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 대회이다. 2012년 시작된 이래, LCK는 한국 LoL e스포츠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으며, 2014년까지는 챔피언스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2015년 LCK로 명칭을 변경하고, 연간 2회(스프링, 서머)의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가린다. T1이 10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Gen.G가 5회, Dplus KIA가 3회 우승을 차지했다. LCK는 2025년부터 새로운 대회 방식을 도입하여, LCK 컵, 단일 시즌 운영,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는 인터컨티넨탈 르망컵을 대체하여 2012년에 시작된 자동차 내구 레이스 세계 선수권 대회로, LMP1 클래스의 쇠퇴와 비용 증가 문제로 규정이 변경되어 하이퍼카와 LMGT3 클래스로 운영되며 르망 24시간 레이스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경기가 열린다. - 201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IBA 3X3 월드컵
FIBA 3x3 월드컵은 국제농구연맹 주관으로 남자부와 여자부 국가대표팀 간 3x3 농구 국제 대회이며, 팀 경기 외 덩크 콘테스트 등 개인 콘테스트도 진행된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은 10개 팀이 참가한 LCK의 2016년 스프링 시즌으로, ROX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1위, SK텔레콤 T1이 포스트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OGN은 결승전을 VR 생중계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은 LCK 유한회사 주최, 우리은행 후원으로 2022년 1월 10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RX가 정규 시즌 1위를, DWG KIA가 최종 우승을 차지한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리그의 스프링 시즌이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
---|---|
기본 정보 | |
![]() | |
현재 시즌 | 2024 LCK 시즌 |
종목 | 리그 오브 레전드 |
창립 | 2012년 |
표어 | We Make Legends |
참가 팀 수 | 10 |
국가 | 대한민국 |
경기장 | LoL Park, 서울 |
최근 우승팀 | Hanwha Life Esports (2회 우승) |
최근 우승 시즌 | 2024 서머 |
최다 우승팀 | T1 (10회 우승) |
참가 자격 | 프랜차이즈 파트너십 |
관련 대회 | First Stand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정보 | |
주관 | 라이엇 게임즈 |
리그 개시 | 2012년 3월 21일 |
하부 리그 | LCK 챌린저스 리그 (2군) |
폐지된 리그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
최다 우승자 | 이상혁 (10회) |
2. 역사
2. 1. LCK 이전 시대 (2012~2014)
2011년 12월 대한민국에 리그 오브 레전드 서버가 출시된 후, 케이블 방송사 온게임넷(현 OGN)은 2012년 3월에 한국 최초의 주요 리그 오브 레전드 토너먼트인 '더 챔피언스'를 시작했다.[6] 2012년 스프링 시즌에는 MiG Blaze가, 서머 시즌에는 Azubu Frost(전 MiG Frost)가 우승했다. Azubu Frost는 NaJin Sword와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했다.이후 연간 3개 토너먼트 체제가 리그의 연간 일정의 표준으로 정해졌으며, 겨울, 봄, 여름에 각각 시즌이 진행되었다. 2013년에는 윈터(NaJin Sword), 스프링(MVP Ozone), 서머(SK Telecom T1 K) 시즌으로 진행되었으며, SK Telecom T1 K는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14년에는 윈터(SK Telecom T1 K), 스프링(Samsung Galaxy Blue), 서머(KT Rolster Arrows) 시즌으로 진행되었다. SK Telecom T1 K는 ''Champions Winter 2013–14'' 결승에서 삼성 갤럭시 오존을 꺾고 무패 우승을 달성하며 최초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2. 2. LCK 시대 (2015~현재)
2014년 10월, 리그 구조 개편 계획이 발표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겨울 시즌은 폐지되었다. 스프링 스플릿과 서머 스플릿으로 구성된 연간 리그 체제로 변경되었으며, 10개 팀 풀리그 후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 조직이 두 팀 이상을 소유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LCK 스프링 2015''는 새로운 형식과 정체성으로 운영되는 리그의 데뷔를 알렸다. 새롭게 탄생한 SK텔레콤 T1은 전년도 SK텔레콤 T1 K와 SK텔레콤 T1 S의 합병으로 탄생했으며, ''LCK 스프링 2015''와 ''LCK 서머 2015''에서 모두 우승하며 한 해를 휩쓸었다. SK텔레콤 T1은 ''LCK 스프링 2016''에서도 우승하며, 대회 역사상 최초로 3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그들의 지배력은 ROX 타이거즈(현재 한화생명 e스포츠)에 의해 ''LCK 서머 2016''에서 막을 내렸으며, ROX 타이거즈는 리그 개편 이후 두 번째로 우승한 팀이 되었다.
