 선택했다. 경기 시간 33분 39초만에 징동 게이밍이 승리했다.포지션 | KT 롤스터 | 징동 게이밍 |
---|---|---|
탑 | Kiin (잭스) | 369 (그라가스) |
정글 | Cuzz (바이) | Kanavi (리 신) |
미드 | Bdd (신드라) | Knight (오리아나) |
AD 캐리 | Aiming (자야) | Ruler (카이사) |
서포터 | Lehends (룰루) | MISSING (라칸) |
4. 4. LNG e스포츠 (LNG) VS T1 (T1)
2023년 11월 5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전에서 T1이 (LNG)를 3: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T1은 모든 라인에서 LNG를 압도했으며, 특히 페이커 선수는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각 세트별 챔피언 선택은 다음과 같다.
- 1세트: T1은 아트록스, 렐, 오리아나, 닐라, 세나를 선택했고, LNG는 그웬, 자르반 4세, 아지르, 카이사, 블리츠크랭크를 선택했다. 경기 시간 26분 37초만에 T1이 승리했다.
- 2세트: T1은 아트록스, 렐, 사일러스, 바루스, 애쉬를, LNG는 그웬, 마오카이, 제이스, 아펠리오스, 라칸을 선택했다. T1이 승리했다.
- 3세트: T1은 제이스, 뽀삐, 아지르, 바루스, 레나타 글라스크를, LNG는 레넥톤, 세주아니, 오리아나, 아펠리오스, 밀리오를 선택했고, T1이 승리했다.
4. 4. 1. 1세트
2023년 11월 5일에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전 1세트에서 LNG는 그웬, 자르반 4세, 아지르, 카이사, 블리츠크랭크를 선택했고, T1은 아트록스, 렐, 오리아나, 닐라, 세나를 선택했다. 경기 시간은 26분 37초였으며, T1이 승리했다.4. 4. 2. 2세트
2세트에서 LNG는 그웬, 마오카이, 제이스, 아펠리오스, 라칸을 선택했고, T1은 아트록스, 렐, 사일러스, 바루스, 애쉬를 선택하여 T1이 승리했다.팀 | 밴 챔피언 | 픽 챔피언 |
---|---|---|
LNG e스포츠 | 럼블, 자르반 4세, 아지르, 케이틀린, 레나타 글라스크 | Zika (그웬) Tarzan (마오카이) Scout (제이스) GALA (아펠리오스) Hang (라칸) |
T1 | 자야, 니코, 오리아나, 카이사, 노틸러스 | (아트록스) Zeus (렐) Oner (사일러스) Faker (바루스) Gumayusi (애쉬) Keria |
결과 | 패배 | 승리 |
4. 4. 3. 3세트
3세트에서 LNG는 레넥톤, 세주아니, 오리아나, 아펠리오스, 밀리오를 선택했고, T1은 제이스, 뽀삐, 아지르, 바루스,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다. T1이 승리했다.팀 | 선수(챔피언) | 밴 |
---|---|---|
LNG | Zika (레넥톤) Tarzan (세주아니) Scout (오리아나) GALA (아펠리오스) Hang (밀리오) | 럼블, 자르반 4세, 렐, 칼리스타, 나르 |
T1 | (제이스) Zeus (뽀삐) Oner (아지르) Faker (바루스) Gumayusi (레나타 글라스크) Keria | 자야, 니코, 마오카이, 케이틀린, 카이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