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DRX (e스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DRX는 2010년 10월 1일 창단된 대한민국의 e스포츠 프로게임단이다.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으로 시작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철권 7' 등 다양한 종목의 팀을 운영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서 2017년 LCK 서머, 2018년 LCK 스프링, 2022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발로란트' 종목에서는 2022년 발로란트 챔피언스에서 3위를 기록했다. 팀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DRX는 2020년 5월부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DRX (e스포츠) - 베릴 (프로게이머)
    베릴은 2017년 프로게이머 경력을 시작하여 원거리 딜러에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한 후 LCK 우승과 롤드컵 우승을 여러 차례 달성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 DRX (e스포츠) - 데프트
    데프트(김혁규)는 LCK와 LPL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팀을 거쳤고 2014년 LCK 스프링 우승, 2015년 MSI 우승, 2016년 LPL 서머 우승, 2018년 LCK 서머 우승, 2022년 롤드컵 우승 등 수많은 업적을 남긴 대한민국의 전설적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100 씨브즈
    매튜 "Nadeshot" 해그가 2017년 설립한 100 씨브즈는 콜 오브 듀티, 리그 오브 레전드 등 e스포츠 팀 운영과 의류 사업을 병행하는 미국의 e스포츠, 의류 및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e스포츠 어워드에서 수상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팀 리퀴드
    팀 리퀴드는 2001년 스타크래프트 뉴스 사이트로 시작하여 2012년부터 도타 2를 비롯한 다양한 e스포츠 종목으로 확장하며 북미 지역의 대표적인 e스포츠 프랜차이즈로 자리매김한 팀이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KT 롤스터
    KT 롤스터는 1999년 12월 30일에 창단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DRX (e스포츠)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팀명DRX
DRX 로고
DRX 로고
국가대한민국
연고지대한민국
역사
리그 오브 레전드Incredible Miracle (2012–2016)
Longzhu Gaming (2016–2018)
Kingzone DragonX (2018–2019)
DragonX (2019–2020)
발로란트Vision Strikers (2020–2021)
운영진
단장최병훈
성적
주요 우승월드 챔피언십 (2022)
리그 우승LCK
스폰서
스폰서신한은행
카카오프렌즈
레드불
맥라렌
HyperX
Xenics
ETAC
Logitech G
DOUYU
RYZEN AMD
XENICS ARCACING
emTek
종목
종목리그 오브 레전드
철권 7
발로란트
워크래프트 III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https://www.drx.gg/
리그 오브 레전드 팀 정보
정글Juhan 이주한

2. 내력

2010년 10월 1일, 아마추어 스타크래프트 게임단을 운영하던 강동훈 감독이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인크레더블 미라클'''을 창단했다.[9]

2012년 4월 26일, LG전자와 공식 후원 계약을 맺고 '''LG-IM'''으로 활동했으며, 2012년 5월 7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했다.

2013년 8월, LG전자와의 스폰서 계약이 종료되면서 팀 이름을 '''인크레더블 미라클'''로 변경했고, 2013년 11월 16일 한국e스포츠협회에 가입했다.[10][11]

2015년 4월 13일, 중국의 스트리밍 회사인 Longzhu TV의 후원을 받으며 '''LongZhu-IM'''으로 팀명을 변경했다가, 2016년 1월 4일 '''Longzhu Gaming'''으로 팀명을 변경했다.

2018년 1월, 팀명을 '''킹존 드래곤X'''로 변경했고, 2019년 10월 10일 팀 명칭을 '''드래곤X'''로, 2020년 5월에는 '''DRX'''로 변경했다.

DRX의 팀명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기간팀명
2010년 10월 1일 ~ 2012년 4월 25일인크레더블 미라클 (IM)
2012년 4월 26일 ~ 2013년 8월 8일LG-IM
2013년 8월 8일 ~ 2015년 4월 12일인크레더블 미라클 (IM)
2015년 4월 13일 ~ 2016년 1월 3일LongZhu-IM
2016년 1월 4일 ~ 2018년 1월 7일Longzhu Gaming
2018년 1월 8일 ~ 2019년 10월 10일King-Zone DragonX
2019년 10월 10일 ~ 2020년 5월DragonX
2020년 5월 ~ 현재DRX


3. 소속 선수

DRX는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철권 등 다양한 e스포츠 종목에서 팀을 운영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DRX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1군과 2군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자세한 선수 명단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발로란트 (DRX VS)'''

DRX VS는 VCT 챌린저스 코리아와 VCT 퍼시픽 리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이다. 발로란트 챔피언스 2022에서는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철권 (DRX FGC)'''

DRX FGC에는 '무릎' 배재민, '샤넬' 강성호 등 유명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다.[8]

3. 1. 리그 오브 레전드

DRX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Rich' 이재원, 'Juhan' 이주한, 'Sponge' 배영준, 'SeTab' 송경진, 'Ucal' 손우현, 'Teddy' 박진성, 'Andil' 문관빈, 'Pleata' 손민우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1] 1, 2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1. 1군



이름소환사명포지션비고
배영준Sponge정글
송경진SeTab미드
박진성Teddy바텀
손민우Pleata서포터


3. 1. 2. 2군

김태일 ('Frozen') 코치가 2군 코치를 맡고 있다.