SK텔레콤 T1은 2017년 4월 22일, ''LCK 스프링 2017'' 결승전에서 KT 롤스터를 꺾고 팀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LCK 서머 2017 결승전에서는 롱주 게이밍이 스프링 우승팀인 SK텔레콤 T1을 꺾고 2017년 8월 26일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롱주 게이밍은 2017 월드 챔피언십 이후 킹존 드래곤X로 팀명을 변경했으며, LCK 2018 스프링에서 아프리카 프릭스를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KT 롤스터는 LCK 서머 2018 챔피언십에서 그리핀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SK텔레콤 T1은 결승전에서 그리핀을 3–0으로 꺾고 LCK 스프링 2019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SK텔레콤 T1은 LCK에서 7번째 우승을 기록했다.[7] 2019년 8월 31일, SK텔레콤 T1은 결승전에서 다시 한번 그리핀을 3–1로 꺾었다. 이는 그들의 8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이자, 2019년 LCK 2연패를 달성했다.[8]
T1은 또한 결승전에서 젠지를 3–0으로 꺾고 LCK 스프링 2020 타이틀을 차지하여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이 타이틀은 또한 팀의 9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이자, SK텔레콤 T1에서 T1으로 팀명을 변경한 후 첫 번째 우승이었다. LCK 서머 2020에서는 담원 게이밍이 결승전에서 DRX를 꺾고 첫 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을 차지했다.[9] 담원 게이밍(현 Dplus KIA)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에서 우승했다.
담원 기아(구 담원 게이밍)는 LCK 스프링과 서머 2021에서 모두 우승하며, 3시즌 연속 챔피언이 되었다. 스프링에서는 젠지를, [10] 서머에서는 T1을 꺾었다.[11]
2022년 4월 2일, T1은 결승전에서 젠지를 꺾고 LCK 스프링 2022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는 그들의 10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이었다.[12] 젠지는 이후 4시즌 연속 LCK 타이틀(서머 2022~스프링 2024)을 차지했지만, 2024년 서머 결승에서 한화생명 e스포츠에 패배했다. 한화생명 e스포츠의 현재 이름으로의 첫 번째 타이틀이었으며, 2016년 서머의 ROX 타이거즈 타이틀까지 포함하면 두 번째 타이틀이었다.[13] DRX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2에서 우승했다.
2021 시즌부터는 프랜차이즈가 도입되면서 챌린저스 코리아와의 승강제가 폐지되었다. 2023시즌에는 Gen.G가 스프링, 서머 모두 우승했으며, T1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에서 우승했다.
2024년 10월 29일, LCK는 2025년에 나머지 글로벌 ''리그 오브 레전드''와 일치하도록 새로운 형식을 발표했다. First Stand로 알려진 3월의 새로운 국제 토너먼트를 수용하기 위해, 리그는 우승팀을 대회에 파견하는 "프리 시즌" 토너먼트인 LCK 컵과, 두 시즌을 하나의 단일 시즌으로 통합하여 미드 시즌 플레이오프를 개최하여 한국의 MSI 대표를 결정하고 시즌 말 플레이오프에서 LCK 챔피언과 월드 챔피언십 대표를 결정한다고 발표했다.[14]
}}
연도 | 시즌 | 1위 | 2위 | 3위 | 4위 | 월드 챔피언십 진출 | |||
---|---|---|---|---|---|---|---|---|---|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2015 | 스프링 | SK Telecom T1 | GE Tigers | CJ Entus | 진에어 그린윙스 | SK Telecom T1 | KOO Tigers | KT 롤스터 | rowspan="2" #REDIRECT |
서머 | SK Telecom T1 | KT 롤스터 | KOO Tigers | CJ Entus | |||||
2016 | 스프링 | SK Telecom T1 | ROX Tigers | KT 롤스터 | 진에어 그린윙스 | ROX Tigers | SK Telecom T1 | 삼성 갤럭시 | rowspan="2" #REDIRECT |
서머 | ROX Tigers | KT 롤스터 | SK Telecom T1 | 삼성 갤럭시 | |||||
2017 | 스프링 | SK Telecom T1 | KT 롤스터 | 삼성 갤럭시 | Team MVP | Longzhu Gaming | SK Telecom T1 | 삼성 갤럭시 | rowspan="2" #REDIRECT |
서머 | Longzhu Gaming | SK Telecom T1 | KT 롤스터 | 삼성 갤럭시 | |||||
2018 | 스프링 | Kingzone DragonX | 아프리카 프릭스 | KT 롤스터 | SK Telecom T1 | KT 롤스터 | 아프리카 프릭스 | Gen.G | rowspan="2" #REDIRECT |
서머 | KT 롤스터 | Griffin | 아프리카 프릭스 | Kingzone DragonX | |||||
2019 | 스프링 | SK Telecom T1 | Griffin | Kingzone DragonX | 담원 게이밍 | SK Telecom T1 | Griffin | 담원 게이밍 | rowspan="2" #REDIRECT |
서머 | SK Telecom T1 | Griffin | 담원 게이밍 | Sandbox Gaming | |||||
2020 | 스프링 | T1 | Gen.G | DragonX | 담원 게이밍 | 담원 게이밍 | DRX | Gen.G | rowspan="2" #REDIRECT |
서머 | 담원 게이밍 | DRX | Gen.G | 아프리카 프릭스 | |||||
2021 | 스프링 | DWG KIA | Gen.G | 한화생명 e스포츠 | T1 | DWG KIA | Gen.G | T1 | 한화생명 e스포츠 |
서머 | DWG KIA | T1 | Gen.G | 농심 레드포스 | |||||
2022 | 스프링 | T1 | Gen.G | DWG KIA | 광동 프릭스 | Gen.G | T1 | DWG KIA | DRX |
서머 | Gen.G | T1 | 리브 샌드박스 | DWG KIA | |||||
2023 | 스프링 | Gen.G | T1 | KT 롤스터 | 한화생명 e스포츠 | Gen.G | T1 | KT 롤스터 | Dplus KIA |
서머 | Gen.G | T1 | KT 롤스터 | 한화생명 e스포츠 | |||||
2024 | 스프링 | Gen.G | T1 | 한화생명 e스포츠 | Dplus KIA | 한화생명 e스포츠 | Gen.G | rowspan="2" | | rowspan="2" | |
서머 | 한화생명 e스포츠 | Gen.G | T1 | Dplus KIA |
봄과 여름, 연 2회 개최된다. 정규 시즌은 1라운드 풀 리그 3전 2선승제이다.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이다. 우승과 준우승 팀은 MSI 및 월드 챔피언십 출전 자격을 얻는다. 또한, 이와 별도로 롤드컵 지역 선발전도 개최된다.
3. 대회 방식
3. 1. 2012 시즌 ~ 2014 시즌
2014 시즌까지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으며, 전 시즌 우수 팀 8팀과 예선 통과 8팀, 총 16개 팀이 참가하여 16강 조별 리그 후 8강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6강과 8강에서 탈락한 팀은 하부 리그인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NLB)로 강등되었다. 대회는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으로 진행되었으며, 매 시즌 획득한 서킷 포인트를 통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팀을 선발하였다.
참가 가능한 팀은 한 구단에 최대 2개 팀까지 허용되었으며, 각 팀내 선수의 수는 최소 5명에서 최대 7명까지 허용되었다.
3. 2. 2015 시즌 ~ 2018 시즌
2015 시즌부터 대회명이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로 변경되었으며, 윈터, 스프링, 서머의 3시즌제에서 스프링, 서머의 2시즌제로 바뀌었다. 대회 방식 또한 토너먼트제에서 풀리그 후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바뀌었다. 참가 팀은 16팀에서 10팀(2015 스프링 시즌에 한해 8팀)으로 줄어들었으며 단일 클럽 내 복수 팀의 참가가 불가능하게 바뀌었다.