3. 2. DRX VS (발로란트)

DRX VS는 VCT 챌린저스 코리아에서 2021 스테이지 1, 2021 스테이지 3, 2022 스테이지 1, 2022 스테이지 2에서 우승했다. VCT 퍼시픽 리그에서는 2023년에 준우승, VCT 퍼시픽 스테이지 2에서는 2024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발로란트 챔피언스 2022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현재 DRX 발로란트 팀 선수 및 코칭 스태프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이름역할비고
노하준|Freeing한국어선수
조민혁|Flashback한국어
송현민|Hyunmin한국어
김명관|MaKo한국어
강근철|BeYN한국어주로 이니시에이터 담당
유태석|BuZz한국어주로 듀얼리스트 담당
정세영|Foxy9한국어주로 이니시에이터 담당
colspan="3" |
변선호|termi한국어헤드 코치
권순우|glow한국어코치
김민수|Argency한국어코치


3. 3. DRX FGC

} || 배재민

|-

| 샤넬|한국어 || 강성호

|-

| 인페스티드|한국어 || 박병호

|-

| ポカ|포카일본어 || 아베 슌스케

|-

| 레샤|한국어 || 신문섭

|}[8]

4. 역대 성적

DRX는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등 다양한 종목의 e스포츠 팀을 운영하며 여러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스타크래프트 II 팀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활동하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February 우승, IPL Team Arena Challenge Season 1 우승 등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에서 2회 우승(2017 서머, 2018 스프링),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서 1회 우승(2022)을 차지했다. 발로란트 팀은 VCT 챌린저스 코리아에서 4회 우승, VCT 퍼시픽 리그에서 2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클래시 로얄, 철권 7 팀을 운영했었다.

4. 1. 스타크래프트 II

DRX 스타크래프트 II 팀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선수이름
{{lang|ko|무릎|}
연도대회명결과
2010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February우승
2011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ch준우승
IPL Team Arena Challenge Season 1우승
2012IPL Team Arena Challenge Season 3우승
IPTL Season 1준우승
2013 HOT6IX GSTL Pre Season우승 (vs TEAM AZUBU 4:2)
20132013 IPTL Season 1준우승
2013 벤큐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1우승 (vs MVP 5:3)
2014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라운드5위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라운드7위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3라운드7위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4라운드6위


4. 2. 리그 오브 레전드

DRX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운영하며, 국내 리그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와 국제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등 다양한 대회에 참가해왔다.

2013년에는 IEM 시즌 7 상파울루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13]

2016년부터 2024년까지 LCK에 참가하여 스프링 시즌과 서머 시즌에 각각 참여하였으며, 2017년 서머와 2018년 스프링에는 우승을, 2020년 서머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연도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월드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롱주 게이밍(Longzhu Gaming)
2016스프링188107위진출 실패진출 실패진출 실패
서머187118위진출 실패
2017스프링188107위진출 실패진출 실패8강
서머181441위우승
킹존 드래곤X(Kingzone DragonX)
2018스프링181621위우승준우승진출 실패
서머181353위2라운드
2019스프링181353위3라운드진출 실패진출 실패
서머18997위진출 실패
드래곤X(DragonX) / DRX
2020스프링181443위3라운드진출 실패8강
서머181532위준우승
2021스프링18995위8강진출 실패진출 실패
서머1821610위진출 실패
2022스프링181174위8강진출 실패우승
서머18996위8강
2023스프링183159위진출 실패진출 실패진출 실패
서머186126위1라운드
2024스프링183159위진출 실패진출 실패진출 실패
서머184149위진출 실패


4. 2. 1. 국내

연도대회명결과
2015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2015 프리시즌8위
2015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7위
2015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5 리그 2준우승
2015네이버 2015 LoL KeSPA컵12강
2016롯데 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7위
2016코카콜라 제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68위
20162016 LoL KeSPA컵12강
2017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7위
2017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우승
20172017 LoL KeSPA컵준우승
2018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8우승
2018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84위
20182018 LoL KeSPA컵8강
2019스무살우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93위
2019우리은행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97위
20192019 LoL KeSPA컵4강
2020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3위
2020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준우승
20202020 LoL KeSPA컵조별리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우승 (2017 서머, 2018 스프링)
준우승 (2020 서머)
KeSPA컵준우승 (2017)[14]