정규시즌 1위 팀은 결승전에 직행하고, 4위 팀과 5위 팀은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통해 3위 팀과의 준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2위 팀과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승 진출 여부를 결정지었다. 정규시즌 6~8위 팀은 잔류하며, 9~10위 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우승, 준우승 팀과의 승강전을 통해 잔류 여부를 결정지었다.
봄과 여름, 연 2회 개최되며, 정규 시즌은 1라운드 풀 리그 3전 2선승제이다.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이다. 우승과 준우승 팀은 MSI 및 월드 챔피언십 출전 자격을 얻는다. 또한, 이와 별도로 롤드컵 지역 선발전도 개최된다.
3. 3. 2019 시즌 ~ 2020 시즌
2019 시즌부터 대회명에 타이틀 스폰서가 붙기 시작하였으며, 라이엇 게임즈에서 직접 주관하게 되었다.[15] 2021 스프링 시즌부터 프랜차이즈가 도입되면서 2020 서머 승강전을 끝으로 챌린저스 코리아와의 승강제가 폐지되었다.[16]
3. 4. 2021 시즌 ~ 2024 시즌
LCK 스프링 2021 시즌부터 한국프로농구의 6강 포스트시즌 방식을 차용한 제도가 도입되어 정규시즌 1위팀은 2위팀과 함께 4강 플레이오프에 직행하고, 3~6위팀은 6강 플레이오프에 직행한다.[17] 1위팀은 4강 플레이오프 상대를 결정할 수 있는 어드밴티지가 주어진다.[17]
2022년 7월 25일, 프랜차이즈 도입 2년 차를 맞은 LCK는 지정선수 특별 협상, 공인 에이전트, 신인선수 육성권 제도 도입을 예고했다.[17]
정규 시즌은 1라운드 풀 리그 3전 2선승제로 진행되며,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이다.
3. 5. 2025 시즌 ~ 현재
2024년 10월 29일, 세 번의 국제 대회를 진행하는 것으로 변화가 생겨 이에 맞춰 LCK는 2025시즌을 앞두고 대회 방식 개편을 예고했다.[18]
2025 시즌부터 1~2월에는 LCK 컵이 진행될 예정이다. LCK 정규 시즌에 포함되지 않는 이 대회는 첫 번째 국제 대회 진출권을 두고 경쟁하는 대회이다. 4~9월에는 스프링과 서머가 통합되어 단일 시즌으로 대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4~5월에는 정규 시즌 1~2라운드가 진행되고 상위 6개 팀이 MSI 선발전에 진출하며, 상위 2개 팀이 MSI에 진출한다. 7~9월, 1~2라운드 성적을 토대로 팀을 상하위 스플릿으로 나눠 정규 시즌 3~5라운드가 진행되고,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순위를 산정한다. Worlds는 별도의 선발전 없이 단일 시즌의 최종 순위 1~3위가 진출한다. MSI 우승 팀이 LCK 소속인 경우 네 번째 시드로 Worlds에 진출할 자격을 얻는다.[18]
2025 시즌 LCK 컵 대회부터는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이 도입된다. 이 방식은 이전 세트에 선택된 챔피언이 다음 세트에 누적 금지되는 방식이다.[18] LCK 컵에서 진행되는 모든 경기는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을 사용하며, 한 경기에서 선택된 챔피언은 해당 시리즈의 나머지 경기에서 다시 선택할 수 없다.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이다.
4. 주관 방송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는 2012년 리그 창설부터 2016년 스프링 시즌까지 OGN 단독으로 주관하였다. 2016년 서머 시즌부터는 SPOTV GAMES가 중계에 참여하여 두 개의 방송사에서 중계하였다. 2019년 스프링 시즌부터는 라이엇 게임즈에서 직접 중계하며, 트위치, 아프리카TV, 페이스북, SBS afreeca 채널, 네이버TV, 유튜브 등에서 송출하고 있다. 2020년에는 OGN이 녹화방송으로 중계에 다시 참여하였다.
5. 챔피언십 포인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지역 대표 선발을 위한 제도인 챔피언십 포인트는 각 시즌 스플릿 순위에 따라 3~6위 팀에게 차등 지급된다. 누적된 챔피언십 포인트에 따라 지역 대표 선발전이 진행되며, 2021년 기준으로 총 4개 팀이 Worlds에 진출한다.
6. 현재 참가팀
2023 스프링 시즌 기준으로 현재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7. 역대 대회 및 결과
LCK는 2012년 스프링 시즌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스프링과 서머 두 번의 정규 시즌을 개최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24년까지의 LCK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우승팀 | 점수 | 준우승팀 |
---|---|---|---|---|
2012 | 스프링 | MIG 블레이즈 | 3 : 0 | MIG 프로스트 |
서머 | 아주부 프로스트 | 3 : 2 | CLG.EU | |
2013 | 윈터 | 나진 소드 | 3 : 0 | 아주부 프로스트 |
스프링 | MVP 오존 | 3 : 0 | CJ 엔투스 블레이즈 | |
서머 | SK 텔레콤 T1 | 3 : 2 | KT 롤스터 불리츠 | |
2014 | 윈터 | SK 텔레콤 T1 K | 3 : 0 | 삼성 갤럭시 오존 |
스프링 | 삼성 갤럭시 블루 | 3 : 1 | 나진 화이트 실드 | |
서머 | KT 롤스터 애로우즈 | 3 : 2 | 삼성 갤럭시 블루 | |
2015 | 스프링 | SK 텔레콤 T1 | 3 : 0 | GE 타이거즈 |
서머 | SK 텔레콤 T1 | 3 : 0 | KT 롤스터 | |
2016 | 스프링 | SK 텔레콤 T1 | 3 : 1 | 락스 타이거즈 |
서머 | 락스 타이거즈 | 3 : 2 | KT 롤스터 | |
2017 | 스프링 | SK 텔레콤 T1 | 3 : 0 | KT 롤스터 |
서머 | 롱주 게이밍 | 3 : 1 | SK 텔레콤 T1 | |
2018 | 스프링 | 킹존 드래곤 X | 3 : 1 | 아프리카 프릭스 |
서머 | KT 롤스터 | 3 : 2 | 그리핀 | |
2019 | 스프링 | SK 텔레콤 T1 | 3 : 0 | 그리핀 |
서머 | SK 텔레콤 T1 | 3 : 1 | 그리핀 | |
2020 | 스프링 | T1 | 3 : 0 | Gen.G |
서머 | 담원 게이밍 | 3 : 0 | DRX | |
2021 | 스프링 | DWG KIA | 3 : 0 | Gen.G |
서머 | DWG KIA | 3 : 1 | T1 | |
2022 | 스프링 | T1 | 3 : 1 | Gen.G |
서머 | Gen.G | 3 : 0 | T1 | |
2023 | 스프링 | Gen.G | 3 : 1 | T1 |
서머 | Gen.G | 3 : 0 | T1 | |
2024 | 스프링 | Gen.G | 3 : 2 | T1 |
서머 | 한화생명 e스포츠 | 3 : 2 | Gen.G |
각 시즌별 3위와 4위, 그리고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LCK 관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기록과 통계
8. 1. 우승 기록
T1이 10회로 최다 우승팀이며, 2013년 서머 시즌, 2014년 윈터 시즌, 2015년 스프링/서머 시즌, 2016년 스프링 시즌, 2017년 스프링 시즌, 2019년 스프링/서머 시즌, 2020년 스프링 시즌, 2022년 스프링 시즌에 우승했다. Gen.G는 2014년 스프링 시즌, 2022년 서머 시즌, 2023년 스프링/서머 시즌, 2024년 스프링 시즌 우승을 포함해 총 5회 우승했다. Dplus KIA는 2020년 서머 시즌, 2021년 스프링/서머 시즌에 우승하여 총 3회 우승했다. KT 롤스터는 2014년 서머 시즌과 2018년 서머 시즌에 우승했다. CJ 엔투스는 2012년 스프링/서머 시즌에 우승했다. 한화생명 e스포츠는 2016년 서머 시즌, 2024년 서머 시즌에 우승했다. DRX는 2017년 서머 시즌과 2018년 스프링 시즌에 우승했다. OK저축은행 브리온은 2013년 윈터 시즌에, MVP는 2013년 스프링 시즌에 우승했다.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T1 | 10 | 6 | 2013 서머, 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2 스프링 | 2017 서머, 2021 서머,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