4. 2. 2. 국제

DRX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영어)에서 1회 우승,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id-Season Invitational영어)에서 1회 준우승을 기록하였다.[14]

대회연도결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영어)2022우승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id-Season Invitational영어)2018준우승


4. 2. 3. 2군 (DRX 챌린저스)

4. 3. 발로란트

DRX 발로란트 팀은 VCT 챌린저스 코리아에서 4회 우승(Vision Strikers영어 시절 2회 포함), VCT 퍼시픽 리그에서 2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발로란트 챔피언스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

DRX 발로란트 팀의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이름역할비고
BeYN한국어선수주로 이니시에이터 담당
BuZz한국어주로 듀얼리스트 담당
Mako한국어주로 컨트롤러 담당
Foxy9한국어주로 이니시에이터 담당
Flashback한국어주로 센티넬 담당
colspan="3" |
termi한국어헤드 코치
glow한국어코치
Argency한국어코치


4. 3. 1. 국내

대회결과
VCT 챌린저스 코리아우승 (2021 스테이지 1, 2021 스테이지 3, 2022 스테이지 1, 2022 스테이지 2)
VCT 퍼시픽 리그준우승 (2023)
VCT 퍼시픽 스테이지 2준우승 (2024)
발로란트 챔피언스3위 (2022)


4. 3. 2. 국제

4. 4. 기타 종목

DRX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클래시 로얄, 철권 7 팀도 운영했었다.

4. 4. 1.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DRX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팀은 2010년 MLG Raleigh에서 8강, MLG Washington DC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WCG 한국 대표 선발전과 한국 배틀넷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했으며, Blizzcon 2011에서는 6위, WCG 2011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부문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에는 Arena Korea Invitational에서 우승하고 World Championship Series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인벤 네임드 통합 챔피언십 한국대표선발전에서 우승하고 Blizzcon 2013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Arena World Championship 한국대표선발전과 아시아대표선발전에서 각각 2위를 기록했다.

연도대회결과
2010MLG Raleigh8강
2010MLG Washington DC5위
2011WCG 한국 대표 선발전우승
2011한국 배틀넷 인비테이셔널우승
2011Blizzcon 20116위
2011WCG 2011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부문은메달
2012Arena Korea Invitational우승
2012World Championship Series3위
2013인벤 네임드 통합 챔피언십 한국대표선발전우승
2013Blizzcon 20133위
2014Arena World Championship 한국대표선발전2위
2014Arena World Championship 아시아대표선발전4위
2015Arena World Championship 한국대표선발전2위
2015Arena World Championship 아시아대표선발전2위


4. 4. 2. 클래시 로얄

연도대회
2018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시즌 1 3위
2018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시즌 2 우승
2018클래시 로얄 리그 월드 파이널 4강
2019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시즌 2 플레이오프


4. 4. 3. 철권 7


  • '''EVO'''
  • '''우승:''' 2022 (배재민 "Knee")

참조

[1] 웹사이트 왕자영요, 한국 프로리그 전초작업 대규모 '아마' 토너먼트 개최 http://sports.news.n[...] 2019-07-24
[2] 웹사이트 DRX beats T1 to win 2022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https://www.washingt[...] 2022-11-06
[3] 웹사이트 '아듀 IM'...롱주-IM, 롱주로 팀명과 엠블렘 변경 http://sports.news.n[...] 2019-07-24
[4] 웹사이트 IM战队最新图标正式出炉 龙珠IM宣布成军!_兔玩网英雄联盟LOL专区 https://lol.tuwan.co[...] 2019-07-24
[5] 웹사이트 Kingzone Acquires and Rebrands Longzhu Gaming https://esportsobser[...] 2019-07-24
[6]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Kingzone Takes Over Longzhu Gaming https://www.invenglo[...] 2019-07-24
[7] 웹사이트 킹존 드래곤X, '드래곤X'로 새로운 출발...FEG로부터 독립 http://sports.news.n[...] 2019-10-10
[8] 웹사이트 FGC https://www.drx.gg/t[...] 2024-01-24
[9] 뉴스 정종현-최인규-안상원-임재덕 모였다! 스타2 게임단 'IM' 창단! http://www.fomos.kr/[...] 포모스 2012-05-07
[10] 뉴스 MVP-IM-프라임-나진 KeSPA 입회, LOL 프로리그 탄력 받나 http://sports.news.n[...] 포모스 2014-12-20
[11] 뉴스 '나진도 가입?' LOL 프로리그 개최 가시화 http://esports.daily[...] 데일리e스포츠 2014-12-20
[12] 문서 플레잉 코치 겸직
[13] 문서 IEM 우승 1회
[14] 문서 LCK 우승 2회·준우승 1회,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1회·준우승 1회, MSI 준우승 1회, LoL KeSPA컵 준우승 1회, CK 준우승 1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