Gen.G | 5 | 6 | 2014 스프링,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 2014 윈터, 2014 서머, 2020 스프링, 2021 스프링, 2022 스프링, 2024 서머 |
Dplus KIA | 3 | 0 | 2020 서머, 2021 스프링, 2021 서머 | |
KT 롤스터 | 2 | 4 | 2014 서머, 2018 서머 | 2013 서머, 2015 서머, 2016 서머, 2017 스프링 |
CJ 엔투스 | 2 | 3 | 2012 스프링, 2012 서머 | 2012 스프링, 2013 윈터, 2013 스프링 |
한화생명 e스포츠 | 2 | 2 | 2016 서머, 2024 서머 |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
DRX | 2 | 1 | 2017 서머, 2018 스프링 | 2020 서머 |
OK저축은행 브리온 | 1 | 1 | 2013 윈터 | 2014 스프링 |
MVP | 1 | 0 | 2013 스프링 | — |
그리핀 | 0 | 3 | — |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
윈터 폭스 | 0 | 1 | — | 2012 서머 |
광동 프릭스 | 0 | 1 | — | 2018 스프링 |
''기울임꼴''로 표시된 팀은 해체되었거나 더 이상 리그에 참가하지 않는 팀을 나타냅니다.
8. 2. 정규시즌 MVP
대회 | 소환사명 | 이름 | 포지션 | 당시 소속팀 | 비고 |
---|---|---|---|---|---|
2012-2013 윈터 | 막눈 | 윤하운 | 탑 | 나진 소드 | |
2013 스프링 | 다데 | 배어진 | 미드 | MVP 오존 | |
2013 서머 | 페이커 | 이상혁 | 미드 | SK 텔레콤 T1 K | |
2013-2014 윈터 | |||||
2014 스프링 | 다데 | 배어진 | 미드 | 삼성 갤럭시 블루 | |
2014 서머 | 카카오 | 이병권 | 정글 | KT 롤스터 애로우즈 | |
2015 스프링 | 듀크 | 이호성 | 탑 | 나진 e-mFire | |
2015 서머 | 썸데이 | 김찬호 | 탑 | KT 롤스터 | |
2016 스프링 | 스멥 | 송경호 | 탑 | 락스 타이거즈 | |
2016 서머 | |||||
2017 스프링 | 크라운 | 이민호 | 미드 | 삼성 갤럭시 | |
2017 서머 | 쿠로 | 이서행 | 미드 | 아프리카 프릭스 | |
비디디 | 곽보성 | 미드 | 롱주 게이밍 | ||
2018 스프링 | 비디디 | 곽보성 | 미드 | 킹존 드래곤 X | |
2018 서머 | 칸 | 김동하 | 탑 | 킹존 드래곤 X | |
2019 스프링 | 쵸비 | 정지훈 | 미드 | 그리핀 | |
2019 서머 | 캐니언 | 김건부 | 정글 | 담원 게이밍 | |
2020 스프링 | 비디디 | 곽보성 | 미드 | Gen.G | |
2020 서머 | 쇼메이커 | 허수 | 미드 | 담원 게이밍 | |
2021 스프링 | 캐니언 | 김건부 | 정글 | DWG KIA | |
2021 서머 | 피넛 | 한왕호 | 정글 | 농심 레드포스 | |
2022 스프링 | 케리아 | 류민석 | 서포터 | T1 | |
2022 서머 | 룰러 | 박재혁 | AD 캐리 | Gen.G | |
2023 스프링 | 케리아 | 류민석 | 서포터 | T1 | |
2023 서머 | 손시우 | 서포터 | KT 롤스터 |
8. 3. 파이널 MVP
대회 | 소환사명 | 이름 | 포지션 | 당시 소속팀 | 비고 |
---|---|---|---|---|---|
2015 스프링 | 이지훈 | 이지훈 | 미드 | SK 텔레콤 T1 | |
2015 서머 | 페이커 | 이상혁 | 미드 | SK 텔레콤 T1 | |
2016 스프링 | 듀크 | 이호성 | 탑 | SK 텔레콤 T1 | |
2016 서머 | 쿠로 | 이서행 | 미드 | 락스 타이거즈 | |
2017 스프링 | 피넛 | 한왕호 | 정글 | SK 텔레콤 T1 | |
2017 서머 | 칸 | 김동하 | 탑 | 롱주 게이밍 | |
2018 스프링 | 프레이 | 김종인 | 바텀 | 킹존 드래곤 X | |
2018 서머 | 스코어 | 고동빈 | 정글 | KT 롤스터 | |
2019 스프링 | 테디 | 박진성 | 바텀 | SK 텔레콤 T1 | |
2019 서머 | 클리드 | 김태민 | 정글 | SK 텔레콤 T1 | |
2020 스프링 | 커즈 | 문우찬 | 정글 | T1 | |
2020 서머 | 너구리 | 장하권 | 탑 | 담원 게이밍 | |
2021 스프링 | 칸 | 김동하 | 탑 | DWG KIA | |
2021 서머 | 쇼메이커 | 허수 | 미드 | DWG KIA | |
2022 스프링 | 오너 | 문현준 | 정글 | T1 | |
2022 서머 | 피넛 | 한왕호 | 정글 | Gen.G | |
2023 스프링 | 김수환 | AD 캐리 | Gen.G | ||
2023 서머 | 정지훈 | 미들 | Gen.G |
2019 서머 시즌까지는 포스트시즌 MVP로 시상했다.
8. 4. 올프로팀
LCK 어워드는 2021년 스프링 시즌부터 LCK에서 주최하는 시상식이다. 이 시상식에서는 정규 시즌 동안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과 최고의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 포함된다.LCK 올프로팀은 각 스플릿별로 최고의 활약을 보인 5명의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 상은 LCK 해설진, 옵저버, 기자단, 선수, 감독 등 약 40여 명의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8. 5. 1,000킬 & 2,000킬 달성 선수
순서 | 소환사명 | 이름 | 포지션 | 당시 소속팀 | 달성일자 | 통산 | 비고 |
---|---|---|---|---|---|---|---|
1 | 페이커 | 이상혁 | 미드 | SK 텔레콤 T1 | 2016,07.11 | 현역 | |
2 | 프레이 | 김종인 | 바텀 | 락스 타이거즈 | 2016.07.21 | 1,685킬 | |
3 | 뱅 | 배준식 | 바텀 | SK 텔레콤 T1 | 2017.03.02 | 1,680킬 | |
4 | 스코어 | 고동빈 | 정글 | KT 롤스터 | 2017.03.05 | 1,509킬 | |
5 | 쿠로 | 이서행 | 미드 | 아프리카 프릭스 | 2017.06.08 | 1,556킬 | |
6 | 스멥 | 송경호 | 탑 | KT 롤스터 | 2018.03.01 | 1,340킬 | |
7 | 앰비션 | 강찬용 | 정글 | Gen.G | 2018.07.26 | 1,009킬 | |
8 | 상윤 | 권상윤 | 바텀 | 한화생명 e스포츠 | 2019.02.13 | 1,191킬 | |
9 | 데프트 | 김혁규 | 바텀 | 킹존 드래곤 X | 2019.03.21 | 현역 | |
10 | 테디 | 박진성 | 바텀 | T1 | 2020.02.26 | 현역 | |
11 | 룰러 | 박재혁 | 바텀 | Gen.G | 2020.04.01 | 현역 | |
12 | 비디디 | 곽보성 | 미드 | Gen.G | 2020.04.08 | 현역 | |
13 | 고스트 | 장용준 | 바텀 | DWG KIA | 2021.02.20 | 현역 | |
14 | 피넛 | 한왕호 | 정글 | 농심 레드포스 | 2021.06.24 | 현역 | |
15 | 쵸비 | 정지훈 | 미드 | 한화생명 e스포츠 | 2021.07.01 | 현역 | |
16 | 플라이 | 송용준 | 미드 | 아프리카 프릭스 | 2021.07.29 | 1,041킬 | |
17 | 쇼메이커 | 허수 | 미드 | DWG KIA | 2021.08.28 | 현역 | |
18 | 기인 | 김기인 | 탑 | 광동 프릭스 | 2022.03.05 | 현역 | |
19 | 에이밍 | 김하람 | 바텀 | KT 롤스터 | 2022.07.06 | 현역 | |
20 | 라스칼 | 김광희 | 탑 | KT 롤스터 | 2022.07.29 | 현역 |
8. 6. 킬 및 어시스트 통계
2022년 8월 13일 기준, 페이커는 통산 2654킬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데프트가 2205킬, 룰러가 2104킬로 그 뒤를 잇고 있다. 2000킬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이 세 명뿐이다. 1000킬 이상은 20명이 기록했다. 기인은 1100킬[19], 에이밍과 라스칼은 각각 1002킬을 기록했다.[20][21]어시스트 부문에서는 2022년 8월 10일 기준, 고릴라가 4137 어시스트로 1위를 기록했고, 페이커가 4055 어시스트로 2위를 기록했다. 3000회 이상 어시스트를 기록한 선수는 8명이며, 룰러는 2500 어시스트를 기록했다.[22]
9. LCK 어워드
LCK 어워드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의 시상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리그 오브 레전드
http://www.leagueofl[...]
2020-11-28
[2]
웹사이트
Riot Games to Independently Broadcast 'LoL' Champions Korea This Year
https://variety.com/[...]
2019-09-04
[3]
웹사이트
Riot plans to take over LCK production in 2019, open LoL Park studio
https://dotesports.c[...]
2019-09-04
[4]
웹사이트
Riot Games reveals LCK's 10 franchised teams
https://esportsinsid[...]
2021-01-03
[5]
웹사이트
LoL World Champions 2011–2024: Every winner and team
https://www.redbull.[...]
2024-11-21
[6]
뉴스
Korean Professional League Getting Overhauled
https://www.redbull.[...]
2020-11-28
[7]
웹사이트
"[롤챔스] '제왕의 귀환' SK텔레콤, 그리핀 꺾고 LCK 첫 'V7' 축배(종합)"
http://sports.news.n[...]
2019-07-10
[8]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2019 LCK Summer Finals] SK Telecom T1 Wins their 8th LCK Championship
https://www.invenglo[...]
2019-08-31
[9]
뉴스
DAMWON sweep DRX for LCK Summer Playoffs title
https://www.reuters.[...]
2022-04-23
[10]
웹사이트
DK Khan named Finals MVP of the 2021 LCK Spring split
https://www.invenglo[...]
2022-04-23
[11]
웹사이트
DK ShowMaker:"I was actually hoping that Khan would receive it. I'll make sure that Khan gets MVP at Worlds by babysitting top lane."
https://www.invenglo[...]
2022-04-23
[12]
웹사이트
T1 defeat Gen.G 3-1 and becomes 2022 LCK Spring Champions, will represent the LCK at MSI 2022
https://www.invenglo[...]
2022-04-23
[13]
뉴스
League of Legends: Hanwha Life Esports upset Gen.G to become the LCK Summer Champions
https://www.gosugame[...]
2024-10-29
[14]
뉴스
New LCK format in 2025 is massive, adds many rounds to single regular season — all changes explained
https://www.oneespor[...]
2024-10-29
[15]
웹인용
라이엇게임즈 자체 제작… 새로운 LCK가 찾아온다
http://kcbc.kr/pages[...]
2020-09-30
[16]
문서
LCK가 프랜차이즈 모델을 도입합니다 (Q&A 추가)
https://kr.leagueofl[...]
[17]
웹인용
LCK, FA 선수 계약 관련 신규 제도 도입
https://news.kmib.co[...]
2022-07-25
[18]
웹인용
2025년부터 단일 시즌제로 바뀌는 LCK…컵 대회도 신설
https://www.mk.co.kr[...]
2024-10-31
[19]
문서
2022년 7월 24일 기준.
[20]
문서
2022년 7월 6일 기준.
[21]
문서
2022년 7월 29일 기준.
[22]
문서
2022년 8월 13일 기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금메달 기운 받은 ‘롤드컵’, 한국서 초대형 축제 팡파르 – 바이라인네트워크
5G로 할 수 있는 것들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